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699B1 - 파쇄기 - Google Patents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699B1
KR101898699B1 KR1020170146476A KR20170146476A KR101898699B1 KR 101898699 B1 KR101898699 B1 KR 101898699B1 KR 1020170146476 A KR1020170146476 A KR 1020170146476A KR 20170146476 A KR20170146476 A KR 20170146476A KR 101898699 B1 KR101898699 B1 KR 101898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shaft
crushing
case
discharg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미
Original Assignee
정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유미 filed Critical 정유미
Priority to KR102017014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x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상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일측 하부에는 하부통로가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파쇄된 폐기물을 상기 하부통로로 이송시키면서 배출하는 이송스크루;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양측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회전축 지지부의 사이에 중간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는 중간 케이스; 상기 회전축 지지부에 걸쳐 장착되어 유입되는 폐기물을 파쇄하되, 상기 파쇄날은 회전축의 한쪽에서 일측의 회전축 지지부 쪽으로 나선방향을 따라 장착되다 끝에서 일부의 파쇄날이 역나선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파쇄 회전축; 상기 하부 케이스와 중간 케이스의 사이에 장착되는 파쇄 여과망; 상기 중간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면의 배출구에 배출관이 연결되며, 타측면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배출관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와 중간 및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기 등을 흡입배출하는 흡입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중간 케이스의 양측면의 중간 공간부와 파쇄 회전축의 파쇄날 장착 형태에 따라 상기 파쇄 회전축 끝단의 마모를 줄이고 파쇄 회전축의 끝단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쇄기{Crusher}
본 발명은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부와 중간 및 상부 케이스로 구성된 파쇄기의 상기 중간 케이스에 장착된 파쇄 회전축으로 폐기물을 파쇄하여 파쇄물은 하부 케이스를 통해 배출하고 악취와 이물질 등은 상부 케이스를 거쳐 이와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되, 상기 파쇄 회전축의 파쇄날이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나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다 다른 쪽 끝에서 일부의 파쇄날이 역나선방향으로 형성되어 파쇄의 효율성을 높인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주거하는 도시에서는 거의 매일 음식물 쓰레기나, 나무 조각, 폐지 등과 같은 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재건축에 따른 건축물 쓰레기가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나무 조각, 폐지, 건축물 쓰레기 등과 같은 폐기물은 통상적으로 매립 또는 소각처리 된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 나무 조각, 폐지, 건축물 쓰레기 등의 폐기물을 지하에 매립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매립지를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운 데다, 설령 매립한 경우에도 매립된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쓰레기로부터 침출수가 발생하여 수질 악화 등과 같은 이차적인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음식물 쓰레기, 나무 조각, 폐지, 건축물 쓰레기 등의 폐기물을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한 후 파쇄된 쓰레기를 태워 열을 발생시키는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파쇄기는 공급구 및 배출구와, 상기 공급구 및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 외주를 따라 파쇄 날을 갖는 파쇄 샤프트를 포함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를 가동시키는 구동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파쇄기는 음식물 쓰레기나 나무 조각, 폐지, 건축물 쓰레기 등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수증기, 이물질, 악취 등을 여과할 수 없음으로 인해 공기오염과 함께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쇄기는 음식물 쓰레기나 나무 조각, 폐지, 건축물 쓰레기 등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수증기, 이물질, 악취 등이 내부에 정체함으로써 파쇄기의 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쉽게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부품을 자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파쇄 샤프트에 의해 상기 폐기물들을 파쇄할 때, 상기 폐기물들이 한쪽에서 다른 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쇄기 내의 다른 쪽 끝에 몰리기 때문에, 상기 파쇄 샤프트의 다른 쪽 끝단에 마모가 발생하거나 끝단 샤프트에 비닐 등이 감기면서 고장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폐기물을 회전하는 파쇄기의 파쇄 회전축으로 파쇄할 때, 상기 파쇄 회전축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나선방향을 따라 장착된 파쇄날이 상기 파쇄 회전축의 다른 쪽 끝 부위에서 일부의 파쇄날이 역나선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상기 파쇄 회전축의 다른 쪽 끝에 파쇄물이 거의 접촉하지 못하도록 한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상기 파쇄 회전축이 내부에 장착된 중간 케이스의 정면, 즉 파쇄 회전축의 회전방향 쪽 정면을 힌지결합에 의해 개폐되는 안전덮개로 구성하고, 상기 중간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와 충격절단용 결합부재로 결합하여, 폐기물의 파쇄 중 끼임 등에 의한 일정한 충격을 받으면, 상기 충격절단용 결합부재의 절단에 의해 중간 케이스의 정면이 밀려 살짝 열리면서 파쇄 회전축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한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파쇄 회전축을 상하좌우 이동수단에 의해 상하좌우로 조금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아래의 파쇄 여과망과의 간격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의 파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파쇄기는, 일측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일측 하부에 외부와 연통하는 하부통로가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파쇄된 폐기물을 상기 하부통로로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루;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회전축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회전축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면의 상기 각 회전축 지지부의 사이에는 중간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는 중간 케이스; 상기 중간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축 지지부에 걸쳐 장착되고 회전 작동하는 파쇄날을 통해 유입되는 폐기물을 파쇄하되, 상기 파쇄날은 회전축의 한쪽에서 일측의 회전축 지지부 쪽으로 나선방향을 따라 장착되다 끝에서 일부의 파쇄날이 역나선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파쇄 회전축; 상기 하부 케이스와 중간 케이스의 사이에 장착되는 파쇄 여과망; 상기 중간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면의 배출구에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연결되며, 타측면에는 폐기물이 유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배출관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와 