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144B1 - 버섯종균 배양장치 - Google Patents

버섯종균 배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144B1
KR102108144B1 KR1020190074228A KR20190074228A KR102108144B1 KR 102108144 B1 KR102108144 B1 KR 102108144B1 KR 1020190074228 A KR1020190074228 A KR 1020190074228A KR 20190074228 A KR20190074228 A KR 20190074228A KR 102108144 B1 KR102108144 B1 KR 102108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ir
mushroom
spawn
culture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시천
Original Assignee
우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시천 filed Critical 우시천
Priority to KR1020190074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18Flow directing inse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press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종균을 증식하는 배양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밀폐된 챔버 안에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으로 청정한 공기를 주입하고, 활성화 물질이 담긴 케이싱을 챔버 안에서 서서히 회전시켜 내부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액상에서 증식하는 버섯종균의 활성도를 높이므로, 종균의 배양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종균을 왕성한 상태로 증식시켜 고사를 방지하고, 버섯의 생산성을 높이는 버섯종균 배양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바닥면에 놓이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개방된 챔버; 상기 챔버의 개방된 일측부에 결합 설치되며, 개폐되는 커버; 상기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챔버 안에서 활성화 물질을 회전시키는 활성기; 및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에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으로 청정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밸브;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버섯종균 배양장치 {Mushroom species culture apparatus}
본 발명은 능이ㆍ송이ㆍ표고ㆍ느타리 등의 버섯종균을 증식하는 배양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밀폐된 챔버 안에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으로 청정한 공기를 주입하고, 활성화 물질이 담긴 케이싱을 챔버 안에서 서서히 회전시켜 내부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액상에서 증식하는 버섯종균의 활성도를 높이므로, 종균의 배양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종균을 왕성한 상태로 증식시켜 고사를 방지하고, 버섯의 생산성을 높이는 버섯종균 배양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버섯류는 생물의 분류 체계상 담자균류에 속하는 미생물로서, 독성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능이ㆍ송이ㆍ표고ㆍ느타리 등의 버섯류는 고단백 식품으로서 미래에 육류를 대체할 수 있는 식품으로 기대되고 있다.
버섯류는 각각의 종류마다 그 재배방법 내지 재배조건이 다르지만, 통상적으로는 최초의 원균을 채취하여 한천배지 등에서 배양한 다음, 이를 액체 또는 고형물에 일정기간 배양하여 버섯종균을 얻고, 이러한 버섯종균을 일반 농가 등에서 재배하여 최종적인 버섯을 채취하게 된다.
최근 원균의 채취 및 배양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행해지는 반면, 버섯종균의 배양방법은 날로 새로운 방법이 등장하고 있으며, 버섯종균의 배양방법은 오늘날 가장 일반화된 고체종균배양법과, 최근에 비로소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액체종균배양법이 있다.
종래 세균이나 또는 해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버섯 배양기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879호(버섯 배양기)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배지재료가 담기게 되고, 상부가 개방된 직립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주입구를 가지고, 몸체는 중간 부분이 잘록하게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끼워지되, 횡판에 제1 통기공이 타공되는 상부뚜껑과, 상기 상부뚜껑이 안착되는 상부뚜껑안착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둥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용기결합부가 구비되며 횡판에 제2통기공이 타공되는 하부뚜껑을 구비한 뚜껑체; 상기 상부뚜껑과 상기 하부뚜껑 사이에 상기 용기본체에서 증발로 상승되는 수분을 흡착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공성 흡착부재; 상기 상부뚜껑의 상면에 상기 제1통기공을 덮도록 고정 설치되는 다공성 필터부재; 및 상기 상부뚜껑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뚜껑 위에 물체를 적층시키는 경우 상기 제1 통기공을 통해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는 받침구;를 포함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뚜껑체는 내부에 납작한 공간이 마련되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 흡착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용기본체에서 올라오는 수분을 흡수하여 잡균의 생장을 저지할 수 있으며, 제1통기공에도 필터부재가 설치되어 이중으로 불순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배양용기를 상하로 적층시켜도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여 용적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종래 참송이버섯의 종균을 확대 배양하기 위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3455호(참송이버섯 종균배양액용 확대배양기)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내부에 참송이버섯 종균확대배양액과 액체배양액을 본체 내에 수용하고, 본체에 설치된 에어주입구에 에어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무균상태의 정제 및 냉각된 에어를 공급받아 본체 내에 수용된 배양액에 수장된 상기 에어주입구에서 발생된 에어로 버블작용을 하며, 버블작용으로 발생된 에어는 본체에 설치된 에어배출구로 배출되게 하여 본체 내에서 참송이버섯 종균확대배양액과 액체배양액을 무균상태에서 에어로 버블 및 혼합작용을 유도하여 참송이버섯 확대배양액을 보다 안정적으로 신속하게 배양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종래 버섯종균의 배양기는 온도와 습도 등이 적합하지 않아 액상에서 증식하는 미생물 상태의 버섯종균이 활성도가 저하되어 배양효과가 기대에 못미치고, 버섯종균의 배양에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버섯의 품질이 떨어지며, 종균의 고사 등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77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75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345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879호.
