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248A -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248A
KR20130125248A KR1020120048839A KR20120048839A KR20130125248A KR 20130125248 A KR20130125248 A KR 20130125248A KR 1020120048839 A KR1020120048839 A KR 1020120048839A KR 20120048839 A KR20120048839 A KR 20120048839A KR 20130125248 A KR20130125248 A KR 20130125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pacer
container body
mushroom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8883B1 (ko
Inventor
조해석
Original Assignee
조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해석 filed Critical 조해석
Priority to KR102012004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88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5/00Fungi; Liche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지의 제조에 투입되는 시간,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표고 버섯의 자동화를 통해 수율 향상 및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버섯 재배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는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배지에 버섯의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도록 뚜껑과 용기몸체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가 수납용기에 배열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는 상기 뚜껑이 끼워지는 개구부에서 밑면까지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 형상이고, 외주연을 따라 횡방향으로 둘러싸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형성되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뚜껑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CONTAINERS FOR CULTIVATING THE MUSHROOMS AND AUTOMATIC CULTIVATION METHOD OF LENTINUS EDODE THEREOF}
본 발명은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지의 제조에 투입되는 시간, 인력, 비용 및 노동 강도를 절감할 수 있고, 표고 버섯의 자동화를 통해 수율 향상, 작업 효율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버섯 재배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버섯은 크게 균사와 자실체로 구분하고 자실체는 갓과 대부분으로 나누어지며, 균사는 각종 배지에서 균사가 만연하는 영양생장을 한 다음에는 자실체 내지 버섯이 발생하는 생식생장 단계로 전환이 된다.
그리고 버섯의 재배방법은 그 종류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원목재배, 폐면과 볏짚 등을 이용한 균상재배, 톱밥과 면실피, 미강 등 다수의 배지를 혼합하여 용기 또는 봉지에 충진하여 재배하는 용기 재배와 봉지 재배 방식이 등이 있다. 근래에는 연중 지속적인 생산과 시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계화된 병 재배 및 봉지재배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다만, 버섯의 봉지재배의 경우, 종균 배양 후 생육실로 옮겨 봉지 배지 상면을 가위 또는 칼로 절단하거나 봉지바닥을 절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절단되거나 절개된 봉지는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버섯 재배 농가에서는 봉지를 재구매해야 하므로 생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618호(공개일:2011.06.08.)에는 고밀도폴리에틸렌 등의 내열비닐봉지로서, 규격화된 봉지 일 측면에 투광부가 형성되어 배지를 입봉하고, 생식생장 단계를 위해 상기 투광부를 절개할 수 있는 버섯재배용 종균 배양봉지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실용신안도 봉지의 절개가 용이하기는 하나,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기계화 내지는 자동화 재배에는 적합한 물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2290호(공고일:2011.02.08.)에는 적재용기, 적재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 발육 스티커 및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관상용 버섯 재배 용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관상용과 같이 소규모에 적합한 구조이나, 기존의 기계장치를 이용한 자동화에는 부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기존의 입병기 또는 접종기에서 뚜껑을 열거나, 용기를 고정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표고 버섯은 단기간 동안 버섯을 수확하는 방식으로 재배하는 것이 아니고, 6개월 내지 1년에 걸쳐 5~10회 정도 버섯을 수확하게 된다. 이러한 버섯 재배 방식에 맞추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분을 제공할 수 있는 배지를 제조해야 한다. 즉 느타리 버섯 등과 달리 표고 버섯은 단위 배지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느타리 버섯이 0.6~1.5kg의 배지를 사용하는 반면에, 표고 버섯은 1.5~3.5kg, 바람직하게는 3.0kg 정도 용량의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수율 및 효율적이다.
