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612B1 - 복합 선별기 - Google Patents

복합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612B1
KR102121612B1 KR1020190015976A KR20190015976A KR102121612B1 KR 102121612 B1 KR102121612 B1 KR 102121612B1 KR 1020190015976 A KR1020190015976 A KR 1020190015976A KR 20190015976 A KR20190015976 A KR 20190015976A KR 102121612 B1 KR102121612 B1 KR 10212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screen
basic body
convey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규
Original Assignee
(주) 제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 제이에스티
Priority to KR1020190015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612B1/ko
Priority to PCT/KR2020/001970 priority patent/WO202016696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2Apparatus having only paralle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 등과 같은 불순물 및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작업의 편의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가동시간을 증가할 수 있는 복합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선별기는 폐기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분리하는 복합 선별기에 있어서, 내부에 선별실이 형성되고 폐기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선별기본체; 상기 선별기본체의 내장되어 불순물을 선별작용을 수행하는 복수의 선별회전체; 상기 선별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체구동부; 상기 선별회전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배치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지보수용도어; 및 상기 유지보수용도어의 개폐동작을 위해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도어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 선별기{HIT TYPE COMPLEX SORTOR}
본 발명은 복합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 등과 같은 불순물 및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작업의 편의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가동시간을 증가할 수 있는 복합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생활쓰레기의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고, 산업의 발달과 고도화로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서도 다양한 폐기물을 대량으로 배출하고 있다.
폐기물은 주로 매립방법 또는 소각방법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매립에 따른 악취 등이 발생과 소각에 따른 유해가스의 발생으로 사회적인 문제에 대두되고 있다.
이에 근래에는 폐기물 중에서 폐합성수지, 폐목재 등과 같이 소각시 발열량이 많은 폐기물을 연료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폐기물에는 토사, 수분 등과 같이 다양한 불연성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연소가 어렵고, 발열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연소 시 유해가스, 매연 등이 다량 발생됨에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4876호(등록일자: 2012. 11.20)에 개시된 바와 같은 타격식 복합 선별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타격식 복합 선별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내설되며 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타격하여 상기 폐기물에 묻은 이물질과 수분을 걸러내는 선별부(20)와, 이 선별부(20)에 각각 원심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타격식 복합 선별기는 선별부(2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과 수분만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낙하되도록 선별부(20)의 하부쪽에 스크린(50)이 마련되어 선별부(20)에 의해 걸러진 불순물과 수분은 스크린(50)의 구멍을 통해 아래로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 타격식 복합 선별기는 스크린(50)의 하부에 낙하하는 불순물을 운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 벨트(60)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타격식 복합 선별기는 본체(10)의 상부에 모터와 같은 구동부(4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선별부(20)의 유지보수작업을 위해서는 구동부(40)를 분리하고, 본체(10)의 상부 구조물을 분리 제거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어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장시간의 가동중단에 따른 휴지시간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타격식 복합 선별기는 폐기물의 선별과정에서 불순물에 의한 스크린(50)의 마모, 스크린(50) 구멍의 막힘현상으로 잦은 유지보수가 필요하지만, 스크린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컨베이어 벨트(60) 및 스크린을 본체(10)로부터 분리, 제거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는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장시간의 가동중단에 따른 휴지시간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04876호 "타격식 복합 선별기" 한국등록특허 제10-0952903호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생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토사 등과 같은 불순물 및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작업의 편의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가동시간을 증가할 수 있도록 한 복합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선별기는 폐기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분리하는 복합 선별기에 있어서, 내부에 선별실이 형성되고 폐기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선별기본체; 상기 선별기본체의 내장되어 불순물을 선별작용을 수행하는 복수의 선별회전체; 상기 선별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체구동부; 상기 선별회전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배치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지보수용도어; 및 상기 유지보수용도어의 개폐동작을 위해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도어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선별기는 폐기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분리하는 복합 선별기에 있어서, 내부에 선별실이 형성되고 폐기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선별기본체; 상기 선별기본체의 내장되어 불순물을 선별작용을 수행하는 복수의 선별회전체; 상기 선별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체구동부; 상기 선별회전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지보수용도어; 상기 유지보수용도어의 개폐동작을 위해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도어개폐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 