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597B1 -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버섯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버섯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597B1
KR100804597B1 KR1020070056293A KR20070056293A KR100804597B1 KR 100804597 B1 KR100804597 B1 KR 100804597B1 KR 1020070056293 A KR1020070056293 A KR 1020070056293A KR 20070056293 A KR20070056293 A KR 20070056293A KR 100804597 B1 KR100804597 B1 KR 100804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ushroom cultivation
container
medium
mushroom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두심
Original Assignee
주두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심 filed Critical 주두심
Priority to KR1020070056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597B1/ko
Priority to PCT/KR2008/003180 priority patent/WO2008150129A2/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8Cultivation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은, 버섯의 재배에 관한 것으로, 병화분 형태의 일반적인 버섯재배용기(버섯재배병)에 있어 상부와 하부에 마개를 형성함과 동시에 재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부분적인 구조를 변화시키거나, 버섯재배용기 내부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새롭게 구조화시켜 형성함으로써 2차까지 수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재배 버섯의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버섯재배용 용기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통체 모양이고 내부에 입병시키는 버섯재배용 배지 뭉치가 상기 용기의 중심부위에 위치하도록 둔턱을 구비하되, 상기 둔턱으로부터 연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용기의 상하부에 마개홀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 상하부의 어느 한 쪽 이상에 상기 용기 내부의 배지에 접종시킨 버섯 접종원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중심부위를 향하며 날개깃과 같이 얇은 형태인 균제거편을 구비한 상기 상부마개 또는 하부마개 중 어느 일측단을 막아 초벌 버섯 생육을 진행하여 수확해낸 후, 상기 초벌 버섯 생육을 진행한 반대쪽에서 추가로 버섯을 생육하여 수확해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섯, 재배, 용기, 수확증대, 배지, 수분

Description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Mushroom cultivation vessel and cultivation method of mushroom by using the vessel}
도 1은 종래의 버섯재배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를 통한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의 첫 번째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를 통한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의 두 번째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30, 40 ;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
210, 310, 410 ; 용기몸체
211 ; 몸체프레임 212 ; 상부마개홀
213 ; 하부마개홀
220, 320, 420 ; 상부마개
230 ; 하부마개
30h, 40h ; 흡입구
40k ; 흡입관
330 ; 하부캡
430 ; 관캡
본 발명은 버섯 재배에 관한 것으로, 병화분 형태의 일반적인 버섯재배용기(버섯재배병)에 있어 상부와 하부에 마개를 형성함과 동시에 재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부분적인 구조를 변화시키거나, 버섯재배용기 내부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새롭게 구조화시켜 형성함으로써 2차까지 수확이 가능하도록 하여 재배 버섯의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통한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병 형태의 용기를 통한 버섯재배는 썩은 나무나 고목 등을 이용한 기존의 재배에 비해 재배가 편리하고 관리의 편리함으로 인해 현재 많은 농가에서 실시되고 있는 재배방법이다.
도 1은 종래의 버섯재배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버섯재배용기(10)는 배지가 담겨지는 내부공간(110b)을 형성하는 몸체(110)와, 이 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결시키는 입구(112h) 및, 입구(112h)에 대응되어 분리/결합될 수 있는 덮개(120)를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버섯재배용기(10)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몸체(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투명하거나 혹은 내부공간이 비칠 정도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버섯재배용기(10)를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종래의 버섯재배방 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톱밥과 밀기울(미강) 등을 약 8:2의 비율로 혼합하여 배지(도시되지 않음)를 제조한 후, 제조된 배지를 버섯재배 용기의 입구(112h)를 통하여 내부공간(110b)에 가득 담으며(입병), 이때 배지는 약 65%의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버섯재배용기(10)의 입구(112h)를 덮개(120)로 덮은 후에 약 121℃의 온도에서 60∼90분 정도 두어 살균시킨 후 무균실에서 상온(常溫)으로 냉각한다. 입구의 덮개(120)를 분리한 후, 균사를 배양하기 위한 접종원(도시되지 않음)을 배지 위로 접종한 후 약 25℃의 실내조건으로 보관하여 버섯재배용기 내의 배지 전체로 균사체를 배양한다.
