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980Y1 - 동충하초 배양용기 - Google Patents

동충하초 배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980Y1
KR200456980Y1 KR2020090002854U KR20090002854U KR200456980Y1 KR 200456980 Y1 KR200456980 Y1 KR 200456980Y1 KR 2020090002854 U KR2020090002854 U KR 2020090002854U KR 20090002854 U KR20090002854 U KR 20090002854U KR 200456980 Y1 KR200456980 Y1 KR 200456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container body
cordyceps sinensis
cordyc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267U (ko
Inventor
성재모
성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머쉬텍
성기호
성재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머쉬텍, 성기호, 성재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머쉬텍
Priority to KR2020090002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98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9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8Cultivation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충하초 배양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중공부(11)와 상단부에 개구부(12)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개구부(12)에 삽입되어 개구부(12)를 덮는 용기 뚜껑(20)으로 구성되어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넓게 형성함과 더불어 마개를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정렬시켜 단순히 올려놓는 것만으로 마개가 닫히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여 제품의 가격이 저렴하면서 사용이 간편하고, 동충하초의 배양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 배양이 완료된 동충하초를 용기 본체에서 끄집어내는 동충하초 채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동충하초의 채취 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절감으로 경제적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용기를 폐기함이 없이 계속해서 재사용할 수 있어 폐용기의 처리에 따른 공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경비가 소요되지 않으면서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기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동충하초, 배양용기, 배지(培地), 폐플라스틱.

