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442B1 - 필름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442B1
KR102108442B1 KR1020180032197A KR20180032197A KR102108442B1 KR 102108442 B1 KR102108442 B1 KR 102108442B1 KR 1020180032197 A KR1020180032197 A KR 1020180032197A KR 20180032197 A KR20180032197 A KR 20180032197A KR 102108442 B1 KR102108442 B1 KR 10210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film
rollers
sorter
recov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332A (ko
Inventor
조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Priority to KR1020180032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44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and ax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필름 회수 장치(300)가 개시된다. 상기 필름 회수 장치(300)는, 타격식 선별기(100)에 의해 타격 및 선별된 폐기물을 2차 선별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디스크 선별기(200)의 이송 방향 일단에 배치되고, 미리 결정된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310, 310'); 및 상기 롤러(310, 310')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하는 롤러(310, 310')에 걸려진 필름을 흡입하여 회수하기 위한 브로워 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회수 장치{An apparatus for collecting film}
본 발명은 필름 회수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기물 처리 시에 발생하는 비닐, 필름 등의 상대적으로 경량의 필름류를 수거 및 회수하여 필름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필름 회수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폐필름은 석유를 원료로 하여 생성된 화합물로서,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폐필름은 대부분 쓰레기로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폐필름을 포함하는 폐기물들은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토양을 오염시키고 심각한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폐기물 처리로 발생하는 환경 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필름류를 수거하여 선별, 용융, 압축, 성형의 과정을 거쳐 밸브, 지주받침대, 밸브받침대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때 원재료를 용융로에 투입하여 유동성 있는 중간재를 생산하고 이를 금형기에서 성형 조건으로 압축 및 냉각하여 제품을 생산한다.
이러한 재활용을 위해서는 폐기물들에서 비닐, 필름 등(이하 명세서에서 “필름”의 용어로 지칭하기로 함)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회수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기존에는 작업자가 직접 폐기물들에서 필름을 선별하여 회수해야만 했거나, 또는 브로워를 활용하여 필름을 선별하여 회수하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특히, 종래에 브로워를 활용하여 필름을 선별하여 회수하는 방식은 이송되는 필름을 일 방향으로 흡착시키기 위해 많은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의 폐기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지 못한 필름에 대해서는 선별 및 회수 작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었다.
참고로,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88758호는 스크린 순환벨트 방식의 비닐류 선별 장치를 개시하는데, 이러한 스크린 순환벨트 비닐류 선별 장치는 공기분사부를 통해서 공기가 지속적으로 분사됨에 따라 공기가 순환하고 그로 인해 안내부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 중에서 헝겊, 비닐류의 쓰레기 또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쓰레기는 쓰레기 선별 유닛 측으로 바로 날아가 흡착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의도하지 않게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필름의 회수를 수행하기 이전에 폐기물을 충분하게 타격함으로써 필름의 1차적인 분리를 촉진시키고, 보다 적은 전력의 사용으로도 효율적으로 필름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필름 회수 장치에 대한 필요가 당업계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타격식 선별기에 의해 폐기물을 타격 및 선별하여 필름을 중량의 폐기물과 분리시킴으로써 필름 회수의 효율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필름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기물을 이송하는 디스크 선별기의 이송 방향 일단에 그리고 브로워 장치의 하단에 미리 결정된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를 배치함으로써 필름의 회수를 보다 촉진할 뿐만 아니라 필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필름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에 형성되는 블레이드의 형상, 배치, 각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필름의 회수를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필름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회수 장치는, 타격식 선별기에 의해 타격 및 선별된 폐기물을 2차 선별 및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디스크 선별기의 이송 방향 일단에 배치되고, 미리 결정된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하는 롤러에 걸려진 필름을 흡입하여 회수하기 위한 브로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는, 롤러 몸체의 중심에 배치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롤러 몸체를 상기 미리 결정된 속도로 회전시키는 샤프트; 및 상기 롤러 몸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바(bar) 형상의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롤러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블레이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그룹은 복수의 블레이드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 그룹은 인접한 블레이드 그룹과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각각은 상기 롤러 몸체의 