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876B1 - 타격식 복합 선별기 - Google Patents

타격식 복합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876B1
KR101204876B1 KR1020110112180A KR20110112180A KR101204876B1 KR 101204876 B1 KR101204876 B1 KR 101204876B1 KR 1020110112180 A KR1020110112180 A KR 1020110112180A KR 20110112180 A KR20110112180 A KR 20110112180A KR 101204876 B1 KR101204876 B1 KR 101204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orting
rotating
main body
sor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쌍용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쌍용에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쌍용에코텍
Priority to KR102011011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 B07B13/11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involving travel of particles over surfaces which separate by centrifugal force or by relative friction between particles and such surfaces, e.g. helical so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격식 복합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설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타격하여 상기 폐기물에 묻은 이물질과 수분을 걸러내고, 풍력발생으로 수분을 건조시키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에 각각 원심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수분과 토사 등과 같은 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폐합성수지 등의 폐기물에서, 상기 이물질 및 수분이 완벽하게 걸러지고 건조됨과 동시에 적정 크기로 절단되어 선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선별된 폐기물을 산업현장의 연료 또는 재활용을 위한 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타격식 복합 선별기{Hit type complex sorter}
본 발명은 타격식 복합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합성수지 등과 같은 폐기물 중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타격에 의해 제거함과 동시에 적정크기로 절단하여 선별함은 물론 건조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료 또는 원료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타격식 복합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산업의 발달로 각종 폐기물들이 양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폐기물들은 대부분 매립 또는 소각되어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을 매립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대지가 필요로 하고, 매립에 따른 악취 등이 발생함은 물론 미생물에 의한 분해기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유해가스 발생을 억제하면서 소각으로 많이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각종 폐기물 즉, 폐합성수지, 폐비닐과 같은 농촌폐기물, 각종 생활폐기물 등은 매립 및 소각에 앞서 재활용이 가능한 것은 선별하여 재활용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다.
또한, 폐합성수지 등의 폐기물과 폐목재 등의 폐기물은 소각시 발열량이 매우 높아 이를 각종 산업시설의 열원발생을 위한 연료로도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재활용품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폐기물이나 발열량이 높은 폐기물은 토사 등의 각종 이물질과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 처리할 경우 매연이 많이 발생됨은 물론 발열시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여 최대 발열에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재활용을 위한 원료로의 사용시에도 세척과 건조 등의 작업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폐비닐 중 이물질과 수분을 걸러내기 위한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생 시스템'(특허등록 제0952903호)이 선출원되어 등록된바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는 그 효율성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각종 폐기물에서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적정크기로 절단하여 선별함으로써, 상기 폐기물을 산업현장의 연료 또는 재활용을 위한 원료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타격식 복합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격식 복합 선별기는, 일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설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타격하여 상기 폐기물에 묻은 이물질과 수분을 걸러내고, 풍력발생으로 수분을 건조시키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에 각각 원심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선별부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과 수분만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낙하되도록 상기 선별부의 하부쪽에 마련되는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은,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스크린의 구멍을 통과하지 않은 폐기물을 배출구쪽으로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선별부의 회전반경에 대응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선별부는 하나 이상 설치되며, 복수개가 설치될 경우, 본체의 투입구쪽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부는 본체의 배출구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부보다 큰 용량을 갖는 구동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게 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그 둘레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복수의 디스크들과; 상기 디스크들의 삽입공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연결축들 및; 상기 연결축들이 상기 디스크들의 삽입공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축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되, 상기 연결축에 대하여 자유회전이 가능한 일정길이의 회전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편은, 상기 연결축에 대하여 자유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되, 직사각 형태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디스크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복수의 회전편들 중, 일부 회전편의 회전바는 단면적이 넓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 회전편의 회전바는 단면적이 좁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크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복수의 회전편들 중, 좌우측 가변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편의 회전바는, 폐기물이 좌우측 가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예방하도록 안쪽으로 일정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격식 복합 선별기에 의하면, 토사 등과 같은 이물질 및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폐합성수지 등의 각종 폐기물에서, 상기 이물질 및 수분이 거의 완벽하게 걸러지고 건조됨과 동시에 적정 크기로 절단되어 선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선별된 폐기물을 산업현장의 연료 또는 재활용을 위한 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일례로, 발열량이 높은 폐합성수지 등과 같은 폐기물에서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완벽하게 걸러내게 됨으로써, 산업현장에서 상기와 같이 선별된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함에 따라 최대 발열량을 발휘하여 그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각종 폐기물에서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거의 완벽하게 걸러내게 됨으로써, 재활용을 위한 원료로 사용을 위한 세척 및 건조 등의 과정을 별도로 거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재활용에 따른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식 복합 선별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식 복합 선별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식 복합 선별기에서 선별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부분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종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식 