및 상기 컨베이어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선별회전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판상 부재에 다수의 배출공이 스크린판, 및 상기 스크린판의 양쪽에 설치되는 스크린사이드프레임을 구비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컨베이어프레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가 벨트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본체, 상기 컨베이어본체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이탈방지판를 구비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승강부는 상기 스크린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부재, 및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로드부가 접속되고 실린더부가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린판은 상기 선별회전체의 외주면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부재는 상기 선별기본체에 형성된 록킹브라켓에 탈착되는 안전록킹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지보수용도어는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유지보수용도어와,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유지보수용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구동부는 상기 제1 유지보수용도어에 로드부가 접속되고 실린더부가 상기 선별기본체에 접속되는 제1 도어개폐실린더와, 상기 제2 유지보수용도어에 로드부가 접속되고 실린더부가 상기 선별기본체에 접속되는 제2 도어개폐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유지보수용도어와 상기 제2 유지보수용도어는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선별회전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격, 형성되는 폐기물유도판, 상기 폐기물유도판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테두리판, 상기 폐기물유도판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전방테두리판, 상기 폐기물유도판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방테두리판, 상기 폐기물유도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도어지지부재, 상기 도어지지부재가 핀에 의해 접속되도록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도어힌지, 및 상기 측면테두리판에 설치되는 구동부설치브라켓을 구비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개폐실린더 및 상기 제2 도어개폐실린더는 상기 선별기본체의 전후방향에 마주보게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지보수용도어와 상기 제2 유지보수용도어에 설치되는 구동부설치브라켓에 설치되는 연결봉에 로드부가 접속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별회전체는, 지지베어링블록에 의해 상기 선별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로터축; 상기 로터축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햄머고정플레이트; 상기 햄머고정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로터축에 결합되는 링; 상기 햄머고정플레이트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햄머축; 및 상기 햄머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햄머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햄머를 포함하되, 상기 햄머는 직사각 막대 형상을 갖는 햄머몸체의 하단부에 타격부가 돌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체구동부는 선별체구동모터, 상기 선별체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 상기 선별회전체의 로터축에 설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 사이에 접속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구동부는 상기 선별기본체의 측부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회전체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도록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선별기에 의하면, 선별회전체의 유지보수시에 제1 및 제2 도어개폐실린더를 이용하여 유지보수용도어를 개폐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선별회전체와 같이 선별기본체에 내장된 구성품의 유지보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복합 선별기와 같이 선별체구동모터 및 선별체본체 등을 분해, 조립하는 복잡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시 작업시간의 단축과 소요 인력의 감축을 통해 유지보수비용의 절감과 설비의 가동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선별기에 의하면, 폐기물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스크린의 마모, 불순물에 의한 스크린의 배출공 막힘현상, 컨베이어 등의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고자 경우 컨베이어승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스크린 및 컨베이어를 하방 이동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한 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복합 선별기와 같이 컨베이어를 분리하고, 스크린을 분리하는 복잡한 과정이 없이 수행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시 작업시간의 단축과 소요 인력의 감축을 통해 유지보수비용의 절감과 설비의 가동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복합 선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유지보수용도어 부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3a는 유지보수용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b는 유지보수용도어가 닫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선별회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4a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b는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스크린, 컨베이어 및 컨베이어승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5a는 스크린 및 컨베이어 부분의 분리사시도, 도5b는 스크린 및 컨베이어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스크린, 컨베이어 및 컨베이어승강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컨베이어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2의 B부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도7a는 스크린 및 컨베이어가 상승된 상태에서 안전록킹수단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7b는 스크린 및 컨베이어가 하강된 상태에서 안전록킹수단의 해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7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7b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유지보수용도어 부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3a는 유지보수용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b는 유지보수용도어가 닫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는 선별기본체(1), 선별회전체(2), 회전체구동부(3), 스크린(4) 및 컨베이어(5)를 구비하되, 작업의 편의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지보수용도어(6), 도어개폐구동부(7) 및 컨베이어승강부(8)가 더 구성된 특징이 있다.
