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018B1 - 가드레일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018B1
KR101211018B1 KR1020120112742A KR20120112742A KR101211018B1 KR 101211018 B1 KR101211018 B1 KR 101211018B1 KR 1020120112742 A KR1020120112742 A KR 1020120112742A KR 20120112742 A KR20120112742 A KR 20120112742A KR 101211018 B1 KR101211018 B1 KR 101211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ole
bolt
rai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민균
장대영
Original Assignee
장대영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영,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대영
Priority to KR1020120112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주의 전면과 가드레일의 배면 사이에 상부보강구가 결합된 가드레일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강구는 상기 지주를 감싸며 볼트로 결합되어지는 상부고정부재의 양측에 상부보강지지대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보강지지대의 타측이 가드레일의 배면에 결합된 상부길이조절대에 각각 결합되어지되, 상기 상부고정부재는 배면이 절개되어 원통형태로 벤딩된 상부고정몸체의 양측 상,하부에 제1관통홀을 갖는 리브편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보강지지대는
Figure 112012082490088-pat00016
형태를 갖는 상,하부플랜지의 일측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제3관통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부길이조절대는 볼트공이 형성된
Figure 112012082490088-pat00017
형 상부길이조절몸체의 상,하부 양측에 다수개의 길이조절공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부고정몸체의 리브편에 상기 상부보강지지대의 상,하부플랜지 일측이 맞대어져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을 관통하는 제1수직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길이조절대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상부보강지지대의 타측이 맞대어져 제3관통홀과 길이조절공을 관통하는 제2수직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드레일 보강구조{Guardrail reinforc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가드레일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각의 상부보강지지대의 일측이 지주를 감싸는 상부고정부재에 결합되어지며 타측이 가드레일의 배면에 결합된 상부길이조절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차선 밖으로 나가거나 언덕 밑으로 떨어지는 사고를 막기 위하여 도로변이나 보도 및 차도의 경계, 고속도로 중앙에 설치하는 방호책을 가드레일(Guardrail)이라고 한다.
가드레일은 W형의 단면을 가진 금속제빔(Bean)을 지주에 결합시킨 것으로 차량 운전자의 눈에 쉽게 식별되어지게 밝은 색으로 도장되어 있으며, 주행중인 차량이 접촉되었을 때 차체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을 원래의 차도로 되돌려 보내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노견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는 지주가 설치되어지고, 지주와 지주 사이의 전면에 금속제빔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어지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노견의 가장자리에 배수구 또는 배수시설이 갖추어진 경우, 지주와 금속제빔 사이의 간격이 상이함에 따라 별도의 블록아웃(스페이서)을 이용하여 간격이 메워진 상태에서 금속제빔이 이웃하는 다른 지주와 평행하게 볼트와 너트로 결합된 상태로 시공되어지게 된다. 즉, 블록아웃은 내부가 중공인 형태를 갖는 스틸재로 형성된 것으로 간격에 따라 필요한 만큼 전면과 배면이 서로 맞대어져 용접이음 또는 볼트이음으로 결합되어 최종배면측으로 위치된 블록아웃의 배면이 지주에 맞대어지고, 최종전면측으로 위치된 블록아웃의 전면이 금속재빔의 배면에 맞대어져 볼트이음으로 결합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지주와 금속제빔 사이의 간격을 메우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블록아웃은 금속제빔의 배면에 직각인 형태로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차량이 충돌할 경우 충격력이 지주까지 전달되지 못하고 블록아웃의 중간부분이 비틀림으로 인한 변형 및 파손됨에 따라 피해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가 금속제빔과 블록아웃을 통해 지주까지 전달되지 못함과 동시에 전체로 분산되지 못하고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됨에 따라 가드레일인 금속제빔이나 차량이 심하게 파손되는 등 가드레일의 기능이 상실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차량이 가드레일에 충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가 금속제빔과 블록아웃을 통해 지주까지 전달됨에 따라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분산되어지도록 하여 금속제빔이나 차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가드레일의 기능이 되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주(10)의 전면과 가드레일(20)의 배면 사이에 상부보강구(40)가 결합된 가드레일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강구(40)는 상기 지주(10)를 감싸며 볼트로 결합되어지는 상부고정부재(41)의 양측에 상부보강지지대(42)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보강지지대(42)의 타측이 가드레일(20)의 배면에 결합된 상부길이조절대(43)에 각각 결합되어지되, 상기 상부고정부재(41)는 배면이 절개되어 원통형태로 벤딩된 상부고정몸체(411)의 양측 상,하부에 제1관통홀(413)을 갖는 리브편(41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보강지지대(42)는
