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735A - 축류팬 - Google Patents

축류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735A
KR20190085735A KR1020180003963A KR20180003963A KR20190085735A KR 20190085735 A KR20190085735 A KR 20190085735A KR 1020180003963 A KR1020180003963 A KR 1020180003963A KR 20180003963 A KR20180003963 A KR 20180003963A KR 20190085735 A KR20190085735 A KR 20190085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hole
axial flow
flow fa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2293B1 (ko
Inventor
손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3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2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04D29/68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82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fluid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means of rotor construction or layout, e.g. unequal distribution of blades or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04D29/68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84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fluid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를 감소시켜, 팬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팬 성능을 향상시킨 축류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은 회전 구동하는 허브와, 허브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연결되며, 허브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공기를 압송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블레이드에는 홀이 구비되며, 홀은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류팬{AXIAL FLOW FAN}
본 발명은 축류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류팬의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를 감소시켜, 축류팬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류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팬은 공기를 송풍하는 장치를 말한다. 축류팬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도록 구성된 팬의 한 종류로서, 일반적으로 허브와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축류팬(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2097호)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축류팬은 블레이드(20)의 부압면(27)에 다수의 돌출부(23)가 형성되고, 외주(24)에 굴곡부(26)가 형성되며, 굴곡부(26)와 인접하는 후연부(22)에 곡선으로 돌출되는 곡선부(25)가 형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전연부(21)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돌출부(23)를 통해 블레이드(20)의 부압면에 발생되는 누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었으며, 굴곡부(26)에 의해 공기의 와류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축류팬의 경우 돌출부(23)의 복잡한 구조 및 형상은 물론, 굴곡부(26), 곡선부(25) 등의 복잡한 형상으로 인해 사출 제작 시 어려움이 있다. 예컨대, 이러한 복잡한 구조 및 형상을 갖는 축류팬의 제작 시 열 변형이 발생되기 때문에 실제 제작된 경우 설계된 형상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설계 시 목표한 축류팬의 성능 향상 효과를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축류팬(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6185호)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종래의 축류팬의 블레이드(30)는 후연부(32)에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목부(33)는 축류팬의 송풍 성능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억제하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오목부(33)는 비교적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데, 이로 인해 축류팬의 사출 제작 시 열 변형을 발생시켜, 실제 제작 시 설계된 형상과 차이가 나타날 수 있었다. 그 결과, 설계 시 목표한 축류팬의 성능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종래의 축류팬에 따르면 와류 제어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축류팬의 블레이드 정압면과 부압면 간의 압력 차는 그대로 유지되어 성능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류팬의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를 감소시키는 구조로 블레이드를 설계하여 부하 감소 및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축류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형상으로 블레이드 구조를 개선하지 않으면서 블레이드에 간단히 원형 홀을 형성하여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축류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에 타원형 홀을 형성하여 유량 손실의 증가 없이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 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타원형 홀을 갖는 축류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은 회전 구동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연결되며, 상기 허브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공기를 압송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홀이 구비되며, 상기 홀은 상기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이때, 상기 홀은, 상기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블레이드의 전연부보다 후연부에 더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블레이드의 전연부로부터 후연부까지 거리의 4/5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은 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홀의 직경은, 상기 축류팬 직경의 2.7 ~ 3.6%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의 직경이 축류팬 직경의 2.7% 미만일 경우,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 감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홀의 직경이 축류팬 직경의 3.6% 초과일 경우 블레이드의 압력 차 감소로 인한 축류팬 부하 감소의 효과보다 유량 손실이 더 크게 발생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축류팬의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의 직경은, 상기 축류팬 직경의 2.7 ~ 3.6%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홀의 중심과 상기 허브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허브 직경의 49 ~ 55%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만일 홀의 중심이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 위치하게 되면, 팬 성능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의 중심과 상기 허브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허브 직경의 49 ~ 55%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은 회전 구동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연결되며, 상기 허브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공기를 압송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타원 형상의 홀이 구비되며, 상기 홀은 상기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원 형상 홀의 장축 방향은, 상기 축류팬의 반경 방향과 일치하도록 얼라인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블레이드의 전연부보다 후연부에 더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블레이드의 전연부로부터 후연부까지 거리의 4/5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류팬의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를 감소시키는 구조로 블레이드를 설계하여 부하 감소 및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레이드에 간단히 원형 홀을 뚫는 작업만으로도, 축류팬의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와류 억제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블레이드를 통해 돌기 등의 복잡한 형상을 갖도록 하였는데, 축류팬의 사출 제작 시 열 변형이 유발되어 실제 제작된 축류팬의 경우 설계된 형상과 차이가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허브에 인접한 위치에 원형의 홀을 뚫는 작업만으로도 축류팬의 성능 향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홀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변경 적용할 경우, 타원형의 장축이 축류팬의 반경 방향과 얼라인 되도록 하여, 유량 손실의 증가 없이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 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축류팬의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종래의 축류팬의 하나의 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축류팬의 다른 하나의 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부압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정압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홀 직경, 홀 중심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부압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홀 형상 및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축류팬의 압력 분포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압력 분포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축류팬의 속도 분포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속도 분포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부압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정압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100)은 허브(110)와 다수 개의 블레이드(120)를 포함하며, 다수 개의 블레이드(120)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축류팬(100)은 축(즉, 회전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도록 구성된 송풍장치를 말한다.
