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626U -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 Google Patents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626U
KR20170000626U KR2020150005296U KR20150005296U KR20170000626U KR 20170000626 U KR20170000626 U KR 20170000626U KR 2020150005296 U KR2020150005296 U KR 2020150005296U KR 20150005296 U KR20150005296 U KR 20150005296U KR 20170000626 U KR20170000626 U KR 201700006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mushroom
container
shiitak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열
Original Assignee
이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열 filed Critical 이병열
Priority to KR2020150005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626U/ko
Publication of KR20170000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46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5/00Fungi; Liche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입구를 형성하는 상면과 바닥면의 크기가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입구가 확장된 형태를 이루어 표고버섯 배지를 수용하며, 상기 배지로부터 표고버섯 발생시 확장된 입구로 인해 표고버섯 갓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생장할 수 있도록 한 용기 몸체; 일단만이 개구된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상기 용기 몸체의 상면을 덮어 개폐하며, 상기 용기 몸체의 상면 위로 상기 배지 배양시 공기 공급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여과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몸체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배지의 명배양시 상기 용기 몸체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부위의 갈변을 차단하여 상기 용기 몸체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상기 배지의 부위로부터 표고버섯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LENTINUS EDODE CULTIVATING CONTAINER}
본 고안은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의 입구가 커 상품성 좋은 표고버섯을 효과적으로 병재배할 수 있고, 용기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가 용기 입구 위로 공간을 확보하여 배지 배양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새송이버섯 등은 버섯대(줄기) 보다 상대적으로 버섯갓이 작기 때문에 버섯대를 주로 섭취하는 버섯들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버섯들은 병모양의 용기에서 병재배되어 대량 생산되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목은 용기들이 밀착 배열된 상태에서 버섯들이 서로 닿지 않고 상품성 좋게 성장할 수 있도록 거리를 만든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07138호 "버섯 재배 용기"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용기는 표고버섯을 병재배하는데 문제가 있다. 표고버섯은 위에서 열거된 버섯들보다 버섯대가 짧고 버섯갓이 크며 이 때문에 버섯갓을 주로 섭취한다. 따라서, 병목으로 인해 입구가 좁은 기존의 용기에서 표고버섯이 병재배되면, 표고버섯의 갓들이 서로 충돌하여 버섯갓이 제대로 성장할 수 없고 모양이 일그러져 모양이 둥근 상품성 좋은 표고버섯을 병재배할 수 없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07138호 "버섯 재배 용기"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 입구가 커 상품성 좋은 표고버섯을 효과적으로 병재배할 수 있고, 용기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가 용기 입구 위로 공간을 확보하여 배지 배양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지의 명배양시 용기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부위의 갈변을 차단하여 용기 입구 쪽으로 상품성 좋은 표고버섯을 병재배할 수 있는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입구를 형성하는 상면과 바닥면의 크기가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입구가 확장된 형태를 이루어 표고버섯 배지를 수용하며, 상기 배지로부터 표고버섯 발생시 확장된 입구로 인해 표고버섯 갓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생장할 수 있도록 한 용기 몸체; 일단만이 개구된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상기 용기 몸체의 상면을 덮어 개폐하며, 상기 용기 몸체의 상면 위로 상기 배지 배양시 공기 공급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여과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몸체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배지의 명배양시 상기 용기 몸체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부위의 갈변을 차단하여 상기 용기 몸체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상기 배지의 부위로부터 표고버섯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면 둘레에는 ㄴ자형의 안치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개구된 일단 둘레에는 상기 안치부에 안치되는 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치부는 상기 용기 몸체를 서로 닿지 않게 거리를 두고 배열시켜 표고버섯 갓이 서로 닿지 않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치부 및 상기 돌부에는 서로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병목이 없는 원통형상의 용기로 인해 용기 입구가 커 표고버섯의 갓이 모양이 둥근 상품성 좋은 표고버섯으로 병재배될 수 있고, 용기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가 용기 입구 위로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배지 배양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지의 명배양시 용기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부위의 갈변을 차단함으로써 용기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배지의 부위로부터 표고버섯이 발생하지 않아 배지의 모든 에너지가 용기 입구와 대면하는 부위로 집중됨으로써 보다 상품성 좋은 표고버섯이 병재배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용기에서 느타리버섯이 병재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용기에서 새송이버섯이 병재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기존의 용기가 버섯 대량 생산을 위해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를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용기에서 표고버섯이 성장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용기들이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는 용기 몸체(10)와 덮개(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덮개(20)는 용기 몸체(10)의 입구를 덮어 개폐한다.