외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제1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롤러의 회전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 형상의 복수의 블레이드 각각의 말단은 테이퍼링될(tapered)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그룹 각각에서 상기 롤러 몸체의 길이 방향 양 단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는 내측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로워 장치는, 브로워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복수의 브로워 팬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롤러에 걸려진 필름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브로워; 상기 브로워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브로워 샤프트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브로워에 의해 흡입된 필름을 회수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브로워 팬 각각은, 상기 브로워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브로워 샤프트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브로워 샤프트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브로워 샤프트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3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의 상기 미리 결정된 속도는 상기 디스크 선별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의 회전 속도에 동기화되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회수 장치에 의하면, 타격식 선별기에 의해 폐기물을 타격 및 선별하여 필름을 중량의 폐기물과 분리시킴으로써 필름 회수의 효율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회수 장치에 의하면, 폐기물을 이송하는 디스크 선별기의 이송 방향 일단에 그리고 브로워 장치의 하단에 미리 결정된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를 배치함으로써 필름의 회수를 보다 촉진함과 동시에 필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회수 장치에 의하면, 롤러에 형성되는 블레이드의 형상, 배치, 각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필름의 회수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장치(10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식 선별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식 선별기(100)의 선별부(12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310, 310')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워 장치(32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310, 310')에 걸려진 필름이 브로워 장치(320)에 의해 흡입되어 회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장치(10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장치(1000)는 타격식 선별기(100)와, 디스크 선별기(200)와, 필름 회수 장치(300)와, 그리고 컨베이어 장치(400)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되는 엘리먼트들(100, 200, 300, 400)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 장치(1000)의 기능, 동작 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따라서 추가의 엘리먼트(들)가 더 구성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타격식 선별기(100)는 각종 폐기물에서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적정 크기로 절단하여 선별함과 동시에 필름을 중량의 폐기물들과 분리시킴으로써, 폐기물을 산업 현장의 연료 또는 재활용을 위한 원료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타격식 선별기(10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 구성, 기능 등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2 및 도 3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디스크 선별기(200)는 타격식 선별기(100)의 배출구(114)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보다 정확하게는, 타격/선별/분리된 폐기물)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타격식 선별기(100)를 통해 폐기물 성상분리 후 크기가 큰 필름류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크 선별기(200)는 폐기물이 지지되어 이동되는 디스크 선별기 전단(220)과, 상기 디스크 선별기 전단(2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10)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크 선별기(200)의 이송 방향 일단에는 필름 회수 장치(300)가 구비되고, 상기 필름 회수 장치(300)는 롤러(310)와 브로워 장치(32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롤러(310)는 디스크 선별기(200)의 이송 방향 일단에 배치되고 미리 결정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브로워 장치(320)는 롤러(310)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롤러(310)에 걸려진 필름을 흡입하여 회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롤러(310)의 하측에는 컨베이어 장치(4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장치(400)는, 타격식 선별기(100)의 배출구(114)로부터 배출되어 디스크 선별기(200)를 통해 이송된 폐기물 중에서 브로워 장치(320)에 의해 회수되지 않은 폐기물(즉, 중량의 폐기물)을 이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엘리먼트들(100, 200, 300, 4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식 선별기(100)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식 선별기(100)의 선별부(12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식 선별기(100)는 일측 상단에 투입구(112)가 형성되고 타측 전방에 배출구(114)가 형성되는 선별기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식 선별기(100)는 선별기 본체(110)에 내설되며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타격하여 폐기물에 묻은 이물질과 수분을 걸러내는 선별부(120), 및 상기 선별부(120)에 각각 원심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식 선별기(100)는 선별부(12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과 수분만을 중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선별부(120)의 