KR200474879Y1 - 버섯 배양기 - Google Patents

버섯 배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879Y1
KR200474879Y1 KR2020140002374U KR20140002374U KR200474879Y1 KR 200474879 Y1 KR200474879 Y1 KR 200474879Y1 KR 2020140002374 U KR2020140002374 U KR 2020140002374U KR 20140002374 U KR20140002374 U KR 20140002374U KR 200474879 Y1 KR200474879 Y1 KR 200474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upper lid
container body
v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훈
엄연숙
Original Assignee
이용훈
엄연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훈, 엄연숙 filed Critical 이용훈
Priority to KR2020140002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8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8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Abstract

본 고안은 잡균 및 잡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수확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병 형태의 버섯배양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버섯 배양기는 배지재료가 담기게 되며 상부가 개방된 직립형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끼워지게 되는 뚜껑체; 를 포함하되, 상기 뚜껑체는: 횡판에 제1통기공이 타공되는 상부뚜껑; 상기 상부뚜껑이 안착되는 상부뚜껑안착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용기결합부가 구비되며, 횡판에 제2통기공이 타공되는 하부뚜껑; 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뚜껑과 상기 하부뚜껑 사이에는 상기 용기본체에서 상승되는 수분을 흡착할 수 있도록 다공성 흡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뚜껑의 상면에는 상기 제1통기공을 덮도록 다공성 필터부재가 고정 설치된다.
이에 의하면, 뚜껑체는 내부에 납작한 공간이 마련되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 흡착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용기본체에서 올라오는 수분을 흡수하여 잡균의 생장을 저지할 수 있으며, 제1통기공에도 필터부재가 설치되어 이중으로 불순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배양용기를 상하로 적층시켜도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여 용적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버섯 배양기{Culture Bottle For Mushroom}
본 고안은 버섯 배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잡균 및 잡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수확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병 형태의 버섯배양기에 관한 것이다.
팽이버섯, 목이버섯, 송이버섯 또는 느타리버섯 등 여러 종류의 버섯이 병 형태로 된 버섯 배양기에서 재배될 수 있다. 병 형태의 버섯 배양기는 병에 담긴 멸균된 배지에 배양액을 투입한 다음 균사체가 생장하여 병 주둥이 위로 버섯이 피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병을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을 병재배방법이라 하는데, 이는 재배사의 냉난방 시설을 이용함으로써 연중 꾸준한 생산이 가능하며, 균일한 품질로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병재배방법은 톱밥과 같은 배지재료에 적당한 수분을 부여한 다음 배양병에 넣고 입구를 막는다. 그 다음 배지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미생물을 고온 환경에서 열을 이용하여 살균한다. 열이 식으면 생육하고자 하는 버섯균을 접종하고 배양실에서 균사를 적당한 정도로 배양한다. 종균 배양이 완료되면 병의 입구를 개방하고 균사를 절단하여 자실체 발생을 촉진시킨다. 이와 같이 종균배양이 완료된 병배지를 뚜껑을 열어둔 상태로 재배사에 배치해 놓으면, 병 주둥이 위로 버섯이 자라게 된다. 버섯은 수차례에 걸쳐 수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병재배방법에 사용되는 배양병은 잡균 및 잡충이 병 내부로 침입하기 쉬운 구조이고, 배양병 내부와 외부와의 공기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기도 하여 버섯의 수확율이 낮아지거나 아예 수확을 못하는 경우도 종종 생겼다. 또한 배지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뚜껑에 물방울로 맺히게 되면 이 물방울이 배지의 상면에 떨어져 푸른곰팡이 등이 생기는 문제가 있기도 하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3-000018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9-0042883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39886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잡균 및 잡충의 침입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공기와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버섯의 생육에 도움을 주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병 형태의 버섯 배양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하의 기술을 통해 보다 구체화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배지재료가 담기게 되며 상부가 개방된 직립형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끼워지게 되는 뚜껑체; 를 포함하되, 상기 뚜껑체는: 횡판에 제1통기공이 타공되는 상부뚜껑; 상기 상부뚜껑이 안착되는 상부뚜껑안착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용기결합부가 구비되며, 횡판에 제2통기공이 타공되는 하부뚜껑; 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뚜껑과 상기 하부뚜껑 사이에는 상기 용기본체에서 상승되는 수분을 흡착할 수 있도록 다공성 흡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뚜껑의 상면에는 상기 제1통기공을 덮도록 다공성 필터부재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양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부뚜껑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받침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뚜껑 