선별기본체(1)는 폐기물이 투입되어 선별되도록 내부에 선별실이 형성된 본체로서 폐기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별기본체(1)는 형강재로 형성된 종지주(11)와 이 종지주(11)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횡부재(12), 종지주(11)와 횡부재(12)에 연결되는 판재로 형성된 본체커버(13)에 의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에 불순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보지보수용도어(6)가 설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부 개구부의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호퍼(15)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타측 측부에 선별된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선별회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4a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b는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로서 햄머(25)의 설치수량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2 내지 도4b를 참조하면, 선별회전체(2)는 선별기본체(1)의 내장되어 폐기물에 포함된 토사, 수분 등의 불순물을 선별작용을 수행하는 회전체로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선별회전체(2)는 폐기물의 처리량 등에 따라 다양한 수량이 설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로터축(21), 햄머고정플레이트(22), 링(23), 햄머축(24), 햄머(25), 앤드플레이트(26), 앤드플레이트(27), 앤드커버(28), 록너트(29) 등이 구비되어 있다.
로터축(21)은 회전체구동부(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성요소로서, 베어링이 내장된 지지베어링블록(21a)에 의해 선별기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햄머고정플레이트(22)는 햄머축(24)에 설치되는 햄머(25)를 정위치하기 위해 로터축(21)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결합되어 있다.
링(23)은 햄머고정플레이트(2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로터축(21)에 결합되는 구성요소이고, 햄머축(24)은 햄머(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재로서 햄머고정플레이트(22)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햄머(Hammer,25)는 폐기물에 타격력을 인가하여 실질적인 선별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햄머고정플레이트(22) 사이에 위치하도록 햄머축(2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특히, 햄머(25)는 효과적인 선별을 위해 직사각 막대 형상의 햄머몸체(251)의 하단부에 대략 삼각 형상의 타격부(252)가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앤드플레이트(26), 앤드플레이트(27), 앤드커버(28), 록너트(29)는 햄머(25) 및 햄머고정플레이트(22)를 로터축(21)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들로서, 그 형상 및 결합관계는 도4a 및 도4b를 통해 알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선별회전체(2) 중에서 호퍼(15)의 하부에 위치하는 선별회전체는 폐기물이 최초로 유입되어 폐기물의 중량 부하가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큰 선별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주요 구성품의 직경, 두께 등의 사이즈를 증가시킨 형태로 구성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체구동부(3)는 선별회전체(2)를 회전시키도록 선별기본체(1)에 설치되는 구동부로서, 종래 복합 선별기에서와 같이 선별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유지보수의 편의성과 유지보수시 간섭을 유발하지 않도록 선별기본체(1)의 측부 하방에 마련된 모터베이스(16)에 설치되고, 각 선별회전체(2)를 개별 구동시킬 수 있도록 4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구동부(3)는 도2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기본체(1)와 접하여 설치되는 모터베이스(16)에 설치되는 선별체구동모터(31), 이 선별체구동모터(31)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32), 선별회전체(2)의 로터축(21)에 설치되는 종동풀리(33),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에 접속되는 벨트(34)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회전체구동부(3) 중에서 호퍼(15)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체구동부는 폐기물이 최초로 유입되어 폐기물의 중량 부하가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큰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선별체구동모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격용량이 큰 선별체구동모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스크린, 컨베이어 및 컨베이어승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5a는 스크린 및 컨베이어 부분의 분리사시도, 도5b는 스크린 및 컨베이어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스크린, 컨베이어 및 컨베이어승강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스크린 및 컨베이어의 하강동작시 하강된 상태를 파선으로 도시하였다.
