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279B1 - 원심 팬 - Google Patents

원심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279B1
KR102467279B1 KR1020200166634A KR20200166634A KR102467279B1 KR 102467279 B1 KR102467279 B1 KR 102467279B1 KR 1020200166634 A KR1020200166634 A KR 1020200166634A KR 20200166634 A KR20200166634 A KR 20200166634A KR 102467279 B1 KR102467279 B1 KR 10246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blade
straight
fold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569A (ko
Inventor
최학규
정용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2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4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원심 팬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원심 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원심 팬은 회전축에 결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의 폭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냉매가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심 팬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곡선부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절곡하여 폴딩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심 팬{CENTRIFUGAL FAN}
본 명세서는 원심 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원심 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냉기를 제공함으로써 음식물을 냉각시키거나 또는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에는 냉장실과 냉동실 등 공기를 증발기로 유동시킨 후 냉장실과 냉동실 등으로 송풍시키는 원심 팬이 유로 상에 설치된다.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전면이 개방되는 아우터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의 안에 배치되는 이너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안에 배치되는 저장실(예를 들어, 냉장실 또는 냉동실)과, 아우터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이 경우, 냉장고는 저장실의 일측에 형성되고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켜 냉기를 생성시키는 증발기와,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냉기 유로와, 증발기의 냉기를 냉기 유로를 통해 저장실로 순환시키는 원심 팬과, 원심 팬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389395 B (2003.06.27. 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577875 B (2015.12.28. 공고)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매가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심 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품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원심 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원심 팬은 회전축에 결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의 폭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가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심 팬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곡선부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절곡하여 폴딩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부의 폭은 다음의 수식,
Figure 112020130462383-pat00001
, (여기에서, w는 상기 폴딩부의 폭, a는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 Do는 상기 블레이드의 외경)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부는 상기 곡선부의 상기 상단 또는 상기 하단 중 한곳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부는 상기 곡선부의 상기 상단 또는 상기 하단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부는 상기 곡선부의 상단의 전체 영역 또는 하단의 전체 영역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부의 내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상대속도 벡터와 원주 방향 벡터가 이루는 각도는 40도 이상 45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부의 외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상대속도 벡터와 원주 방향 벡터가 이루는 각도는 115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원심 팬은 회전축에 결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제1 직선부와, 상기 제1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제2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곡선부의 상단과 상기 제2 곡선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블레이드는 제3 직선부와, 상기 제3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의 하단과 상기 제3 곡선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 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가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심 팬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개수는 55개 이상 60개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폴딩부는 상기 제1 곡선부의 상단 전체와 상기 제2 곡선부의 상단 전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폴딩부는 상기 제2 곡선부의 하단 전체와 상기 제3 곡선부의 하단 전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직선부의 내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상대속도 벡터와 원주 방향 벡터가 이루는 각도는 40도 이상 45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곡선부의 외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상대속도 벡터와 원주 방향 벡터가 이루는 각도는 115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곡선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냉매가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심 팬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부품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원심 팬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송풍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에서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에서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discloser)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명세서(discloser)의 용어는 document, specification, description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10)은 회전축(100)과, 허브(200)와, 복수의 블레이드(3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원심 팬(10)은 냉장고의 아우터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증발기에서 냉각된 냉매를 저장실로 유동시킬 수 있다.
회전축(100)은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100)은 모터(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100)에는 허브(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허브(200)는 회전축(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허브(200)에는 블레이드(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서 허브(200)는 원통 형상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회전축(100)의 회전에 따라 블레이드(3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면, 허브(2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00)는 허브(200)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00)는 회전축(100)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내경(Di)은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내측단이 그리는 가상원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외경(Do)은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외측단이 그리는 가상원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내경(Di)은 40mm이고,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외경(Do)은 85mm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콤팩트한 원심 팬(10)을 형성할 수 있다.