위에 물체를 적층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제1통기공을 통해 공기가 소통될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본체의 몸체는 가운데 부분이 잘록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공기와 상기 흡착부재 사이에 통기가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뚜껑의 횡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다수의 제3통기공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뚜껑체는 내부에 납작한 공간이 마련되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 흡착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용기본체에서 올라오는 수분을 흡수하여 잡균의 생장을 저지할 수 있으며, 제1통기공에도 필터부재가 설치되어 이중으로 불순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배양용기를 상하로 적층시켜도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여 용적율을 높일 수 있다. 기타 효과는 이하 설명되는 내용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버섯 배양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버섯 배양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버섯 배양기의 뚜껑의 저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버섯 배양기는 병재배방법에 사용되는 병 형태의 버섯 재배용 기구로서,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에 결합하는 뚜껑체(20)로 구성된다.
용기본체(10)는 배지재료가 담기게 되는 용기로서 상부가 개방된 직립형태로 되어 있다.
용기본체(10)는 상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링형상의 주입구(11)를 가지며, 몸체는 중간 부분이 잘록하게 형성되는데, 용기본체(10)의 몸체에 있는 이 잘록한 부분(12)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이다.
용기본체(10)에 담기게 되는 배지재료(13, 도 3 참조)는 배양 전에 멸균을 위해 고온환경에 일정 시간 투입되며, 배양을 위해서는 가열된 이를 냉각시켜야 한다.
통상 용기본체(10)를 상온에 방치하여 자연 냉각시키게 되는데, 용기본체(10)가 잘록하게 되어 있는 경우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됨에 따라 냉각속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짧은 시간 내에 배양에 착수할 수 있어 버섯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배지재료(13)는 참나무 또는 미류나무의 톱밥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의 구체적 성분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는 없다.
뚜껑체(20)는 용기본체(10)의 주입구(11)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개구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뚜껑체(20)는 내부에 납작한 공간을 형성하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뚜껑체(20)는 상면에 제1통기공(33)이 타공되어 있는 상부뚜껑(30)과 제2통기공(43)이 타공되어 있는 하부뚜껑(40)으로 구성된다.
하부뚜껑(40)은 상부뚜껑(30)이 안착되는 상부뚜껑안착부를 제공한다.
상부뚜껑(30)과 하부뚜껑(40) 사이에는 납작한 공간이 마련되는데, 이 공간에는 다공성 흡착부재(22)가 끼워져 설치된다. 흡착부재(22)는 공기가 소통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에서 증발로 상승되는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성질의 소재로 되어 있다. 흡착부재(22)로는 두께 5mm 정도의 스폰지가 적당하다.
하부뚜껑(40)에는 용기본체(10)의 주둥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용기결합부가 구비되며, 하부뚜껑의 횡판(41)에는 제2통기공(43)이 2 ~ 10mm의 직경으로 다수 타공된다.
하부뚜껑(40)의 횡판(41) 저면에 직각으로 마련되는 하측벽(44)이 뚜껑체(20)의 용기결합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상부뚜껑(30)의 제1통기공(33)을 포함하도록 상부뚜껑(30)의 횡판(31)의 상면에는 다공성 필터부재(21)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필터부재(21)는 원형이며 테두리를 따라 저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상부뚜껑(30)에 접착될 수 있다. 필터부재(21) 역시 공기를 소통시킬 수 있으며 잡균 또는 잡충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미세구멍을 제공하는 다공성 소재로 되어 있다.
상부뚜껑(30) 가장자리에 직각으로 마련되는 측벽(32)은 하부뚜껑의 상측벽(42) 내부에 밀착되어 끼워지며, 흡착부재(22)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흡착부재(22)는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잡균, 잡충 등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지만, 균사체의 생장에 따라 배지재료(13)에서 생성되는 수분이 증발하면서 횡판(41) 저면에 물방울이 맺히지 못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뚜껑(30)의 횡판(31)에는 일정한 높이로 상방향으로 돌출된 받침구(34)가 형성된다.
받침구(34)는 상부뚜껑(30) 위에 소정의 물체, 특히 다른 용기본체(10')를 적층시키는 경우에도 제1통기공(도 3 참조)을 통해 공기가 화살표(A1) 방향을 따라 소통될 수 있게 한다. 받침구(34)는 1 ~ 3mm 의 일정한 높이로 되어 있으며 제1통기공(33)의 외측에 방사 형태로 마련되고 있다. 받침구(34)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뚜껑체(2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공기와 흡착부재(22) 사이에 통기가 가능하도록 하부뚜껑(4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다수의 제3통기공(45)이 마련된다(도 4 참조). 제3통기공(45)은 주입구(11)에 밀착되어 끼워지게 되는 하부뚜껑의 하측벽(44)의 외측에 마련된다.
제3통기공(45)은 공기가 화살표(A2, 도 3 참조)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소통되도록 하며 나아가 흡착부재(22)가 머금고 있는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돕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용기본체 11 : 주입구
12 : 잘록한 부분 13 : 배지재료
20 : 뚜껑체 21 : 필터부재
22 : 흡착부재 30 : 상부뚜껑
33,43,45 : 제1,2,3통기공