도5a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스크린(4)은 햄머에 의해 선별된 토사, 수분 등과 같은 불순물을 분리, 제거하기 위해 선별회전체(2)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별회전체(2)의 하부에 설치되고 판상 부재에 다수의 배출공이 스크린판(41)과, 이 스크린판(41)의 양쪽에 설치되는 스크린사이드프레임(42)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스크린사이드프레임(42)에는 후술되는 이탈방지판(52)의 결속부(522)에 체결되는 체결바(43)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스크린판(41)은 선별회전체(2)의 외주면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서, 호 형상으로 굴곡된 복수의 타공판(411)이 저면에 결합되는 스크린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된다.
컨베이어(5)는 스크린(4)으로부터 낙하하는 불순물을 외부로 이송하기 위해 스크린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불순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컨베이어가 제한 없이 선택되어 설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 컨베이어(5a)로 구성되어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벨트 컨베이어는(5a) 주지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프레임(511)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512), 컨베이어벨트를 회전시키도록 컨베이어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드럼(미도시) 및 종동드럼(미도시), 구동드럼을 회전시키는 벨트구동부(513)가 구비된 컨베이어본체(51), 컨베이어본체(51)의 양측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스크린사이드프레임(42)에 결합되어 불순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52)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벨트구동부(513)는 벨트구동모터(513a), 벨트구동모터(513a)로부터 회전력을 감속하여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감속기(513b)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유지보수용도어(6)는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기본체(1)의 상부 개구부를 개방 및 밀폐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선별기본체(1)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유지보수용도어(6a)와, 선별기본체(1)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유지보수용도어(6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유지보수용도어(6a)와 제2 유지보수용도어(6b)는 선별기본체(1)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하고 선별회전체(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격, 형성되는 폐기물유도판(61), 폐기물유도판(61)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테두리판(62), 폐기물유도판(61)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전방테두리판(63), 폐기물유도판(61)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방테두리판(64), 폐기물유도판(61)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측에 힌지홀이 형성된 도어지지부재(65), 도어지지부재(65)가 핀(68)에 의해 접속되도록 선별기본체(1)에 설치되는 도어힌지(66), 및 측면테두리판(62)의 굴곡부(621)에 설치되는 구동부설치브라켓(67)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폐기물유도판(61)은 호 형상으로 굴곡된 판재로 형성된 것으로서, 제1 유지보수용도어(6a)는 2개의 호 형상 판재가 연결된 구조이고, 제2 유지보수용도어(6b)는 1개의 호 형상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어힌지(66) 및 도어지지부재(65)는 핀(68)이 삽입되는 힌지홀 외에도 고정용 핀홀(66b,6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용 핀홀(66b,65b)은 제1 유지보수용도어(6a)와 제2 유지보수용도어(6b)가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핀(미도시)를 삽입하게 되면 제1 및 제2 유지보수용도어(6a,6b)의 회전을 차단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후술되는 제1 및 제2 도어개폐실린더(7a,7b)의 오작동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안전사고나 구성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어개폐구동부(7)는 유지보수용도어(6)의 개폐동작을 위해 선별기본체(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제1 유지보수용도어(6a)에 로드부(71)가 접속되고 실린더부(72)가 선별기본체(1)에 접속되는 제1 도어개폐실린더(7a)와, 제2 유지보수용도어(6b)에 로드부(71)가 접속되고 실린더부(72)가 선별기본체(1)에 접속되는 제2 도어개폐실린더(7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도어개폐실린더(7a) 및 제2 도어개폐실린더(7b)는 선별기본체(1)의 양단에 마주보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1 유지보수용도어(6a)와 제2 유지보수용도어(6b)의 폐기물유도판(61)에 설치되는 구동부설치브라켓(67)의 봉삽입홀에 설치되는 연결봉(73)에 로드부(71)가 접속되고 실린더부(72)가 선별기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컨베이어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2의 