본 발명은 종래 버섯종균 배양기의 선행기술에서 종균의 활성도가 저하되어 배양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종균이 고사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챔버의 내부공간에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으로 청정한 공기를 주입하고, 모터로 활성화 물질이 담긴 케이싱을 챔버 안에서 서서히 회전시켜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므로, 버섯종균의 활성도를 높이는 버섯종균 배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의 챔버 안에서 버섯종균의 활성도를 높이므로, 종균의 배양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종균을 왕성한 상태로 증식시켜 고사를 방지하고, 버섯의 생산성을 높이는 버섯종균 배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바닥면에 놓이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개방된 챔버; 상기 챔버의 개방된 일측부에 결합 설치되며, 개폐되는 커버; 상기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챔버 안에서 활성화 물질을 회전시키는 활성기; 및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에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으로 청정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밸브;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챔버의 일측에 에어배출밸브와 압력게이지 및 안전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에어주입밸브는 청정한 공기가 공급되며, 8~10 기압(atm)으로 챔버의 내부공간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챔버 안에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으로 청정한 공기를 주입하고, 활성화 물질이 담긴 케이싱을 챔버 안에서 서서히 회전시켜 정체된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면서 배양과정이 진행됨으로써, 버섯종균의 활성도를 높이므로, 종균의 배양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종균을 왕성한 상태로 증식시켜 고사를 방지하고, 버섯의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활성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활성기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바닥면에 놓이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개방된 챔버(20); 상기 챔버(20)의 개방된 일측부에 결합 설치되며, 개폐되는 커버(30); 상기 챔버(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챔버(20) 안에서 활성화 물질을 회전시키는 활성기(40); 및 상기 챔버(20)의 내부공간에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으로 청정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밸브(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프레임(10)은 지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챔버(20)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프레임(1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수직상으로 구성되며, 하부가 지면 또는 바닥면에 놓여 배치된다.
상기에서 프레임(10)은 내구성이 우수한 철재 또는 알루미늄 사각 빔(Beam) 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가능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지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챔버(20)를 지지하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챔버(20)는 버섯종균을 증식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챔버(2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내부공간이 구비된 수평상태의 원통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내부공간에 버섯종균이 담긴 용기(200)를 넣을 수 있도록 일측부가 개방된다.
상기에서 챔버(20)는 개방된 일측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플랜지(21)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21)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볼트(32)가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에서 원통 형태로 구성된 챔버(20)는 버섯종균이 담긴 용기(200)를 내부공간에 안정적으로 적치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의 바닥에 테이블(100)이 놓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커버(30)는 챔버(20)를 밀폐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커버(3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챔버(20)의 개방된 일측부에 결합 설치되고, 반구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 둘레에 플랜지(31)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커버(30)는 도면에서 도 2와 같이,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31)가 챔버(20)의 일측부에 형성된 플랜지(21)에 밀착된 다음, 다수개의 체결볼트(32)로 결합 설치됨으로써, 챔버(2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며, 또한 체결볼트(32)를 분리하여 개폐된다.
