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990B1 -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 Google Patents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990B1
KR100287990B1 KR1019990001554A KR19990001554A KR100287990B1 KR 100287990 B1 KR100287990 B1 KR 100287990B1 KR 1019990001554 A KR1019990001554 A KR 1019990001554A KR 19990001554 A KR19990001554 A KR 19990001554A KR 100287990 B1 KR100287990 B1 KR 100287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ushroom
sponge
mushrooms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237A (ko
Inventor
장현유
이상하
노문기
Original Assignee
장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유 filed Critical 장현유
Priority to KR1019990001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79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재배 용기(A mushroom planting receptacle)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지 배양 단계가 끝나고 버섯이 발생하기 전의 활착배지를 공급받아 각 가정에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활착배지가 놓여지는 몸체와 몸체 위로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버섯 재배 용기의 구조를 개시하고, 또한 덮개와 몸체에 환기구들이 형성되고 통기성과 보습성의 특징을 갖는 스폰지가 덮개와 몸체의 안쪽에서 환기구들을 가로막으며 부착되고 또한 덮개의 한 측면에 투명창이 형성된 버섯 재배 용기의 구조를 개시하며, 이러한 버섯 재배 용기의 구조를 통하여 별도의 동력원 없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온도, 습도, 환기 및 광량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버섯을 재배할 수 있고, 각 가정에서 직접 버섯을 재배함에 따라 다단계 유통에 따른 높은 가격과 신선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버섯의 수확이 끝난 배지를 화분용토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등 순환농법의 사례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 A mushroom planting receptacle using sponge }
본 발명은 버섯 재배 용기(A mushroom planting receptacle)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지 배양 단계가 끝나고 버섯이 발생하기 전의 활착배지를 공급받아 각 가정에서 버섯을 생육시키기 위한 것으로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온도, 습도, 환기 및 광량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통기성과 보습성을 갖는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버섯 재배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섯 재배 과정은 크게 배지를 형성하는 단계(10)와 배지 배양 단계(20) 및 버섯 생육 단계(40)로 구분될 수 있다. 배지를 형성하는 단계(10)는 볏짚, 폐면, 톱밥 등의 주재료를 약 4∼6개월동안 퇴적시킨 후 미강, 밀기울 등의 첨가재료를 약 8:2의 체적비로 혼합하고 수분을 첨가시킨 후 약 34×34×8㎝의 크기의 내열성 비닐 등에 입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형성된 배지는 약 21㎏의 건조중량을 갖게 된다.
배지는 약 121℃에서 약 40∼60분간 살균 처리되는 고압 살균(22), 살균 처리된 배지의 내부온도가 약 25℃로 냉각되는 저온 냉각(24), 무균 접종(26), 약 23∼25℃에서 약 20∼25일간 배양시키는 균사 배양(28) 및 약 5∼7℃에서 약 1일간 처리되는 저온 처리(30)를 포함하는 배지 배양 단계(20)를 거친다. 배지는 내열성 비닐 등에 입봉된 상태로 배양되며, 배지 배양 단계를 거치고 버섯이 발생하기 전의 배지를 소위 '활착배지'라고 한다.
배지 배앙 단계를 거친 배지는 비닐이 벗겨진 후 버섯 재배기로 넣어지며, 버섯 발생(42), 버섯 생육(44)으로 이어지는 버섯 생육 단계(40)를 거쳐 수확(46)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버섯 재배 방법을 이용하여, 종래의 버섯 재배 형태는 균상재배, 상자재배 및 봉지재배를 일정한 형태의 패널재배사나 간이재배사를 설비하여 대량으로 생산하는 체계가 주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량 생산 체계는 다단계의 유통경로를 통함에 따라 가격도 상승되고, 신선도도 떨어지며 각종 병해충 예방을 위한 약품처리 등 식품으로서의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었다.