그리고 표고 버섯 배지의 경우에는 일회용 용기의 제조 비용 및 재사용을 할 수 없다는 문제 등으로 인해 용기 재배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리고 봉지 또는 일회용 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선반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 시설비가 많이 들고, 거친 배지 재료에 의해 비닐 소재의 봉지가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배지가 유해한 균에 의해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갈변 숙성 이후에 봉지의 일부만을 개봉한 상태에서 선반에 올리고 자실체를 성장시키게 되므로, 수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버섯 재배의 경우, 주로 온도, 습도 및 빛(光) 세 가지 요소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표고버섯의 경우에는 온도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이다. 그리고 표고버섯의 재배 내지 배양 과정에서 배지에서는 배양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많은 양의 재배용 용기를 밀집시켜 재배하는 자동화 재배의 경우에는 용기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배양열이 용기 사이에 축적된다. 이러한 열이 지속되게 되면 표고균이 잘 생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배지에 충분한 빛을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배지 표면이 하얗게 변하면서 발생하는 융기가 잘 형성되지 않고, 이후 갈변 숙성도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봉지재배 과정에서 배지의 제조에 투입되는 시간, 인력, 비용 및 노동강도를 절감할 수 있는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봉지 또는 용기를 찢거나 파손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배지를 꺼낼 수 있는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재사용에 의해 버섯의 재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고 버섯의 봉지재배에 의한 노동집약적 재배방식을 탈피하고, 기계화 내지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버섯 재배용 용기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고 버섯의 자동화를 통해 수율 향상 및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버섯 재배용 용기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이서에 의해 용기와 용기 사이에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용기 외벽에 축적된 배양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표고버섯 종균을 균사체로 배양하고 갈변 숙성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빛을 조사할 수 있어 표고버섯의 재배기간 단축 내지 수확량을 높일 수 있는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는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배지에 버섯의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도록 뚜껑과 용기몸체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가 수납용기에 배열되는 용기로서, 상기 용기몸체는 상기 뚜껑이 끼워지는 개구부에서 밑면까지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 형상이고, 외주연을 따라 횡방향으로 둘러싸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형성되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뚜껑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스페이서는 상기 용기몸체의 밑면 영역에 형성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스페이서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2스페이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제1스페이서 및 제2스페이서 각각에는 상기 용기몸체 외측에서의 통기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용기몸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불연속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스페이서의 불연속부는 상기 제1스페이서의 불연속부의 하측 동일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는 스페이서는 상기 용기몸체의 중앙 영역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종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스페이서는 상기 용기몸체의 직경을 기준으로 1.05 ~ 1.20 배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에서 재배되는 버섯은 표고 버섯이고, 상기 용기몸체의 높이는 300~400mm이며 직경은 100~1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은 입병기를 이용하여 수납용기에 배열된 다수 개의 용기 각각에 배지를 채우는 S1단계; 상기 각각의 배지 내부에 타공을 하고, 상기 타공된 구멍에 접종기로 표고 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S2단계; 상기 표고 버섯 종균을 균사체로 배양하고, 갈변 숙성시키는 S3단계; 및 상기 용기에서 뚜껑을 분리하고 상기 배지를 꺼낸 상태에서 자실체로 성장시키는 S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뚜껑; 및 상기 뚜껑이 끼워지는 개구부에서 밑면까지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 형상이고, 외주연을 따라 횡방향으로 둘러싸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용기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뚜껑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몸체의 밑면 영역에 형성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스페이서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2스페이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에 따르면, 기존 봉지재배 과정에서 배지의 제조에 투입되는 시간, 인력, 비용 및 노동강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에 따르면, 용기를 상하의 직경이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봉지 또는 용기를 찢거나 파손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배지를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에 따르면, 용기의 재사용에 의해 버섯의 재배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에 따르면, 표고 버섯의 봉지재배에 의한 노동집약적 재배방식을 탈피하고, 기계화 내지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에 따르면, 표고 버섯의 자동화를 통해 수율 향상 및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에 따르면, 스페이서에 의해 용기와 용기 사이에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용기 외벽에 축적된 배양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표고버섯 종균을 균사체로 배양하고 갈변 숙성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빛을 조사할 수 있어 표고버섯의 재배기간 단축 내지 수확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 다수 개를 배열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 다수 개를 배열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9의 (a) 내지 (e)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 다수 개를 배열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 다수 개를 배열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10)는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배지에 버섯의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도록 뚜껑과 용기몸체(13)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가 수납용기에 배열되는 용기(1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버섯 재배용 용기는 용기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병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내의 배지를 갈변 숙성한 후 배지를 꺼내기 어렵고,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어 재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몸체(13)는 상기 뚜껑(11)이 끼워지는 개구부(12)에서 밑면까지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뚜껑(11)을 열고 용기몸체(13)를 거꾸로 뒤집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내부공간에 있는 배지를 손쉽게 꺼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용기몸체(13)에는 그 외주연을 따라 횡방향으로 둘러싸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6,17)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15)는 다수 개가 수납용기(10)에 배열되어 재배되는 경우, 인접하는 용기와의 간격을 확보함으로써 통기가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각각의 용기몸체(13)에는 동일한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용기 내에 있는 용기들 사이에는 인접하는 스페이서(15)들의 크기에 상응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은 용기몸체(13) 내부의 배지에서 발생되는 배양열을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만일 이러한 스페이서(15)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용기몸체 간에 일정한 공간 없이 접하거나, 이격되더라도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배양 중기에 배지에서는 배양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용기몸체 간에 충분한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배양열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인접하는 배지에서 발생되는 배양열과 합쳐져 적정한 배양온도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표고버섯과 같이 배양 온도에 민감한 버섯의 경우에는 배양열의 충분한 배출이 되지 않는 경우 버섯균의 균밀도가 치밀해지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15)는 인접하는 용기몸체(13)들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통기성을 높이고 버섯균의 배양온도를 조절하여 버섯균이 치밀하게 배양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스페이서(15)의 직경(D)은 상기 뚜껑(11)의 직경(D")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뚜껑끼리 서로 접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기계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용기몸체를 고정하고 뚜껑을 열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뚜껑들 간에 이격공간이 필요하고, 만일 뚜껑끼리 접하도록 구성하면 오히려 자동화 공정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15)는 상기 용기몸체(13)의 밑면 영역에 형성되는 제1스페이서(16)와, 상기 용기몸체(13)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스페이서(16)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2스페이서(17)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15)는 상기 용기몸체(13)와 별도로 제조하여 부착할 수도 있고, 상기 용기몸체 제조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용기몸체(13)가 광투과성이 좋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 스페이서(15)를 용기몸체(13)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제조원가 절감 및 제조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5)는 상기 용기몸체(13)의 직경(D)을 기준으로 1.08 ~ 1.20 배의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스페이서(15)의 직경(D')이 상기 용기몸체(13)의 직경(D)의 1.08배 미만인 경우에는 용기몸체들 사이의 간격이 충분하지 않아 통기성 효율의 극대화를 기대하기 어렵고, 1.20 배를 초과하더라도 통기성 효과의 증가율은 크게 늘어나지 않는 반면, 불필요한 공간만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5)의 직경을 가지는 경우 표고버섯 종균을 균사체로 배양하고 갈변 숙성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표고버섯의 재배 과정에서 일정량 이상의 빛을 공급해야 배양이 원활이 이루어져 융기가 형성되고, 이후에 갈변 숙성도 잘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수십 내지 수천 개의 용기(구체적으로, 배지)를 밀집시킨 상태에서 표고버섯을 배양하는 자동화 재배의 경우에는 상기 스페이서(15)에 의해 확보되는 공간은 내측 또는 하부에 있는 배지에 대해서도 충분한 빛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융기 및 갈변 숙성이 원활히 이루어져 표고버섯의 수확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버섯이 표고버섯인 경우에 배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용기 크기는 용기몸체(13)의 높이(H)가 300~400mm이며 그 직경(D)은 100~120mm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페이서(16a) 및 제2스페이서(17a) 각각에는 상기 용기몸체(13) 외측에서의 통기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용기몸체(13)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불연속부(160a,170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연속부(160a,170a)를 형성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배양열이 용기몸체(13) 사이에서 축적되는 것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불연속부(160a,170a)는 스페이서(15)가 연속적이지 않고 단절되어 용기몸체(13)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스페이서(17a)의 불연속부(170a)가 제1스페이서(16a)의 불연속부(160a)의 연직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불연속부는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에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도 5a 및 5b의 경우에는 스페이서(15)가 인접하는 스페이서의 불연속부(160a,170a)에 끼워지게 되면, 오히려 용기몸체(13) 간의 간격이 줄어들고 불연속부를 통한 통기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수납용기에 용기를 배열하는 과정에서 스페이서의 돌출된 부분이 인접하는 용기몸체의 불연속부에 끼워지면 용기의 유동이 적어지는 장점은 있으나, 공기의 흐름은 끼워지는 만큼의 방해를 받게 된다.
