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571B1 - 버섯 재배 용기 - Google Patents

버섯 재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571B1
KR101693571B1 KR1020140173201A KR20140173201A KR101693571B1 KR 101693571 B1 KR101693571 B1 KR 101693571B1 KR 1020140173201 A KR1020140173201 A KR 1020140173201A KR 20140173201 A KR20140173201 A KR 20140173201A KR 101693571 B1 KR101693571 B1 KR 101693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ushroom
ventilation
in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605A (ko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김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1020140173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5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5/00Fungi; Lich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공기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습도가 알맞게 유지될 수 있는 버섯 재배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버섯의 배지가 수용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입구를 덮도록 거꾸로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배지로부터 발이 및 생장된 버섯이 수용되고, 거꾸로 설치된 상태인 용기본체의 측면 또는 상부면에 환기공이 형성되며, 하부통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통풍구가 형성된 상부용기; 및 상기 환기공을 개폐하도록 구비된 마개;를 포함하는 버섯 재배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통풍 및 환기가 우수하여 각종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공기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습도를 알맞게 유지할 수 있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 조건이 갖추어 지도록 함으로써, 버섯의 발이 및 생장이 우수하고, 버섯 발생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갓이 두껍고 육질이 튼튼한 양품의 버섯을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섯 재배 용기{CONTAINER FOR GROWING MUSHROOM}
본 발명은 각종 버섯 재배에 이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공기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습도가 알맞게 유지될 수 있는 버섯 재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균류에 속하는 것으로 균사체와 자실체로 구분되고, 균사체는 균사가 자라거나 분기하여 집단을 이룬 것이고, 자실체는 포자를 만드는 영양체로서 균사체가 집단화된 후 발이 및 생장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버섯의 재배방법은 그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원목 재배법, 균상 재배법, 봉지 재배법 및 용기(병) 재배법 등이 있다.
도 1a의 사진을 참고하면, 원목 재배법은 나무를 벌채한 것을 적당한 길이로 재단한 것이나 원목 그대로가 이용되고, 원목에 종균을 심고 물을 공급하며 일조나 통풍을 관리하여 자연 상태에 가깝게 재배하는 방법으로, 원목이 부족하고 관리에 있어 고된 작업이 연속되어 재배가 어렵고, 재배기간이 길며,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단점이 있다.
도 1b의 사진을 참고하면, 균상 재배법은 톱밥에 쌀겨나 밀기울을 혼합하여 물을 가하고 개어 살균한 뒤 종균을 접종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주로 목재부후성 버섯이 이 방법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다만 배양율이 낮고 병충해에 의한 실패 위험이 높아 재배가 안정적이 못하며, 노동력 소요가 많고, 계절적으로 생산량의 변화가 많은 단점이 있다.
도 1c의 사진을 참고하면, 봉지 재배법은 버섯 종류에 따라 재배에 적합한 톱밥, 면실피 등의 주재료를 준비한 후 비트펄프, 면실박 등의 부재료를 선택하여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고 수분을 조절하면서 배지를 제조하며, 입봉기로 배지를 봉지에 넣어 뚜껑을 닫은 다음 살균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접종한 후 배양실로 옮겨 배양하는 방법으로 균상재배법에 비하여 시설투자비가 다소 많이 들고 이원화 재배시 원활한 배지의 공급처를 확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도 1d의 사진을 참고하면, 용기(병) 재배법은 배지를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에 담고 버섯 종균을 접종하고 이를 배양하여 버섯으로 재배하는 방법으로, 통상 좁은 입구를 갖는 원통형 용기를 사용하고, 짧은 기간에 양산할 수 있고 기계화 재배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종래기술의 용기(병) 재배법으로 특허문헌 1에는 버섯 재배 용기의 입구를 통하여 입병, 살균 및 접종 단계를 거쳐 용기 내의 배지에 균사체를 배양하는 균사 배양 단계를 실시한 후, 용기의 출구를 통하여 균사체로부터 자실체를 형성시키는 버섯 생육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접종되는 배지의 접종면과 자실체가 형성되는 배지의 버섯 발생면이 서로 다르게 하되, 배지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와,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내부공간이 개방되는 입구와, 입구에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으며 입구를 덮는 마개와, 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내부공간이 개방되는 출구와, 출구에 분리/결합될 수 있으며 출구를 막는 마개를 포함하는 버섯 재배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전체적으로 통체 모양이고 내부에 입병시키는 버섯재배용 배지 뭉치가 용기의 중심 부위에 위치하도록 둔턱을 구비하되, 둔턱으로부터 연장되는 형상으로 용기의 상하부에 마개홀을 형성하고 있으며, 용기 상하부의 어느 한 쪽 이상에 용기 내부의 배지에 접종시킨 버섯 접종원을 제거하기 위해 용기의 중심부위를 향하며 날개짓과 같이 얇은 형태인 균제거편을 구비한 상부마개 또는 하부마개 중 어느 일측단을 막아 초벌 버섯 생육을 진행하여 수확해 낸 후 초벌 버섯 생육을 진행한 반대쪽에서 추가로 버섯을 생육하여 수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 증대용 버섯 재배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버섯의 생육 과정에서 온도, 산소 공급과 탄산가스 배출 및 습도 등의 여러 조건들이 충분히 충족되어야 하는데, 상기 특허문헌 1과 2의 종래기술들은 통풍 및 환기가 불량하고, 습도 조절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적절한 조건이 갖추어지지 못함으로써, 버섯의 발이 및 생장은 지연되고, 버섯 발생이 불균일하며, 갓이 두껍고 육질이 튼튼한 양품의 버섯을 수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불어, 본 출원인이 발명하여 출원한 특허문헌 3에는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버섯의 