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229B1 -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229B1
KR101207229B1 KR1020100069628A KR20100069628A KR101207229B1 KR 101207229 B1 KR101207229 B1 KR 101207229B1 KR 1020100069628 A KR1020100069628 A KR 1020100069628A KR 20100069628 A KR20100069628 A KR 20100069628A KR 101207229 B1 KR101207229 B1 KR 101207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uette
side portion
plate
ben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549A (ko
Inventor
지종민
이윤신
서강헌
Original Assignee
지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종민 filed Critical 지종민
Priority to PCT/KR2010/00485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13952A2/ko
Priority to US13/386,903 priority patent/US9138798B2/en
Publication of KR20110011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5Baking sheets; Bak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2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게트 제조시에 사용되는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측면부와, 상기 몸체의 전후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의 일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제1측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부를 포함하여, 바게트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바게트 판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재료손실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시 편리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된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A Baguette tra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ray}
본 발명은 바게트 제조시에 사용되는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측면부와, 상기 몸체의 전후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의 일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제1측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부를 포함하여, 바게트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바게트 판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재료손실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시 편리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된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게트 판은 바게트 제조시 사용하는 틀로, 상기 바게트 판에 바게트용 밀가루 반죽을 놓고 오븐에 넣어 바게트를 제조한다.
도 1은 종래의 바게트 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바게트 판의 분해사시도인데, 종래의 바게트 판을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바게트 판(1)은 밀가루 반죽이 놓여지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11)의 변형을 방지하는 평판(13)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11)는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금속판의 대향되는 양단을 절곡하여 형성된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1)와 평행하며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홈(113)을 포함한다. 종래의 바게트 판(1)은 상기 평판(13)을 몸체(11)의 하면에 놓고, 상기 평판(13)과 상기 지지부(111) 및 홈(113)과의 사이를 스팟용접하여 제조한다.
하지만, 종래의 바게트 판은 몸체(11)와 평판(13)을 각각 준비한 다음 수작업으로 스팟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제조과정에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필요하여 작업효율성이 저하되고 균일한 품질의 바게트 판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몸체(11)와 평판(13)을 각각 준비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재료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스팟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스팟용접용 장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고 홈(113) 등에 통공(115)을 형성하는 부가공정이 추가되므로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바게트 판은 몸체(11)와 평판(13)이 각각 준비되어 용접되므로 구조적으로 상기 몸체(11)와 평판(13)의 외측면을 날가롭게 되어 바게트 제조시나 바게트 판의 세척 등에 있어 사용시 불편함이 있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상 편리함과 안전함을 제공할 수 있고, 경제적이고 균일한 품질을 가지는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게트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형에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될 수 있어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재료손실을 절감할 수 있는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 중에서 어느 둘 이상이 접하는 가장자리는 둥굴게 라운딩되어, 날카로운 면이 없어 사용시 편리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계부와 제2측면부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의 말단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된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말단은 컬링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게트 판의 파지가 용이하여 사용상 편리함과 안전함을 제공할 수 있는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측면부와, 상기 몸체의 전후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의 일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제1측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은 상기 경계부와 상기 제2측면부가 접하는 부분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말단에서 상측으로 절곡 돌출되어 상기 제2측면부와 연결되는 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 중에서 어느 둘 이상이 접하는 가장자리는 둥굴게 라운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는 각각의 말단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말려져서 형성되는 컬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몸체,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형성하는 드로잉 단계와; 프레스 가공된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말단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트리밍 단계와; 말단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각각을 평평하게 펴는 플레트닝 단계와; 평평하게 펴진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각각의 말단을 내측으로 구부리는 벤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레트닝 단계는 절곡부를 각각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와 일직선이 되도록 펴고 상기 제1측면부에 형성된 주름 및 요철을 제거하는 플렌지 처리단계와, 제2측면부와 경계부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함몰부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내어 돌출부를 형성하는 