B부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도7a는 스크린 및 컨베이어가 상승된 상태에서 안전록킹수단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7b는 스크린 및 컨베이어가 하강된 상태에서 안전록킹수단의 해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 도6 내지 도7b를 참조하면, 컨베이어승강부(8)는 컨베이어(5)를 승강시키도록 선별기본체(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컨베이어승강실린더(81) 및 승강가이드부재(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베이어승강실린더(81)는 승강가이드부재(83)에 로드부(81a)가 접속되고 실린더부(81b)가 선별기본체(1)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으로서, 컨베이어본체(511)의 일측에 해당되는 선별기본체(1)의 전방에 폭방향으로 마주보게 2개가 설치되고, 컨베이어본체(511)의 타측에 해당되는 선별기본체(1)의 후방에 폭방향으로 마주보게 2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는 제1 및 제2 도어개폐실린더(7a,7b)와, 컨베이어승강실린더(81)의 작동을 위한 유압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모듈(미도시)이 구성되어 있다.
유압공급모듈은 유압실린더를 구동시키는 공지된 유압공급모듈로 구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유압작동유가 저장된 작동유탱크, 작동유탱크의 오일을 흡입하여 압송하는 유압펌프, 제1 및 제2 도어개폐실린더(7a,7b)와, 컨베이어승강실린더(81)로 공급 및 회수되는 유압작동유가 유동되는 유압호스, 및 유압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유압공급모듈은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나 설명을 생략한다.
승강가이드부재(83)는 알단이 스크린사이드프레임(42)에 결합되고 타단에 컨베이어승강실린더(81)가 접속되는 부재로서, 마주보게 배치된 2개의 막대형 판재로 형성되고 자유단에 형성된 핀삽입홀에 삽입되는 핀(85)에 컨베이어승강실린더(81)의 로드부(81a)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가이드부재(83)에는 스크린(4) 및 컨베이어(5)가 상승된 상태에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선별기본체(1)에 고정 및 이탈되는 안전록킹수단(84)이 구비되어 있다.
안전록킹수단(84)은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가이드부재(83)에 형성된 핀홀에 설치되는 록킹핀(841), 이 록킹핀(8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볼트(842), 이 록킹볼트(842)에 체결되는 복수의 록킹너트(843), 및 와셔(84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록킹볼트(842)는 하부에 록킹핀(84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링부(842a)과 이 회전링부(842a)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볼트부(842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안전록킹수단(84)은 도6 및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4) 및 컨베이어(5)가 컨베이어승강실린더(81)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록킹볼트(842) 부분을 선별기본체(1)에 설치되는 록킹브라켓(845)의 볼트삽입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록킹너트(842)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면 스크린(4) 및 컨베이어(5)의 상승 상태에서 하중을 견고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컨베이어승강실린더(81)의 오작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스크린 및 컨베이어가 하강하여 추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안전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반대로 스크린(4)의 유지보수시에는 도6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너트(843)를 분리하고 록킹볼트(842)를 회전시킬 경우 스크린(4) 및 컨베이어(5)와 선별기본체(1)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컨베이어승강실린더(81)를 작동시켜 스크린(4) 및 컨베이어(5) 부분이 선별기본체(1)로부터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및 컨베이어의 유지보수시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편리하게 유지보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선별체구동모터(31)를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풀리(32), 벨트(34) 및 종동풀리(33) 순으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종동풀리(33)가 결합된 로터축(21)이 회전되어 선별회전체(2) 전체가 회전되므로 햄머(25)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퍼(15)를 통해 선별기본체(1)의 내부로 폐기물을 투입하게 되면 회전되는 햄머(25)의 타격력에 의해 폐기물에 함유된 토사 등의 불순물과 수분이 분리되고, 파쇄동작이 수행되는 동시에 엉킨 폐기물이 풀리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호퍼(15) 하부에 배치된 선별회전체(2)로부터 인접하는 선별회전체(2)를 경유하면서 전체적으로 4번에 걸쳐 차례로 이루어진 후 불순물 및 수분이 제거된 폐기물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를 수집하여 소각하거나 재활용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선별회전체(2)의 회전 과정을 통해 분리된 토사 등의 불순물과 수분은 자중에 의해 스크린(5)의 배출공을 경유한 후 컨베이어(5)의 컨베이어벨트(512)의 상면으로 낙하한 후 컨베이어벨트(512)의 