이때, 접종원이 접종되는 배지의 접종면에서 균사가 배양되기 시작하여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균사체가 배양된다. 균사체가 버섯재배용기(10) 내의 배지 전체로 배양되기까지는 약 20∼25일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후 덮개를 다시 분리한 후 접종원을 제거하기 위한 균긁기 작업을 실시한다.
균긁기 작업은 배지 위로 접종된 접종원을 칼날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배지의 접종면으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며, 이를 통하여 버섯재배용기(10)의 입구(112h) 부분 즉 배지의 접종면이 평평하게 정돈된다.
접종원이 제거된 후의 버섯재배용기(10)는 덮개(1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약 95%의 습도에서 약 7일간 보관됨으로써 배지의 접종면에서 버섯재배용기의 입구를 통하여 버섯이 생육되며, 이 후 어느 정도 크기로 자라면 생육된 버섯을 수확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버섯재배용기(10)를 비롯한 일반적인 버섯재배용기에 있어 한번 준비하여 입병시킨 배지에서는 버섯을 한번 생산하게 된다. 하지만 버섯 재배 농가에서는 보다 많은 수확량을 올리는 것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으며, 따라서 보다 많은 생산량을 올릴 수 있는 새로운 재배기구나 재배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또다른 효율적인 버섯 재배 방법이 개발된다면 이는 생산성 증대와 농가 경쟁력을 높이는 것과 직결되는 사안이므로, 버섯재배 농가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연구개발하면서 찾아 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섯을 한번 수확한 후 버섯재배용기를 처음부터 새로 준비해서 재배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버섯수확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버섯재배용기와 그에 따른 버섯재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종래 버섯재배에 있어 문제시되었던 버섯재배에 따른 수분공급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버섯 수확량을 높이기 위한 버섯재배용기 및 이를 이용한 버섯재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버섯재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버섯재배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버섯재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30, 40)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통체 모양이고 내부에 입병시키는 버섯재배용 배지 뭉치가 상기 용기의 중심부위에 위치하도록 둔턱을 구비하되, 상기 둔턱으로부터 연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용기의 상하부에 마개홀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 상하부의 어느 한 쪽 이상에 상기 용기 내부의 배지에 접종시킨 버섯 접종원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중심부위를 향하며 날개깃과 같이 얇은 형태인 균제거편을 구비한 상기 상부마개 또는 하부마개 중 어느 일측단을 막아 초벌 버섯 생육을 진행하여 수확해낸 후, 상기 초벌 버섯 생육을 진행한 반대쪽에서 추가로 버섯을 생육하여 수확해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는, 버섯재배용기 상하부의 어느 한 쪽 이상에 상기 용기 내부의 배지에 접종시킨 버섯 접종원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중심부위를 향하며 날개깃과 같이 얇은 형태인 균제거편을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아울러 각각의 재배 단계를 살펴본 본 실시예의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를 통한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은, 상기 버섯재배용기에 입병시킨 배지를 살균한 후 상기 배지 상부에 버섯균을 접종하는 단계와; 상기 접종한 버섯균을 일정기간동안 배양하는 단계와; 상기 배양한 버섯균의 접종원을 제거한 후 상기 버섯재배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상기 배양된 버섯균을 초기 발효시키는 단계와; 상기 최초 배지 입병시의 상태로 상기 버섯재배용기를 원위치로 뒤집어 상기 초기 발효시킨 버섯을 생육하여 1차 수확하는 단계와; 상기 버섯재배용기내의 배지 수분을 보충하고 상기 버섯재배용기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로 상기 배지로부터 버섯을 생육하여 2차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한차례 준비한 상기 버섯재배용기로부터 버섯을 초벌 포함 2차까지 수확하도록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또다른 실시예의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를 통한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은, 앞서 살핀 두번째 구조의 버섯재배용기 입구를 통하여 배지를 입병하고, 입병시킨 배지를 살균 및 접종시킨 다음, 상기 버섯재배용기 내부로 입병시킨 배지에 배양완료한 접종원을 제거한 후, 상기 접종원을 제거한 부위로부터 버섯을 생육하여 1차 수확해 내고; 버섯을 1차 수확해 낸 상기 배지의 상부에 상기 1차 수확과 관련된 생육잔류물을 제거한 후 상기 버섯재배용기의 하부를 통하여 수분이 공급하면서 상기 배지 상부에서 버섯을 생육하여 2차적으로 