리스트라이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은 내측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말단을 원형으로 말아 컬링부를 형성하는 컬링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단계에서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측면부와, 상기 몸체의 전후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의 일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1측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경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각각의 말단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단계, 플레트닝 단계 및 벤딩 단계는 금형작업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서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바게트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형에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될 수 있어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재료손실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 중에서 어느 둘 이상이 접하는 가장자리는 둥굴게 라운딩되어, 날카로운 면이 없어 사용시 편리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계부와 제2측면부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의 말단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말단에는 컬링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게트 판의 파지가 용이하여 사용상 편리함과 안전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게트 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바게트 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게트 판의 상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게트 판의 하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 A-A', (b) B-B', (c) C-C'로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게트 판의 제작방법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드로잉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트리밍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플래트닝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벤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컬링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드로잉단계의 실시 후 제조된 바게트 판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A-A'로 절단한 단면이 제작방법의 각 단계를 거친 후의 변화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B-B'로 절단한 단면이 제작방법의 각 단계를 거친 후의 변화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C-C'로 절단한 단면이 제작방법의 각 단계를 거친 후의 변화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게트 판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게트 판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 A-A', (b) B-B', (c) C-C'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게트 판은 바게트를 제조하기 위한 틀로, 상기 바게트 판(2)은 바게트 제조용 밀가루 반죽이 놓여지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좌우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측면부(22)와, 상기 몸체(21)의 전후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22)의 일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측면부(23)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하면이 개방된 정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될 수 있게 형성됨으로써 가공에 따른 제작시간과 재료손실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21)는 바게트 제조시 밀가루 반죽이 놓여지는 구성으로, 상기 몸체(21)는 일정형상을 가진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금속소재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21)는 좌우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측면부(22)와 상기 몸체(21)의 전후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22)의 일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측면부(23)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상기 몸체(21)에는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21)는 상기 몸체(21)의 일부를 절곡시켜 형성된 다수개의 수용부(211)와, 상기 다수개의 수용부(21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211) 사이를 경계 짓는 경계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211)는 바게트 제조시 밀가루 반죽을 놓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21)를 아래 방향으로 일정 형태로 절곡하여 바람직하게는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 형태로 절곡시켜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측면부(22)와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11)의 양단에는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 돌기부(211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111)는 상기 수용부(211)의 말단에서 상측으로 일정각도 바람직하게는 45° 내외의 각도로 비스듬히 절곡하여 형성되어 제2측면부(23)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예컨대, 도 3과 같이 상기 몸체(21)에 네 개의 수용부(211)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여덟 개의 돌기부(2111)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11)의 말단에는 돌기부(2111)가 형성되어, 즉 상기 수용부(211)와 상기 제2측면부(23)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돌기부(2111)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21)를 비틀거나 상하로 구부리는 힘 등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몸체(21)가 쉽게 구부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상기 바게트 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경계부(212)는 다수개의 상기 수용부(21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211)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수용부(211)에 놓여진 밀가루 반죽이나 상기 밀가루 반죽이 오븐에서 구워져 제조된 바게트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경계부(212)는 바람직하게는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의 형태를 취하여 날카로운 면을 제거하여 사용시 편리함과 안전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측면부(22)는 상기 몸체(21)의 좌우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한 쌍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21)를 지지하고, 상기 제1측면부(22)의 일측에는 후술할 제2측면부(23)와 연결된다. 