배지가 수용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상측에 설치되되, 하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지로부터 발이 및 생장된 버섯이 수용되는 상부용기, 및 상기 하부용기의 입구를 덮는 하부캡과 상기 상부용기의 입구를 덮는 상부캡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중앙에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캡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의 통풍구가 형성된 연결캡;을 포함하는 버섯 재배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3은 하부용기와 상부용기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부캡과 상부캡을 각각 구비한 연결캡을 별도로 제작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제작 단가가 증가하여 버섯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재배 용기로 사용하기에는 큰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9682호(2002.06.0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4597호(2008. 2.20. 공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121710호(2014. 9.15. 출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통풍 및 환기가 우수하여 각종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공기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습도를 알맞게 유지할 수 있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 조건이 갖추도록 함으로써, 버섯의 발이 및 생장이 우수하고, 버섯 발생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갓이 두껍고 육질이 튼튼한 양품의 버섯을 수확할 수 있는 버섯 재배 용기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마개를 통하여 환기공을 개폐하거나 개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통풍이나 환기 및 습도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버섯 재배 용기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상부용기의 하부에 다수의 통풍구를 형성하여 버섯의 발이시 요구되는 95% 정도의 높은 습도를 충족시켜 줄 뿐만 아니라, 마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발이되면서 밀고 올라온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85% 정도의 상대적으로 낮은 습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버섯 재배 용기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부용기의 통풍구와 환기공에 메쉬망을 설치하여 버섯의 재배 중에 이물질이나 병충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버섯 재배를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버섯 재배 용기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버섯의 배지가 수용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입구를 덮도록 거꾸로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배지로부터 발이 및 생장된 버섯이 수용되고, 거꾸로 설치된 상태인 용기본체의 측면 또는 상부면에 환기공이 형성되며, 하부통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통풍구가 형성된 상부용기; 및 상기 환기공을 개폐하도록 구비된 마개;를 포함하는 버섯 재배 용기를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하부용기의 입구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개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개방홀의 외측에 물이 수용되는 저수홈이 구비되어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캡을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저수홈에는 물과 함께 솜이 수용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용기는 일부가 상측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덮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용기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통풍구가 형성된 하부통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용기는 상기 하부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 개의 밀착편 및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통풍구가 하부통의 가장자리를 따라 교대로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통풍구와 환기공에는 메쉬망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환기공의 주변에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는, 상기 환기공을 덮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바디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축은 중심이 하측으로부터 절개된 화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환기공은 한쌍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마개는 나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환기공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통풍 및 환기가 우수하여 각종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공기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습도를 알맞게 유지할 수 있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 조건이 갖추도록 함으로써, 버섯의 발이 및 생장이 우수하고, 버섯 발생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갓이 두껍고 육질이 튼튼한 양품의 버섯을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개를 통하여 환기공을 개폐하거나 개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통풍이나 환기 및 습도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부용기의 하부에 다수의 통풍구를 형성하여 버섯의 발이시 요구되는 95% 정도의 높은 습도를 충족시켜 줄 뿐만 아니라, 마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발이되면서 밀고 올라온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85% 정도의 상대적으로 낮은 습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부용기의 통풍구와 환기공에 메쉬망을 설치하여 버섯의 재배 중에 이물질이나 병충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버섯 재배를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원목 재배법에 의해 재배되고 있는 표고버섯의 사진이다.