또한, 소규모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각종 버섯 재배 용기의 경우에는 버섯 재배 과정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동력이 사용되거나, 또는 동력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버섯 생육에 필요한 환경인 온도, 습도, 환기 및 광량을 적절히 조절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섯을 가정에서 소규모로 생육시킬 수 있는 버섯 재배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깨끗하고 신선한 무공해 버섯을 직접 기르며 버섯 재배 과정을 관상,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섯 생육 단계에서 필요한 온도, 습도, 환기 및 광량을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버섯 재배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버섯 재배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버섯 재배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덮개의 안쪽에 부착되는 스폰지의 전개도,
도 4b는 도 3의 몸체의 안쪽에 부착되는 스폰지의 전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 몸체 112, 132 : 환기구
114, 134, 134' : 측면 116 : 받침대
120 : 하면 130 : 덮개
136 : 투명창 138 : 손잡이
140 : 상면 150, 160 : 스폰지
170 : 활착배지 200 : 버섯 재배 용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지 배양이 끝나고 버섯이 발생되기 전의 활착배지가 놓여지는 사각형의 하면과 하면의 사변을 따라 하면과 수직으로 형성된 네 측면들로 구성되며, 네 측면과 하면에 환기구들이 형성되고, 네 측면과 하면의 안쪽에서 환기구들을 가로막으며 스폰지가 부착된 몸체; 및 몸체에 대응하여 형성된 측면들과 상면으로 구성되며, 측면들 중의 세 측면과 상면에 환기구들이 형성되고, 세 측면들과 상면의 안쪽에서 환기구들을 가로막으며 스폰지가 부착되고, 환기구가 형성되지 않은 한 측면에 투명창이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며, 활착배지가 놓여진 몸체 위로 덮개가 결합됨으로써 활착배지에서 버섯이 발생되어 생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의 덮개와 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특히 덮개의 투명창은 투명한 플라스틱이고, 또한 스폰지는 약 1㎝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로 공급되는 활착배지는 고압 살균, 저온 냉각, 무균 접종, 균사 배양 및 저온 처리를 포함하는 배지 배양 단계를 거쳐 버섯이 발생되기 전의 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버섯 재배 용기(200)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2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200)는 크게 덮개(130)와 몸체(110)로 구분될 수 있으며, 몸체(110) 위에 활착배지(170)가 놓여진 후 덮개(130)가 그 위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이며, 활착배지가 놓여지는 하면(120)의 크기는 약 37×37㎝의 정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하면(120)의 사변을 따라 수직 상방으로 세워지는 네 측면들(114)이 약 10㎝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하면(120)과 네 측면들(114)에는 각각 격자와 같은 형태로 환기구(11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120)의 아래에 받침대들(116)이 네 귀퉁이에 형성되어 받침대(116)의 높이만큼 지면 위로 몸체를 이격시킬 수 있다.
환기구들(112)은 몸체의 일부가 제거된 개구부(開口部)이며, 몸체(110)의 안쪽에서 이들 환기구들을 가로막으며 스폰지(160)가 부착되어 있다. 스폰지(160)는 보습성과 통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몸체(110) 내의 온도와 습도 등을 버섯 생육에 필요한 적절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 위로 결합되는 덮개(130)는 몸체(110)에 대응하여 하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이며, 몸체(110)의 하면(120)과 대응하는 상면(140)과 상면(140)의 사변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네 측면들(134)이 약 25㎝의 높이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몸체(110)와 마찬가지로, 덮개(130)의 상면(140)과 세 측면들(134)에는 개구부(開口部) 형태의 환기구들(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130)의 안쪽에서 이들 환기구들(132)를 가로막으며 스폰지(150)가 부착되어 있다. 상면(140)의 위에는 덮개(130)를 손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138)이 형성되어 있다.