이동에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폐기물에 직접적인 타격력을 인가하는 선별회전체(2)의 햄머(25)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마모되어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햄머(25)의 교체가 필요하거나 선별회전체(2)의 다른 부품의 유지보수가 필요할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개폐실린더(7a)와 제2 도어개폐실린더(7b)를 작동시켜 로드부(71)를 인출시키게 되면 제1 유지보수용도어(6a)와 제2 유지보수용도어(6b)가 개방되면서 선별기본체(1)의 상부 개구부가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투입되어 유지보수작업을 직접 수행하거나 크레인과 같은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선별회전체(2)를 분리한 후 견인하여 외부로 이동한 후 햄머(25) 등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선별회전체의 일차적인 교체작업과 재설치 작업 등이 완료되면 제1 도어개폐실린더(7a)와 제2 도어개폐실린더(7b)의 로드부가 실린더부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작동시켜 제1 유지보수용도어(6a)와 제2 유지보수용도어(6b)의 닫힘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선별기본체(1)의 내부 및 선별회전체(2)의 유지보수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는 선별회전체(2)의 유지보수시에 종래 복합 선별기와 같이 선별회전체(2)의 유지보수시 종래와 같이 선별기본체의 상부에 올려진 선별체구동모터를 분리하고 선별체본체를 분해한 후 작업 완료 후에 다시 조립하는 복잡한 과정이 없이 제1 및 제2 유지보수용도어(6a,6b)를 개폐하는 동작에 의해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는 폐기물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스크린(5)의 마모, 불순물에 의한 스크린의 배출공 막힘현상으로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고자 경우 컨베이어승강실린더(81)를 작동시키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스크린(4) 및 컨베이어(5)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의 유지보수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록킹수단(84)의 록킹너트(843)를 분리하고 록킹볼트(842)를 회전시켜 선별기본체(1)에 고정된 스크린(4) 및 컨베이어(5)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킨다. 이후 컨베이어승강실린더(81)의 로드부(81a)가 인출되도록 작동시키게 되면 도6에 파선이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가이드부재(83)에 결합된 스크린사이드프레임(42)이 하강되므로 스크린(4)과 이 스크린에 결합된 컨베이어(5) 부분이 선별기본체(1)로부터 이탈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린(4) 및 컨베이어(5)가 하강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기본체(1)와 스크린(4) 및 컨베이어(5) 사이에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므로 스크린 및 컨베이어 등의 유지보수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4) 및 컨베이어(5)의 유지보수작업이 완료되어 컨베이어승강실린더(81)의 로드부(81a)가 인입되도록 작동시키게 되면 역동작에 의해 스크린(4)과 이 스크린에 결합된 컨베이어(5) 부분이 상승된다. 이후, 안전록킹수단(84)의 록킹볼트(842)를 록킹브라켓(845)의 볼트삽입홈에 삽입하고 록킹너트(843)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면 스크린(4) 및 컨베이어(5)가 상승 상태에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선별체구동모터(31)를 작동시켜 선별회전체(2)를 회전시키는 선별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선별기는 폐기물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스크린(4)의 마모, 불순물에 의한 스크린의 배출공 막힘현상으로 유지보수가 필요할 경우나 컨베이어(5)의 유지보수시 종래 복합 선별기와 같이 컨베이어를 분리하고, 스크린을 분리하는 복잡한 과정이 없이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선별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선별기본체 2:선별회전체
21:로터축 22:햄머고정플레이트
23:링 24:햄머축
25:햄머 3:회전체구동부
4:스크린 41:스크린판
42:스크린사이드프레임 5:컨베이어
6:유지보수용도어 6a:제1 유지보수용도어
6b:제2 유지보수용도어 7:도어개폐구동부
7a:제1 도어개폐실린더 7b:제2 도어개폐실린더
8:컨베이어승강부 81:컨베이어승강실린더
83:승강가이드부재 84:안전록킹수단

Claims (8)

  1. 폐기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분리하는 복합 선별기에 있어서,
    내부에 선별실이 형성되고 폐기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선별기본체; 상기 선별기본체의 내장되어 불순물을 선별작용을 수행하는 복수의 선별회전체; 상기 선별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체구동부; 상기 선별회전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지보수용도어; 및 상기 유지보수용도어의 개폐동작을 위해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도어개폐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보수용도어는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유지보수용도어와,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유지보수용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폐구동부는 상기 제1 유지보수용도어에 로드부가 접속되고 실린더부가 상기 선별기본체에 접속되는 제1 도어개폐실린더와, 상기 제2 유지보수용도어에 로드부가 접속되고 실린더부가 상기 선별기본체에 접속되는 제2 도어개폐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선별기.