하부 쪽에 배치되는 스크린(1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150)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스크린 개구(152)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스크린(150)은 스크린(150)의 스크린 개구(152)를 통과하지 않은 폐기물을 배출구(114)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해서 선별부(120)의 회전 반경에 대응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별부(120)는 구동부(140)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는 샤프트(122)와, 상기 샤프트(122)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크(124)는 각 둘레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복수의 디스크(124)의 삽입공은 각각 동일 축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120)는 디스크(124)의 삽입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이 디스크(124)의 삽입공에 삽입될 때에 연결축의 단부에 삽입되어 디스크(124)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연결축에 대하여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복수의 회전편(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편(130)은 연결축에 대해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32), 및 상기 삽입부(132)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어 직사각형 바 형상의 회전바(13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크(124)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편(130)은 단면적이 넓은 면이 회전하는 방향과 일치하게 설치되는 회전바(134)와 단면적이 좁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하게 설치되는 회전바(134)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됨으로써, 폐기물의 파쇄와 이물질의 분리가 동시에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디스크(124)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편(130) 중 좌/우측 가변에 배치되는 회전편(130)의 회전바(134)는 폐기물이 좌/우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측으로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격식 선별기(100)의 구성을 이용하여 폐기물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각각의 구동부(14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면, 각각의 구동부(140)와 연결된 선별부(120)의 샤프트(122)가 회전하게 된다. 샤프트(122)의 회전에 따라 디스크(124) 또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디스크(124)의 삽입공에 축설된 연결축 또한 샤프트(122)의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복수의 회전편(130)이 또한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선별기 본체(110)의 투입구(112)를 통해 폐기물을 투입하면, 투입되는 폐기물은 원심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선별부(120)의 회전편(130)과 충돌을 일으키면서 폐기물에 함유된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이 분리되고, 파쇄가 이루어지며, 동시에 필름이 중량의 폐기물들과 분리되게 된다.
도 1에서 타격식 선별기(100)에 의해 타격 및 선별된 폐기물은 디스크 선별기(200)에 의해 일 방향으로(예를 들어, 도 1에서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송되고, 디스크 선별기(200)의 일단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에 포함되는 필름은 필름 회수 장치(300)에 의해서 회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회수 장치(300)는 타격식 선별기(100)의 의해 타격 및 선별된 폐기물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디스크 선별기(200)의 이송 방향 일단에 배치되어 미리 결정된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310); 및 상기 롤러(310)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롤러(310)에 걸려진 필름을 흡입하여 회수하기 위한 브로워 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타격식 선별기(100)에 의해서 타격 및 선별된 폐기물에 포함된 필름은 중량의 폐기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고, 그러한 필름은 회전하는 롤러(310)에 걸려져 브로워 장치(320)에 의한 필름 흡입 및 회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의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회수 장치(300)를 구성하는 롤러(310, 310')와 브로워 장치(32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기술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310, 310')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310)의 측면도가 도 4a에 도시되고 그 단면도가 도 4b에 도시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310, 310')는 샤프트(311)와, 복수의 블레이드(312)와, 그리고 롤러 몸체(313)로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311)는 롤러 몸체(313)의 중심에 배치되어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롤러 몸체(313)를 미리 결정된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311)는 구동부(예를 들어, 모터)와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샤프트(311)가 소정의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312)는 롤러 몸체(313)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312) 각각은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에 의해서 샤프트(311) 및 상기 샤프트(311)와 일체로 형성된 롤러 몸체(313)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롤러 몸체(313)의 외주면에 배치된 바 형상의 복수의 블레이드(312) 또한 회전하게 되고, 여기서 롤러(310, 310')의 회전 방향은 디스크 선별기(200)의 이송 방향 일단에서 배출되는 필름을 브로워 장치(320)의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방향에 해당하며, 따라서 디스크 선별기(200)의 이송 방향 일단에서 배출되는 필름이 회전하는 롤러(310, 310')의 걸림과 동시에 브로워 장치(320) 방향으로 유도됨으로써 필름의 흡입 및 회수가 보다 용이하고 보다 전원 비-소모적이게 된다.