복합 선별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식 복합 선별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식 복합 선별기에서 선별부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격식 복합 선별기는, 일측 상단에 투입구(12)가 형성되고 타측 전방에 배출구(14)가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격식 복합 선별기는, 본체(10)에 내설되며 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타격하여 상기 폐기물에 묻은 이물질과 수분을 걸러내는 선별부(20)와, 이 선별부(20)에 각각 원심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격식 복합 선별기는 선별부(2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과 수분만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낙하되도록 선별부(20)의 하부쪽에 마련되는 스크린(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50)에는, 일정크기의 구멍(52)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별부(2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과 수분은 이 스크린(50)의 구멍(52)들을 통해 아래로 낙하하여 포집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50)은, 스크린의 구멍(52)을 통과하지 않은 폐기물을 배출구(14)쪽으로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선별부(20)의 회전반경에 대응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선별부(20)가 모두 4개가 설치된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선별부(2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선별부(20)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와 같이 복수개가 설치될 경우, 본체(10)의 투입구(12)쪽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부(20)는 본체(10)의 배출구(14)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부(20)보다 큰 용량을 갖는 구동부(4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선별부(20)가 4개 설치된 경우, 본체(10)의 투입구(12)쪽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첫 번째 선별부는 가장 큰 용량을 갖는 구동부와 연결되고, 그 다음 위치에 설치되는 두 번째 선별부는 두 번째 용량을 갖는 구동부와 연결되며, 그 다음 위치에 설치되는 세 번째 선별부는 세 번째 용량을 갖는 구동부와 연결되고, 마지막 위치에 설치되는 네 번째 선별부는 가장 작은 용량을 갖는 구동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본체(10)의 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은 토사 등의 각종 이물질과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그 중량이 무겁고, 서로 엉켜있어 이를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데 있어 상기 본체(10)의 투입구(12)쪽에 근접한 선별부(20)에 더 큰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물론, 선별부(20)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와 같이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선별부(20)는 동일한 용량을 갖는 각각의 구동부(40)와 연결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선별부(20)는, 구동부(40)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게 되는 샤프트(22)와, 이 샤프트(22)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디스크(24)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디스크(24)들의 각 둘레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삽입공(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디스크(24)들 삽입공은 각각 동일 축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각각의 디스크(24)들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4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4개의 삽입공들은 모두 동일 축선상에 일치되게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디스크(24)가 10개라 가정하고, 이들 디스크(24)의 둘레면에 각각 4개의 삽입공이 형성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10개의 디스크(24)들 제1삽입공들과, 제2삽입공들과, 제3삽입공들 및 제4삽입공들은 각각 동일 축선상에 일치되게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디스크(24)의 둘레면에 형성된 삽입공이 4개인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삽입공은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선별부(20)는, 디스크(24)들의 삽입공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연결축(26)들과, 이 연결축(26)들이 디스크(24)들의 삽입공에 삽입될 때, 연결축(26)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24)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연결축(26)에 대하여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복수의 회전편(30)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편(30)들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26)에 대하여 자유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2)와, 이 삽입부(32)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되, 직사각 형태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바(3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24)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복수의 회전편(30)들 중, 일부 회전편(30)의 회전바(34)는 단면적이 넓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 회전편(30)의 회전바(34)는 단면적이 좁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본체(10)의 투입구(12)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투입된 폐기물들이 파쇄와 동시에 이물질 및 수분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체(10)의 투입구(12)를 통해 폐기물이 투입될 경우, 복수의 회전편(30)들 중, 단면적이 넓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된 회전바(34)는 상기 폐기물들과 충돌되는 면적이 커짐에 따라 폐기물들에 함유된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단면적이 좁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된 회전바(34)는 상기 폐기물들을 절단하여 엉킨 것을 푸는 기능을 담당함으로써, 파쇄와 동시에 이물질 및 수분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디스크(24)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편(30)들은, 단면적이 넓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된 회전바(34)와, 단면적이 좁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된 회전바(34)를 서로 교차되게 순차적으로 위치되게 함으로써, 폐기물의 파쇄와 이물질의 분리가 동시에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스크(24)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복수의 회전편(30)들 중, 좌우측 가변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편(30)의 회전바(34)는, 폐기물이 좌우측 가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예방하도록 안쪽으로 일정각도만큼 경사지게(대략 45도 각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별부(2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샤프트(22)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디스크(24)가 형성되고, 이들 디스크(24)의 둘레면에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연결축(26)을 어느 한쪽 끝단의 디스크(24) 삽입공을 통해 순차적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디스크(24)들 사이에는 각각 회전편(30)들의 삽입부(32)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축(26)이 디스크(24)들의 삽입공에 삽입됨과 동시에 각각의 회전편(30)들 삽입부(32)에도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복수의 회전편(30)들은 연결축(26)에 대하여 동일 축선상에 나란하게 위치하게 되며, 또한 상기 연결축(26)에 대하여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디스크(24)들의 각 삽입공들에 각각의 연결축(26)을 삽입하면서 각각의 회전편(30)들을 조립하게 되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2)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회전편(30)들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타격식 복합 선별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동부(4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각각의 구동부(40)와 연결된 선별부(20)들의 각 샤프트(22)가 회전하게 된다.
