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851B1 -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851B1
KR100635851B1 KR1020040085044A KR20040085044A KR100635851B1 KR 100635851 B1 KR100635851 B1 KR 100635851B1 KR 1020040085044 A KR1020040085044 A KR 1020040085044A KR 20040085044 A KR20040085044 A KR 20040085044A KR 100635851 B1 KR100635851 B1 KR 10063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late
blade
centrifugal fan
tip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071A (ko
Inventor
타쿠시마아키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119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2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4D29/02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6/00Fluid reaction surfaces, i.e. im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선(O)의 주위에 소정방향(P)으로 회전가능한 주판(11)과, 상기 주판(11)에 배치되는 날개(4)를 구비한다. 상기 날개(4)의 적어도 상기 주판(11)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뒷전(7)을 포함하는 상기 주판(11)의 동일 반경 위치에 있는 익단면이 상기 주판(11)의 반회전방향(P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완만하게 휘어져 있고, 상기 완곡은 상기 날개(4)의 앞전(6)에서 뒷전(7)에 걸쳐서 점차 커지게 된다. 따라서, 비용을 줄이면서도 소음을 억제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A centrifugal fan and a air conditioner utiliz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심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원심팬의 팬블레이드와, 상기 팬블레이드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익단와류나 공기의 상대속도를 나타낸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원심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원심팬의 팬블레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원심팬의 팬블레이드와, 상기 팬블레이드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익단와류나 공기의 상대속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의 기본적인 원심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원심팬의 팬블레이드와, 상기 팬블레이드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익단와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원심팬의 팬블레이드와, 상기 팬블레이드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공기의 상대속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개량형 원심팬(슈라우드 장착)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개량형 원심팬(슈라우드 비장착)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원심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원심팬의 문제점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20 : 원심팬
3 : 보스
4, 24 : 팬블레이드
10 : 완곡부
11 : 주판
28 : 익단
29 : 완곡익단부
33 : 완곡익단부 최돌출부
39 : 뿌리부
본 발명은 회전축선 주위에 소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주판과, 상기 주판에 설치되는 날개를 구비하는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본적인 원심팬으로는,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도에 나타낸 원심팬(101)은 보스(103)와, 상기 보스(103)의 일단에 회전축선을 일치시켜서 배치한 주판(111)과, 상기 주판(111)에 배치되는 팬블레이드(날개)(104)를 구비하고 있다. 팬블레이드 (104)의 위쪽에는 벨마우스 (108)와 그 상단측에 배치되는 케이싱(109)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원심팬(101)의 보스(103)를 소정 방향P(상기의 경우에는 반시계방향)로 회전시켜서 팬블레이드(104)를 선회시킴으로써 유체(예를 들면, 공기)를 화살표M과 같이 벨마우스(108)의 개구부를 통해 원심팬 (101) 안으로 유입시켜서 팬블레이드(104)의 외주측에 화살표N과 같이 송출하고 있다.
그러나, 원심팬(101)의 팬블레이드(104)를 선회시켰을 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블레이드(104)에서 익단와류(S)가 발생한다. 상기 익단와류 (S)가 자신의 날개면 또는 다른 날개면, 벨마우스(108) 등의 구조물과 충돌하여 간섭하게 되면 소음이 발생하여 공력손실이 증가한다. 또한, 원심팬(101)은 흡입 기류에 대해 토출 기류가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흐름이 주판(111)측으로 쉽게 기울어지게 된다. 즉, 팬블레이드 (104)의 날개면 중 주판(111)과 반대인 외주 근방에서 송풍 작용이 이루어지기 어려워서(도8의 WH, WL), 결과적으로 팬효율의 저하, 필요회전수의 상승에 따른 송풍음의 증대, 토출 기류의 편류에 따른 하류측 통로에서의 송풍 저항의 증대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블레이드(104)의 위측에 주판 (111)과 마주보도록 슈라우드(121)를 장착하여 이루어진 원심팬(120)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팬블레이드(104)의 상류측에서 익단와류 (S)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날개면의 경사에 의한 기류의 균일화를 꾀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로는 슈라우드와의 모서리부를 메꾸어서 매끄러운 형상으로 만든 기술( 특개2001-140789호 공보 참조) 이나 팬블레이드의 주판측 단부에 대해 그 반대측의 익단부를 반시계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팬블레이드를 경사지게 하는 기술(특개평5-39930호 공보 참조)이 제안되었다.