상기 제1측면부(22)는 상기 몸체(21)와 동일한 소재로 프레스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측면부(22)의 말단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원형으로 말려져 형성된 컬링부(221)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1)와 상기 제1측면부(22)가 접하는 부분, 즉 상기 제1측면부(22)가 상기 몸체(21)에서 절곡되는 부분은 둥굴게 라운딩되어 날카로운 부분이 없도록 하여 상기 바게트 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과 안전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부(23)는 상기 몸체(21)의 전후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고, 상기 제1측면부(22)의 일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한 쌍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21)를 지지한다. 상기 제2측면부(23) 역시 상기 몸체(21) 및 제1측면부(22)와 동일한 소재로 프레스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측면부(23)의 말단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원형으로 말려져 형성된 컬링부(231)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1)와 상기 제2측면부(23)가 접하는 부분, 상기 제1측면부(22)와 제2측면부(23)가 접하는 부분, 및 상기 몸체(21), 제1측면부(22) 및 제2측면부(23)가 접하는 부분은 둥굴게 라운딩되 날카로운 부분이 없도록 하여 상기 바게트 판의 사용상의 편리함과 안전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몸체(21), 제1측면부(22) 및 제2측면부(23) 중에서 어느 둘 이상이 접하는 가장자리는 둥굴게 라운딩되어, 날카로운 면이 없어 사용시 편리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게트 판은 상기 경계부(212)와 상기 제2측면부(23)가 접하는 부분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볼복하게 형성되는 돌출부(2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212)와 상기 제2측면부(23)가 접하는 부분에 돌출부(2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21)를 비틀거나 상하로 구부리는 힘 등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몸체(21)가 쉽게 구부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상기 바게트 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날카로운 면이 없어 사용시 편리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게트 판의 제작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드로잉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트리밍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플래트닝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벤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이고, 11은 본 발명의 컬링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드로잉단계의 실시 후 제조된 바게트 판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A'로 절단한 단면이 제작방법의 각 단계를 거친 후의 변화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B-B'로 절단한 단면이 제작방법의 각 단계를 거친 후의 변화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C-C'로 절단한 단면이 제작방법의 각 단계를 거친 후의 변화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을 도 3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은 드로잉단계(S1), 트리밍단계(S2), 플레트닝단계(S3), 벤딩단계(S4) 등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바게트 판을 금형에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할 수 있어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재료손실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드로잉단계(S1)를 도 6 내지 7 및 도 12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드로잉단계(S1)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금속판(10)을 프레스 가공하여 몸체(31),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드로잉단계(S1)에 사용되는 드로잉 금형(4)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드로잉 금형(4)은 하부홀더(41)와 상기 하부홀더(41)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홀더(41)를 가압할 수 있는 상부홀더(4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홀더(41)는 상면에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몸체(21)의 하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패드(411)와 상기 상부홀더(42)는 하면에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몸체(21)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펀치(421)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잉단계(S1)에서는 상기 드로잉 금형(4)의 패드(411) 상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장방형의 금속판(10)을 놓고 상부홀더(42)를 하측으로 내려 프레스 가압하여 도 12 및 도 13 내지 15의 (a)와 같은 몸체(31),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를 포함하는 바게트 판(3)이 형성된다.
상기 드로잉단계(S1) 후 형성된 바게트 판(3)을 설명하면, 상기 바게트 판(3)은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좌우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측면부(32)와, 상기 몸체(31)의 전후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32)의 일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측면부(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31),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 중에서 어느 둘 이상이 접하는 가장자리는 둥굴게 라운딩되어 있다. 상기 몸체(31)는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몸체(2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측면부(32)와 제2측면부(33)의 각각의 말단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321, 331)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잉단계(S1) 후 형성된 제1측면부(32)와 제2측면부(33)는 많은 주름이 나 있고, 부분적으로 울퉁불퉁한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부(33)와 상기 몸체(31)의 경계부(312)가 접하는 부분에는 내측으로 찌그러진 함몰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밍단계(S2)를 도 6, 도 8 및 도 12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트리밍단계(S2)는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상기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의 말단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트리밍단계(S2)에 사용되는 트리밍 금형(5)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트리밍 금형(5)은 하부홀더(51)와 상기 하부홀더(51)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홀더(51)를 가압할 수 있는 상부홀더(5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홀더(52)는 상부금형(521)과 상기 상부금형(521)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부금형(521)보다 작은 둘레의 길이를 가지는 하부금형(522)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금형(521)의 하면에는 하부금형(522)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절삭부(52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522)의 하면 외측에는 상기 상부홀더(52)가 상기 하부홀더(51)를 가압할 때 상기 바게트 판(3)의 제1측면부(32)와 제2측면부(33)의 외측면과 접하고 상기 절곡부(321, 331)의 상면을 가압하는 말단돌기(522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홀더(51)의 상면에는 상기 드로잉 단계(S1) 후 형성된 바게트 판(3)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511)가 형성된다.