  2. 폐기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분리하는 복합 선별기에 있어서,
    내부에 선별실이 형성되고 폐기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선별기본체; 상기 선별기본체의 내장되어 불순물을 선별작용을 수행하는 복수의 선별회전체; 상기 선별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체구동부; 상기 선별회전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지보수용도어; 상기 유지보수용도어의 개폐동작을 위해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도어개폐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 및 상기 컨베이어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보수용도어는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유지보수용도어와,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유지보수용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폐구동부는 상기 제1 유지보수용도어에 로드부가 접속되고 실린더부가 상기 선별기본체에 접속되는 제1 도어개폐실린더와, 상기 제2 유지보수용도어에 로드부가 접속되고 실린더부가 상기 선별기본체에 접속되는 제2 도어개폐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선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선별회전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판상 부재에 다수의 배출공이 스크린판, 및 상기 스크린판의 양쪽에 설치되는 스크린사이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는 컨베이어프레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가 벨트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본체, 및 상기 컨베이어본체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이탈방지판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승강부는 상기 스크린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부재, 및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로드부가 접속되고 실린더부가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선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판은 상기 선별회전체의 외주면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부재는 상기 선별기본체에 형성된 록킹브라켓에 탈착되는 안전록킹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선별기.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보수용도어와 상기 제2 유지보수용도어는 상기 선별기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선별회전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격, 형성되는 폐기물유도판, 상기 폐기물유도판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테두리판, 상기 폐기물유도판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전방테두리판, 상기 폐기물유도판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방테두리판, 상기 폐기물유도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도어지지부재, 상기 도어지지부재가 핀에 의해 접속되도록 상기 선별기본체에 설치되는 도어힌지, 및 상기 측면테두리판에 설치되는 구동부설치브라켓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도어개폐실린더 및 상기 제2 도어개폐실린더는 상기 선별기본체의 전후방향에 마주보게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지보수용도어와 상기 제2 유지보수용도어에 설치되는 구동부설치브라켓에 설치되는 연결봉에 로드부가 접속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선별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회전체는,
    지지베어링블록에 의해 상기 선별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로터축;
    상기 로터축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햄머고정플레이트;
    상기 햄머고정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로터축에 결합되는 링;
    상기 햄머고정플레이트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햄머축; 및
    상기 햄머고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햄머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햄머를 포함하고,
    상기 햄머는 직사각 막대 형상을 갖는 햄머몸체의 하단부에 타격부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선별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구동부는 선별체구동모터, 상기 선별체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 상기 선별회전체의 로터축에 설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 사이에 접속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구동부는 상기 선별기본체의 측부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회전체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도록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선별기.