도 6a 및 6b의 스페이서는 도 5의 스페이서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스페이서(17b)의 불연속부(170b)는 상기 제1스페이서(16b)의 불연속부(160b)의 하측 동일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즉, 제1,2스페이서(16b,17b)에 각각 형성된 불연속부(160b,170b)는 상하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돌출된 스페이서(15)가 다른 용기(10b)의 불연속부(160b,170b)에 끼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1,2스페이서(16b,17b)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불연속부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방해받지 않아 통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15c)는 상기 용기몸체(13)의 중앙 영역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15c)의 종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스페이서(15c)의 종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이웃하는 스페이서(15)와 접하는 부분이 넓어져 하나의 스페이서(15c) 만으로도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스페이서의 종단면이 사각 형상인 것은 반드시 스페이서가 하나인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고, 도 9의 (a) 내지 (e)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용 용기(10)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은 입병기(30)를 이용하여 수납용기에 배열된 다수 개의 용기 각각에 배지를 채우는 S1단계와, 상기 각각의 배지(B) 내부에 타공을 하고, 상기 타공된 구멍에 접종기(40)로 표고 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S2단계와, 상기 표고 버섯 종균을 균사체로 배양하고, 갈변 숙성시키는 S3단계 및 상기 용기(10)에서 뚜껑(11)을 분리하고 상기 배지(B)를 꺼낸 상태에서 자실체(F)로 성장시키는 S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S1단계 및 S2단계에서 각각 입병기(30) 및 접종기(40)를 이용하여 자동화 시스템으로 버섯의 용기 재배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병기(30)와 접종기(40)는 표고 버섯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고 있지만, 느타리 버섯 등의 봉지재배 내지 용기재배 등에서 사용되는 입병기와 접종기를 용기의 모양 및 크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 없이 설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병기(30)와 접종기(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은 버섯 재배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S1단계는 상기 입병기(3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용기(10)에 배지(B)를 채우는 것이다.(도 9의 (a)참조)
여기에서 배지는 참나무 톱밥, 면실피, 펄프, 미강 등을 조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병기(30)에서는 용기(10)의 상부를 고정부(33)수단에 의해 고정한 상태에서 배지 공급부(31)에서 설정된 양만큼의 배지를 용기 내부공간에 채우게 된다.