여기서, 롤러 몸체(313)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312)는 롤러 몸체(3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블레이드 그룹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 블레이드 그룹은 복수의(예를 들어, 도 4의 예에서는 “4개”) 블레이드 그룹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복수의 블레이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 그룹은 인접한 블레이드 그룹과 일정한 각도(즉, 90°)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서는 롤러 몸체(313)의 외주면에 4개의 블레이드 그룹이 배치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고, 따라서 더 많은 개수의 또는 더 적은 개수의 블레이드 그룹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블레이드 그룹이 롤러 몸체(3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되는 경우에, 인접한 블레이드 그룹 사이의 각도는 60°(=360°/6)로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312) 각각은 롤러 몸체(313)의 외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거나(도 4a, 도 4b 참고),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312) 각각은 롤러 몸체(313)의 외주면에 수직인 방형으로부터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각도 θ)로 제1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도 4c, 도 4d 참조). 후자의 경우, 복수의 블레이드(312) 각각이 경사지는 제1 방향은 롤러(31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312) 각각을 롤러 몸체(313)의 외주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롤러(310')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블레이드(312)에 걸려 회전함으로써 브로워 장치(320)로 흡입되는 필름의 회수 효율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존의 방식과 대비하여 더 적은 전력의 사용으로도 보다 효율적인 필름의 회수를 가능하게 한다.
추가로, 도 4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 형상의 복수의 블레이드(312) 각각은 그 말단이 테이퍼링된(taper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312)의 말단이 뾰족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필름이 블레이드에 걸려지는 가능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필름 회수 효율을 또한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블레이드 그룹 각각에서 롤러 몸체(313)의 길이 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블레이드(즉, 각 블레이드 그룹 길이 방향의 2개의 최외곽 블레이드)는 내측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필름이 롤러(310, 310')를 따라, 보다 정확하게는 블레이드를 따라 회전하는 필름이 롤러 몸체(313)의 외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크 선별기(200)의 배출구로부터 나오는 필름을 포획하여 회전에 의해 이를 브로워 장치(320)의 방향으로 전달하는 롤러(310, 310')는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는데, 예를 들어 롤러(310, 310')의 회전 속도는 디스크 선별기(200)의 회전 속도와 동기화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선별기(200)를 따라 이송되는 폐기물의 이송 속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에는 그에 맞추어 롤러(310, 31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송되는 폐기물에서 필름을 누락함이 없이 회수할 수 있다. 유사하게, 디스크 선별기(200)를 따라 이송되는 폐기물의 이송 속도가 비교적 낮을 경우에는 그에 맞추어 롤러(310, 31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은 양의 폐기물의 존재 하에서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의 구동으로 인한 전력 낭비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310, 310')의 회전 속도는 디스크 선별기(200)를 따라 이송되는 폐기물의 양에 따라 설정되도록 본 폐기물 처리 장치(1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 선별기(200)의 일 영역에는 이송되는 폐기물의 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센서와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측정된 폐기물의 양에 기초하여 롤러(310, 3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되는 폐기물의 양에 따라 적응적으로 롤러(310, 310')의 회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필름 회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다양한 구조의 롤러(310, 310')에 의해서 포획된 필름은 브로워 장치(320)에 의해서 흡입되어 덕트(323)를 통해 다른 경로로 회수되는데, 브로워 장치(320)의 구성이 이하의 도 5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워 장치(32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워 장치(320)는 브로워(321)와 구동부(322) 및 덕트(323)로 구성될 수 있다. 브로워(321)는 브로워 샤프트(321-2)를 축으로 하여 복수의 브로워 팬(321-1)을 회전시킴으로써 롤러(310, 310')에 걸려진 필름을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구동부(322)는 브로워 샤프트(321-2)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브로워 샤프트(321-2)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로워(321)에 의해 흡입된 필름을 회수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경로가 되는 덕트(3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의 예에서는 6개의 브로워 팬(321-1)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구성 예에 따라 또는 구현 예에 따라 브로워 팬(321-1)의 개수를 가변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특히,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워 팬(321-1)은 회전에 의해서 필름을 롤러(310, 310')로부터 덕트(323)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데, 예를 들어 복수의 브로워 팬(321-1) 각각은 브로워(321)의 외주면으로부터 브로워 샤프트(321-2)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영역(A); 