수확해 내는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각각의 재배 단계를 살펴본 본 실시예의 또다른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를 통한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은, 상기 버섯재배용기에 입병시킨 배지를 살균한 후 상기 배지 상부에 버섯균을 접종하는 단계와; 상기 접종한 버섯균을 일정기간동안 배양하는 단계와; 상기 배양한 버섯균의 접종원을 제거한 후 상기 버섯재배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상기 배양된 버섯균을 초기 발효시키는 단계와; 상기 최초 배지 입병시의 상태로 상기 버섯재배용기를 원위치로 뒤집어 상기 초기 발효시킨 버섯을 생육하여 1차 수확하는 단계와; 버섯을 1차 수확해 낸 상기 배지의 상부에 상기 1차 수확과 관련된 생육잔류물을 제거한 후 상기 버섯재배용기의 하부를 통하여 수분이 공급하면서 상기 배지 상부에서 버섯을 생육하여 2차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한차례 준비한 상기 버섯재배용기로부터 버섯을 초벌 및 2차 수확하 도록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과 진행을 갖는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통한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을 자세히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20)는 용기몸체(210), 상부마개(220), 하부마개(230)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용기몸체(210)는 중앙 몸체프레임(211)의 상하부에 각각 상부마개홀(212)과 하부마개홀(213)이 형성되어 있어, 병같은 모양으로 마개를 상부에만 형성하고 있는 종래의 버섯재배용기와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버섯재배용기(20)에 있어, 상부마개홀(212)은 상부마개(220)로, 하부마개홀(213)은 하부마개(230)로 각각 개폐하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본 버섯재배용기(20)를 이용하여 재배하는 과정에서 배지의 접종면에서 접종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균제거 작업을 실시해 주게 된다. 이러한 균제거 작업은 접종균을 배양시켰던 배지 표면을 긁어주거나 털어주는 것 등과 같이 버섯재배와 관련하여 방해를 일으키는 부위를 제거하는 작업이다.
본 버섯재배용기(20)에서는 이를 위해 상부마개(220)에 내부 안쪽으로 상부마개(220)로부터 세워지는 날개 같은 형태의 균제거편(220p)을 형성하고 있다.
후술하겠지만 균제거편(220p)은 배지 상부 표면과 어느 정도 맞닿아 있도록 준비하게 되며 상부마개(220)의 안쪽 표면으로부터 약 3~5mm 정도로 튀어나오도록 형성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그 높이를 달리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 모양도 도시한 바와 같은 일자형 이외에 십자나 눈꽃모양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균제거편(220p)을 회전시켜 줌으로써 배지 상부 표면의 접종균을 긁어내거나 떨어내게 된다.
아울러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 하부마개(230)에도 균제거편(230p)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부마개(220)에는 형성하지 않고 하부마개(230)에만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구조는 균제거 작업을 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과정에서 어느 측면에서 실시하여 줄 것인가와 관련되는 사안으로, 상부마개(220)와 하부마개(230) 모두에 형성하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버섯재배용기(30)는, 용기몸체(310)의 하부 저면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막혀 있고 이 막힌 부위에 수분 공급을 위한 흡입구(30h)가 필요한 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버섯재배용기(30)는 용기몸체(310)의 하부가 하부캡(330)에 의해 씌워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흡입구(30h)는 본 버섯재배용기(30) 내부로 수분을 공급시키기 위한 것으로, 최초 버섯재배용기(30)내 배지 형성시 수분을 공급한 후에, 일정한 시간이 흘러 버섯재배용기(30) 내에 수분이 부족하거나 혹은 수분을 공급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때에 하부캡(330)을 벗겨내고 살균완료한 물속에 담가 두어, 수분이 버섯재배용기(30) 내부로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함으로써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버섯재배용기(40)는 버섯재배용기(40)의 바닥이나 기저부 측면에서 흡입구(40h)로부터 연장하여 흡입관(40k)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흡입관(40k) 역시 도 4 실시예에서의 흡입구(30h)와 같이 버섯 재배시 부족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흡입관(40k)을 개폐할 수 있는 관캡(430)도 같이 형성하고 있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분이 부족하거나 혹은 수분을 공급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때에 관캡(430)을 열고 살균완료한 물속에 담가 두어 수분이 버섯재배용기(40) 내부로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여 수분을 공급한다.