Figure 112012082490088-pat00001
형태를 갖는 상,하부플랜지(421)의 일측에 제2관통홀(422)이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제3관통홀(42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부길이조절대(43)는 볼트공(431)이 형성된
Figure 112012082490088-pat00002
형 상부길이조절몸체(432)의 상,하부 양측에 다수개의 길이조절공(43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부고정몸체(411)의 리브편(412)에 상기 상부보강지지대(42)의 상,하부플랜지(421) 일측이 맞대어져 제1관통홀(413)과 제2관통홀(422)을 관통하는 제1수직볼트(B1)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길이조절대(43)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상부보강지지대(42)의 타측이 맞대어져 제3관통홀(423)과 길이조절공(432)을 관통하는 제2수직볼트(B2)에 의하여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10)의 상부보강구(40) 하부에 하부보강구(5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하부보강구(50)는 상기 가드레일(20)의 하부에 구비된 보조레일(3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보강구(50)는 상기 지주(10)를 감싸는 하부고정부재(51)의 상,하부에
Figure 112012082490088-pat00003
형태를 갖는 하부보강지지대(5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고정부재(51)는 배면이 절개된 하부고정몸체(511)의 양측에 관통홀(512)이 형성된 수직플랜지(513)가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고정몸체(511)의 전면 상,하부에 관통홀(514)이 형성된 수평플랜지(515)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플랜지(515)에 하부보강지지대(52)의 일측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보강지지대(52)의 타측이 상기 보조레일(30)의 배면 하부에 결합된 하부길이조절대(53)에 각각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레일(30)은
Figure 112012082490088-pat00004
형태를 갖는 레일몸체(31)의 상부 양측에 볼트공(3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레일몸체(31)의 내부로
Figure 112012082490088-pat00005
형 레일고정편(32)이 걸려지게 끼워지고, 상기 레일고정편(32)에 볼트공(321)이 형성되어 하부길이조절편(53)에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보강부(40)의 상부고정부재(41)와 상부길이조절대(43) 사이에는 블록아웃(6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블록아웃(60)은 중공형 다각스페이서(61)의 배면이 상부고정부재(41)의 전면에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다각스페이서(61) 전면에 원통스페이서(62)의 배면이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원통스페이서(62)의 전면에 브라켓(63)의 배면이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다각스페이서(61)는 전,후면에 오목부(611)가 형성되어 맞대어지고, 상기 브라켓(63)은 볼록부(631)의 양측에 전방으로 확장되어지는 확장편(632)이 절곡되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상부보강지지대의 일측이 지주를 감싸는 상부고정부재에 결합되어지며 타측이 가드레일의 배면에 결합된 상부길이조절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가드레일에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가 금속제빔인 가드레일과 블록아웃을 통해 지주까지 전달되어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충돌에너지가 충분히 분산되어지도록 하여 금속제빔인 가드레일이나 차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사고피해를 최소화하는 가운데 가드레일 본연의 기능을 되살릴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보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보강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보강구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보강구조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다른 가드레일 보강구조를 도시한 평면 및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보강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보강구조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전면과 가드레일(20)의 배면 사이에 상부보강구(40)가 결합되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주(10)는 노면의 가장자리에 소정 깊이로 하부가 매립되어지며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시공되어진 것으로 특히, 노면의 가장자리에는 도5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배수로(80)가 시공되어진 경우, 배수로(80)의 폭 또는 길이에 맞게 노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더 이격된 상태로 직립되게 시공된다. 이러한 상기 지주(10)는 중공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주캡(11)이 결합된다.