제1 영역(A)의 말단으로부터 브로워 샤프트(321-2)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영역(B); 및 제2 영역(B)의 말단으로부터 브로워 샤프트(321-2)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3 영역(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로워 팬(321-1)의 제2 영역(B)이 브로워 샤프트(321-2)의 방향, 즉 중심 방향으로 향해 경사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브로워 팬(321-1)의 회전에 의한 필름의 회수 효율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310, 310')에 걸려진 필름이 브로워 장치(320)에 의해 흡입되어 회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타격식 선별기(100)에 의해 타격 및 선별된 폐기물에는 필름이 중량의 폐기물과 충분하게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고, 이러한 폐기물이 디스크 선별기(200)를 따라 이송, 필름류의 크기에 따라 디스크 유격보다 큰 필름류가 선별되며, 디스크 선별기(200)의 이송 방향 일단에 배치되어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310, 310')에 의해서 경량의 필름은 브로워 장치(320)의 방향으로 유도되고 중량의 폐기물은 자연 낙하하여 컨베이어 장치(400)로 유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경량의 필름과 중량의 폐기물(예를 들어, 도 6에서 PET병을 예시함)이 상호 분리되어 별개의 경로로 회수되는 개념도를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에 의하면, 타격식 선별기에 의해 폐기물을 타격 및 선별하여 필름을 중량의 폐기물과 분리시킴으로써 필름 회수의 효율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에 의하면, 폐기물을 이송하는 디스크 선별기의 이송 방향 일단에 그리고 브로워 장치의 하단에 미리 결정된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를 배치함으로써 필름의 회수를 보다 촉진함과 동시에 필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에 의하면, 롤러에 형성되는 블레이드의 형상, 배치, 각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필름의 회수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타격식 선별기 112: 투입구
114: 배출구 120: 선별부
122: 샤프트 124: 디스크
130: 회전편 132: 삽입부
134: 회전바 140: 구동부
150: 스크린 152: 스크린 개구
160: 컨베이어 벨트 200: 디스크 선별기
210: 구동부 220: 디스크 선별기 전단
300: 필름 회수 장치 310, 310': 롤러
311: 샤프트 312: 블레이드
313: 롤러 몸체 320: 브로워 장치
321: 브로워 321-1: 브로워 팬
321-2: 브로워 샤프트 322: 구동부
323: 덕트 400: 컨베이어 장치
1000: 폐기물 처리 장치

Claims (10)

  1. 필름 회수 장치(300)로서,
    타격식 선별기(100)에 의해 타격 및 선별된 폐기물을 2차 선별 및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디스크 선별기(200)의 이송 방향 일단에 배치되고, 미리 결정된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310, 310'); 및
    상기 롤러(310, 310')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하는 롤러(310, 310')에 걸려진 필름을 흡입하여 회수하기 위한 브로워 장치(320)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310, 310')는,
    롤러 몸체(313)의 중심에 배치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롤러 몸체(313)를 상기 미리 결정된 속도로 회전시키는 샤프트(311); 및
    상기 롤러 몸체(313)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바(bar) 형상의 복수의 블레이드(312)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310, 310')의 회전 방향은, 상기 디스크 선별기(200)의 이송 방향 일단에서 배출되는 필름을 상기 브로워 장치(320)의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312) 각각은 상기 롤러 몸체(313)의 외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상기 롤러(310, 31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필름 회수 장치(300).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312)는 상기 롤러 몸체(3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는 블레이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그룹은 복수의 블레이드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 그룹은 인접한 블레이드 그룹과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필름 회수 장치(300).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 형상의 복수의 블레이드(312) 각각의 말단은 테이퍼링되는(tapered),
    필름 회수 장치(300).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그룹 각각에서 상기 롤러 몸체(313)의 길이 방향 양 단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는 내측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필름 회수 장치(30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워 장치(320)는,
    브로워 샤프트(321-2)를 축으로 하여 복수의 브로워 팬(321-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롤러(310, 310')에 걸려진 필름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브로워(321);
    상기 브로워 샤프트(321-2)와 연결되어, 상기 브로워 샤프트(321-2)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22); 및
    상기 브로워(321)에 의해 흡입된 필름을 회수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덕트(323)
    를 포함하는,
    필름 회수 장치(30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로워 팬(321-1) 각각은,
    상기 브로워(32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브로워 샤프트(321-2)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브로워 샤프트(321-2)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브로워 샤프트(321-2)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3 영역으로 구성되는,
    필름 회수 장치(30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10, 310’)의 상기 미리 결정된 속도는 상기 디스크 선별기(200)를 구동하는 구동부(210)의 회전 속도에 동기화되어 설정되는,
    필름 회수 장치(300).