기존 봉지를 통해 입봉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6,000개의 배지를 입봉하는 것을 기준으로 6명이 12시간 동안 작업을 해야하나, 입병기, 접종기 및 적재기를 통해 입병작업을 하게 되면 1명이 4시간 동안 6,000개를 입병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봉지 재배와는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소요인력, 비용, 시간 및 노동강도 면에서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기존에 표고 버섯을 용기 재배하기 어려운 이유는 느타리 버섯 등과 달리 하나의 배지에서 적어도 6~12개월에 걸쳐 6주기 내지 10주기 동안 수확해야 하는 표고 버섯을 특성상 배지의 크기가 다른 버섯에 비해 커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용기는 2.5~3.5kg의 배지가 채워질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3.5kg의 배지가 되어야 대략 10주기(표고 버섯을 10회에 걸쳐 수확한다는 의미임.) 동안 수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느타리와 달리 배지의 일면에서만 자실체가 성장하는 것이 아니고 배지의 전(全) 표면에 걸쳐 성장하는 특성상, 봉지에 비해 용기가 배지를 분리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는 용기몸체(13)의 개구부(12)에서 밑면까지의 직경(D)이 동일하기 때문에 후숙 갈변 숙성 과정에서 배지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봉지 또는 용기를 절취하거나 파손시키지 않고 배지를 꺼낼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봉지 재배 또는 용기 재배에 비해 용기 재사용에 따른 재배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지는 고압 살균 및 상압살균을 실시하게 되고, 살균은 입병하기 전 또는 후에 제반조건을 고려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S2단계는 상기 배지 내부에 타공을 하고, 상기 타공된 구멍에 접종기(40)의 종균접종관(41)으로 표고 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것이다.
먼저, 용기에 상기 배지를 채운 다음, 종균 접종을 위해 배지 내부에 종방향으로 타공을 하게 된다.(도 9의 (b)참조)
그리고 타공기(45)로 타공을 하는 과정에서 배지에 깊게,(예를 들어, 용기 전체 높이의 1/2이상에 해당하는 깊이로) 타공을 하고, 깊이 타공된 배지 내로 종균을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의 (c)참조) 왜냐하면, 종래에는 봉지의 상부만을 타공한 상태에서 접종을 하여 상부에서 버섯을 채취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했다. 따라서 종래에는 버섯의 수확면적이 작아 수율이 낮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깊게 타공된 구멍을 통해 종균을 상대적으로 깊게 접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지의 상부는 물론, 측면에서도 버섯이 성장하여 수확면적이 넓어지므로 현저한 수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배양기간도 봉지재배에 비하여 한 달 이상 단축하여 수확기간을 앞당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균을 접종하는 방식은 도 9의 (c)와 같이 종균액을 분사하거나 떨어뜨릴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균이 배양된 톱밥 분말 내지 알갱이를 넣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상기 S3단계는 상기 표고 버섯 종균을 균사체로 배양하고, 갈변 숙성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균사체의 배양 내지 활착이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 많은 양의 용기를 적재 내지 적층하여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S4단계는 상기 용기를 분리하여 상기 배지를 꺼낸 상태에서 자실체로 성장시키는 것이다.(도 9의 (d), (e)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봉지재배 또는 용기재배에서 봉지 또는 용기의 상부만을 개봉하는 방식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원통 형상의 용기를 사용하여 갈변 숙성된 배지를 손쉽게 꺼내어 자실체(F) 내지 버섯을 성장시키기 때문에 수확면적을 넓히고 수확량을 늘릴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용기 11 : 뚜껑
110 : 뚜껑 개구부
12 : 개구부 13 : 용기몸체
15 : 스페이서 16 : 제1스페이서
160 : 불연속부 17 : 제2스페이서
170 : 불연속부
30 : 입병기
31 : 배지 공급부 33 : 병목 고정부
40 : 접종기 41 : 종균접종관
43 : 병목 고정부 45 : 타공기
50 : 수납용기
B : 배지(Batch)
F : 자실체(Fruit body)

Claims (7)

  1.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배지에 버섯의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도록 뚜껑과 용기몸체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가 수납용기에 배열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는,
    상기 뚜껑이 끼워지는 개구부에서 밑면까지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 형상이고,
    외주연을 따라 횡방향으로 둘러싸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형성되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뚜껑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용기몸체의 밑면 영역에 형성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스페이서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2스페이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페이서 및 제2스페이서 각각에는 상기 용기몸체 외측에서의 통기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용기몸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불연속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스페이서의 불연속부는 상기 제1스페이서의 불연속부의 하측 동일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용기몸체의 중앙 영역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종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용기몸체의 직경을 기준으로 1.05 ~ 1.20 배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은 표고 버섯이고,
    상기 용기몸체의 높이는 300~400mm이며 직경은 100~1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용기.