한편 상기에서 챔버(20)의 일측부에 형성된 플랜지(21)와 커버(30)에 형성된 플랜지(31) 사이에 가스켓이나 또는 패킹을 끼워서 플랜지(21)(31) 사이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활성기(40)는 버섯종균의 활성도를 높이는 기능으로서, 상기 활성기(4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챔버(20)의 상부 일측에 하우징(4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1)의 상부에 브라켓(42)을 매개체로 모터(43)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에서 하우징(41)의 아래 내부공간에 케이싱(45)이 배치되고, 모터(43)의 구동 샤프트(44)가 브라켓(42)과 하우징(41)을 관통하여 케이싱(45)의 상부 중앙에 설치됨으로써, 모터(43)의 구동으로 케이싱(45)이 챔버(20) 안에서 회전하며, 여기서 모터(43)의 구동 샤프트(44)는 하우징(41)에서 기밀성을 갖고 회전한다.
모터(43)의 구동으로 챔버(20) 안에서 회전하는 케이싱(45)은 내부에 활성화 물질이 담기며, 여기서 활성화 물질은 음이온을 방출하는 자연석이나 또는 기타 음이온 물질을 적용할 수 있고, 버섯종균의 활성도를 높인다.
상기에서 케이싱(45)은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내부에 활성화 물질을 넣을 수 있도록 일측에 도어(46)가 구비되고, 모터(43)의 구동으로 챔버(20) 안에서 서서히 회전(30~60rpm)하여 챔버(20)의 정체된 내부공기를 순환시킨다.
한편 케이싱(45)은 도면에서 도 6과 같이, 챔버(20)의 정체된 내부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부 가장자리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블레이드(47)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에어주입밸브(50)는 챔버(20)의 내부공간에 청정한 공기를 주입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에어주입밸브(5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챔버(20)의 일측에 부착 설치되며, 컴프레셔와 여과필터를 통해 청정한 공기가 공급되어 챔버(20)의 내부공간으로 주입된다.
상기에서 에어주입밸브(50)는 가능한 챔버(20)의 측면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고,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 즉, 컴프레셔를 통해 8~10 기압(atm)으로 챔버(20)의 내부공간에 압축공기를 주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챔버(20)의 내부공간에 주입된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 일측에 에어배출밸브(60)가 설치되고, 또한 챔버(20)의 내부 압력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부 일측에 압력게이지(70)가 설치되는 한편 챔버(20)의 내부 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부 일측에 안전밸브(8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챔버에서 커버를 분리하여 열고, 챔버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테이블에 버섯종균이 담긴 용기를 적치한 다음, 다시 챔버에 커버를 결합하여 밀폐시킨 후, 에어주입밸브를 통해 청정한 공기를 챔버 안에 주입하여 8~10 기압(atm)으로 유지한다.
다음은, 모터를 구동시켜 활성화 물질이 담긴 케이싱을 챔버 안에서 서서히 회전시켜 챔버의 정체된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일정시간 버섯종균의 배양과정이 수행되며, 종균의 증식 배양이 완료되면, 다시 챔버에서 커버를 분리하여 열고, 용기를 꺼내서 버섯을 재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밀폐된 챔버 안에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으로 청정한 공기를 주입하고, 활성화 물질이 담긴 케이싱을 챔버 안에서 서서히 회전시켜 내부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버섯종균의 활성도를 높이므로, 종균의 배양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종균을 왕성한 상태로 증식시켜 고사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프레임 20: 챔버
21: 플랜지 30: 커버
31: 플랜지 40: 활성기
41: 하우징 42: 브라켓
43: 모터 45: 케이싱
50: 에어주입밸브 60: 에어배출밸브
70: 압력게이지 80: 안전밸브
100: 테이블 200: 용기

Claims (3)

  1. 바닥면에 놓이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개방된 챔버(20); 상기 챔버(20)의 개방된 일측부에 결합 설치되며, 개폐되는 커버(30); 상기 챔버(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챔버(20) 안에서 활성화 물질을 회전시키는 활성기(40); 및 상기 챔버(20)의 내부공간에 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으로 청정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밸브(50);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20)의 일측에 에어배출밸브(60)와 압력게이지(70) 및 안전밸브(80)가 설치되며, 상기 챔버(20)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수평상태의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버섯종균이 담긴 용기(200)를 내부공간에 안정적으로 적치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의 바닥에 테이블(100)이 놓여 설치되며,
