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649A - 버섯재배기 - Google Patents

버섯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649A
KR20190092649A KR1020180010739A KR20180010739A KR20190092649A KR 20190092649 A KR20190092649 A KR 20190092649A KR 1020180010739 A KR1020180010739 A KR 1020180010739A KR 20180010739 A KR20180010739 A KR 20180010739A KR 20190092649 A KR20190092649 A KR 20190092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hole
container
medium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027B1 (ko
Inventor
박종욱
황기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현
박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현, 박종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현
Priority to KR102018001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0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5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ds, e.g. lid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8Cultivation bott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버섯재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버섯재배기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배지가 수용되는 배지통;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지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지로부터 재배되는 버섯이 생장하는 생장공간을 제공하는 투명재배통; 상기 배지통과 상기 투명재배통을 연결하며, 중앙에 상기 배지로부터 재배되는 버섯이 통과되어 상기 투명재배통의 내측으로 생장되기 위한 제1버섯통공이 형성된 커넥팅부; 상기 투명재배통의 개방된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복수의 환기공이 형성된 덮개; 및, 중앙에 상기 제1버섯통공 보다 작은 직경의 제2버섯통공이 형성된 원형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버섯통공을 막도록 상기 배지통과 상기 커넥팅부 사이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재배하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지통과 상기 커넥팅부에 사이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되는 탈부착 디스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섯재배기 {MUSHROOM GROWING APPARATUS}
본 고안은 일반적인 버섯의 재배가 어둡고 습기가 많은 서늘한 곳에서 재배된다는 생각을 전환하여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관상용으로 키우며 수확하여 약용 또는 차를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재배가 가능하도록 한 버섯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균류에 속하는 것으로 균사체와 자실체로 구분되고, 균사체는 균사가 자라거나 분기하여 집단을 이룬 것이고, 자실체는 포자를 만드는 영양체로서 균사체가 집단화된 후 발아 및 생장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버섯의 재배방법은 그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원목 재배법, 균상 재배법, 봉지 재배법 및 용기(병) 재배법 등이 있으며, 이중 용기 재배법은 배지를 용기에 담고 이를 배양하여 버섯으로 재배하는 방법으로, 통상 원통형 용기를 사용하고, 짧은 기간에 양산할 수 있고 기계화 재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용기 재배법에 사용되기 위한 버섯재배기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용기형 버섯재배기에 대해 공개실용신안 20-2017-0000626, 등록특허 10-1693571 등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17-0000626, 등록특허 10-1693571는 배지가 담기는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의 상단에 설치되어 배지로부터 생장되는 버섯이 수용되는 상부용기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버섯재배기는 하부용기 입구 사이즈가 정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용기의 배지로부터 상부용기 내측으로 생장하는 버섯이 동일한 사이즈의 하부용기 입구를 통과하기 때문에, 다양한 버섯을 하나의 버섯재배기에 적용하여 재배하는 것이 어려웠다.