그리고 도 5에서는 한 조(set)의 흡입관(40k) 및 관캡(430)을 형성하고 있지만 필요한 경우 다수 형성하여 버섯재배용기(4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를 통한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의 첫 번째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두 번째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 후 위에서 살펴본 제1형태의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20)를 통한 첫 번째 방식의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을 살펴본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본 제1형태의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20)의 어느 쪽에서 초벌로 재배버섯을 수확할 것인지를 결정한 후, 수확할 반대쪽은 마개로 막아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20)를 준비한다(P502). 앞서도 살핀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본 버섯재배용기(2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원하는 쪽에서 먼저 버섯재배를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어느 쪽에서 먼저 버섯재배를 시작할 것인지를 정해야만 후속 버섯재배과정에서 관련된 준비가 가능하므로 결정을 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상부에서 먼저 버섯재배를 하여 수확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하부마개(230)는 단단하게 잠가 준비하게 된다.
이렇게 초벌 버섯재배의 방향이 결정되었으면, [톱밥;밀기울(미강);옥수수대] 등을 약 [5:2:3] 정도의 비율로 혼합하여 배지를 준비한다(P504). 이러한 배지는 버섯재배를 위한 일반적인 형태의 배지로 이외에도 다양한 성분으로 준비한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후 혼합 준비한 배지를 본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20)에 투입하며 이 때 약 65~80% 정도 되도록 수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506).
이 후 본 버섯재배용기(20)의 상부를 상부마개(220)로 닫아 밀폐시킨 다음, 고온의 온도에서 1~2 시간동안 살균한 후(P508), 무균실에서 상온까지 자연적으로 냉각시킨다.
냉각이 완료되었으면 상부마개(220)를 개방한 후 버섯 균사 배양을 위한 접종원을 배지 위로 접종한 다음(P510), 버섯 균사체가 효과적으로 배양될 수 있도록 막대 등을 이용, 배지 내부를 찌르거나 저어 주는 등 부가적인 작업을 실시하여 배지 전체로 버섯 균사체 배양을 시작한다(P512).
이렇게 되면 버섯균사체는 배지의 접종면에서 배양되기 시작하여 본 버섯재배용기(20)의 아래 방향으로 배양되며, 전체적으로 배양되기까지는 약 15-20일 가량이 소요된다.
그리고 필요한 기간이 경과되어 버섯균사체의 배양이 완료되면, 배지의 상부를 상부마개(220)로 두세바퀴 혹은 추가적으로 몇 번 더 실시하여, 상부마개(220)의 균제거편(220p)을 통해 버섯생육에 방해가 되는 접종원을 제거한다(P514).
이 후 버섯재배용기(20)를 거꾸로 뒤집어 제거한 접종원을 버섯재배용기(20) 밖으로 제거해 내고 이렇게 뒤집은 상태로 약 5~7일 정도 놓아 둠으로써 버섯균사를 발효시킨다(P516).
이 후 필요한 기간이 경과하여 버섯균사의 발효되었으면, 하부마개(230)를 개방한 상태로 버섯재배용기(20)를 다시 뒤집어 최초 배지를 넣는 원래의 상태로 위치시켜 버섯을 생육(P518)시키기 시작한다.