환기구(132)가 형성되지 않은 한 측면(134')에는 투명창(1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빛이 공급될 수 있다. 투명창(136)은 측면(134')이 일부 제거된 후 비닐(Vinyl), 유리(Glass) 등과 투명한 재질의 부재가 사용되거나 또는 측면(134') 자체를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투명창을 제작할 수 있다. 투명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덮개(13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투명창이 형성되는 측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스폰지(150)를 부착함으로써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130)와 몸체(110)의 결합부분은 각각 요철(凹凸) 형태로 제작되어 몸체(110) 위로 덮개(130)가 결합될 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몸체(110)의 네 측면 위로 돌출된 철부(122 ; 凸部)가 형성되고, 덮개(130)의 네 측면에 철부(122)에 대응하는 요부(142 ; 凹部)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덮개와 몸체에 부착되는 스폰지들(150, 160)가 펼쳐진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위와 같은 구조의 버섯 재배 용기를 사용하여 버섯을 생육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는 종균배양소나 일반 농가에서 배양되어 저온 처리까지 마친 활착배지가 사용되며, 버섯 재배 방법 중에서 버섯 생육단계를 분리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조건은 온도와 습도와 환기 및 광량 등이 중요하며, 이들을 차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섯 발생 한계온도는 약 5∼20℃이나 최적 온도는 약 10∼15℃이며, 고온성 버섯의 경우에는 약 10∼30℃이나 최적 온도는 약 19∼25℃이다. 버섯 발생 및 생육 속도는 최적온도보다 고온일수록 빨라지는 반면 품질이 불량하고, 저온으로 관리하면 생육속도는 늦으나 품질이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의 경우에는 상온에서 재배할 수 있는 품종의 버섯을 선택한다.
버섯 재배기 내의 습도는 버섯 발생시에는 약 90∼95%, 버섯 생육시에는 75∼85%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에는 덮개와 몸체의 안쪽에 약 1㎝ 두께의 스폰지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약 200㏄/상자의 양으로 관수하면 습도를 90% 이상으로 쉽게 유지할 수 있으며, 스폰지의 보습성으로 인해 쉽게 건조되지 않는다.
버섯은 호기성균으로 환기를 실시하여 버섯의 생장, 분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버섯 재배 용기 내에서 버섯의 호흡에 의한 산소량과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은 동일하지만, 공기 중 조성비의 변화는 이산화탄소가 많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는 각 면에 형성된 환기구들을 통해 자연적으로 환기가 유도되어 약 1,500ppm 이하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유지될 수 있으며, 환기구들을 가로막으며 부착된 스폰지가 통기성을 갖고 있음에 따라 환기에 장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버섯이 발생된 후 수확이 이루어질 때까지는 산소 요구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하루에 약 1∼2회씩 덮개를 약 5분씩 열어 놓았다가 닫음으로써 환기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버섯 발생 용기 내에서 버섯이 발생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광량이 필요로 한다. 버섯의 발생에는 낮동안 약 150∼200lux의 광량이 유지되어야 하며, 버섯의 생육에는 낮동안 1,000∼2,000lux의 광량이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는 네 측면들 중의 한 측면에 형성된 투명창을 통해 별도의 광원 없이 자연광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는 각 가정에서 별도의 동력원 없이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버섯을 기르고 난 후의 배지는 각종 화초를 재배할 때 화분용토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순환농법의 사례로 이용될 수 있으며, 투명창을 통해 버섯의 생육 상태를 직접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관상 취미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의 덮개와 몸체에 각각 환기구들이 형성되고 용기의 안쪽에서 환기구들을 가로막으며 스폰지가 부착되고 덮개의 한 측면에 투명창이 형성된 것을 구조적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따라 통기성과 보습성을 갖는 스폰지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버섯의 발생과 생육에 필요한 온도, 습기, 환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투명창을 통해 버섯의 생육에 필요한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재배 용기는 별도의 동력원 없이 이들 버섯의 생육 조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 가정에서 손쉽게 버섯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며, 다단계 유통과정을 생략하기 때문에 낮은 가격으로 신선하고 식품으로서의 신뢰성 있는 버섯을 수확할 수 있다. 또한 버섯의 발생과 생육 과정을 관찰할 수 있어 관상 취미를 만족시킬 수 있고, 나아가 버섯의 수확이 끝난 배지를 각종 화초의 화분용토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순환농법의 사례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배지 배양이 끝나고 버섯이 발생되기 전의 활착배지가 놓여지는 사각형의 하면과 상기 하면의 사변을 따라 상기 하면과 수직으로 형성된 네 측면들로 구성되며, 상기 네 측면과 상기 하면에 환기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네 측면과 상기 하면의 안쪽에서 상기 환기구들을 가로막으며 스폰지가 부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대응하여 형성된 측면들과 상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들 중의 세 측면과 상기 상면에 환기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세 측면들과 상기 상면의 안쪽에서 상기 환기구들을 가로막으며 스폰지가 부착되고, 상기 환기구가 형성되지 않은 한 측면에 투명창이 형성되는 덮개;