    상기 커버(30)는 반구형상으로 구성되고, 가장자리 둘레에 플랜지(31)가 형성되며,
    상기 활성기(40)는 챔버(20)의 상부 일측에 하우징(4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1)의 상부에 브라켓(42)을 매개체로 모터(43)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41)의 아래 내부공간에 케이싱(45)이 배치되는 한편 모터(43)의 구동 샤프트(44)가 브라켓(42)과 하우징(41)을 관통하여 케이싱(45)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45)은 내부에 활성화 물질을 넣을 수 있도록 일측에 도어(46)가 구비되는 한편 가장자리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블레이드(47)가 설치되며, 모터(43)의 구동으로 챔버(20) 안에서 서서히 회전하여 챔버(20)의 정체된 내부공기를 순환시키고,
    상기 에어주입밸브(50)는 컴프레셔와 여과필터를 통해 청정한 공기가 공급되며, 8~10 기압(atm)으로 챔버(20)의 내부공간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종균 배양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074228A 2019-06-21 2019-06-21 버섯종균 배양장치 KR102108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228A KR102108144B1 (ko) 2019-06-21 2019-06-21 버섯종균 배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228A KR102108144B1 (ko) 2019-06-21 2019-06-21 버섯종균 배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144B1 true KR102108144B1 (ko) 2020-05-07

Family

ID=7073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228A KR102108144B1 (ko) 2019-06-21 2019-06-21 버섯종균 배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1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749B1 (ko) 2010-03-11 2011-01-14 이상환 액상 버섯종균 배양탱크
KR20120063570A (ko) * 2010-12-08 2012-06-18 하연조 토르말린 세라믹볼을 이용한 버섯의 재배방법
KR101247515B1 (ko) 2012-10-15 2013-03-26 김창수 버섯종균 배양장치
KR200474879Y1 (ko) 2014-03-26 2014-10-23 이용훈 버섯 배양기
KR101473455B1 (ko) 2014-02-03 2014-12-18 안기섭 참송이버섯 종균배양액용 확대배양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749B1 (ko) 2010-03-11 2011-01-14 이상환 액상 버섯종균 배양탱크
KR20120063570A (ko) * 2010-12-08 2012-06-18 하연조 토르말린 세라믹볼을 이용한 버섯의 재배방법
KR101247515B1 (ko) 2012-10-15 2013-03-26 김창수 버섯종균 배양장치
KR101473455B1 (ko) 2014-02-03 2014-12-18 안기섭 참송이버섯 종균배양액용 확대배양기.
KR200474879Y1 (ko) 2014-03-26 2014-10-23 이용훈 버섯 배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72525B (zh) 椰糠制备的食用菌工厂化栽培基质及其应用
RO120977B1 (ro) Utilaj şi procedeu de fermentare în stare solidă
JP2020500001A (ja) 食薬用真菌を液体静置培養する方法
TWI393530B (zh) The method of inoculation and cultivation of
KR20170064143A (ko) 장수하늘소 동충하초의 코디세핀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배양 및 생육방법
KR20120024421A (ko) 버섯 액체 종균의 제조방법
KR101473455B1 (ko) 참송이버섯 종균배양액용 확대배양기.
KR102108144B1 (ko) 버섯종균 배양장치
KR200474879Y1 (ko) 버섯 배양기
KR102316718B1 (ko) 액체배지를 이용한 버섯류의 균사체를 포함하는 곡류 제조방법
KR100204982B1 (ko) 담자균류의 액체종균 배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액체종균
KR101211496B1 (ko) 버섯 균사 배양기용 뚜껑
KR20130112587A (ko)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표고버섯 재배방법
JP2000069845A (ja) キノコの子実体を容器で栽培する方法
CN108293618B (zh) 白桦茸菌丝体培养瓶装置
JP2004033005A (ja) キノコ栽培用培地の製造方法、キノコ栽培用培地、及びキノコ生産方法
KR102480919B1 (ko) 버섯 재배 용기
KR100226632B1 (ko) 상황버섯의 재배방법
KR101007749B1 (ko) 액상 버섯종균 배양탱크
KR100370049B1 (ko) 드럼형 공기부양식 생물배양기
KR101869738B1 (ko)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방법, 상기 배양방법을 이용한 베타글루칸 원료 제조방법 및 상기 배양방법에 사용되는 배양병
CN210808574U (zh) 家用菌菜一体化多功能栽培箱
KR20010036047A (ko) 버섯 재배용 배양병과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방법
KR20010069114A (ko) 한약재 추출 성분을 갖는 버섯균사체를 함유하는 곡류 및그의 제조방법
KR20160034108A (ko)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