KR1020180032197A 2018-03-20 2018-03-20 필름 회수 장치 KR102108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197A KR102108442B1 (ko) 2018-03-20 2018-03-20 필름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197A KR102108442B1 (ko) 2018-03-20 2018-03-20 필름 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332A KR20190110332A (ko) 2019-09-30
KR102108442B1 true KR102108442B1 (ko) 2020-05-12

Family

ID=6809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197A KR102108442B1 (ko) 2018-03-20 2018-03-20 필름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6446B (zh) * 2021-11-20 2023-01-31 义乌市子鱼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智能分类处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895B1 (en) * 2002-07-24 2003-06-02 Seo Won Environ Ment Co Ltd Apparatus for sorting construction waste
KR100635851B1 (ko) * 2004-06-15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KR101204876B1 (ko) * 2011-10-31 2012-11-27 주식회사 쌍용에코텍 타격식 복합 선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895B1 (en) * 2002-07-24 2003-06-02 Seo Won Environ Ment Co Ltd Apparatus for sorting construction waste
KR100635851B1 (ko) * 2004-06-15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KR101204876B1 (ko) * 2011-10-31 2012-11-27 주식회사 쌍용에코텍 타격식 복합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332A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0706B1 (en) Disc screen apparatus with air manifold
KR101516568B1 (ko) 가연성 이물질 건식타격 선별장치
JP3197017U (ja) 穀物用選別機
KR101742163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쓰레기 파쇄 및 선별장치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102108442B1 (ko) 필름 회수 장치
KR20140036867A (ko) 마늘 선별장치
KR102131356B1 (ko) 폐비닐의 세척, 탈수 및 건조 장치
CN110787909A (zh) 一种垃圾分选方法
JP5686579B2 (ja) 破砕分別装置及び破砕分別方法
KR101546356B1 (ko) 타격 풍력식 폐기물 선별 장치
US6824804B2 (en) Peca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9555445B1 (en) Rotating suction chamber apparatus
KR101204876B1 (ko) 타격식 복합 선별기
KR101341277B1 (ko) 재활용 폐비닐 건조장치
KR102254807B1 (ko) 음식물쓰레기 파쇄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CN104785448A (zh) 花生气力输送分选装置
KR100801590B1 (ko) 미세 이물질 분리장치와 그 방법
KR100331389B1 (ko) 포장된물품의포장해체에사용되는장치와방법
KR102335848B1 (ko) 폐합성수지 박피 선별시스템
JP2010214316A (ja) トロンメル式廃棄物選別装置、廃棄物処理設備、及び廃棄物分別方法
US2338956A (en) Machine for separating meats and shell fragments of edible nuts
JP2001286856A (ja) 生ゴミ選別方法及びその選別装置
CN206746735U (zh) 鼠笼式食用菌种植包料袋破碎分离装置
KR200461109Y1 (ko) 공기흡입을 이용한 페트플레이크의 이물질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