즉, 버섯의 종류에 따라 양질의 버섯으로 생장시키기 위해서는 생장하는 버섯이 통과되는 하부용기 입구의 직경을 달리해 주어야 하나, 기존의 버섯재배기는 생장되는 버섯이 통과하는 하부용기 입구 사이즈가 정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버섯재배기로는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최상품의 양질제품으로 재배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아울러, 기존의 버섯재배기는 배지에 수분이 필요한 경우, 상부용기를 하부용기에서 분리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종래의 버섯재배기는 구조적으로 운반을 하기 위해서는 버섯재배기 전체를 잡고 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20-2017-0000626 등록특허 10-169357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재배하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배지로부터 생장되는 버섯이 통과되는 공간의 사이즈를 손쉽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성이 편리하면서도 재배하는 버섯의 종류에 상관없이 양질의 최상품 버섯을 재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섯재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배지에 수분공급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버섯재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섯재배기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배지가 수용되는 배지통;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지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지로부터 재배되는 버섯이 생장하는 생장공간을 제공하는 투명재배통; 상기 배지통과 상기 투명재배통을 연결하며, 중앙에 상기 배지로부터 재배되는 버섯이 통과되어 상기 투명재배통의 내측으로 생장되기 위한 제1버섯통공이 형성된 커넥팅부; 상기 투명재배통의 개방된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복수의 환기공이 형성된 덮개; 및, 중앙에 상기 제1버섯통공 보다 작은 직경의 제2버섯통공이 형성된 원형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버섯통공을 막도록 상기 배지통과 상기 커넥팅부 사이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재배하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지통과 상기 커넥팅부에 사이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되는 탈부착 디스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부착 디스크는 상기 제2버섯통공의 직경이 다르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재배하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특정 사이즈의 상기 제2버섯통공이 구비된 탈부착 디스크를 상기 커넥팅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버섯통공 테두리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 디스크는 상기 단턱부에 안착 설치되되, 나사체결 결합방식 또는 스냅-핏 결합방식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원형링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상기 덮개의 외주에 힌지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운반용 손잡이;를 더 포함하도로 구성될 수 있다.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부착 디스크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균등분할되게 설치되며, 중심을 향해 전진되고, 원위치로 후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원위치 상태에서는 상기 제2버섯통공을 가리지 않도록 상기 제2버섯통공의 외측으로 위치하며, 전진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버섯통공을 덮고, 각각의 내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버섯통공 보다 직경이 작은 제3버섯통공을 형성하게 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셔터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재배하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탈부착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커넥팅부에 장착하여 배지통으로부터 투명재배통으로 생장하는 버섯이 통과하는 버섯통공의 직경을 손쉽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양질의 버섯재배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탈부착 디스크에 셔터판이 구비되어, 셔터판의 조작에 의해 버섯이 통과되는 버섯통공을 또 다른 사이즈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더욱더 용이하게 버섯종류에 맞는 버섯통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섯재배기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섯재배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탈부착 디스크가 분리된 상태로 사용되는 사용예를 표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뚜껑부의 개폐판을 조작하여 환기공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한 것으로, (a)는 개폐판에 의해 환기공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 (b)는 개폐판에 의해 환기공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 (c)는 개폐판에 의해 환기공의 일부가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섯재배기에서 복수개로 구비된 탈부착 디스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탈부착 디스크에 셔터판이 설치된 다른 형태의 탈부착 디스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탈부착 디스크와 셔터판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서 셔터판의 전진 및 후진으로 인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섯재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기는 배지통(10), 투명재배통(20), 커넥터부(30), 덮개(50), 뚜껑(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배지통(10)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위아래가 좁고 배가 블룩 나온 항아리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배지통(10)의 입구부(12)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2a)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배지통(10)의 내부에는 배지(k)가 담겨지도록 구성된다.
투명재배통(20)은 위아래가 좁고 배가 블룩 나온 항아리 형상으로 상하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투명재배통(20)은 커넥팅부(30)에 의해 배지통(1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투명재배통(20)은 배지통(10)에 담겨진 배지(k)로부터 생장하는 버섯(m1,m2)이 생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투명재배통(20)은 항아리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경일 일정한 원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투명재배통(20)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직사광선이 없는 곳에서 버섯의 생장과정이 투명재배통(20)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명재배통(20)의 하단에는 외주면에 나사산(24a)이 형성된 하부나사결합관(24)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외주면에 나사산(22a)이 형성된 상부나사결합관(22)이 형성된다.
커넥팅부(30)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배지통(10)과 투명재배통(2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팅부(30)의 하단부(32)에는 내주면에 하부암나사산(32a)이 형성되어 배지통(10)의 입구부(12)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고, 상단부(34)에는 내주면에 상부암나사산(34a)이 형성되어 투명재배통(20)의 하부나사결합관(24)이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팅부(30)에는 배지통(10)에 담긴 배지(k)로부터 생장하는 버섯이 통과되는 제1버섯통공(36)이 형성된다. 이때, 제1버섯통공(36)은 하부암나사산(12a) 보다 직경이 작도록 이루어져, 제1버섯통공(36)과 하부암나사산(32a) 사이는 단차부(37)가 형성된다.