도 1b는 균상 재배법에 의해 재배되고 있는 검은비늘버섯의 사진이다.
도 1c는 봉지 재배법에 의해 재배되고 있는 꽃송이버섯의 사진이다.
도 1d는 용기 재배법에 의해 재배되고 있는 꽃송이버섯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공과 마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버섯이 생장된 버섯 재배 용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1)는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공기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습도가 알맞게 유지될 수 있는 버섯 재배 용기에 관한 것으로, 크게 하부용기(100), 상부용기(200) 및 마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용기(200)가 거꾸로 뒤집어진 용기의 상태로 상기 하부용기(100)의 입구(110)를 덮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용기(200)의 상부란 거꾸로 뒤집어진 상태의 상부를 의미하고, 상기 상부용기(200)의 하부란 거꾸로 뒤집어진 상태에서 하부를 의미한다.
상기 하부용기(100)는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하부용기(100) 몸체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크기를 갖는 입구(11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버섯 종균이 접종되어 톱밥 등이 혼합된 배지(B)가 수용된다.
상기 상부용기(200)는 거꾸로 뒤집어진 용기의 상태로 상기 하부용기(100)의 입구(110)를 덮도록 설치되고,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처음에는 내부가 빈 상태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배지(B)로부터 발이되면서 밀고 올라와 생장된 버섯(M)이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상부용기(200)는 크게 원통 형상의 용기본체(210), 상기 하부용기(10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하측의 하부통(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에 일부가 상측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덮개(2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하부통(220)은 상기 용기본체(210)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용기(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 개의 밀착편(221)과 상부용기(200)의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통풍구(222)가 그 가장자리를 따라 교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편(221)과 통풍구(222)는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외부의 이물질나 습기가 쉽게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하부용기(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통(2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밀착편(221)이 밀착되게 구비되고, 상기 밀착편(221)과 밀착편(221)의 사이마다 통풍구(222)가 형성됨으로써, 외부와의 통풍 및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각종 버섯(M)의 생육에 필요한 공기의 출입이 양호하며, 습도가 알맞게 유지되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 조건이 갖추어 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통풍구(222)에는 메쉬망(222a)이 설치되어 퉁풍과 환기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버섯(M)의 재배 중에 이물질이나 병충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버섯을 보다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부용기(200)는 상기 용기본체(210)의 측면이나, 상기 상부용기(200)를 거꾸로 뒤집기 전의 바닥쪽에 해당하는 평평한 상부면에 각각 환기공(211,231)이 천공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환기공(211,231)을 개폐하는 마개(300)가 함께 구비된다.
이러한 마개(300)는 상부면의 환기공(231)에 구비된 것은 상부마개(310)로, 상기 용기본체(210)의 측면의 환기공(211)에 구비된 것은 측부마개(320)로 칭하고, 상기 용기본체(210)의 상부면에만 환기공(231)이 형성되어 상부마개(310)만 구비되거나, 상기 용기본체(210)의 측면에만 환기공(211)이 형성되어 측부마개(320)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용기본체(210)의 상부면과 상기 용기본체(210)의 측면에 모두 환기공(231,21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개(310)와 측부마개(320)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환기공(211,231)에는 각각 메쉬망(211a,231a)이 설치되어 통풍과 환기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버섯의 재배 중에 이물질이나 병충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버섯 재배를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덮개(250)는 상기 용기본체(210)의 상단이 상측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용기본체(210)의 절반이 상측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용기(200)는 용기본체(210)와, 상기 용기본체(2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250)와, 상기 용기본체(2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용기본체(210)의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통풍구(222)가 형성된 하부통(220)으로 이루어져 3단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덮개(25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용기본체(210)와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상기 덮개(250)를 상기 용기본체(210)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상부용기(200)를 밑으로 내린 다음 상기 상부용기(200)의 개방된 상측을 통하여 생장된 양품의 버섯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꺼내어 수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환기공(211,231)은 1개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주변에 눈금(24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마개(310)와 측부마개(320)를 통하여 환기공(211,231)을 개폐하거나 개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버섯(M)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통풍이나 환기 및 습도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개(300)는 상기 환기공(211,231)을 덮는 바디(330)와, 상기 바디(3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21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340)과, 상기 바디(33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회전축(340)을 중심으로 상기 바디(330)를 회전시켜 상기 환기공(211,231)을 개폐하거나 개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340)은 하부가 뾰족한 