상기 가드레일(20)은 소정 두께를 갖는 강판이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강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하여 여러 방향 특히, 전면이나 경사진 측면에서 차량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주(10)의 하부에는 가드레일(20)과 더불어 충격을 더 완충할 수 있는 보조레일(30)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레일(30)은 도로경계석(60)의 상부에 하부가 맞대어진 상태로 안착되게 시공된다.
상기 보조레일(30)은
Figure 112012082490088-pat00006
형태를 갖는 레일몸체(31)의 상부 양측에 볼트공(311)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레일몸체(31)와 길이방향으로 연결브라켓(70)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레일몸체(31)의 내부에는 볼트공(321)이 형성된
Figure 112012082490088-pat00007
형 레일고정편(32)이 걸려지게 끼워지고, 상기 레일고정편(32)에 하부길이조절편(53)이 맞대어져 볼트공(321)에 체결되는 볼트(B)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상부보강구(40)는 차량이 가드레일(20)에 충돌되는 과정에서 충돌에너지가 지주(10)까지 충분하게 전달되어 분산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지주(10)를 감싸며 볼트(B)로 결합되어지는 상부고정부재(41)의 양측에 상부보강지지대(42)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보강지지대(42)의 타측이 가드레일(20)의 배면에 결합된 상부길이조절대(43)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상부고정부재(41)는 배면이 수직방향으로 절개되게 원통형태로 벤딩된 상부고정몸체(411)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상부고정몸체(411)의 양측 상,하부에 제1관통홀(413)을 갖는 리브편(412)이 수평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보강지지대(42)는 충돌에너지가 직접 지주(10)까지 전달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Figure 112012082490088-pat00008
형태를 갖는 상,하부플랜지(421)의 일측에 제2관통홀(422)이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제3관통홀(42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길이조절대(43)는 가드레일(20)의 배면에 맞대어져 가드레일(20)이 전면에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배면 양측이 상부보강지지대(42)가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길이방향 양측에 볼트공(431)이 형성된
Figure 112012082490088-pat00009
형 상부길이조절몸체(432)의 상,하부 양측에 다수개의 길이조절공(4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고정몸체(411)의 리브편(412)에 상기 상부보강지지대(42)의 상,하부플랜지(421) 일측이 맞대어져 제1관통홀(413)과 제2관통홀(422)을 관통하는 제1수직볼트(B1)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길이조절대(43)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상부보강지지대(42)의 타측이 맞대어져 제3관통홀(423)과 길이조절공(432)을 관통하는 제2수직볼트(B2)에 의하여 결합된다.
한편, 상기 지주(10)의 상부보강구(40)의 하부에는 별도의 하부보강구(50)가 결합되어 차량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가 더 완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보강구(50)는 상기 가드레일(20)의 하부에 구비된 보조레일(3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보강구(50)는 상기 지주(10)를 감싸는 하부고정부재(51)의 상,하부에
Figure 112012082490088-pat00010
형태를 갖는 하부보강지지대(52)가 결합된다.
상기 하부고정부재(51)는 배면이 절개된 하부고정몸체(511)의 양측에 관통홀(512)이 형성된 수직플랜지(513)가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몸체(511)의 전면 상,하부에 관통홀(514)이 형성된 수평플랜지(515)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수평플랜지(515)에 하부보강지지대(52)의 일측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보강지지대(52)의 타측이 상기 보조레일(30)의 배면 하부에 결합된 하부길이조절대(53)에 각각 결합된다.