또한, 커넥팅부(30)의 상면에는 제1버섯통공(36)의 외측으로 링형상을 갖는 물수용홈(38)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물수용홈(38)에 물을 채워 놓으면, 별도로 물을 주입해 줄 필요 없이 물수용홈(38)에 수용된 물에 의해 투명재배통(20) 내의 습도가 버섯재배 조건에 맞도록 유지될 수 있어 버섯재배가 용이해 질 수 있다.
탈부착 디스크(40)는 중심에 제1버섯통공(36)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버섯통공(42)이 형성된 원형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커넥팅부(30)의 제1버섯통과공(36)을 막도록 배지통(10)과 커넥팅부(30) 사이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탈부착디스크(40)를 배지통(10)의 입구부(12) 상단에 올려놓고, 커넥터부(30)의 하부암나사산(32a)을 배지통(10)의 입구부(12)에 나사체결하면, 탈부착 디스크(40)가 제1버섯통공(36)을 막도록 입구부(12)의 상단과 커넥터부(30)의 단턱부(37)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장착되게 된다.
탈부착 디스크(40)는 상기와 같이 입구부(12)와 단턱부(37) 사이에 개재되도록 장착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버섯통공(36)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탈부착 디스크(40)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하여, 탈부착 디스크(40)를 제1버섯통공(36)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장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탈부착 디스크(40)의 외주면에 록킹돌기를 형성하고, 제1버섯통공(36)의 내주면에 록킹홈을 형성하여, 탈부착 디스크(40)를 제1버섯통공(36)에 스냅-핏 결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탈부착 디스크(40)를 제1버섯토공(36)을 막도록 결합하는 구조는 상기 결합구조 이외에도 여타의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배지(k)의 종류 즉, 재배하려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도 3과 같이, 탈부착 디스크(40)를 배지통(10)과 커넥터부(30) 사이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되어 버섯(m2)이 커넥팅부(30)의 제1버섯통공(36)을 통해 투명재배통(20) 내측으로 생장되도록 하거나 도 2와 같이, 탈부착 디스크(40)를 배지통(10)과 커넥터부(30) 사이에 장착하여 버섯(m1)이 제2버섯통공(42)을 통해 투명재배통(20) 내측으로 생장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재배하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탈부착 디스크(40)를 커넥팅부(30)와 배지통(20) 사이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버섯이 양질의 품질로 재배될 수 있도록 제1버섯통공(36) 또는 제2버섯통공(42)을 통해 버섯을 재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탈부착 디스크(40)를 도 5와 같이, 서로 다른 다양한 직경의 제2버섯통공(42)을 갖도록 복수개로 구비하여, 원하는 특정 사이즈의 제2버섯통공(42)을 갖는 탈부착 디스크(40)를 커넥팅부(30)와 배지통(10) 사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덮개(50)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투명재배통(20)의 개방된 상단부(22)를 덮도록 하단부(52) 내주면에 나사산(52a)이 형성되어, 투명재배통(20)의 상부나사결합관(22)에 나사체결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덮개(50)의 외주면에는 반원형 링형태로 된 한 쌍의 운방용 손잡이(57)가 마련된다. 운반용 손잡이(57)이 각각의 양단은 덮개(50)의 외주면에 힌지되게 설치되어, 도 1과 같이, 덮개(50)의 외주면을 감싸는 비사용상태로 두거나, 덮개(50)의 상부로 세워진 형태로 회전시켜 운반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섯재배기를 운반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운반용 손잡이(57)를 비사용상태에 두고 버섯을 재배하다가, 버섯재배기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운반용 손잡이(57)를 도 2와 같이, 세워서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하여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덮개(50)의 상면(50a)에는 투명재배통(20) 및 배지통(1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환기공(53)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덮개(50)는 상면(50a) 중심에 회전축(h)이 구비된 개폐판(5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판(54)을 덮개(50)에 대해 회전조작하여, 복수의 환기공(53)을 차단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고, 아울러, 복수의 환기공(53)의 일부분 만을 개방하거나 전체를 개방하여 복수의 환기공(53)의 개폐도를 조절하여 투명재배통(20) 및 배지통(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탈부착 디스크(40)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2버섯통공(42)의 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는 복수의 셔터판(44)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셔터판(44)은 4개로 구성되며, 각각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단(44a)은 원호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각각은 셔터판(44)은 탈부착 디스크(40)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균등분할되게 설치되며, 도 7 (b) 및 도 8 (b)와 같이, 