이 후 약 5~7일 정도 버섯을 생육하여 어느 정도 크게 자란 버섯을 수확하며(P520), 이 때의 수확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에서 1차의 초벌 수확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의 버섯재배방법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벌 버섯수확 후에도 다시 반대편을 통해 추가 수확을 하게 된다.
즉 위의 과정을 통하여 초벌로 1차 버섯을 수확했으면, 다시 1차 버섯생육시 소모해버린 20~30% 정도의 수분을 다시 보충하여 버섯재배용기(20) 내의 습도 조절 등 추가생육조건에 필요한 조절을 해 준 다음(P522), 상부마개(220)를 닫고 1차 버섯생육때 달리 반대로 뒤집은 후 2차 버섯 생육을 실시한다(P524).
그리고 중간의 생육조건에 따라 4~7일 정도 버섯을 생육한 후, 어느 정도 크게 자란 버섯을 2차 수확한다(P526).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제1형태의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20)를 이용하여, 한 차례의 버섯재배용기(20) 준비만으로 버섯을 2차로 2회 수확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후 본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버섯재배 중간중간에 필요한 수분을 보충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30, 40)를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두번째 방식의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을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두번째 방식의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에 있어, 1차로 버섯을 초벌수확할때까지의 진행은 처음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30, 40)를 준비할 때, 본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30, 40) 하부를 하부캡(330)이나 관캡(430)으로 막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두번째 2회 수확 버섯재배방법의 P602 ~ P620 단계의 진행은 도 6의 P502 ~ P520 단계를 참고하기로 한다.
이러한 진행을 통하여 1차 버섯수확이 완료되었으면 본 실시예의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30, 40)에서는 1차 버섯수확한 배지부위의 버섯뿌리나 밑둥과 같은 수확잔류물을 들어내어 제거한다(P622).
이 후 버섯재배용기(30, 40) 하단의 하부캡(330)이나 관캡(430)을 개방한 다음, 살균된 수분이 담긴 수조에 담가두어 수분을 공급해 가며 2차 버섯 생육을 실시한다(P624).
그리고 중간의 생육조건에 따라 5~8일 정도 버섯을 생육한 후, 어느 정도 크게 자란 버섯을 2차 수확한다(P626).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버섯재배 중간중간에 필요한 수분을 보충시킬 수 있는 본 제2형태의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30, 40)를 이용하여, 한 차례의 버섯재배용기(30, 40) 준비만으로 버섯을 2차로 수확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20, 30, 40)를 통하여 한번의 버섯재배용기(20, 30, 40) 준비만으로 버섯을 2차 수확할 수 있었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20, 30, 40)는 버섯균을 제거할 수 있는 균제거편을 필요에 따라 상부마개나 하부마개의 어느 하나에나 혹은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하부캡(330)이나 관캡(430) 역시 그 수와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한 다양하게 변화된 응용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요한때 수분을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고 마개에 버섯접종원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화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이를 통하여 버섯을 한번 수확한 후 버섯재배용기를 처음부터 새로 준비해서 재배해야 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버섯을 2차까지 수확할 수 있어 수확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며, 관련산업 및 버섯재배농가들로부터 호평이 기대된다.

Claims (9)

  1. 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통체 모양이고 내부에 입병시키는 버섯재배용 배지 뭉치가 상기 용기의 중심부위에 위치하도록 둔턱을 구비하되, 상기 둔턱으로부터 연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용기의 상하부에 마개홀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 상하부의 어느 한 쪽 이상에 상기 용기 내부의 배지에 접종시킨 버섯 접종원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중심부위를 향하며 날개깃과 같이 얇은 형태인 균제거편을 구비한 상기 상부마개 또는 하부마개 중 어느 일측단을 막아 초벌 버섯 생육을 진행하여 수확해낸 후, 상기 초벌 버섯 생육을 진행한 반대쪽에서 추가로 버섯을 생육하여 수확해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버섯재배용기에서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섯재배용기에 입병시킨 배지를 살균한 후 상기 배지 상부에 버섯균을 접종하는 단계와;
    상기 접종한 버섯균을 일정기간동안 배양하는 단계와;
    상기 배양한 버섯균의 접종원을 제거한 후 상기 버섯재배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상기 배양된 버섯균을 초기 발효시키는 단계와;
    상기 최초 배지 입병시의 상태로 상기 버섯재배용기를 원위치로 뒤집어 상기 초기 발효시킨 버섯을 생육하여 1차 수확하는 단계와;
    상기 버섯재배용기내의 배지 수분을 보충하고 상기 버섯재배용기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로 상기 배지로부터 버섯을 생육하여 2차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한차례 준비한 상기 버섯재배용기로부터 버섯을 초벌 포함 2차까지 수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를 통한 버섯재배방법.