또한, 도10,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블레이드(104)의 위측에 마련되는 케이싱(131)을 팬블레이드(104)에 근접시켜 부착함으로써 팬블레이드(104)의 상류측에서 익단와류(S)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심팬(130)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슈라우드를 설치하는 구성에서는 부품수가 증대함은 물론 슈라우드를 주판이나 팬블레이드와는 별도로 형성해야 하고, 슈라우드의 접합 가공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나 작업부담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케이싱을 팬블레이드에 근접시키는 구성에서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블레이드(104)의 상류측에서 누출되는 기류(T)와 케이싱(131) 간의 간섭(상기 도의 충돌부분U)에 의해 송풍음이 증대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용을 낮추면서도 소음을 억제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항에 따른 발명은, 회전축선 주위에 소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주판과, 상기 주판에서 세워져 상기 주판의 직경방향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주판에 상기 회전축선 주위로 배치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 의 적어도 상기 주판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뒷전을 포함하는 상기 주판의 동일 반경 위치에 있는 날개 단면이 상기 주판의 반회전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완만하게 휘어져 있고, 상기 완곡부는 상기 날개의 앞전측에서 뒷전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익단면을 상기 주판의 반회전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완만하게 휘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주판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날개의 앞전에서 뒷전에 이르기까지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날개의 완만하게 휘어진 부위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만하게 휘어진 부위를 상기 날개의 회전축선 방향의 중앙 부근에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상기 날개의 회전축선 방향의 중앙 부근으로 향하게 할 수 있어, 상기 날개에서 흐르는 유체의 취출 속도가 상기 날개의 회전축선 방향의 중앙 부근에서 빨라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날개에 대한 유체의 상대속도를 상기 날개의 회전축선 방향에 걸쳐서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유체의 흐름을 상기 날개의 회전축선 방향의 중앙 부근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상기 날개에 있어서 상기 주판과 반대측의 익단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익단와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슈라우드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날개의 익단와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비용을 낮추면서도 송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항에 따른 발명은, 제1항에 기재된 원심팬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주판과 반대측의 익단부가 상기 주판의 반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완만하게 휘어진 완곡익단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완곡익단부가 상기 주판의 반회전방향을 향하도록 완만하게 휘어지게 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상기 주판과 반대방향으로 모을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완곡익단부를 따라 상기 날개의 앞전(주판의 내주측)에서 뒷전(주판의 외주측)을 향해 흐르는 유체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날개의 뒷전에서 누출되는 유체의 상기 날개에 대한 상대속도를 상기 날개의 회전축선 방향에 걸쳐서 한층 더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곡익단부의 반회전방향측의 날개면 근방으로 익단와류를 끌어당겨서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제3항에 따른 발명은, 제2 항에 기재된 원심팬에 있어서, 상기 완곡익단부의 완곡 부분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폭이 상기 날개의 앞전에서 뒷전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완곡익단부에서 익단와류가 발생했을 경우라도, 상기 완곡익단부에 형성된 상기 완곡 부분의 오복부(부압측)에 익단와류를 끌어당겨서 익단와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날개의 앞전에서 뒷전으로 갈수록 익단와류가 성장하여 커지게 되는데, 상기 완곡 부분의 회전축선 방향의 폭도 날개의 앞전에서 뒷전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게 되어, 성장한 익단와류를 끌어당기는 면이 상기 주판과 반대측의 익단부에서 확보된다. 따라서, 익단와류를 날개의 뒷전에서 방출할 때까지 익단와류를 상기 완곡 부분에 유지시킬 수 있고, 케이싱 등의 구조부재에 익단와류가 간섭하게 되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항에 따른 발명은,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원심팬으로써, 상기 날개의 적어도 상기 주판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뒷전을 포함하는 상기 주판의 동일 반경 위치에 있는 날개 단면에서 상기 완곡익단부의 회전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점이 상기 날개의 주판측 뿌리부보다도 회전방향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익단면에서, 상기 익단부의 회전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점을 상기 날개의 주판측 뿌리부보다도 상기 회전방향에 대해 후방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주판과 반대측의 익단부를 따르는 유체의 흐름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날개에 대한 유체의 상대속도를 상기 날개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한층 더 균일화할 수 있다.