상기 트리밍단계(S2)에서는 상기 트리밍 금형(5)의 지지부(511) 상면에 드로잉 단계(S1) 후 형성된 도 12와 같은 바게트 판(3)을 놓고 상기 상부홀더(52)를 내려 가압하면 상기 바게트 판(3)의 절곡부(321, 331)는 상기 지지부(511)와 상기 말단돌기(5221) 사이에 위치하며 일부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상기 상부홀더(52)가 내려오면서 상기 상부금형(521) 하면에 위치하는 절삭부(5211)도 함께 내려와 절곡부(321, 331)의 돌출된 부분을 잘라 도 13 내지 15의 (b)와 같이 절곡부(321, 331)가 동일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게트 판(36)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트닝단계(S3)를 도 6, 도 9 및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플레트닝단계(S3)는 상기 제1측면부(32)와 제2측면부(33)의 각각을 평평하게 펴는 단계로, 소정 길이로 절단된 절곡부(321, 331)를 각각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와 일직선이 되도록 펴고 상기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에 형성된 주름, 요철을 제거하는 플렌지 처리단계(S31)와, 제2측면부(33)와 경계부(312)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함몰부(34)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내어 돌출부(35)를 형성하는 리스트라이킹 단계(S32)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트닝단계(S3)에 사용되는 플레트닝 금형(6)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플레트닝 금형(6)은 하부홀더(61)와 상기 하부홀더(61)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홀더(61)를 가압할 수 있는 상부홀더(6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홀더(62)는 상부금형(621)과 상기 상부금형(621)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부금형(621)보다 작은 둘레의 길이를 가지는 하부금형(622)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금형(621)의 하면에는 하부금형(622)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턱(62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622)의 하면 외측에는 상기 바게트 판(36)의 몸체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말단돌기(622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홀더(61)의 상면에는 상기 트리밍 단계(S2) 후 형성된 바게트 판(36)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611)가 형성된다.
상기 플렌지 처리단계(S31)에서는 상기 플레트닝 금형(6)의 지지부(611) 상면에 절곡부(321, 331)가 소정 길이로 절단된 바게트 판(36)을 놓고 상기 상부홀더(62)를 내려 가압하면 상기 바게트 판(36)은 지지부(611)와 말단돌기(6221) 사이에 위치하며 체1측면부(32), 제2측면부(33) 및 절곡부(321, 331)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상기 상부금형(621) 하면에 위치하는 하부턱(6211)이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상기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에 형성된 주름, 요철을 제거하고 절곡부(321, 331)를 펴서 각각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와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도 13 내지 15의 (c)와 같이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가 평평하게 펴진 바게트 판(37)이 형성된다.
상기 리스트라이킹단계(S32)에서는 상기 플레지 처리단계(S31)와 동일하게 상기 플레트닝 금형(6)의 지지부(611) 상면에 절곡부(321, 331)가 소정 길이로 절단된 바게트 판(36)을 놓고, 상기 상부홀더(62)를 내려 가압하면 상기 바게트판(36)의 몸체는 상기 지지부(611)와 말단돌기(622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611) 상면이 제2측면부(33)와 경계부(312)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함몰부(34)를 밀어내어 도 15의 (c)와 같이 돌출부(35)를 포함하는 바게트 판(37)이 형성된다.
상기 플렌지 처리단계와 상기 리스트라이킹 단계는 별로도 설명하였으나 상기 플레트닝 금형에 의해서 동시에 진행된다. 상기 플레트닝단계에 의해서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바게트 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벤딩단계(S4)를 도 6, 도 10 및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벤딩단계(S4)는 평평하게 펴진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의 각각의 말단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구부리는 단계이다.
상기 벤딩단계(S4)에서 사용되는 벤딩 금형(7)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벤딩 금형(7)은 하부홀더(71)와 상기 하부홀더(71)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홀더(71)를 가압할 수 있는 상부홀더(7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홀더(72)는 상부금형(721)과 상기 상부금형(721)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부금형(721)보다 작은 둘레의 길이를 가지는 하부금형(722)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금형(721)의 하면에는 하부금형(722)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턱(72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턱(7211)의 하면에는 후술할 지지부(711)의 돌기(7111)를 수용하는 홈(7211a)이 형성된다. 상기 홈(7221a)은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상기 하부금형(722)의 하면 외측에는 상기 바게트 판(37)의 몸체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말단돌기(722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홀더(71)의 상면에는 상기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가 평평하게 펴진 바게트 판(37)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71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711)의 상면 외측에는 상측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돌기(7111)를 포함한다.