화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이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종 방향으로 절개됨으로써 상기 마개(300)가 상기 상부용기(200)를 관통하는 것이 용이하고, 관통 후 상부용기(200)의 상부면에 걸림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개(300)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실시예로 제작될 수 있는 바,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환기공(231)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마개(310)가 나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34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부마개(310)의 단부에는 상기 눈금(240)을 지시할 수 있는 세모나 화살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시수단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210)의 상부면에 복수 개의 환기공(231)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상기 환기공(231) 마다 각각 상부마개(3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써 각 상부마개(310)를 모두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각 상부마개(310)의 일부만을 개방함으로써 환기공(231)을 개폐하거나 개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통풍이나 환기 및 습도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210)의 외주에 해당하는 측면에 1개 또는 복수 개의 환기공(211)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환기공(211) 마다 각각 측부마개(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써 각 측부마개(320)를 모두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각 측부마개(320)의 일부만을 개방함으로써 환기공(211)을 개폐하거나 개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통풍이나 환기 및 습도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하부용기(100)의 입구(110)의 외주면에 평단면이 링 형상을 갖는 습도조절캡(40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습도조절캡(400)은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용기(100)와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습도조절캡(400)은 중앙에 개방홀(410)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부용기(100)로부터 발이되어 밀고 올라온 버섯이 상측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개방홀(410)의 외측에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저수홈(42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용기(200)의 내부 습도를 알맞게 유지할 수 있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 조건이 갖추도록 조절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섯의 발이 및 생장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저수홈(420)에는 솜, 휴지, 헝겊, 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물과 함께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도 8과 같이 물과 함께 솜(430)이 수용됨으로써, 물이 솜(430)에 침적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상기 상부용기(200) 내부의 습도를 더욱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용기(200)의 하부통(220)에 다수의 통풍구(222)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용기(100)의 입구 외주면에 물과 솜이 수용된 습도조절캡(400)를 결합하여 버섯의 발이시 요구되는 95% 정도의 높은 습도를 충족시켜 줄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본체(210)의 측면 또는 상부면에 각각 형성된 환기공(211,231)에 대해 측부마개(320) 또는 상부마개(310)의 개폐 정도를 선택 조절하여 발이되면서 밀고 올라온 버섯(M)의 생육에 필요한 85% 정도의 상대적으로 낮은 습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습도조절캡(400)을 상기 하부용기(100)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1)는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통풍 및 환기가 우수하여 각종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공기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습도를 알맞게 유지할 수 있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 조건이 갖추도록 함으로써, 버섯의 발이 및 생장이 우수하고, 버섯 발생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갓이 두껍고 육질이 튼튼한 양품의 버섯을 수확할 수 있으며, 또한 마개를 통하여 환기공을 개폐하거나 개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통풍이나 환기 및 습도 조건을 제공할 수 있고, 더불어 상부용기의 하부에 다수의 통풍구를 형성하여 버섯의 발이시 요구되는 95% 정도의 높은 습도를 충족시켜 줄 뿐만 아니라, 마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발이되면서 밀고 올라온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85% 정도의 상대적으로 낮은 습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부용기의 통풍구와 환기공에 메쉬망을 설치하여 버섯의 재배 중에 이물질이나 병충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버섯 재배를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버섯 재배 용기 100. 하부용기
110. 입구 200. 상부용기
210. 용기본체 211. 환기공
211a. 메쉬망 220. 하부통
221. 밀착편 222. 통풍구
222a. 메쉬망 231. 환기공
231a. 메쉬망 240. 눈금
250. 덮개 300. 마개
310. 상부마개 320. 측부마개
330. 바디 340. 회전축
350. 손잡이 400. 습도조절캡
410. 개방홀 420. 저수홈
430. 솜 B. 배지
M. 버섯

Claims (11)

  1.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버섯의 배지가 수용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입구를 덮도록 거꾸로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배지로부터 발이 및 생장된 버섯이 수용되고, 거꾸로 설치된 상태인 용기본체의 측면 또는 상부면에 환기공이 형성되며, 하부통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통풍구가 형성된 상부용기; 및
    상기 환기공을 개폐하도록 구비된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용기의 입구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개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개방홀의 외측에 물이 수용되는 저수홈이 구비되어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캡을 더 포함하는 버섯 재배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홈에는 솜, 휴지, 헝겊, 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물과 함께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용기.