제5항에 따른 발명은,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원심팬에 있어서, 상기 완곡익단부를 상기 날개의 기타 다른 부분보다 유연한 수지재료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날개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익단와류가 상기 완곡익단부와 충돌했을 때, 상기 익단와류의 에너지를 상기 완곡익단부에서 방출하고, 와류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작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익단와류로 인한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가 언더커트 형상을 가지더라도 과인발 성형을 실시할 수 있어서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제6항에 따른 발명은, 제 5 항에 기재된 원심팬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수지재료는, 상기 날개를 사용회전수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날개의 주위에 마련되는 구조부재와의 비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판과 반대측의 익단부가 회전 원심력에 의해 상기 구조부재와 가까워지도록 위치를 바꾸더라도, 그 변형량이 상기 구조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로 한정되기 때문에, 상기 완곡익단부와 구조부재의 충돌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7항에 따른 발명은, 공기조화기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심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류로 인한 소음을 억제하여 공력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원심팬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쾌적성과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원심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원심팬(1)은 회전축선(O)의 주위를 소정방향(P)(상기 경우에는 반시계방향) 로 회전하는 대략 원반형의 주판(11)과, 상기 주판(11)의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선(O)을 일치시켜서 배치하는 대략 원통형의 보스(3)와, 상기 보스(3)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팬블레이드(날개)(4)를 구비한다.
상기 팬블레이드(4)에 대해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원심팬의 팬블레이드(4)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팬블레이드(4)는 주판(11)에 세워져 상기 주판(11)의 직경방향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주판(11)에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환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팬블레이드(4)에는 상기 주판(11)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뒷전(7)을 포함하는 상기 주판(11)의 동일 반경 위치에 있는 익단면이 상기 주판(11)의 반회전방향(P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완만하게 휘어져서 구성된다(상기 완만하게 휘어진 부위를 완곡부(10)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완곡부(10)가 팬블레이드(4)의 앞전(6)측에서 뒷전(7)까지 회전축선 방향의 중앙 부근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팬블레이드(4)의 완곡부(10)의 완곡정도(곡률)는 상기 앞전(6)에서 뒷전(7)으로 갈수록 점차 커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심팬(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원심팬(1)의 주판(11)을 소정 방향(본 경우에는 P방향,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팬블레이드(4)를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팬블레이드(4)의 앞전(6)측에 상기 주판(11)의 반대측(상류측)에서 유체(본 경우에는 공기)를 유입시켜서, 팬블레이드(4)의 앞전(6)에서 뒷전(7)을 향해 각 팬블레이드(4)의 사이에서 상기 유체를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판(11)을 소정 방향(P)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팬블레이드(4)의 앞전(6)부터 뒷전(7)에 걸쳐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팬블레이드(4)에 형성된 완곡부(10)에 의해 팬블레이드(4)의 회전축선 방향의 중앙 부근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화살표Q참조). 이에 따라, 상기 팬블레이드(4)에서 부는 유체의 취출 속도를 상기 팬블레이드(4)의 회전축선 방향의 중앙 부근에서 더 빨라지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팬블레이드 (4)에서 유체의 상대 속도를 상기 팬블레이드(4)의 회전축선 방향에 걸쳐서 균일화할 수 있다. 