Claims (4)

  1. 배지재료가 담기게 되고, 상부가 개방된 직립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주입구를 가지고, 몸체는 중간 부분이 잘록하게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끼워지되, 횡판에 제1 통기공이 타공되는 상부뚜껑과, 상기 상부뚜껑이 안착되는 상부뚜껑안착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용기결합부가 구비되며 횡판에 제2통기공이 타공되는 하부뚜껑을 구비한 뚜껑체;
    상기 상부뚜껑과 상기 하부뚜껑 사이에 상기 용기본체에서 증발로 상승되는 수분을 흡착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공성 흡착부재;
    상기 상부뚜껑의 상면에 상기 제1통기공을 덮도록 고정 설치되는 다공성 필터부재; 및
    상기 상부뚜껑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뚜껑 위에 물체를 적층시키는 경우 상기 제1 통기공을 통해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는 받침구; 를 포함하되,
    상기 뚜껑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공기와 상기 흡착부재 사이에 통기가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뚜껑의 횡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다수의 제3통기공이 마련되고,
    상기 다공성 흡착부재는 상기 제2 통기공과 상기 제3 통기공을 덮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양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2374U 2014-03-26 2014-03-26 버섯 배양기 KR200474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374U KR200474879Y1 (ko) 2014-03-26 2014-03-26 버섯 배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374U KR200474879Y1 (ko) 2014-03-26 2014-03-26 버섯 배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879Y1 true KR200474879Y1 (ko) 2014-10-23

Family

ID=5214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374U KR200474879Y1 (ko) 2014-03-26 2014-03-26 버섯 배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8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328A (ko) 2017-11-16 2019-05-2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기공이 형성된 버섯 배양용 봉지를 이용한 버섯의 제조방법
KR102108144B1 (ko) 2019-06-21 2020-05-07 우시천 버섯종균 배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41Y1 (ko) * 1999-07-29 2000-02-15 이경군 버섯재배용기의이중통풍장치
KR200468683Y1 (ko) * 2011-12-19 2013-09-03 아시아 유니버시티 흰목이 재배 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41Y1 (ko) * 1999-07-29 2000-02-15 이경군 버섯재배용기의이중통풍장치
KR200468683Y1 (ko) * 2011-12-19 2013-09-03 아시아 유니버시티 흰목이 재배 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328A (ko) 2017-11-16 2019-05-2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기공이 형성된 버섯 배양용 봉지를 이용한 버섯의 제조방법
KR102108144B1 (ko) 2019-06-21 2020-05-07 우시천 버섯종균 배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44239A1 (en) Bioreactor for in vitro culture of plants
KR200474879Y1 (ko) 버섯 배양기
JP3177619U (ja) シロキクラゲ栽培瓶
US20100024294A1 (en) Plant acclimatizing enclosure
JP2015006207A (ja) 茸栽培方法及び茸栽培容器
KR101632393B1 (ko)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1524686B1 (ko) 온도 및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버섯재배장치
KR101837267B1 (ko) 식용 버섯 재배 용기
KR20130125248A (ko)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KR101327518B1 (ko) 가정용 상황버섯 공중재배 포트
KR20160031709A (ko) 버섯 재배 용기
KR20130112587A (ko)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1211496B1 (ko)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
KR20170137993A (ko) 버섯생육용기
KR200416428Y1 (ko) 버섯종균 배양봉지
KR102480919B1 (ko) 버섯 재배 용기
KR101821502B1 (ko) 버섯 액체 종균 접종방법
JP2008228674A (ja) 観賞用白色ないし黄色鹿角霊芝の栽培方法。
JPH10127162A (ja) 通気孔を有するきのこ培養基
CN209508232U (zh) 一种多隔室微生物培养装置
CN209824560U (zh) 一种防虫和菜势生长控制用蔬菜培养杯
KR102108144B1 (ko) 버섯종균 배양장치
WO2004016074A2 (en) Mycoculture bottle cap filter assembly for use in bottle-based mushroom cultivation systems
KR20060066236A (ko) 상황버섯의 재배장치 및 그 재배방법
JP2018088834A (ja) キノコ栽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