    를 포함하며, 상기 활착배지가 놓여진 몸체 위로 상기 덮개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활착배지에서 버섯이 발생되어 생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상기 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투명창은 투명한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의 두께는 약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의 측면들은 각각 요철(凹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요철 형태의 결합을 통해 상기 몸체 위로 상기 덮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면 아래로 받침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의 높이만큼 상기 몸체가 지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착배지는 고압 살균, 저온 냉각, 무균 접종, 균사 배양 및 저온 처리를 포함하는 배지 배양 단계를 거쳐 버섯이 발생되기 전의 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KR1019990001554A 1999-01-20 1999-01-20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KR10028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554A KR100287990B1 (ko) 1999-01-20 1999-01-20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554A KR100287990B1 (ko) 1999-01-20 1999-01-20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237A KR20000051237A (ko) 2000-08-16
KR100287990B1 true KR100287990B1 (ko) 2001-04-16

Family

ID=1957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554A KR100287990B1 (ko) 1999-01-20 1999-01-20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79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66A (ko) * 2001-03-14 2001-07-25 전미숙 종균의 냉동유통과정을 통한 관상 및 식용으로 가정에서키워먹는 느타리버섯 상품
KR100674737B1 (ko) 2005-09-09 2007-01-25 주식회사 국제 싸이엔 클로렐라 콩나물의 재배기
KR200450756Y1 (ko) * 2007-12-26 2010-10-29 경기도농업기술원 수경 재배용 용기
KR20220058989A (ko) * 2020-11-02 2022-05-10 주식회사 애그유니 식물 재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49B1 (ko) * 2007-03-05 2008-03-27 김현수 다용도 조립식 화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66A (ko) * 2001-03-14 2001-07-25 전미숙 종균의 냉동유통과정을 통한 관상 및 식용으로 가정에서키워먹는 느타리버섯 상품
KR100674737B1 (ko) 2005-09-09 2007-01-25 주식회사 국제 싸이엔 클로렐라 콩나물의 재배기
KR200450756Y1 (ko) * 2007-12-26 2010-10-29 경기도농업기술원 수경 재배용 용기
KR20220058989A (ko) * 2020-11-02 2022-05-10 주식회사 애그유니 식물 재배기
KR102545542B1 (ko) 2020-11-02 2023-06-20 주식회사 애그유니 식물 재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237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18207B (zh) 一种金针菇的袋栽直生法
CN101715696A (zh) 灰树花工厂化栽培方法
CN109089882A (zh) 一种通过孢子直接诱导的苔藓组培及成苗培养方法
CN102283090A (zh) 红盖鳞毛蕨孢子繁殖方法
KR20100071155A (ko) 표고버섯 재배방법
CN107047068A (zh) 设施温室香菇增产栽培方法
KR100287990B1 (ko)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CN109769592A (zh) 一种灵芝的栽培方法
KR101028954B1 (ko) 화분을 이용한 가정용 버섯의 재배방법 및 버섯재배상자
CN204598764U (zh) 以自然生态法培植植物的盆栽箱结构
KR20200063376A (ko)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버섯류 재배 키트
CN109952869A (zh) 马铃薯脱毒微型薯繁育工艺
CN108040740A (zh) 一种北虫草盆栽立体产业培育集成体系及应用
CN213718998U (zh) 一种水果种植用幼苗集体培育装置
KR20160048494A (ko) 버섯 재배키트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KR20010036047A (ko) 버섯 재배용 배양병과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JP4399157B2 (ja) プロロットプランシュの人工栽培方法
CN201515636U (zh) 用于教学、观赏的生物培养装置
CN208639128U (zh) 育苗盒
KR100226632B1 (ko) 상황버섯의 재배방법
CN108496696A (zh) 一种景观草腐型食用菌产品及其培育方法
KR200270012Y1 (ko) 상황버섯 재배 장치
CN206314250U (zh) 一种用于观赏食用菌生产的小层架
KR20010048394A (ko) 무기영양원첨가에 의한 느타리버섯 재배 방법
JP2010000058A (ja) 培地カバーシート及びこの培地カバーシートを備えた栽培容器並びに培地カバーシート又は栽培容器を使用した茸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