즉, 주판(11)과 반대측의 상대속도(WH)와 주판(11)측의 상대속도(WL)를 대략 동일한 크기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유체의 흐름을 상기 팬블레이드(4)의 회전축선 방향의 중앙 부근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상기 팬블레이드(4)에서 상기 주판(11)과 반대측인 익단(8)으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익단와류(S)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슈라우드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팬블레이드(4)의 익단와류(S)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송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곡부(10)는 팬블레이드(4)의 적어도 뒷전(7)을 포함하는 부위에 형성될 필요가 있으나, 반드시 앞전(6)에서 뒷전(7)에 걸쳐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원심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낸 원심팬의 팬블레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에 나타낸 원심팬(20)에서는, 상기 팬블레이드(24)가 상기 주판(11)의 반대측인 익단(28)이 상기 주판(11)의 반회전방향(P)의 역방향, 즉 시계방향)을 향하도록 완만하게 휘어진 완곡익단부(29)를 갖는다. 또한, 상기 완곡익단부(29)의 축방향의 폭이 상기 팬블레이드(24)의 주판(11)의 반대측인 내주단(26)에서 주판(11)의 반대측의 외주단(27)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도록 형성한다. 또한, 팬블레이드(24)의 적어도 주판(11)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뒷전(37)을 포함하는 상기 주판(11)의 동일 반경 위치에 있는 익단면에서, 상기 완곡익단부(29)의 회전방향(P)에서 가장 돌출된 완곡단부 돌출최단부(33)가 상기 팬블레이드(24)의 주판측 뿌리부(39)보다도 회전 방향(P)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점이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이다.
본 실시형태의 원심팬(20)의 작용에 대해서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원심팬(20)에 있어서, 팬블레이드(24)에 완곡익단부(29)를 형성하여 유체의 흐름을 상기 주판(11)과 반대방향으로 보냄으로써 상기 주판(11)과 반대방향의 유체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판(11)과 반대측의 익단(28)을 따라 상기 팬블레이드(24)의 앞전(36)(주판(11)의 내주측)에서 뒷전(37)(주판(11)의 외주측)을 향해 흐르는 유체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팬블레이드(24)의 뒷전(37)에서 유출되는 유체의 상기 팬블레이드(24)에 대한 상대속도를 상기 팬블레이드(24)의 회전축선 방향에 걸쳐서 한층 더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곡익단부(29)의 익단(28)에서 익단와류(S)가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완곡익단부(29)의 오목부(부압측, 도5의 후면측)에 익단와류(S)를 끌어당겨서 익단와류(S)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팬블레이드(24)의 앞전(36)측에서 뒷전(37)측으로 갈수록 익단와류(S)가 성장하여 커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완곡익단부(29)의 축방향의 폭도 앞전(36)측에서 뒷전(37)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기 때문에, 성장한 익단와류(S)를 완곡익단부(29)에 의해 앞전(36)측에서 뒷전(S)측에 걸쳐 끌어당길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익단와류(S)를 팬블레이드(24)의 뒷전(37) 에서 방출할 때까지 익단와류(S)를 상기 완곡익단부(39)에 유지시킬 수 있어, 케이싱 등의 구조부재에 익단와류(S)가 간섭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판(11)의 동일 반경 위치에 있는 익단면에서, 상기 완곡익단부(29)의 회전방향(P)으로 가장 돌출된 완곡단부 최돌출부(33)를 상기 팬블레이드(24)의 주판측 뿌리부(39)보다도 회전방향(P)에 대해 뒤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주판(11)과 반대측의 익단(28)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늘릴 수 있다. 때문 에, 상기 팬블레이드(24)에 대한 유체의 상대속도를 상기 팬블레이드(24)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한층 더 균일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곡익단부(29)를 상기 팬블레이드(24)의 기타 다른 부분보다도 유연한 수지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팬블레이드(24)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익단와류(S)가 상기 완곡익단부 (29)와 충돌했을 때, 상기 익단와류(S)의 에너지를 상기 완곡익단부(29)에서 방출하고 와류(S)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작게 만들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익단와류(S)로 인한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블레이드(24)가 언더커트 형상을 갖더라도 과인발 성형을 실시할 수 있어서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연한 수지재료는 상기 팬블레이드(24)를 사용회전수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팬블레이드(24)의 주위에 마련되는 구조부재(케이싱, 벨마우스 등)와의 비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익단(28)이 회전 원심력에 의해 상기 구조부재에 가까워지도록 위치를 바꾸더라도 그 변형량이 상기 구조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범위로 한정되기 때문에 상기 익단(28)과 구조부재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수지재료로는,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우수한 내후성을 갖는 재질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재료의 신장성을 500 ~ 1500%(3호 담벨, 500mm/min : JIS K 6251의 경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내용은 상기 실시형태에만 한정되지 않음은 주지의 사실이 다.