중심을 향해 전진되고, 도 7 (a) 및 도 8 (a)와 같이, 원위치로 후진 조작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탈부착 디스크(40)의 상면에는 외측에서 중심을 향하는 형태로 4개의 레일홈(43)이 균등하게 형성되며, 각각의 셔터판(44) 하면에는 레일홈(43)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돌기(44)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각의 셔터판(44)을 탈부착 디스크(40)의 중심을 향해 밀어 전진시키거나, 전진된 상태에서, 각각의 셔터판(44)을 탈부착 디스크(40)의 외측으로 밀어 원위치로 후진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일홈(43) 및 가이드돌기(44)는 셔터판(44)이 탈부착 디스크(40)의 상방향 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역 T자 형 즉, "ㅗ"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셔터판(44)은 도 6, 도 7(a), 도 8 (a)와 같은 원위치 상태에서는 제2버섯통공(42)을 가리지 않는 상태이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셔터판(44)을 도 7 (b) 및 도 8 (b)와 같이 탈부착 디스크(40)의 중심을 향해 전진시킨 상태에서는 제2버섯통공(42)을 덮고, 이 각각의 셔터판(44)의 내측단(44a)이 연결되어 제2버섯통공(42) 보다 작은 직경의 제3버섯통공(s)이 형성되게 된다.
사용자는 배지(k)의 종류 즉, 재배하려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도 3과 같이, 탈부착 디스크(40)를 배지통(10)과 커넥터부(30) 사이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버섯(m2)이 커넥팅부(30)의 제1버섯통공(36)을 통해 투명재배통(20)의 내측으로 생장되도록 버섯을 재배하거나, 도 2와 같이, 탈부착디스크(40)를 배지통(10)의 입구부(12)와 커넥팅부(30)의 단차부(37) 사이에 장착하여 버섯(m1)이 탈부착 디스크(40)의 제2버섯통공(42)을 통해 투명재배통(20)의 내측으로 생장되도록 버섯을 재배하거나, 아울러, 탈부착 디스크(40')의 슬라이딩 셔터판(44)을 도 7 (b) 및 도 8 (b)과 같이 전진시켜 제2버섯통공(42)을 가리고 셔터판(44)에 의해 제3버섯통공(s)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 탈부착 디스크(40')를 배지통(10)과 커넥팅부(30) 사이에 장착하여, 버섯이 제3버섯통공(s)을 통해 투명재배통(20)의 내측으로 생장되도록 버섯을 재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재배하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탈부착 디스크(40)를 선택적으로 커넥터부(30)와 배지통(10) 사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탈부착 디스크(40)의 셔터판(44)을 조작하여 제1버섯통공(36), 제2버섯통공(42) 및 제3버섯통공(s) 중 재배하는 버섯에 맞는 것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양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배지통
20...투명재배통
30...커넥터부
36...제1버섯통공
40...탈부착 디스크
42...제2버섯통공
44...셔터판
50...덮개
53...복수의 환기공
54...개폐판
s...제3버섯통공

Claims (5)

  1.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배지가 수용되는 배지통;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지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지로부터 재배되는 버섯이 생장하는 생장공간을 제공하는 투명재배통;
    상기 배지통과 상기 투명재배통을 연결하며, 중앙에 상기 배지로부터 재배되는 버섯이 통과되어 상기 투명재배통의 내측으로 생장되기 위한 제1버섯통공이 형성된 커넥팅부;
    상기 투명재배통의 개방된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복수의 환기공이 형성된 덮개부; 및,
    중앙에 상기 제1버섯통공 보다 작은 직경의 제2버섯통공이 형성된 원형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버섯통공을 막도록 상기 배지통과 상기 커넥팅부 사이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재배하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상기 배지통과 상기 커넥팅부에 사이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되는 탈부착 디스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디스크는 상기 제2버섯통공의 직경이 다르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재배하는 버섯의 종류에 따라 특정 사이즈의 상기 제2버섯통공이 구비된 탈부착 디스크를 상기 커넥팅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버섯통공 테두리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 디스크는 상기 단턱부에 안착 설치되되, 나사체결 결합방식 또는 스냅-핏 결합방식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반원형링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상기 덮개의 외주에 힌지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운반용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부착 디스크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균등분할되게 설치되며, 중심을 향해 전진되고, 원위치로 후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원위치 상태에서는 상기 제2버섯통공을 가리지 않도록 상기 제2버섯통공의 외측으로 위치하며, 전진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버섯통공을 덮고, 각각의 내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버섯통공 보다 직경이 작은 제3버섯통공을 형성하게 하는 복수의 슬라이딩 셔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기.