Description

동충하초 배양용기{A container for culture of cordyceps militaris}
본 고안은 동충하초를 배양하는 배양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여 제품의 가격이 저렴하면서 사용이 간편하고, 용기를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동충하초의 배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충하초 배양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버섯종균을 배양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유리병이나 합성수지포대속에 배지(培地)를 넣고 버섯종균을 투입한 다음 솜과 같은 여과성 물질로서 병구 또는 통기공을 봉함하여 병 또는 포대속에서 종균을 배양하는 것이었으므로, 용기내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통기구가 막히지 않도록 용기를 하나하나 별도로 배열시켜야 하고, 운반이나 보관시 용기를 여러개 중첩하여 적충시키는 경우에는 통기구가 적충된 다른 용기와 압착되므로서 외부의 공기가 용기내로 진입되지 못하여 산소공급부족으로 배양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8-0003133호의 "버섯종균 배양용기"가 실용신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8-0003133호의 "버섯종균 배양용기"는 도 1에 도 시한 바와 같이 용기(1)에 복착되는 마개(3)의 상면부에 통기통(5)을 입설한 것에 있어서, 통기통(5) 외주 위에 복수개의 지지벽(6)을 돌설하고, 각 지지벽(6)의 상면부(6')를 통기통(5)의 상면부(5')보다 높게 형성하여 각 지지벽(6)의 상면부(6')와 통기통(5)의 상면부(5') 사이에 통기간극(7)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배양용기를 여러겹으로 적층한 상태에서도 용기내로 외부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용기 위에 다른 용기를 여러개 적층시킬 수 있어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하다고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버섯종균 배양용기"는 용기(1)와 마개(3)가 나선상으로 체결되는 것이어서 신속하게 용기(1)와 마개(3)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없는 결점이 있고, 용기(1)의 상단부가 좁은 목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재배가 완료된 버섯을 용기(1)에서 끄집어내는 버섯 채취 작업을 용이할 수 없어 버섯의 채취 작업에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는 등 경제적이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버섯종균 배양 재배 용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이는 도 2에 도시한 용기 본체(1') 상단에 결합된 마개(3')를 분리시킨 좁은 개방부 만으로 버섯의 재배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버섯의 재배량이 적고 경제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용기 본체(1')의 하단부에 배지로 채워진 톱밥까지 활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바람직한 버섯재배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도 2에 도시한 "버섯종균 배양 재배 용기" 는 일체로 구성된 용기 본체(1') 상단 중앙부에 마개(3')가 결합 구성된 용기(P)를 이용한 버섯 종균배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용기 본체(1')로부터 마개(3')를 분리한 다음 용기(A)내에 배지로 톱밥을 투입하고 고압 살균하여 톱밥 내에 존재하는 균을 사멸하고 균의 사멸이 완료되면 무균실에 톱밥 내에 원균을 투입하고 마개(3')로 밀폐한 다음 배양실에서 종균을 배양하고, 종균의 배양이 완료되면 재배실로 옮겨 마개(3')을 개방한 다음 재배실에 적적한 온습도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버섯이 재배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버섯 재배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용기(P) 내에 충전된 톱밥에 원균을 주입한 다음 약 20일 정도 방치하게 되면 종균이 생성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용기(P) 내에 채워진 톱밥이 어느 정도 굳어지게 되므로 버섯재배 후 용기(P)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용기(P)내에 충전된 톱밥을 좁은 개방부를 통하여 제거하기가 매우 곤란하게 되고 따라서 현실적으로 재사용이 곤란하게 되므로 폐기처분하게 된다.
그러나 폐플라스틱 용기 등은 매립하거나 소각처리하여야 하므로 환경을 오염시키게 될 뿐 아니라 처리에도 많은 경비와 인력이 낭비되는 것이었다.
또한 버섯을 재배하고자 할 경우에도 용기(P) 상단에 결합된 마개(3')를 분리시킨 좁은 개방부 만으로 버섯의 재배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재배량이 적고 경제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용기(P)의 하단부에 채워진 톱밥까지 활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바람직한 버섯 재배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등록실용신안 제 0116617호의"버섯종균 배양 재배 용기"가 등록실용신안 공보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 0116617호의"버섯종균 배양 재배 용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섯 재배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를 하부 본체(a)와 상부 본체(b)로 분리 구성하되, 하부 본체(a) 상단부와 상부 본체(b) 하단부에 나선부(c, c')를 구성하고, 상기 나선부(c, c')를 이용하여 상하 본체(a, b)가 분해, 결합되게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하부 본체(a, b)를 다시 나사 결합한 다음 용기 내에 톱밥을 충전하고 다시 버섯을 재배할 수 있게 되므로 용기를 폐기처분할 필요가 없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폐용기의 처리에 따른 경비가 소요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며, 또한 한번에 많은 량의 버섯이 재배되므로 그만큼 생산성이 높아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나, 상하부 본체(a, b)의 나사 결합의 결합 분리와 상부 본체(b) 상단부 목부와 마개(d)의 나사 결합의 결합 분리를 이중으로 하게 됨으로써 사용상 많은 번거로움이 수반되어 사용상의 효율성을 저하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버섯 재배용 용기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넓게 형성함과 더불어 마개를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정렬시켜 단순히 올려놓는 것만으로 마개가 닫히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여 제품의 가격이 저렴하면서 사용이 간편한 동충하초 배양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가 넓어 동충하초의 배양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 배양이 완료된 동충하초를 용기 본체에서 끄집어내는 동충하초 채취 작업을 용이할 수 있어 동충하초의 채취 