허브(110)는 모터 등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허브(11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앙에 모터의 회전 축이 연결되어 모터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20)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다수 개의 블레이드(120)는 허브(1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120)는 허브(1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블레이드(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 축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어, 공기의 압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축류팬(100)의 회전 시 블레이드(120)를 통해 정압면과 부압면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축류팬(100)의 부압면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4를 참조하면 축류팬(100)의 정압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축류팬(100)의 정압면과 부압면 사이에는 압력 차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압력 차가 증가할 경우 축류팬(100)의 부하가 증가되고, 축류팬(100)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120)에 간단히 홀을 형성하여 정압면과 부압면 간의 압력 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에 형성된 홀의 크기, 형상, 위치 등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직경, 홀 중심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홀(121)은 블레이드(120)의 정압면과 부압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121)은 블레이드(120)를 관통하여 형성되지만 홀(121)의 위치는 허브(110)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홀(121)은 허브(110)에 근접하여 위치함은 물론, 블레이드(121)의 전연부(123)보다는 후연부(125)에 더 근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홀(121)은 블레이드(121)의 전연부(123)에서 후연부(125)까지 거리의 4/5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 홀(121)이 형성됨에 따라 허브(110)의 인근에서 블레이드(120)를 통해 발생되는 공기 유동의 속도 벡터 값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축류팬의 부하 감소 및 축류팬 주변의 유동 패턴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홀(1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원 형상의 홀(121)의 직경(D2)은 축류팬(100, 도 3 참조)의 전체 직경의 2.7 ~ 3.6%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만일, 홀(121)의 직경(D2)이 축류팬(100, 도 3 참조) 전체 직경의 2.7% 미만일 경우, 홀(121)에 의한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 감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홀(121)의 직경(D2)이 축류팬(100, 도 3 참조) 전체 직경의 3.6%를 초과할 경우, 홀(121)에 의한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 감소로 인한 축류팬 부하 감소의 효과보다 유량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121)의 직경이 지나치게 커져 유량 손실로 인해 축류팬의 성능을 오히려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홀(121)의 직경(D2)은 축류팬(100, 도 3 참조) 직경의 2.7 ~ 3.6%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한편, 홀(121)의 중심과 허브(110)의 중심(즉, 축류팬의 중심) 사이의 거리(L1)는 허브(110) 직경(D1)의 49 ~ 55%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만일, 홀(121)의 중심과 허브(110)의 중심 사이의 거리(L1)가 허브(110) 직경(D1)의 49% 미만이거나 또는 55%를 초과하게 되면, 블레이드(120)가 일을 하는 영역에 홀(121)이 위치하게 되어 오히려 축류팬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100, 도 3 참조)은 블레이드(120)에 간단히 홀(121)을 형성하는 작업을 통해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를 감소시킬 수 있어, 종래의 축류팬과 비교하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동일 RPM 대비 풍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동일 풍량 대비 소비전력이 감소되는 효과를 가지며, 동일 풍량 대비 소음 감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홀(121)은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반드시 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사각형, 삼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부압면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100)은 허브(110)와 다수 개의 블레이드(120)를 포함하며, 다수 개의 블레이드(120) 각각에는 타원 형상의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타원 형상의 홀(121)은 블레이드(120)의 정압면과 부압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데, 허브(110)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홀 형상 및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타원 형상의 홀(121)이 블레이드(120)를 통해 구비된다.
타원 형상의 홀(121)은 허브(110)에 근접하여 위치하는데, 블레이드(121)의 전연부(123)보다는 후연부(125)에 더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타원 형상의 홀(121)은 블레이드(121)의 전연부(123)에서 후연부(125)까지 거리의 4/5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타원 형상의 홀(121)의 장축(X1) 방향은 축류팬(100, 도 6 참조)의 반경 방향(CL)과 일치하도록 얼라인 되는 것이 좋다.
만일, 타원의 단축이 축류팬(100, 도 6 참조)의 반경 방향과 일치하도록 얼라인 될 경우, 블레이드(120)의 압력 차 감소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유량 손실만 커지게 되어 축류팬(100, 도 6 참조)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타원 형상의 홀(121)의 장축(X1)을 축류팬(100, 도 6 참조)의 반경 방향(CL)에 얼라인시켜 유량 손실을 막으면서 축류팬(100, 도 6 참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종래의 축류팬의 압력 분포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압력 분포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축류팬의 경우(즉, 홀이 없는 경우),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가 약 13Pa(1.32mmH2O) 정도이며, 이러한 압력 차가 축류팬의 허브부터 팁(tip)까지 넓게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100, 도 3 참조)의 경우,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가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S1 영역, S2 영역 참조).
특히, S3 영역을 보면 블레이드에서 형성되는 축류팬의 압력이 도 8에 도시된 종래의 축류팬에 비해 약 4Pa(0.4 mmH2O) 정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경우 동일 RPM에서 팬의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시사한다.
도 10은 종래의 축류팬의 속도 분포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의 속도 분포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래의 축류팬의 경우(즉, 홀이 없는 경우), S4 영역에서 Vortex가 발생되었으며, 모터와 블레이드 정압면 사이의 S5 영역에서 Vortex가 발생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류팬(100, 도 3 참조)의 경우, S4 영역에서의 Vortex는 소멸되었고, 종래의 S5 영역에서 발생하였던 Vortex는 d1(예: 약 3 mm 등)만큼 모터 방향으로 이동하여 발생하였다(즉, S5에서 S5′ 위치로 이동함). 이로 인해, 블레이드에서 토출되는 유동의 유로가 종래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져 풍량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축류팬의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를 감소시키는 구조로 블레이드를 설계하여 부하 감소 및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블레이드에 간단히 원형 홀을 뚫는 작업만으로도, 축류팬의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와류 억제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블레이드를 통해 돌기 등의 복잡한 형상을 갖도록 하였는데, 축류팬의 사출 제작 시 열 변형이 유발되어 실제 제작된 축류팬의 경우 설계된 형상과 차이가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허브에 인접한 위치에 원형의 홀을 뚫는 작업만으로도 축류팬의 성능 향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홀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변경 적용할 경우, 타원형의 장축이 축류팬의 반경 방향과 얼라인 되도록 하여, 유량 손실의 증가 없이 정압면과 부압면의 압력 차 감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축류팬의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허브 인근에서 블레이드를 통해 발생되는 공기 유동의 속도 벡터 값을 증가시키고, 축류팬의 부하를 감소시키며, 축류팬 주변의 유동 패턴을 개선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와 비교하여 동일 RPM 대비 풍량 증가의 효과를 가져오며, 동일 풍량 대비 소비전력 감소의 효과를 가져오며, 동일 풍량 대비 소음 감소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축류팬
110: 허브
120: 블레이드
121: 홀
123: 전연부
125: 후연부