용기 몸체(10)는 입구를 형성하는 상면(11)과 바닥면(13)의 크기가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새송이버섯 등을 병재배하는 기존의 병목을 갖는 용기와는 달리 입구가 확장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용기 몸체(10)는 표고버섯 배지를 수용하여 표고버섯을 병재배한다.
이와 같이 용기 몸체(10)의 확장된 입구로 인해 배지로부터 표고버섯 발생(핀발이)시 표고버섯 갓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발생될 수 있고 생장할 수 있어 갓의 모양이 일그러지지 않고 둥근 상품성 좋은 표고버섯을 병재배할 수 있다.
덮개(20)는 일단(21)만이 개구된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용기 몸체(10)의 상면(11)을 덮어 개폐한다. 즉, 덮개(20)는 용기 몸체(10)의 입구를 덮어 개폐한다. 덮개(20)는 용기 몸체(1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덮개(20)는 용기 몸체(10)의 상면(11) 위로 공간(S)을 확보하여 공기층을 형성한다.
덮개(20)의 타단에는 공기여과필터(30)가 설치되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공기여과필터(30)는 덮개(20)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걸러 공급한다.
용기 몸체(10)의 상면(11) 위로 덮개(20)가 형성하는 공간(S)은 기존의 용기에서는 볼 수 없는 두껍고 확장된 공기층을 형성하여 배지 배양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호흡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 배지는 톱밥혼합물을 압축하여 만들어지며,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새송이버섯 등은 배지 배양기간이 40일 미만이나, 표고버섯의 배지 배양기간은 60일 미만으로 매우 길기 때문에 배지 배양시 신선한 공기를 충분히 공급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덮개(20)는 용기 몸체(10)의 상면(11) 위로 두껍고 확장된 공기층을 형성하여 압축된 톱밥혼합물로부터 배지 배양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흡을 원활히 하여 배지가 효과적으로 배양될 수 있도록 하고, 공기여과필터(30)와의 사이에 원거리를 형성하여 배양으로 인한 융기시 공기여과필터(30)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배지가 원활히 배양될 수 있도록 신선한 산소가 계속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공기여과필터(30)는 오염원을 차단하며 신선한 공기를 공급한다.
한편, 덮개(20)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용기 몸체(10)는 빛이 투과되지 않고 차단되는 불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통상 배지는 암배양과 명배양을 거쳐 배양되며, 배지의 명배양시 용기 몸체(10)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부위의 갈변을 차단하여 용기 몸체(10)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배지의 부위로부터 표고버섯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명배양시 빛은 덮개(20)를 투과하여 용기 몸체(10)의 상면(11)과 대면하는 배지의 부위(상부)위에만 조사됨으로써 명배양되고, 용기 몸체(10)를 통해서는 빛이 투과되지 않아 명배양 없이 암배양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빛이 조사되는 배지의 상부에만 표고버섯이 발생되고, 빛이 차단된 용기 몸체(10)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배지의 부위(측면 및 바닥)에는 갈변이 되지 않아 표고버섯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요 없는 배지의 측면 및 바닥 부위에서 버섯이 발생되지 않아 모든 에너지가 배지의 상부로 집중되므로 보다 상품성 좋은 표고버섯이 병재배될 수 있다.
용기 몸체(10)의 상면 둘레에는 ㄴ자형의 안치부(15)가 돌출 형성되고, 덮개(20)의 개구된 일단 둘레에는 안치부(15)에 안치되는 돌부(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덮개(20)는 돌부(23)를 안치부(15)에 안치시킴으로써 용기 몸체(1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적치될 수 있고, 이때 안치부(15)와 돌부(23)에는 서로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17)와 끼움홈(25)이 각각 형성되어, 덮개(20)가 용기 몸체(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부(15)는 용기 몸체(10)를 서로 닿지 않게 거리를 두고 배열시켜 표고버섯 갓이 서로 닿지 않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고버섯은 버섯갓이 버섯대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대량 재배시 용기 몸체(10)가 서로 근접하거나 닿으면 버섯갓들이 서로 충돌하여 버섯갓이 제대로 성장할 수 없고 모양이 일그러져 모양이 둥근 상품성 좋은 표고버섯을 병재배할 수 없다. 안치부(15)는 재배공간 활용성을 높이며 대량 생산을 위해 용기 몸체(10)를 빡빡하게 배열시 용기 몸체(10) 사이에 거리를 주어 표고버섯 갓이 서로 닿지 않고 상품성 좋은 표고버섯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병목이 없는 원통형상의 용기 몸체(10)로 인해 용기 몸체(10)의 입구가 커 표고버섯의 갓이 모양이 둥근 상품성 좋은 표고버섯으로 병재배될 수 있고, 용기 몸체(10)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20)가 용기 몸체(10) 입구 위로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배지 배양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지의 명배양시 용기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부위의 갈변을 차단함으로써 용기 몸체(10)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배지의 부위로부터 표고버섯이 발생하지 않아 배지의 모든 에너지가 용기 몸체(10) 입구와 대면하는 부위로 집중됨으로써 보다 상품성 좋은 표고버섯이 병재배될 수 있다.