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절감으로 경제적성이 탁월한 동충하초 배양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를 폐기함이 없이 계속해서 재사용할 수 있어 폐용기의 처리에 따른 공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경비가 소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기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충하초 배양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동충하초 배양용기는 원통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중공부(11)와 상단부에 개구부(12)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에 삽입되어 개구부(12)를 덮는 용기 뚜껑(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넓게 형성함과 더불어 마개를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정렬시켜 단순히 올려놓는 것만으로 마개가 닫히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여 제품의 가격이 저렴하면서 사용이 간편하고, 동충하초의 배양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 배양이 완료된 동충하초를 용기 본체에서 끄집어내는 동충하초 채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동충하초의 채취 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절감으로 경제적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용기를 폐기함이 없이 계속해서 재사용할 수 있어 폐용기의 처리에 따른 공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경비가 소요되지 않으면서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기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동충하초 배양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 동충하초 배양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동충하초 배양용기에 동충하초를 배양한 상태의 단면도,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동충하초 배양용기의 사용 상태도로서, 본 고안 동충하초 배양용기는 원통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중공부(11)와 상단부에 개구부(12)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에 삽입되어 개구부(12)를 덮는 용기 뚜껑(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일체로 성형한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서, 하단부에는 수평방향 외주연을 따라 돌출되어 수평 보강리 브(10a)가, 수직방향외주연을 따라 돌출되어 다수의 수직 보강리브(10b)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 목부(13) 아래에는 수평방향 외주연을 따라 돌출되어 다수의 수평 보강리브(11a)가, 수직방향 외주연을 따라 돌출되어 다수의 수직 보강리브(11b)가 각각 형성되며, 상단부가 테를 이루는 개구부(12)로 형성되고, 바닥면 외주부가 하향 절곡되어 내부 바닥면 가장자리에 배양 배지로서 현미(X)가 들어가는 요홈부(14)가 형성되며, 바닥면부터 목부(13) 아래 까지의 횡단면 직경(D)이 88mm ∼ 92mm, 목부(13)의 횡단면 직경(d)이 78mm ∼ 82mm를 이루고 있다.
상기 용기 뚜껑(2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일체로 성형한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서, 원판(21)과, 상기 원판(21)의 바깥 선단이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바깥 절곡부(22) 및, 상기 바깥 절곡부(22) 내측에서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와 접하는 접속부 외측 원판(21)의 하부가 상기 바깥 절곡부(22) 보다 길게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 안쪽 절곡부(23)가 일체로 형성되고, 안쪽 절곡부(23) 내측면에 중심부를 향하여 돌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쪽 절곡부(23) 바깥측 원판(21)의 바깥 선단에 바깥 절곡부(22)를 형성하는 것은 용기 뚜껑(20)에 별도의 손잡이를 형성하지 않고, 바깥 절곡부(22)를 손으로 잡아 용기 뚜껑(2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동충하초 배양용기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 동충하초 배양용기를 사용하여 동충하초를 배양하고자 하면, 본 고안의 배양용기 다수를 수납하는 별도의 용기수납 상자(A)를 사용하게 된다,
용기수납 상자(A)에는 m × n 개의 배양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4 × 4로서, 16개의 배양용기를 수납되는 용기수납 상자(A)를 예로서 설명한다.
먼저 용기 본체(10)에 용기 뚜껑(20)을 덮지 않은 중공부(11)가 비어 있는 용기 본체(10) 16개를 개구부(12)를 위로하여 세워서 용기수납 상자(A)에 수납하고(도 6 참조), 용기 본체(10)가 수납된 용기수납 상자(A)를 현미 주입기로 이동시켜 배지로 사용될 일정량의 현미를 용기 본체(10) 각각의 중공부(11)에 일괄하여 주입한 다음 물 주입기로 용기 본체(10) 각각에 물을 주입한 후 용기 본체(10) 마다 용기 뚜껑(20)을 덮는다.
다음에는 용기수납 상자(A)를 살균실로 옮겨 각각의 배양용기를 살균한 다음 크린벤치로 이동시켜 각 용기 본체(10)에서 용기 뚜껑(20)을 열어 동충하초 종균을 접종한 다음 다시 용기 뚜껑(20) 덮고 배양실로 옮겨 배양실의 선반에 용기수납 상자(A)를 재치하여 배지로 사용되는 용기 본체(10) 내의 현미에서 동충하초가 배양을 시작하면, 용기 뚜껑(20)을 열어 용기 본체(10) 내로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면서 동충하초를 배양하게 된다.
동충하초의 배양이 완료되면, 동충하초를 용기 본체(10)에서 끄집어내는 동충하초 채취 작업을 실시하는데 용기 본체(10)의 바닥면부터 목부(13) 아래까지의 횡단면 직경(D)이 88mm ∼ 92mm, 목부(13)의 횡단면 직경(d)이 78mm ∼ 82mm를 이루어 용기 본체(10) 개구부(12)가 넓으므로 동충하초 채취 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동충하초를 채취한 후 배양용기는 다시 동충하초 배양에 재사용하 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안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버섯종균 배양용기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버섯종균 배양용기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버섯종균 배양용기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동충하초 배양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동충하초 배양용기에 동충하초를 배양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동충하초 배양용기의 사용 상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본체 10a : 수평 보강리브
10b : 수직 보강리브 11 : 중공부
11a : 수평 보강리브 11b : 수직 보강리브
12 : 개구부 13 : 목부
14 : 요홈부 20 : 용기 뚜껑
21 : 원판 22 : 바깥 절곡부
23 : 안쪽 절곡부 X : 현미(배양 배지)