한편, 상기 상부보강부(40)의 상부고정부재(41)와 상부길이조절대(43) 사이에는 블록아웃(60)이 구비되어 더 강도가 보강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블록아웃(60)은 중공형 다각스페이서(61)의 배면이 상부고정부재(41)의 전면에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다각스페이서(61) 전면에 원통스페이서(62)의 배면이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원통스페이서(62)의 전면에 브라켓(63)의 배면이 맞대어져 볼트(B)결합된다. 상기 다각스페이서(61)는 전,후면에 오목부(611)가 형성되어 원통스페이서(62)에 맞대어져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63)은 볼록부(631)의 양측에 전방으로 확장되어지는 확장편(632)이 절곡되어 절곡된 확장편(632)이 상부길이조절대(43) 및 가드레일(20)의 배면에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지주(10)가 원통형태를 가지며 블록아웃(60)이 다각스페이서(61) 및 원통스페이서(62)로 구성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I형태의 단면을 갖는 부재가 사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지주 20:가드레일
40:상부보강구 41:상부고정부재
42:상부보강지지대 43:상부길이조절대
411:상부고정몸체 412:리브편
413:제1관통홀 421:상,하부플랜지
422:제2관통홀 423:제3관통홀
431:볼트공 432:길이조절공
532:상부길이조절몸체

Claims (4)

  1. 지주(10)의 전면과 가드레일(20)의 배면 사이에 상부보강구(40)가 결합된 가드레일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강구(40)는 상기 지주(10)를 감싸며 볼트로 결합되어지는 상부고정부재(41)의 양측에 상부보강지지대(42)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보강지지대(42)의 타측이 가드레일(20)의 배면에 결합된 상부길이조절대(43)에 각각 결합되어지되, 상기 상부고정부재(41)는 배면이 절개되어 원통형태로 벤딩된 상부고정몸체(411)의 양측 상,하부에 제1관통홀(413)을 갖는 리브편(41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보강지지대(42)는
    Figure 112012082490088-pat00011
    형태를 갖는 상,하부플랜지(421)의 일측에 제2관통홀(422)이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제3관통홀(42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부길이조절대(43)는 볼트공(431)이 형성된
    Figure 112012082490088-pat00012
    형 상부길이조절몸체(432)의 상,하부 양측에 다수개의 길이조절공(43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부고정몸체(411)의 리브편(412)에 상기 상부보강지지대(42)의 상,하부플랜지(421) 일측이 맞대어져 제1관통홀(413)과 제2관통홀(422)을 관통하는 제1수직볼트(B1)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길이조절대(43)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상부보강지지대(42)의 타측이 맞대어져 제3관통홀(423)과 길이조절공(432)을 관통하는 제2수직볼트(B2)에 의하여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보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의 상부보강구(40) 하부에 하부보강구(5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하부보강구(50)는 상기 가드레일(20)의 하부에 구비된 보조레일(3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보강구(50)는 상기 지주(10)를 감싸는 하부고정부재(51)의 상,하부에
    Figure 112012082490088-pat00013
    형태를 갖는 하부보강지지대(5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고정부재(51)는 배면이 절개된 하부고정몸체(511)의 양측에 관통홀(512)이 형성된 수직플랜지(513)가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고정몸체(511)의 전면 상,하부에 관통홀(514)이 형성된 수평플랜지(515)가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플랜지(515)에 하부보강지지대(52)의 일측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보강지지대(52)의 타측이 상기 보조레일(30)의 배면 하부에 결합된 하부길이조절대(53)에 각각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보강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레일(30)은
    Figure 112012082490088-pat00014
    형태를 갖는 레일몸체(31)의 상부 양측에 볼트공(3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레일몸체(31)의 내부로
    Figure 112012082490088-pat00015
    형 레일고정편(32)이 걸려지게 끼워지고, 상기 레일고정편(32)에 볼트공(321)이 형성되어 하부길이조절편(53)에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보강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강부(40)의 상부고정부재(41)와 상부길이조절대(43) 사이에는 블록아웃(6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블록아웃(60)은 중공형 다각스페이서(61)의 배면이 상부고정부재(41)의 전면에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다각스페이서(61) 전면에 원통스페이서(62)의 배면이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원통스페이서(62)의 전면에 브라켓(63)의 배면이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다각스페이서(61)는 전,후면에 오목부(611)가 형성되어 맞대어지고, 상기 브라켓(63)은 볼록부(631)의 양측에 전방으로 확장되어지는 확장편(632)이 절곡되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보강구조.