블레이드(300)는 직선부(310)와, 연결부(320)와, 곡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부(310)는 원심 팬(10)을 위에서 보았을 때,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직선부(310)는 라디얼(radia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서 직선부(310)의 내측단은 허브(200)와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직선부(310)의 내측단에 허브(200)와 연결되지 않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직선부(310)를 연결한 직선은 회전축(100)을 지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선부(310)의 내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상대속도 벡터(L2)와 원주 방향 벡터(L1)가 이루는 각도(a1)는 40도 이상 45도 이하일 수 있다. 직선부(310)의 내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상대속도 벡터(L2)는 직선부(310)의 내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절대속도 벡터에서 직선부(310)의 내측단에서 원주 방향 벡터(L1)를 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직선부(310)의 내측단에서 원주 방향 벡터(L1)는 블레이드(300)가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내측단이 이루는 가상원과 접촉하는 점에서의 접선 벡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내경(Di)은 40mm이고,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외경(Do)은 85mm인 경우에,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개수를 최대로 늘려 원심 팬(10)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320)는 직선부(310)와 곡선부(33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320)는 원심 팬(10)을 위에서 보았을 때,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20)는 원심 팬(10)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곡선부(330)는 원심 팬(10)을 위에서 보았을 때,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선부(330)는 전체적으로 회전축(100)의 회전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곡선부(330)는 전체적으로 시로코(sirocco)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 유량에서도 회전수를 줄여 원심 팬(10)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곡선부(330)의 외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상대속도 벡터(L4)와 원주 방향 벡터(L3)가 이루는 각도(a2)는 115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 곡선부(330)의 외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상대속도 벡터(L4)는 곡선부(330)의 외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절대속도 벡터에서 곡선부(330)의 외측단에서 원주 방향 벡터(L3)를 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곡선부(330)의 외측단에서 원주 방향 벡터(L3)는 블레이드(300)가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외측단이 이루는 가상원과 접촉하는 점에서의 접선 벡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내경(Di)은 40mm이고,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외경(Do)은 85mm인 경우에,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개수를 최대로 늘려 원심 팬(10)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곡선부(330)의 높이는 직선부(3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서 곡선부(330)의 높이는 회전축(100)의 축 방향 높이를 의미하고, 직선부(310)의 높이는 회전축(100)의 축 방향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10)에 따르면, 블레이드(300)가 직선부(310)와 곡선부(330)로 이루어지므로 송풍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개수는 60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콤팩트한 원심 팬(10)의 구성으로도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송풍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에서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에서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20)은 회전축(100)과, 허브(200)와, 복수의 블레이드(3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하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1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블레이드(300)는 폴딩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부(340)는 곡선부(330)의 상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딩부(340)는 곡선부(330)의 상단에서 회전축(1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backward)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폴딩부(340)는 곡선부(330)의 하단에는 형성되지 않고, 곡선부(330)의 상단에서만 회전축(1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폴딩부(340)는 곡선부(330)의 상단의 전체 영역에서 회전축(1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30)의 블레이드(300)의 폴딩부(350)는 곡선부(330)의 상단에서 회전축(100)의 방향(forward)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30)의 폴딩부(350)에 비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20)의 폴딩부(340)의 경우 송풍 효율이 더 향상됨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20)의 경우처럼, 폴딩부(340)는 곡선부(300)에서 회전축(1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40)의 블레이드(300)의 폴딩부(360)는 곡선부(330)의 하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의미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폴딩부(360)는 곡선부(330)의 하단 영역에서 회전축(1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회전축(100)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10)의 경우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사이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20, 30, 40)의 경우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사이로 냉매가 누설되는 양이 줄어듦을 알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20, 30, 40)을 통해,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사이의 공간으로 냉매가 누설되어 송풍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폴딩부(340, 350, 360)는 곡선부(330)의 상단 또는 하단 중 한곳에만 형성되므로, 불필요한 부품의 증가로 인한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딩부(340)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선부(330)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직각인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곡선부(33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절곡하여 폴딩부(3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품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블레이드(300)의 폴딩부(340, 350, 360)의 폭(w)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폴딩부(340, 350, 360)의 폭(w)은 폴딩부(340, 350, 360)의 원주 방향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폴딩부(340, 350, 360)의 폭(w)은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130462383-pat00002
여기에서, w는 폴딩부(340, 350, 360)의 폭을 의미하고, a는 블레이드(300)의 피치각(pitch angle)을 의미하고, Do는 블레이드(300)의 외경을 의미할 수 있다. 블레이드(300)의 피치각(a)은 360/n을 의미하고, n은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내경(Di)은 40mm이고,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외경(Do)은 85mm이고,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개수가 60개인 경우, w는 약 1.48에서 1.98 사이가 됨을 알 수 있고, 그 경우에 원심 팬(20, 30, 40)의 송풍 효율이 기존보다 상승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의(300)의 폴딩부(340, 350, 360)의 전체적으로 일정한 폭(w)이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 원심 팬(20, 30, 40)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의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50)은 회전축(100)과, 허브(200)와, 복수의 블레이드(3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하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심 팬(1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00)는 제1 블레이드와, 제1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는 제1 직선부(312)와, 제1 직선부(312)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곡선부(332)와, 제1 직선부(312)와 제1 곡선부(33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는 제2 직선부(314)와, 제2 직선부(314)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곡선부(334)와, 제2 직선부(314)와 제2 곡선부(334)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324)와, 제1 곡선부(332)의 상단과 제2 곡선부(334)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 폴딩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딩부(380)는 제1 곡선부(332)의 상단의 전체 영역과 제2 곡선부(334)의 상단의 전체 영역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블레이드는 제3 직선부(316)와, 제3 직선부(316)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곡선부(336)와, 제3 직선부(316)와 제3 곡선부(336)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326)와, 제2 곡선부(334)의 하단과 제3 곡선부(336)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 폴딩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폴딩부(390)는 제2 곡선부(334)의 하단의 전체 영역과 제3 곡선부(336)의 하단의 전체 영역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300)는 이웃하는 곡선부(330)의 상단과 하단이 폴딩부(380, 390)에 의해 교번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사이로 누설되는 냉매를 저하시켜 원심 팬(50)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내경(Di)은 40mm이고,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외경(Do)은 85mm인 경우,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개수는 55개 이상인 경우에 기존보다 효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개수가 60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00) 중 이웃하는 블레이드의 간섭이 생길 수 있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300)의 개수는 55개 이상 6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20, 30, 40, 50: 원심 팬 100: 회전축
200: 허브 300: 블레이드