KR1020180010739A 2018-01-29 2018-01-29 버섯재배기 KR102091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739A KR102091027B1 (ko) 2018-01-29 2018-01-29 버섯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739A KR102091027B1 (ko) 2018-01-29 2018-01-29 버섯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649A true KR20190092649A (ko) 2019-08-08
KR102091027B1 KR102091027B1 (ko) 2020-04-29

Family

ID=6761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739A KR102091027B1 (ko) 2018-01-29 2018-01-29 버섯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0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8625A (zh) * 2020-03-30 2020-06-26 南宁广古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家庭蘑菇栽培方法及其装置
CN112154865A (zh) * 2020-10-14 2021-01-01 山东农发菌业集团有限公司 一种减少侧芽的真姬菇采收套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9097A (ja) * 2008-07-28 2010-02-12 Sakato Sangyo:Kk 栽培容器及びこの容器を使用した茸栽培方法
KR20160031709A (ko) * 2014-09-15 2016-03-23 김용기 버섯 재배 용기
KR101693571B1 (ko) 2014-12-04 2017-01-09 김용기 버섯 재배 용기
KR20170000626U (ko) 2015-08-10 2017-02-20 이병열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9097A (ja) * 2008-07-28 2010-02-12 Sakato Sangyo:Kk 栽培容器及びこの容器を使用した茸栽培方法
KR20160031709A (ko) * 2014-09-15 2016-03-23 김용기 버섯 재배 용기
KR101693571B1 (ko) 2014-12-04 2017-01-09 김용기 버섯 재배 용기
KR20170000626U (ko) 2015-08-10 2017-02-20 이병열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8625A (zh) * 2020-03-30 2020-06-26 南宁广古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家庭蘑菇栽培方法及其装置
CN112154865A (zh) * 2020-10-14 2021-01-01 山东农发菌业集团有限公司 一种减少侧芽的真姬菇采收套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027B1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2058A (en) Roller bottle
KR20190092649A (ko) 버섯재배기
KR101959722B1 (ko) 식물 재배 용기 장치
KR101693571B1 (ko) 버섯 재배 용기
KR101865289B1 (ko) 분갈이용 화분세트
KR20160031709A (ko) 버섯 재배 용기
TW201927132A (zh) 出菇蓋
CN208095495U (zh) 一种家庭食用菌种植箱
US10674678B1 (en) Flower pot for transplantation
CN207099871U (zh) 可以重复使用的油樟育苗钵
CN105900717A (zh) 一种方便移栽植物的花盆
CN106171532A (zh) 一种食用菌糕培植装置
KR20180082650A (ko) 동충하초 배양용기
CN204598741U (zh) 一种食用菌栽培装置
KR20130112587A (ko)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표고버섯 재배방법
CN208509546U (zh) 一种百合种球穴播机
KR20170000626U (ko)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KR101838526B1 (ko) 통풍과 수분 균일공급이 가능한 버섯 배지 용기
CN206760495U (zh) 一种椭圆食粉螨人工繁殖盒
KR20010036047A (ko) 버섯 재배용 배양병과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CN103749156A (zh) 一种食用菌糕培植装置
CN210202744U (zh) 一种提高苗木种植成活装置
KR101446117B1 (ko) 콩나물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콩나물 재배용기
CN210610495U (zh) 一种具有播种功能的果树育苗箱
CN111183835A (zh) 一种农业培育用安全性能高的培育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