  8. 제1항의 버섯재배용기에서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섯재배용기 입구를 통하여 배지를 입병하고, 입병시킨 배지를 살균 및 접종시킨 다음, 상기 버섯재배용기 내부로 입병시킨 배지에 배양완료한 접종원을 제거한 후, 상기 접종원을 제거한 부위로부터 버섯을 생육하여 1차 수확해 내고;
    버섯을 1차 수확해 낸 상기 배지의 상부에 상기 1차수확과 관련된 생육잔류물을 제거한 후 상기 버섯재배용기의 하부를 통하여 수분이 공급하면서 상기 배지 상부에서 버섯을 생육하여 2차적으로 수확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를 통한 버섯재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재배용기에 입병시킨 배지를 살균한 후 상기 배지 상부에 버섯균을 접종하는 단계와;
    상기 접종한 버섯균을 일정기간동안 배양하는 단계와;
    상기 배양한 버섯균의 접종원을 제거한 후 상기 버섯재배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상기 배양된 버섯균을 초기 발효시키는 단계와;
    상기 최초 배지 입병시의 상태로 상기 버섯재배용기를 원위치로 뒤집어 상기 초기 발효시킨 버섯을 생육하여 1차 수확하는 단계와;
    버섯을 1차 수확해 낸 상기 배지의 상부에 상기 1차 수확과 관련된 생육잔류물을 제거한 후 상기 버섯재배용기의 하부를 통하여 수분이 공급하면서 상기 배지 상부에서 버섯을 생육하여 2차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한차례 준비한 상기 버섯재배용기로부터 버섯을 초벌 포함 2차까지 수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를 통한 버섯재배방법.
KR1020070056293A 2007-06-08 2007-06-08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버섯재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04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293A KR100804597B1 (ko) 2007-06-08 2007-06-08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버섯재배방법
PCT/KR2008/003180 WO2008150129A2 (en) 2007-06-08 2008-06-05 Mushroom cultivation vessel and cultivation method of mushroom by using the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293A KR100804597B1 (ko) 2007-06-08 2007-06-08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버섯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597B1 true KR100804597B1 (ko) 2008-02-20

Family

ID=3938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2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4597B1 (ko) 2007-06-08 2007-06-08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버섯재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04597B1 (ko)
WO (1) WO2008150129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0448A3 (ko) * 2009-02-04 2010-11-25 Lee Jin Woo 버섯 재배 용기
KR200456980Y1 (ko) 2009-03-12 2011-11-30 주식회사머쉬텍 동충하초 배양용기
CN104025905A (zh) * 2014-06-05 2014-09-10 山西省长治市微生物研究所 一种食用菌原种培养瓶及其使用方法
KR20160067605A (ko) 2014-12-04 2016-06-14 김용기 버섯 재배 용기
KR20170003580U (ko) 2016-04-06 2017-10-17 이화의 버섯배지 상자세트
KR20200052671A (ko) 2018-11-07 2020-05-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재배 용기
CN112106595A (zh) * 2020-09-02 2020-12-22 福建成发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杏鲍菇栽培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8851B1 (fr) * 2009-08-04 2012-02-24 Courtirey Conception Dispositif de culture hors-sol
ITUB20154136A1 (it) * 2015-10-01 2017-04-01 Maurizio Bagnato Metodo di produzione di funghi officinali, contenitore per la loro produzione e funghi cosi ottenuti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3559U (ko) 1974-09-02 1976-03-12