Claims (14)

  1. 회전축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의 폭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형성되고,
    상기 폴딩부의 폭은 다음의 수식,
    Figure 112022033852638-pat00003
    ,
    (여기에서, w는 상기 폴딩부의 폭, a는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 Do는 상기 블레이드의 외경)을 만족하는 원심 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곡선부의 상기 상단 또는 상기 하단 중 한곳에만 배치되는 원심 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곡선부의 상기 상단 또는 상기 하단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심 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곡선부의 상단의 전체 영역 또는 하단의 전체 영역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심 팬.
  6. 회전축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의 폭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형성되고,
    상기 직선부의 내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상대속도 벡터와 원주 방향 벡터가 이루는 각도는 40도 이상 45도 이하인 원심 팬.
  7. 회전축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의 폭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형성되고,
    상기 곡선부의 외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상대속도 벡터와 원주 방향 벡터가 이루는 각도는 115도 이상 120도 이하인 원심 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원심 팬.
  9. 회전축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제1 직선부와, 상기 제1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제2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곡선부의 상단과 상기 제2 곡선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블레이드는 제3 직선부와, 상기 제3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의 하단과 상기 제3 곡선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부는 상기 제1 곡선부의 상단 전체와 상기 제2 곡선부의 상단 전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폴딩부는 상기 제2 곡선부의 하단 전체와 상기 제3 곡선부의 하단 전체를 연결하는 원심 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개수는 55개 이상 60개 이하인 원심 팬.
  11. 삭제
  12. 회전축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제1 직선부와, 상기 제1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제2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곡선부의 상단과 상기 제2 곡선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블레이드는 제3 직선부와, 상기 제3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의 하단과 상기 제3 곡선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직선부의 내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상대속도 벡터와 원주 방향 벡터가 이루는 각도는 40도 이상 45도 이하인 원심 팬.
  13. 회전축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제1 직선부와, 상기 제1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제2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곡선부의 상단과 상기 제2 곡선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블레이드는 제3 직선부와, 상기 제3 직선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의 하단과 상기 제3 곡선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곡선부의 외측단에서 유체 입자의 상대속도 벡터와 원주 방향 벡터가 이루는 각도는 115도 이상 120도 이하인 원심 팬.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곡선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원심 팬.
KR1020200166634A 2020-12-02 2020-12-02 원심 팬 KR10246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634A KR102467279B1 (ko) 2020-12-02 2020-12-02 원심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634A KR102467279B1 (ko) 2020-12-02 2020-12-02 원심 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569A KR20220077569A (ko) 2022-06-09
KR102467279B1 true KR102467279B1 (ko) 2022-11-16

Family

ID=8198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634A KR102467279B1 (ko) 2020-12-02 2020-12-02 원심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721B1 (ko) * 2022-12-08 2024-03-11 이종갑 유선형 블레이드를 구비한 블로워 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590A (ja) * 1999-02-23 2000-09-05 Hitachi Ltd 多翼前向ファ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3074B2 (ja) * 1990-08-20 1999-12-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389395B1 (ko) 2000-09-05 2003-06-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용 터보팬
JP4308718B2 (ja) * 2004-06-15 2009-08-05 三星電子株式会社 遠心ファ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1221165B1 (ko) * 2010-06-30 2013-01-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중량감소형 터보팬
KR101577875B1 (ko) 2013-12-30 2015-12-2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원심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590A (ja) * 1999-02-23 2000-09-05 Hitachi Ltd 多翼前向ファ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569A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117B1 (ko) 냉장고의 냉기 유동 발생구조
US8671710B2 (en) Ventilation device and the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3626974B1 (e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US6863500B2 (en) Blast fan
KR102467279B1 (ko) 원심 팬
KR100347050B1 (ko) 냉장고용 축류팬
KR100484828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용 축류팬
KR101896256B1 (ko) 축류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N110319056A (zh) 轴流风机
US20170314568A1 (en) In-refrigerator blo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585192B1 (ko) 송풍 장치
JP7378611B2 (ja) 軸流ファン、送風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473945B1 (ko) 냉기순환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KR100638100B1 (ko) 후향팬
EP1536145B1 (en) Blowing fan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7339843B (zh) 散热风机和包括散热风机的冰箱
KR101758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20060844A (ko) 냉장고용 원심 팬
KR100402477B1 (ko) 냉장고의 송풍팬 어셈블리
JP7289235B2 (ja) エアコン装置の室外機用プロペラファン
KR102654663B1 (ko) 외전형 모터
US20070079628A1 (en) Air conditioner
WO2023248904A1 (ja) 多翼送風機および室内機
KR100379499B1 (ko) 냉장고용 축류팬
KR20230045863A (ko) 외전형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