KR1020120112742A 2012-10-11 2012-10-11 가드레일 보강구조 KR101211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42A KR101211018B1 (ko) 2012-10-11 2012-10-11 가드레일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42A KR101211018B1 (ko) 2012-10-11 2012-10-11 가드레일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018B1 true KR101211018B1 (ko) 2012-12-11

Family

ID=4790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742A KR101211018B1 (ko) 2012-10-11 2012-10-11 가드레일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0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052B1 (ko) * 2013-04-19 2013-07-19 (주) 유창스틸산업 내구성, 내오염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친환경 가드레일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가드레일 구조체
KR101306577B1 (ko) * 2013-04-12 2013-09-1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가드레일 보강 구조체
CN106894367A (zh) * 2017-04-19 2017-06-27 武汉理工大学 一种针对斜向撞击的高速公路防撞护栏
KR20190045998A (ko) 2017-10-25 2019-05-07 유한회사 삼신기업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
KR20190056678A (ko) 2017-11-17 2019-05-27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충격흡수식 지주 보강구조
KR102369718B1 (ko) * 2021-12-08 2022-03-03 주식회사 한국배리어 가드레일 보강 구조체 및 그 보강방법
KR20230023384A (ko) * 2021-08-10 2023-02-17 최선명 가드레일 보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61B1 (ko) 2006-11-07 2007-09-13 한국도로공사 도로 가이드레일용 블록아웃
KR100832789B1 (ko) 2007-05-22 2008-05-28 김원주 차량충격이 다중분산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KR101007728B1 (ko) 2010-07-19 2011-01-13 윤재경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61B1 (ko) 2006-11-07 2007-09-13 한국도로공사 도로 가이드레일용 블록아웃
KR100832789B1 (ko) 2007-05-22 2008-05-28 김원주 차량충격이 다중분산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KR101007728B1 (ko) 2010-07-19 2011-01-13 윤재경 가드레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577B1 (ko) * 2013-04-12 2013-09-1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가드레일 보강 구조체
KR101286052B1 (ko) * 2013-04-19 2013-07-19 (주) 유창스틸산업 내구성, 내오염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친환경 가드레일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가드레일 구조체
CN106894367A (zh) * 2017-04-19 2017-06-27 武汉理工大学 一种针对斜向撞击的高速公路防撞护栏
KR20190045998A (ko) 2017-10-25 2019-05-07 유한회사 삼신기업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장치
KR20190056678A (ko) 2017-11-17 2019-05-27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충격흡수식 지주 보강구조
KR20230023384A (ko) * 2021-08-10 2023-02-17 최선명 가드레일 보강장치
KR102635716B1 (ko) * 2021-08-10 2024-02-08 최선명 가드레일 보강장치
KR102369718B1 (ko) * 2021-12-08 2022-03-03 주식회사 한국배리어 가드레일 보강 구조체 및 그 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018B1 (ko) 가드레일 보강구조
KR20140001418A (ko) 교량 확장 구조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98826B1 (ko) 충격흡수 보강 방호울타리
KR101720783B1 (ko)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KR101611345B1 (ko) 교량용 난간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20140014309A (ko) 가드 레일의 지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2018021330A (ja) 橋梁用防護柵
JP5043879B2 (ja) 道路橋用幅員拡張材の設置方法
KR20140070729A (ko) 개방형 이중 가드레일
KR100797863B1 (ko) 방호 울타리
KR100680819B1 (ko) 도로의 가이드레일 구조
KR101835859B1 (ko) 다이크용 가드레일 지주 보강구조
KR101228441B1 (ko) 강도 보강형 목재난간
KR101288063B1 (ko) 교량용 난간
KR101718139B1 (ko) 측구 설치형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 구조
JP5334883B2 (ja) 防護柵
KR100893323B1 (ko) 차량 방호용 목재 난간
KR102079617B1 (ko) 지주와 캡의 결합구조
JP6652462B2 (ja) 橋梁用防護柵
JP5688039B2 (ja) 仕切り構造体
KR102369877B1 (ko) 스판테크로드를 이용한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행로 시공방법
ES2325670B1 (es) Barrera de seguridad.
KR101585734B1 (ko) 방호울타리용 지주 및 이를 구비하는 방호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