  3.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버섯의 배지가 수용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입구를 덮도록 거꾸로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배지로부터 발이 및 생장된 버섯이 수용되고, 거꾸로 설치된 상태인 용기본체의 측면 또는 상부면에 환기공이 형성되며, 하부통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통풍구가 형성된 상부용기; 및
    상기 환기공을 개폐하도록 구비된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용기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 개의 밀착편 및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통풍구가 가장자리를 따라 교대로 형성된 하부통을 포함하는 버섯 재배 용기.
  4.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버섯의 배지가 수용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입구를 덮도록 거꾸로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배지로부터 발이 및 생장된 버섯이 수용되고, 거꾸로 설치된 상태인 용기본체의 측면 또는 상부면에 환기공이 형성되며, 하부통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통풍구가 형성된 상부용기; 및
    상기 환기공을 개폐하도록 구비된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는, 상기 환기공을 덮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바디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버섯 재배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중심이 하측으로부터 절개된 화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용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는 일부가 상측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덮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섯 재배 용기.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와 환기공에는 메쉬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용기.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공의 주변에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용기.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공은 한쌍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마개는 나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환기공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 용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173201A 2014-12-04 2014-12-04 버섯 재배 용기 KR101693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201A KR101693571B1 (ko) 2014-12-04 2014-12-04 버섯 재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201A KR101693571B1 (ko) 2014-12-04 2014-12-04 버섯 재배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605A KR20160067605A (ko) 2016-06-14
KR101693571B1 true KR101693571B1 (ko) 2017-01-09

Family

ID=5619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201A KR101693571B1 (ko) 2014-12-04 2014-12-04 버섯 재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5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649A (ko) 2018-01-29 2019-08-08 주식회사 도현 버섯재배기
KR102477295B1 (ko) * 2022-05-02 2022-12-12 이명수 버섯재배용 권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272B1 (ko) * 2019-01-30 2021-11-24 오현준 버섯 성장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046Y1 (ko) * 2007-10-05 2008-01-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재배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047A (ko) * 1999-10-05 2001-05-07 김창수 버섯 재배용 배양병과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KR100339682B1 (ko) 1999-10-16 2002-06-05 장현유 버섯 재배 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버섯 재배 용기
KR100804597B1 (ko) 2007-06-08 2008-02-20 주두심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버섯재배방법
KR102040152B1 (ko) 2013-04-08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획득 장치 및 3차원 영상 획득 장치에서의 깊이 영상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046Y1 (ko) * 2007-10-05 2008-01-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재배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649A (ko) 2018-01-29 2019-08-08 주식회사 도현 버섯재배기
KR102477295B1 (ko) * 2022-05-02 2022-12-12 이명수 버섯재배용 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605A (ko) 201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4324C2 (ru) Резервуар и способ для коммерческ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хранени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или продажи грибов
KR101148759B1 (ko) 자실체의 모양을 균일하게 만드는 버섯의 병재배 방법
CN103238569A (zh) 一种捕食螨饲养装置及其饲养方法
CN103749151B (zh) 一种皱盖假芝的人工栽培方法
KR101693571B1 (ko) 버섯 재배 용기
CN104521565A (zh) 一种温室种植灵芝的方法
CN108243832A (zh) 花脸蘑的人工种植方法
CN107047068A (zh) 设施温室香菇增产栽培方法
KR20160031709A (ko) 버섯 재배 용기
CN106665123B (zh) 银耳种植方法
KR101028954B1 (ko) 화분을 이용한 가정용 버섯의 재배방법 및 버섯재배상자
JP2010029097A (ja) 栽培容器及びこの容器を使用した茸栽培方法
KR101632393B1 (ko)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CN103828602A (zh) 一种培育金针菇的方法
KR102091027B1 (ko) 버섯재배기
KR20130125248A (ko)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JP2011135859A (ja) 茸栽培容器及び茸栽培方法
JP3170940U (ja) 茸栽培容器
CN205005539U (zh) 一种新型菌袋透气塞
CN107223456A (zh) 一种食用菌培养装置
KR20130112587A (ko)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표고버섯 재배방법
CN108370831A (zh) 一种黄裙竹荪菌的人工培养技术
KR20010036047A (ko) 버섯 재배용 배양병과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CN207612800U (zh) 一种食用菌培养装置
KR101838526B1 (ko) 통풍과 수분 균일공급이 가능한 버섯 배지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