Claims (9)

  1. 회전 구동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연결되며, 상기 허브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공기를 압송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홀이 구비되며,
    상기 홀은 상기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축류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블레이드의 전연부보다 후연부에 더 근접하여 위치하는
    축류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블레이드의 전연부로부터 후연부까지 거리의 4/5 지점에 위치하는
    축류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홀의 직경은,
    상기 축류팬 직경의 2.7 ~ 3.6%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축류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중심과 상기 허브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허브 직경의 49 ~ 55%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축류팬.
  6. 회전 구동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연결되며, 상기 허브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공기를 압송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타원 형상의 홀이 구비되며,
    상기 홀은 상기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축류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 형상 홀의 장축 방향은,
    상기 축류팬의 반경 방향과 일치하도록 얼라인 되는
    축류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블레이드의 전연부보다 후연부에 더 근접하여 위치하는
    축류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허브에 근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블레이드의 전연부로부터 후연부까지 거리의 4/5 지점에 위치하는
    축류팬.
KR1020180003963A 2018-01-11 2018-01-11 축류팬 KR102092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963A KR102092293B1 (ko) 2018-01-11 2018-01-11 축류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963A KR102092293B1 (ko) 2018-01-11 2018-01-11 축류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735A true KR20190085735A (ko) 2019-07-19
KR102092293B1 KR102092293B1 (ko) 2020-03-23

Family

ID=6751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963A KR102092293B1 (ko) 2018-01-11 2018-01-11 축류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2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40822A (zh) * 2008-11-28 2009-05-27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轴流风扇及离心风扇的风叶
CN107313979A (zh) * 2017-08-31 2017-11-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轴流风轮及具有其的空调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40822A (zh) * 2008-11-28 2009-05-27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轴流风扇及离心风扇的风叶
CN107313979A (zh) * 2017-08-31 2017-11-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轴流风轮及具有其的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293B1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3371B2 (en) Centrifugal fan
WO2016068280A1 (ja) 送風装置および掃除機
ES2901052T3 (es) Entrada para ventilador axial
KR100635851B1 (ko) 원심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JP2011122570A (ja) 二重反転式軸流送風機
AU2020478845B2 (en) Turbofan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19150567A1 (ja) 軸流送風機
JP2010090835A (ja) 多翼遠心ファ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6322378A (ja) 送風機羽根車
JP6224952B2 (ja) 送風装置
JP2014185551A (ja) プロペラファン
KR20190085735A (ko) 축류팬
KR20170102097A (ko) 누류 및 와류 억제용 축류팬
WO2018124257A1 (ja) 軸流ファンおよび送風ユニット
JP6188016B2 (ja) 遠心送風機
KR20170116754A (ko) 고정압 원심임펠러
KR20040026882A (ko) 축류팬
KR20070066240A (ko)
JP7487854B1 (ja) 送風機
WO2017061540A1 (en) Impeller and axial fan including the same
KR100437027B1 (ko) 터보팬
KR100504480B1 (ko) 축류팬
KR100459191B1 (ko) 터보팬
KR100459192B1 (ko) 구심형 축류팬
JP6583397B2 (ja) プロペラ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