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가 환풍기나 에어컨 등의 가전용품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프로펠러팬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제1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날개에 대한 유체의 상대속도를 상기 날개의 회전축선 방향에 걸쳐서 균일화할 수 있고, 익단와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비용을 낮추면서도 송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날개의 외주부에서 유출되는 유체의 상기 날개에 대한 상대속도를 상기 날개의 회전축선 방향에 걸쳐서 한층 더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곡익단부의 반회전 방향측의 날개면 근방에 익단와류를 끌어당길 수 있다.
제3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익단와류를 뒷전에서 방출할 때까지 익단와류를 상기 완곡 부분에 유지시킬 수 있고, 케이싱 등의 구조부재에 익단와류가 간섭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날개에 대한 유체의 상대속도를 상기 날개의 회전축방향으로 한층 더 균일화할 수 있다.
제5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익단와류로 인한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가 언더커트 형상을 가지더라도 과인발 성형을 실시할 수 있어서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제6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판과 반대측의 익단부가 회전 원심력에 의해 상기 구조부재에 가까워지도록 위치를 바꾸더라도, 상기 주판과 반대측의 익 단부와 구조부재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제7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쾌적성과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7)

  1. 회전축선 주위에 소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주판과, 상기 주판에서 세워져 상기 주판의 직경방향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주판에 상기 회전축선 주위로 배치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의 적어도 상기 주판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뒷전을 포함하는 상기 주판의 동일 반경 위치에 있는 익단면이 상기 주판의 반회전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완만하게 휘어져 완곡부를 구성하고, 상기 완곡부는 상기 날개의 앞전측에서 뒷전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주판과 반대측의 익단부가 상기 주판의 반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완만하게 휘어진 완곡익단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곡익단부의 완곡 부분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폭이 상기 날개의 앞전에서 뒷전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팬.
  4. 제 2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적어도 상기 주판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뒷전을 포함하는 상기 주판의 동일 반경 위치에 있는 익단면에서 상기 완곡익단부의 회전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점이 상기 날개의 주판측 뿌리부보다도 회전방향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팬.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곡익단부를 상기 날개의 기타 다른 부분보다 유연한 수지재료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수지재료는, 상기 날개를 사용회전수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날개의 주위에 마련되는 구조부재와의 비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팬.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심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40085044A 2004-06-15 2004-10-22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KR100635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76867A JP4308718B2 (ja) 2004-06-15 2004-06-15 遠心ファ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JP-P-2004-00176867 2004-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071A KR20050119071A (ko) 2005-12-20
KR100635851B1 true KR100635851B1 (ko) 2006-10-19

Family

ID=3571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044A KR100635851B1 (ko) 2004-06-15 2004-10-22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08718B2 (ko)
KR (1) KR100635851B1 (ko)
CN (1) CN10050407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332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필름 회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199B1 (ko) * 2006-10-09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심팬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JP5210852B2 (ja) * 2008-12-22 2013-06-12 山洋電気株式会社 軸流送風機