JPS5373957U (ko) 1976-11-22 1978-06-20
JPS55976U (ko) 1979-03-16 1980-01-07
JPS62144458U (ko) 1986-03-07 1987-09-11
JPS62167544U (ko) 1986-04-11 1987-10-24
JPS63173042U (ko) 1987-05-01 1988-11-10
JPH03114932U (ko) * 1990-03-09 1991-11-27
JPH0452424U (ko) * 1990-09-07 1992-05-01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3559U (ko) 1974-09-02 1976-03-12
JPS5373957U (ko) 1976-11-22 1978-06-20
JPS55976U (ko) 1979-03-16 1980-01-07
JPS62144458U (ko) 1986-03-07 1987-09-11
JPS62167544U (ko) 1986-04-11 1987-10-24
JPS63173042U (ko) 1987-05-01 1988-11-10
JPH03114932U (ko) * 1990-03-09 1991-11-27
JPH0452424U (ko) * 1990-09-07 1992-05-01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0448A3 (ko) * 2009-02-04 2010-11-25 Lee Jin Woo 버섯 재배 용기
KR101396646B1 (ko) * 2009-02-04 2014-05-16 이진우 버섯 균사체 배양용기
KR200456980Y1 (ko) 2009-03-12 2011-11-30 주식회사머쉬텍 동충하초 배양용기
CN104025905A (zh) * 2014-06-05 2014-09-10 山西省长治市微生物研究所 一种食用菌原种培养瓶及其使用方法
KR20160067605A (ko) 2014-12-04 2016-06-14 김용기 버섯 재배 용기
KR20170003580U (ko) 2016-04-06 2017-10-17 이화의 버섯배지 상자세트
KR20200052671A (ko) 2018-11-07 2020-05-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재배 용기
CN112106595A (zh) * 2020-09-02 2020-12-22 福建成发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杏鲍菇栽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50129A2 (en) 2008-12-11
WO2008150129A3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597B1 (ko)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버섯재배방법
CN103918475B (zh) 秀珍菇盆景式栽培的方法及用于栽培秀珍菇的培养基
CN105210671B (zh) 一种段木灵芝培育方法
KR101148759B1 (ko) 자실체의 모양을 균일하게 만드는 버섯의 병재배 방법
CN102273378B (zh) 一种海鲜菇的瓶栽方法
CN106818207B (zh) 一种金针菇的袋栽直生法
CN109757307A (zh) 适用于工厂化栽培的香菇菌株及其工厂化栽培方法
CN105453894A (zh) 一种瓶载金针菇高产的方法
CN102204474A (zh) 杏鲍菇的出菇方法
CN104686196B (zh) 一种通过阴干子实体保存和分离羊肚菌菌种的方法
CN203942847U (zh) 盆栽宠物蘑菇的装置
CN1235755A (zh) 袋栽食用菌长枝条菌种制作工艺
CN104718995B (zh) 姬菇固体液化菌种的制作方法
CN106856984A (zh) 一种珊瑚状猴头菌树花及其栽培方法
CN104186202B (zh) 一种工厂化生产香菇透气菌包的方法
JP2002051639A (ja) きのこの液体種菌の製造方法及び液体種菌の接種装置
CN106613336A (zh) 灵芝种植方法
CN103918481B (zh) 黄伞液体菌种拌菌栽培工艺
KR100800511B1 (ko) 팽이버섯 재배방법
CN107820998A (zh) 一种木耳栽培方法
KR100897522B1 (ko) 느타리버섯 재배용 침공 멀칭비닐백 및 이를 이용한버섯재배방법
KR102754231B1 (ko)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CN104686209A (zh) 一种利用沼渣发酵料栽培香菇的方法
WO2019003240A1 (en) NEW BIOREACTOR FOR THE MASS PRODUCTION OF MYCORRHIZAL ARBUSCULAR FUNGI
CN110089343A (zh) 一种利用绣球菌液体菌种和周转袋制备栽培菌棒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11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804597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8022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2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21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