  7. 입병기를 이용하여 수납용기에 용기에 배지를 채우는 S1단계;
    상기 배지 내부에 타공을 하고, 상기 타공된 구멍에 접종기로 표고 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S2단계;
    상기 표고 버섯 종균을 균사체로 배양하고, 갈변 숙성시키는 S3단계; 및
    상기 용기에서 뚜껑을 분리하고 상기 배지를 꺼낸 상태에서 자실체로 성장시키는 S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뚜껑; 및 상기 뚜껑이 끼워지는 개구부에서 밑면까지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 형상이고, 외주연을 따라 횡방향으로 둘러싸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용기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뚜껑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몸체의 밑면 영역에 형성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스페이서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2스페이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용기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KR1020120048839A 2012-05-08 2012-05-08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KR101348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839A KR101348883B1 (ko) 2012-05-08 2012-05-08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839A KR101348883B1 (ko) 2012-05-08 2012-05-08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248A true KR20130125248A (ko) 2013-11-18
KR101348883B1 KR101348883B1 (ko) 2014-01-08

Family

ID=4985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839A KR101348883B1 (ko) 2012-05-08 2012-05-08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760B1 (ko) 2014-05-26 2015-12-23 전종화 버섯 배지의 측면 버섯 눈 압사 장치
KR102146608B1 (ko) 2018-10-16 2020-08-21 농업회사법인 청운표고 주식회사 표고버섯 배지 자동화 성형시스템
KR102019816B1 (ko) 2019-06-24 2019-11-04 장태호 버섯 재배용 버섯촉 제거장치
KR102242911B1 (ko) 2019-06-24 2021-04-20 장태호 버섯 재배용 버섯촉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833U (ko) * 1989-08-22 1991-04-12
KR940005239Y1 (ko) * 1991-07-09 1994-08-06 이태수 표고버섯 재배용기
KR200456980Y1 (ko) * 2009-03-12 2011-11-30 주식회사머쉬텍 동충하초 배양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883B1 (ko)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311B1 (ko)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KR101348883B1 (ko)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KR101163717B1 (ko) 식용버섯 재배방법
KR101397313B1 (ko) 버섯재배용 용기세트
KR102146608B1 (ko) 표고버섯 배지 자동화 성형시스템
CN202697307U (zh) 银耳栽培瓶
JP2010029097A (ja) 栽培容器及びこの容器を使用した茸栽培方法
KR20090052584A (ko) 동식물사육기능이 구비된 케이스장치
JP3170940U (ja) 茸栽培容器
KR101693571B1 (ko) 버섯 재배 용기
CN103190288B (zh) 食用菌立式袋栽提口培育出菇方法
WO2010090448A2 (ko) 버섯 재배 용기
KR101560137B1 (ko)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20130112587A (ko)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1838526B1 (ko) 통풍과 수분 균일공급이 가능한 버섯 배지 용기
KR102183105B1 (ko) 미세기공이 형성된 버섯 배양용 봉지를 이용한 버섯의 제조방법
KR101634857B1 (ko) 목침종균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CN103004459A (zh) 灰树花栽培方法
JP5325924B2 (ja) エノキ茸の人工栽培方法
CN105875202A (zh) 一种用于培育食用菌的接种机构、菌种容器以及方法
KR200365551Y1 (ko) 가정용 버섯 재배 용기
JPH0494621A (ja) きのこの栽培方法及び栽培器
KR20010036047A (ko) 버섯 재배용 배양병과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KR102480919B1 (ko) 버섯 재배 용기
KR20080049895A (ko) 버섯 생육지지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