상기 벤딩단계(S4)에서는 상기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가 평평하게 펴진 바게트 판(37)을 상면이 상기 지지부(711) 상면에 접하도록 놓고 상기 상부홀더(72)를 내려 가압하면 상기 바게트 판(37)의 몸체는 상기 지지부(711)와 상기 말단돌기(7221) 사이에서 고정되게 되고, 상기 제1측면부(32)와 제2측면부(33)의 각각의 말단은 홈(7211)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홈(7211)의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면을 따라 구부러져, 도 13 내지 15의 (d)와 같이 상기 제1측면부(32)와 제2측면부(33)의 각각의 말단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구부러진 바게트 판(38)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은 내측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1측면부(32)와 제2측면부(33)의 말단을 원형으로 말아 컬링부(322, 332)를 형성하는 컬링단계(S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킬링단계(S5)에 의해서 상기 제1측면부(32)와 제2측면부(33)이 말단에는 컬링부(322, 332)가 형성되므로, 날카로운 부분을 없앨 수 있어 상기 바게트 판은 사용상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컬링단계(S5)를 도 6, 도 11 및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컬링단계(S5)에서 사용되는 벤딩 금형(8)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컬링 금형(8)은 하부홀더(81)와 상기 하부홀더(81)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홀더(81)를 가압할 수 있는 상부홀더(8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홀더(82)는 상부금형(821)과 상기 상부금형(821)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부금형(821)보다 작은 둘레의 길이를 가지는 하부금형(822)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금형(821)의 하면에는 하부금형(822)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턱(8211)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턱(8211)의 하면에는 후술할 지지부(811)의 돌기(8111)를 수용하며 상측으로 파인 반원형태의 홈(8211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금형(822)의 하면 외측에는 상기 바게트 판(38)의 몸체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말단돌기(822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홀더(81)의 상면에는 상기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의 말단이 내측으로 구부러진 바게트 판(38)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81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811)의 상면 외측에는 상측방향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돌기(8111)를 포함한다.
상기 컬링단계(S5)에서는 상기 제1측면부(32) 및 제2측면부(33)의 말단이 내측으로 구부러진 바게트 판(38)을 상면이 상기 지지부(811) 상면에 접하도록 놓고 상기 상부홀더(82)를 내려 가압하면 상기 바게트 판(38)의 몸체는 상기 지지부(811)와 상기 말단돌기(8221)의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1측면부(32)와 제2측면부(33)의 각각의 말단은 홈(8211a)에 위치하여 상기 홈(8211a)의 반원형태의 곡면에 따라 구부려져, 도 13 내지 15의 (e)와 같이 상기 제1측면부(32)와 제2측면부(33)의 각각의 말단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동그랗게 말려져 컬링부(322, 332)가 형성된 바게트 판(39)가 형성된다. 즉,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게트 판(2)이 제조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은 금형에 의해 제조되므로 제조시 노동력과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품질이 뛰어난 동일한 규격의 제품을 다량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게트 판은 날카로운 부분이 없어 사용상의 편리성과 안전함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바게트 판 21: 몸체 22: 제1측면부
23: 제2측면부 24: 돌출부 211: 수용부
212: 경계부 221, 231: 컬링부 2111: 돌기부

Claims (9)

  1. 삭제
  2. 바게트 제조시에 사용되는 바게트 판에 있어서,
    상기 바게트 판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측면부와, 상기 몸체의 전후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의 일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제1측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바게트 판은 상기 경계부와 상기 제2측면부가 접하는 부분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말단에서 상측으로 절곡 돌출되어 상기 제2측면부와 연결되는 돌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게트 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 중에서 어느 둘 이상이 접하는 가장자리는 둥굴게 라운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게트 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는 각각의 말단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말려져서 형성되는 컬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게트 판.