샤프트(22)의 회전에 따라 디스크(24)들 또한 연동하여 회전되고, 이에 따라 디스크(24)들의 삽입공에 축설된 연결축(26)들 또한 샤프트(22)의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복수의 회전편(30)들 또한 원심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0)의 투입구(12)를 통해 폐기물을 투입시키게 되면, 투입되는 폐기물은 원심력에 의해 회전되는 선별부(20)의 회전편(30)들과 충돌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폐기물에 함유된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이 분리되고 동시에 파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회전편(30)들 중, 단면적이 넓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된 회전바(34)는 폐기물들과 충돌되는 면적이 커짐에 따라 폐기물들에 함유된 수분과 토사 등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키게 되며, 단면적이 좁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된 회전바(34)는 상기 폐기물들을 절단하여 엉킨 것을 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편(30)들은 각각 연결축(26)에 대하여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바, 회전에 따라 충돌하게 되는 폐기물의 중량이 크더라도 하중을 받지 않고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구동부(40)에 부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폐기물들에서 분리된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은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낙하하여 선별부(2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스크린(50)의 구멍(52)들을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파쇄된 폐기물들은 회전되는 회전편(30)들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의 영향으로 전방쪽으로 안내되어 본체(10)의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선별부(20)의 각 회전편(30)들은 원심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강한 바람을 생성시키는 풍력이 발생하게 되는바, 회전편(30)의 타격시에 폐기물에서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은 미량의 수분은 상기 풍력에 의해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선별부(20)가 나란하게 복수개가 설치됨에 따라 폐기물의 이물질 및 수분의 선별과, 파쇄 및 건조가 다단계에 의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그 효율성이 더욱 증대된다.
참고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0)은 상기 스크린(50)의 하부쪽에 위치되어 스크린(50)의 구멍을 통해 포집된 이물질들을 별도의 적재공간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를 나타낸 것이며, 이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60)에 의해 이물질들을 별도의 적재공간으로 이송시키게 되면, 선별부(20)의 하부쪽에 이물질이 적재되지 않아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10)의 투입구(12)쪽에도 폐기물을 연속적으로 투입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투입구
14 : 배출구 20 : 선별부
22 : 샤프트 24 : 디스크
26 : 연결축 30 : 회전편
32 : 삽입부 34 : 회전바
40 : 구동부 50 : 스크린
52 : 구멍 60 : 컨베이어 벨트

Claims (8)

  1. 폐합성수지 또는 폐비닐을 포함한 폐기물 중의 수분과 이물질을 타격에 의해 제거하고, 상기 폐기물을 절단,선별하는 복합 선별기에 있어서,
    일단에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의 대향 타단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타격하여 파쇄하며 상기 폐기물에 묻은 이물질과 수분을 걸러내고, 풍력발생으로 수분을 건조시키는 복수의 선별부 및;
    상기 복수의 선별부 각각에 원심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별부는 원심력에 의한 풍력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폐기물을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도록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서 평행하게 배열되되,
    상기 복수의 선별부는, 각각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게 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그 둘레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복수의 디스크들과, 상기 디스크들의 삽입공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연결축들과, 상기 연결축들이 상기 디스크들의 삽입공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축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연결축에 대하여 자유회전이 가능한 일정길이의 회전편들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편은 상기 연결축에 대하여 자유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어 직사각형태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바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편 중, 좌우측 가변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편의 회전바는, 폐기물이 좌우측 가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예방하도록 안쪽으로 일정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가변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편의 회전바들 사이에 위치하는 나머지 회전편들 중, 일부 회전편의 회전바는 단면적이 좁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식 복합 선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 및 수분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낙하되도록 상기 선별부의 하부쪽에 마련되는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식 복합 선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하나 이상 설치되며, 복수개가 설치될 경우, 본체의 투입구쪽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부는 본체의 배출구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선별부보다 큰 용량을 갖는 구동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식 복합 선별기.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가변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편의 회전바들 사이에 위치하는 나머지 회전편들 중, 다른 일부 회전편의 회전바는 단면적이 넓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식 복합 선별기.