JP4994421B2 (ja) * 2009-05-08 2012-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遠心ファン及び空気調和機
KR101977939B1 (ko) 2012-11-13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 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101645178B1 (ko) 2013-05-10 201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 및 원심팬의 제조방법
US9995311B2 (en) 2013-05-10 2018-06-12 Lg Electronics Inc. Centrifugal fan
WO2014199498A1 (ja) * 2013-06-13 2014-12-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ペラ及び流体機械
KR102227374B1 (ko) * 2014-05-28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
JP2016061241A (ja) * 2014-09-18 2016-04-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遠心羽根車及び遠心圧縮機
DE102015100107B4 (de) * 2015-01-07 2019-11-28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Gebläserad einer Gebläseanordnung für ein Klimatisierungssystem eines Kratffahrzeugs
JP6621194B2 (ja) * 2015-06-03 2019-12-18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ターボファン及びこのターボファンを用いた送風装置
CN112041566B (zh) * 2018-06-22 2022-07-26 三菱重工发动机和增压器株式会社 旋转翼以及具备该旋转翼的离心压缩机
CN109322850A (zh) * 2018-11-02 2019-02-12 浙江工业大学 一种旋涡泵叶轮
JP7217176B2 (ja) * 2019-03-04 2023-02-02 新晃工業株式会社 遠心送風機のブレード構造
DE102020002731A1 (de) * 2019-05-16 2020-11-19 Löwenstein Medical Technology S.A. Atemtherapiegerät und Lüfterrad für ein Atemtherapiegerät
JP7002499B2 (ja) * 2019-06-27 2022-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CN110725808B (zh) * 2019-10-31 2021-03-02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离心叶轮叶片及构型方法与离心压气机
KR102467279B1 (ko) * 2020-12-02 2022-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 팬
CN113217458B (zh) * 2021-05-28 2022-09-02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叶轮、应用有该叶轮的风机系统和吸油烟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094A (ja) 1999-12-01 2001-06-05 Daikin Ind Ltd 遠心ファン及び該遠心ファン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1159396A (ja) 1999-12-03 2001-06-12 Daikin Ind Ltd 遠心ファン及び該遠心ファンを備えた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094A (ja) 1999-12-01 2001-06-05 Daikin Ind Ltd 遠心ファン及び該遠心ファン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1159396A (ja) 1999-12-03 2001-06-12 Daikin Ind Ltd 遠心ファン及び該遠心ファンを備えた空気調和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332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필름 회수 장치
KR102108442B1 (ko) * 2018-03-20 2020-05-12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필름 회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08718B2 (ja) 2009-08-05
JP2006002585A (ja) 2006-01-05
KR20050119071A (ko) 2005-12-20
CN1712733A (zh) 2005-12-28
CN100504073C (zh)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851B1 (ko)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JP5059071B2 (ja) 送風機
JP4501575B2 (ja) 軸流送風機
US6024537A (en) Axial flow fan
JP6656372B2 (ja) 軸流送風機
CN101910645A (zh) 螺旋桨式风扇
JP2006336637A (ja) 軸流型回転流体機械の翼
JP3912418B2 (ja) 軸流ファン
JP6914371B2 (ja) 軸流送風機
JP4014887B2 (ja) 遠心ファンおよびその遠心ファンを備えた加熱調理器
JP5418538B2 (ja) 送風機
JP2008051074A (ja) プロペラファン
JP4818310B2 (ja) 軸流送風機
JP2003184792A (ja) 送風機
JP2010236372A (ja) 軸流送風機、空気調和機及び換気扇
KR100638092B1 (ko) 프로펠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KR20170102097A (ko) 누류 및 와류 억제용 축류팬
KR100484824B1 (ko) 축류팬
JP2007205230A (ja) 送風機羽根車
JP2000009083A (ja) 羽根車
KR20040026882A (ko) 축류팬
JP3831994B2 (ja) 送風機羽根車
JP4444307B2 (ja) 送風機
KR20190085735A (ko) 축류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