  5.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몸체,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형성하는 드로잉 단계와;
    프레스 가공된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말단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트리밍 단계와;
    말단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각각을 평평하게 펴는 플레트닝 단계와;
    평평하게 펴진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각각의 말단을 내측으로 구부리는 벤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트닝 단계는
    절곡부를 각각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와 일직선이 되도록 펴고 상기 제1측면부에 형성된 주름 및 요철을 제거하는 플렌지 처리단계와, 제2측면부와 경계부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함몰부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내어 돌출부를 형성하는 리스트라이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은
    내측으로 구부러진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말단을 원형으로 말아 컬링부를 형성하는 컬링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단계에서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측면부와, 상기 몸체의 전후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의 일측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1측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밀가루 반죽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경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각각의 말단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단계, 플레트닝 단계 및 벤딩 단계는 금형작업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게트 판의 제조방법.
KR1020100069628A 2009-07-27 2010-07-19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7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4855 WO2011013952A2 (ko) 2009-07-27 2010-07-23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13/386,903 US9138798B2 (en) 2009-07-27 2010-07-23 Baguette t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9167 2009-07-27
KR1020090069167 2009-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49A KR20110011549A (ko) 2011-02-08
KR101207229B1 true KR101207229B1 (ko) 2012-12-03

Family

ID=4377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628A KR101207229B1 (ko) 2009-07-27 2010-07-19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38798B2 (ko)
KR (1) KR101207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2766B2 (en) * 2013-06-06 2016-05-10 American Pan Company Industrial baguette tray
US9648986B1 (en) * 2013-11-14 2017-05-16 Brenda Byrne Food prepar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532232B1 (ko) * 2014-11-19 2015-06-30 유한회사 한국 타코닉 제빵용 트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TWI646895B (zh) * 2017-08-17 2019-01-11 三能食品器具股份有限公司 Replaceable baking tray and its frame quick release locking mechanism
FR3100689B1 (fr) * 2019-09-17 2021-08-27 Mecatherm Plaque support pour produits de boulangerie, viennoiserie, pâtisserie et similaires, fabriquée à partir d’une feuille en métal déploy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4932A1 (en) * 2004-03-19 2005-09-22 American Pan Company Baking tray
US20080116099A1 (en) * 2006-11-22 2008-05-22 Eduardo Garcia Tra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2609A (en) * 1986-02-21 1993-08-03 Ets Guy Demarle Self-supporting element used during the fermentation and baking of bread making products
JP3961109B2 (ja) 1998-04-13 2007-08-22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製パン機
KR20000060000A (ko) 1999-03-10 2000-10-16 김도영 인서트 플레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3792164B2 (ja) 2002-02-20 2006-07-0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棒状パン生地の転圧延伸方法および装置
KR200392008Y1 (ko) 2005-05-16 2005-08-09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바게트 절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4932A1 (en) * 2004-03-19 2005-09-22 American Pan Company Baking tray
US20080116099A1 (en) * 2006-11-22 2008-05-22 Eduardo Garcia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38798B2 (en) 2015-09-22
KR20110011549A (ko) 2011-02-08
US20120118174A1 (en)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229B1 (ko)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202180139U (zh) 一种折弯模具
CN211757970U (zh) 一种卷圆级进成型模具
US20080216670A1 (en) Bakeware having a flexible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3496896A (en) High strength receptacle
KR101964833B1 (ko) 종이컵,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210936713U (zh) 一种倒勾产品的避让拉延模具
KR101715482B1 (ko) 사각 튜브 제조방법
JP6531930B1 (ja) 物体挟持用トング、並び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214629530U (zh) 冷处理的节能慕斯圈
CN210907526U (zh) 一种锻压模具
JPH04210831A (ja) アクスルケース側板の製法
CN212733805U (zh) 一种用于卷圆的冲压模具
CN110498106A (zh) 一种纸杯盖及制作工艺
CN214442571U (zh) 吐司盒压平包角成型工装
WO2011013952A2 (ko) 바게트 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213887752U (zh) 一种封头生产用成型模具
CN218775440U (zh) 一种拉手杆的卷圆加工设备
CN215706145U (zh) 一种汽车防撞梁生产线
CN220382456U (zh) 保持结合强度的省料换向器铜排
CN208437486U (zh) 一种用于四合扣母扣成型的模具
CN213613637U (zh) 一种汽车底盘冲压零件双活动折弯成型模具
CN217025762U (zh) 曲面玻璃成型模具
CN213591564U (zh) 一种用于扣压开口式型材的扣压机模具
CN208083190U (zh) 合页件的复合冲压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