상기의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용기 몸체 11: 상면
13: 바닥면 15: 안치부
17: 끼움돌기 20: 덮개
21: 일단 23: 돌부
25: 끼움홈 30: 공기여과필터

Claims (3)

  1. 입구를 형성하는 상면과 바닥면의 크기가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입구가 확장된 형태를 이루어 표고버섯 배지를 수용하며, 상기 배지로부터 표고버섯 발생시 확장된 입구로 인해 표고버섯 갓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생장할 수 있도록 한 용기 몸체;
    일단만이 개구된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상기 용기 몸체의 상면을 덮어 개폐하며, 상기 용기 몸체의 상면 위로 상기 배지 배양시 공기 공급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여과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몸체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배지의 명배양시 상기 용기 몸체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부위의 갈변을 차단하여 상기 용기 몸체의 측면 및 바닥면과 대면하는 상기 배지의 부위로부터 표고버섯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면 둘레에는 ㄴ자형의 안치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개구된 일단 둘레에는 상기 안치부에 안치되는 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치부는 상기 용기 몸체를 서로 닿지 않게 거리를 두고 배열시켜 표고버섯 갓이 서로 닿지 않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한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부 및 상기 돌부에는 서로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는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KR2020150005296U 2015-08-10 2015-08-10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KR201700006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296U KR20170000626U (ko) 2015-08-10 2015-08-10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296U KR20170000626U (ko) 2015-08-10 2015-08-10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26U true KR20170000626U (ko) 2017-02-20

Family

ID=5826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296U KR20170000626U (ko) 2015-08-10 2015-08-10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62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649A (ko) 2018-01-29 2019-08-08 주식회사 도현 버섯재배기
KR20200052671A (ko) * 2018-11-07 2020-05-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재배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38A (ko) 1999-11-30 2000-02-07 김병석 홀로그램을 이용한 자동차 윈도우의 정보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38A (ko) 1999-11-30 2000-02-07 김병석 홀로그램을 이용한 자동차 윈도우의 정보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649A (ko) 2018-01-29 2019-08-08 주식회사 도현 버섯재배기
KR20200052671A (ko) * 2018-11-07 2020-05-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재배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0626U (ko) 표고버섯 재배 전용 용기
CN204272732U (zh) 一种食用菌栽培瓶的出菇盖
JP2010029097A (ja) 栽培容器及びこの容器を使用した茸栽培方法
CN203563479U (zh) 一种容器盖及带有该容器盖的植物水培容器
KR101348883B1 (ko)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CN201182120Y (zh) 水果保护罩
CN201480808U (zh) 一种组合式花瓶
KR101693571B1 (ko) 버섯 재배 용기
CN205329014U (zh) 一种玉米浆培养基
JP3170940U (ja) 茸栽培容器
KR102091027B1 (ko) 버섯재배기
KR101837267B1 (ko) 식용 버섯 재배 용기
CN205755866U (zh) 一种实验用的植物培养盒
CN204038123U (zh) 密封保鲜盖
CN2469693Y (zh) 具隐藏式透气孔的芽菜培育箱
KR20170137993A (ko) 버섯생육용기
CN211482489U (zh) 一种缸内丰年虾孵化器
CN204598741U (zh) 一种食用菌栽培装置
CN209527314U (zh) 一种遮阳蔬菜大棚
CN211607737U (zh) 一种植物学研究用植株保管箱
CN205584846U (zh) 一种蛹虫草培养容器
CN204907267U (zh) 一种束缚食用菌根系的培养罐
KR100978237B1 (ko) 필터 교환이 가능한 생물 배양용기
KR100287990B1 (ko)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KR20170054639A (ko) 비닐과 원통용기를 결합한 버섯배양 및 재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