KR1020190015976A 2019-02-12 2019-02-12 복합 선별기 KR102121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976A KR102121612B1 (ko) 2019-02-12 2019-02-12 복합 선별기
PCT/KR2020/001970 WO2020166964A1 (ko) 2019-02-12 2020-02-12 복합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976A KR102121612B1 (ko) 2019-02-12 2019-02-12 복합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612B1 true KR102121612B1 (ko) 2020-06-11

Family

ID=7107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976A KR102121612B1 (ko) 2019-02-12 2019-02-12 복합 선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1612B1 (ko)
WO (1) WO20201669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5238A (zh) * 2021-06-15 2021-08-20 陈林 一种水利工程建设用高效沙子筛选设备
KR102466435B1 (ko) * 2022-07-11 2022-11-10 범현철 비닐 선별 분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978B1 (ko) * 1998-11-20 2001-03-02 장무호 선별기
JP2008080239A (ja) * 2006-09-27 2008-04-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振動スクリーン
KR100952903B1 (ko) 2009-10-09 2010-04-16 정병찬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생 시스템
KR20110116923A (ko) * 2010-04-20 2011-10-26 김진수 진동 선별장치
KR101204876B1 (ko) 2011-10-31 2012-11-27 주식회사 쌍용에코텍 타격식 복합 선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5269B2 (ja) * 1994-11-28 1997-11-12 株式会社御池鐵工所 選別機
KR20180134082A (ko) * 2017-06-08 2018-12-1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유리 자동화 박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978B1 (ko) * 1998-11-20 2001-03-02 장무호 선별기
JP2008080239A (ja) * 2006-09-27 2008-04-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振動スクリーン
KR100952903B1 (ko) 2009-10-09 2010-04-16 정병찬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생 시스템
KR20110116923A (ko) * 2010-04-20 2011-10-26 김진수 진동 선별장치
KR101204876B1 (ko) 2011-10-31 2012-11-27 주식회사 쌍용에코텍 타격식 복합 선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5238A (zh) * 2021-06-15 2021-08-20 陈林 一种水利工程建设用高效沙子筛选设备
KR102466435B1 (ko) * 2022-07-11 2022-11-10 범현철 비닐 선별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6964A1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612B1 (ko) 복합 선별기
KR100801898B1 (ko) 매립 쓰레기 선별장치
KR101068582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1898699B1 (ko) 파쇄기
KR100420902B1 (ko)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1931687B1 (ko) 폐기물 선별기
KR100672019B1 (ko)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
KR1008798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91343B1 (ko) 가연성쓰레기의 고순도 선별 연료화 시스템
KR20000058670A (ko) 매립쓰레기 선별장치
CN215234875U (zh) 一种建筑垃圾回收再利用的破碎装置
KR102294780B1 (ko) 유기성 폐기물 분쇄기
KR100894686B1 (ko) 이중 드럼벨을 이용한 골재파쇄, 모래생산, 망 막힘 방지 및 이물질 선별의 장치
KR20040014823A (ko) 비위생 매립폐기물 선별장치
KR102418742B1 (ko) 분리 가능한 폐기물 분쇄기용 파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폐기물 분쇄기
KR102390182B1 (ko) 일체형파쇄선별기
CN212651931U (zh) 一种土木工程用废料回收装置
KR102055552B1 (ko) 건설폐기물 선별방법
KR102071876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비산방지수단 설치방법
KR20180062153A (ko)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KR10193531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용 골재의 처리장치
KR20050087165A (ko) 재생골재 제조장치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1785218B1 (ko) 폐기물선별장치로 투입되는 폐기물을 정량으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
KR100555832B1 (ko) 잔반 분해 소멸기용 배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