  7. 삭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스크린의 구멍을 통과하지 않은 폐기물을 배출구쪽으로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선별부의 회전반경에 대응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식 복합 선별기.
KR1020110112180A 2011-10-31 2011-10-31 타격식 복합 선별기 KR101204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180A KR101204876B1 (ko) 2011-10-31 2011-10-31 타격식 복합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180A KR101204876B1 (ko) 2011-10-31 2011-10-31 타격식 복합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876B1 true KR101204876B1 (ko) 2012-11-27

Family

ID=4756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180A KR101204876B1 (ko) 2011-10-31 2011-10-31 타격식 복합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8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332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필름 회수 장치
KR102121612B1 (ko) 2019-02-12 2020-06-11 (주) 제이에스티 복합 선별기
KR102212044B1 (ko) * 2019-12-26 2021-02-04 주식회사 대한실업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102260145B1 (ko) * 2020-03-16 2021-06-03 주식회사 대한실업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20210104203A (ko) * 2020-02-14 2021-08-25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일체형파쇄선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1128A (ja) 2001-06-22 2003-01-0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廃農業用ビニルフィルムの粉砕・回収方法
KR100462561B1 (ko) 2002-12-10 2004-12-17 한국환경자원공사 트롬멜형 농업용 멀칭 폐비닐 전처리 장치
KR100952903B1 (ko) * 2009-10-09 2010-04-16 정병찬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생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1128A (ja) 2001-06-22 2003-01-0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廃農業用ビニルフィルムの粉砕・回収方法
KR100462561B1 (ko) 2002-12-10 2004-12-17 한국환경자원공사 트롬멜형 농업용 멀칭 폐비닐 전처리 장치
KR100952903B1 (ko) * 2009-10-09 2010-04-16 정병찬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생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332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필름 회수 장치
KR102108442B1 (ko) * 2018-03-20 2020-05-12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필름 회수 장치
KR102121612B1 (ko) 2019-02-12 2020-06-11 (주) 제이에스티 복합 선별기
KR102212044B1 (ko) * 2019-12-26 2021-02-04 주식회사 대한실업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20210104203A (ko) * 2020-02-14 2021-08-25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일체형파쇄선별기
KR102390182B1 (ko) * 2020-02-14 2022-04-27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일체형파쇄선별기
KR102260145B1 (ko) * 2020-03-16 2021-06-03 주식회사 대한실업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876B1 (ko) 타격식 복합 선별기
JP4312232B2 (ja) 袋ゴミの袋破壊とゴミ選別装置
KR101213717B1 (ko) 폐그물 재생장치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101516568B1 (ko) 가연성 이물질 건식타격 선별장치
KR1009214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218865B1 (ko) 가연성쓰레기를 연료화 하기 위한 압축 절단파쇄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KR101565540B1 (ko) 폐어망 재활용 설비
US201403060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Fiber and Plastics in Municipal Solid Waste
JP2010241082A (ja) 農業用プラスチック製品の分別再生プラント
KR101241047B1 (ko) 정 및 역방향 날개를 가져 건조효율을 높인 건조기 및 이를 장착한 음식폐기물 자원화장치
KR100930324B1 (ko)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폐목재 및 가연물의 입도·성상별 선별방법
KR20210016961A (ko) 트롬멜 선별기
US3878995A (en) Refuse shredder and classifier
WO2016104944A1 (ko) 타격 풍력식 폐기물 선별 장치
KR101567328B1 (ko)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462561B1 (ko) 트롬멜형 농업용 멀칭 폐비닐 전처리 장치
KR102234951B1 (ko) 음식물 폐기물의 미세 파쇄 및 선별 장치
KR102361059B1 (ko)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KR102390182B1 (ko) 일체형파쇄선별기
CN203750803U (zh) 打击式筛选机
BR102014030988B1 (pt) Desagregador e secador simultâneo de sólidos e processo de utilização correspondente
KR102284160B1 (ko) 폐자재 재활용 장치
KR20130076990A (ko)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
KR102108442B1 (ko) 필름 회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