Claims (3)

  1. 원통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중공부(11)와 상단부에 개구부(12)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개구부(12)에 삽입되어 개구부(12)를 덮는 용기 뚜껑(20)으로 구성된 동충하초 배양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일체로 성형한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서, 하단부에는 수평방향 외주연을 따라 돌출되어 수평 보강리브(10a)가, 수직방향 외주연을 따라 돌출되어 다수의 수직 보강리브(10b)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 목부(13) 아래에는 수평방향 외주연을 따라 돌출되어 다수의 수평 보강리브(11a)가, 수직방향 외주연을 따라 돌출되어 다수의 수직 보강리브(11b)가 각각 형성되며, 상단부가 테를 이루는 개구부(12)로 형성되고, 바닥면 외주부가 하향 절곡되어 내부 바닥면 가장자리에 배양 배지로서 현미(X)가 들어가는 요홈부(14)가 형성되며, 바닥면부터 목부(13) 아래까지의 횡단면 직경(D)이 88mm ∼ 92mm, 목부(13)의 횡단면 직경(d)이 78mm ∼ 82mm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충하초 배양용기.
  2. 삭제
  3. 삭제
KR2020090002854U 2009-03-12 2009-03-12 동충하초 배양용기 KR200456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54U KR200456980Y1 (ko) 2009-03-12 2009-03-12 동충하초 배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54U KR200456980Y1 (ko) 2009-03-12 2009-03-12 동충하초 배양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67U KR20100009267U (ko) 2010-09-27
KR200456980Y1 true KR200456980Y1 (ko) 2011-11-30

Family

ID=4419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854U KR200456980Y1 (ko) 2009-03-12 2009-03-12 동충하초 배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9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2989A (zh) * 2012-03-28 2012-08-01 何寒 一种盒栽培虫草的方法
KR101348883B1 (ko) * 2012-05-08 2014-01-08 조해석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425A (ja) 1997-09-18 1999-04-06 Etsuo Kobayashi キノコ栽培容器及びキノコ栽培方法
KR200186441Y1 (ko) * 1999-12-18 2000-06-15 이경군 버섯종균용기의 통풍뚜껑
JP2005333848A (ja) * 2004-05-25 2005-12-08 Okada Reinetsu Kiko Kk キノコ用栽培容器及びキノコの栽培方法
KR100804597B1 (ko) 2007-06-08 2008-02-20 주두심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버섯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425A (ja) 1997-09-18 1999-04-06 Etsuo Kobayashi キノコ栽培容器及びキノコ栽培方法
KR200186441Y1 (ko) * 1999-12-18 2000-06-15 이경군 버섯종균용기의 통풍뚜껑
JP2005333848A (ja) * 2004-05-25 2005-12-08 Okada Reinetsu Kiko Kk キノコ用栽培容器及びキノコの栽培方法
KR100804597B1 (ko) 2007-06-08 2008-02-20 주두심 수확증대용 버섯재배용기와 이를 이용한 2회 수확버섯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67U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85777B (zh) 一种菌瓶筐及其在工厂化生产中的使用方法
KR200456980Y1 (ko) 동충하초 배양용기
KR101214311B1 (ko)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KR101397313B1 (ko) 버섯재배용 용기세트
JP5302757B2 (ja) きのこ栽培用容器及びきのこ栽培用の子実体ガイド
CN101002531A (zh) 食用菌栽培筐及食用菌筐式集成栽培法
CN105143437B (zh) 细胞培养和/或生物制造系统
CN202190561U (zh) 一种北冬虫夏草培养盒
KR101348883B1 (ko)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KR20200042803A (ko) 표고버섯 배지 자동화 성형시스템
CN203827759U (zh) 多功能生物培养容器
CN213230085U (zh) 加强型生活垃圾发酵桶
KR101906117B1 (ko) 동충하초 배양, 재배, 생산 및 판매용기
KR100679248B1 (ko) 배지를 공유하는 칸막이가 구분된 배양용기
CN210943236U (zh) 一种消化内科分类垃圾桶
CN2460526Y (zh) 便携式食用菌菌种瓶
CN201619730U (zh) 一种培养基的包装盒
CN203692125U (zh) 一种高光效新型植物组织培养瓶
KR100698892B1 (ko) 버섯 생육지지틀
CN206212709U (zh) 一种人工培植蘑菇用培植罐
KR101775380B1 (ko) 대용량 톱밥배지의 원통형 배양 용기
JP3145813U (ja) シャーレ
KR100978237B1 (ko) 필터 교환이 가능한 생물 배양용기
CN203505119U (zh) 利用餐厨垃圾栽培食用菌的培养箱
KR102517543B1 (ko) 저장부처리시스템의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