중간 및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기, 이물질, 수증기와 악취를 흡입배출하는 흡입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파쇄 회전축의 회전방향 쪽의 중간 케이스 정면은 상부를 힌지연결하고, 하부는 하부 케이스와 충격절단용 결합부재로 결합한 안전덮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충격절단용 결합부재는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다른 부분보다 가늘게 된 충격절단용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파쇄 회전축은 상하좌우 이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어 파쇄 여과망과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되, 상기 상하좌우 이동수단은, 상기 중간 케이스의 일측면 및 타측면으로 돌출된 파쇄 회전축을 각각 걸치도록 중간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된 받침브래킷; 상기 각 받침브래킷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각각 받치고 있는 받침판; 및 상기 각 받침브래킷과 받침판 사이를 각각 연결한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정면에 나란히 간격을 두고 관통된 점검구를 막는 개폐형 점검부를 각각 힌지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각 개폐형 점검부 사이에 좌우이동판을 설치하여 상기 좌우이동판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에 따라 양쪽의 개폐형 점검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각 개폐형 점검부는 안쪽 면에 상기 각 점검구에 맞추어 삽입되는 점검판을 각각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파쇄 여과망은 파쇄 회전축과 마주보는 상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쇄 회전축의 일부가 간격을 두고 반원형 부분에 삽입되며, 상기 파쇄 회전축의 회전방향 쪽인 상기 반원형의 한쪽 상단에는 고정날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배출관 쪽 상면 안쪽에 부착된 교체용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흡입배출수단은 흡입팬이 모터축에 장착된 흡입모터이며, 상기 흡입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상부 케이스에 연결된 배출관과 상기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흡입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흡입배출수단에 의해 흡입배출되는 공기, 악취 및 수증기를 순환시키도록 한 순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순환수단은, 상기 배출관 쪽에 연결되어 하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스크루컨베이어가 장착되어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관; 및 상기 분리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악취 및 수증기를 순환시키도록 하부 케이스의 흡입구와 연결된 순환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쇄기에 의하면, 중간 케이스의 양측면의 중간 공간부와 파쇄 회전축의 파쇄날 장착 형태에 따라 상기 파쇄 회전축 끝단의 마모를 줄이고 파쇄 회전축의 끝단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쇄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중간 케이스의 정면이 충격을 받으면 살짝 열리는 개폐 안전덮개의 구조로 되어 있어 충격에 의한 파쇄 회전축의 손상 등을 방지하여, 손상에 의한 상기 파쇄 회전축의 교체 시 발생하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파쇄 회전축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파쇄 회전축과 파쇄 여과망 사이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므로 파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공기와 악취 및 이물질 등을 흡입배출하는 흡입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폐기물의 양에 따라 상기 공기와 악취 및 이물질 등의 적절한 배출량에 맞춰 흡입팬을 가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의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에서 개폐형 점검구를 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의 종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의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에 장착되는 파쇄 회전축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에 장착되는 파쇄 여과망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의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에서 개폐형 점검구를 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의 종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의 일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는 이송스크루(7)가 내부에 장착된 하부 케이스(1), 파쇄 회전축(8)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의 상부에 결합된 중간 케이스(2), 상기 하부 케이스(1)와 중간 케이스(2) 사이에 장착된 파쇄 여과망(3), 개폐형 점검부(9)가 설치되어 상기 중간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 케이스(4), 상기 상부 케이스(4)에 연결된 배출관(5) 및 상기 배출관(5)에 설치된 흡입배출수단(30)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4)의 배출관(5)과 하부 케이스(1)에 형성된 흡입구(10) 사이에 이물질은 배출하고 공기와 악취 등은 순환시키는 순환수단(6)을 추가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하부 케이스(1)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일측의, 즉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의 상부에는 상기 순환수단(6)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와 수증기 및 악취가 유입되는 흡입구(10)가 형성되며, 일측, 즉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하부 통로(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케이스(1)는 내부에 이송스크루(7)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 공간부(12)를 형성하고, 일측의 상부에는 순환되는 공기, 수증기, 악취를 하부 공간부(12)에 유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1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며, 일측의 하부에는 파쇄된 폐기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 통로(11)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하부 케이스(1)의 하부 공간부(12)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이송스크루(7)는 상기 파쇄 회전축(8)에 의해 파쇄되어 낙하되는 폐기물을 공급받은 후, 상기 폐기물을 하부 케이스(1)의 하부 통로(11)로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루(7)는 이송축에 장착된 풀리(13a)와 중간 케이스(2)의 일측면에 부착된 받침대(27a) 상에 설치된 구동모터(14a)의 구동축에 장착된 풀리(13b) 사이에 연결된 구동벨트(15a)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하게 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의 상부에 결합되는 중간 케이스(2)는 내부에 회전축 장착공간(2a)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상기 파쇄 회전축(8)의 양쪽 끝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 지지부(16a)(16b)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 회전축 지지부(16a)(16b)의 사이는 중간 공간부(16c)로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중간 케이스(2)는 내부에 파쇄 회전축(8)을 길이방향으로 장착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회전축 장착공간(2a)을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파쇄 회전축(8)의 양쪽 끝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회전축 지지부(16a)(16b)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회전축 지지부(16a)(16b)는 간격을 두고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공간을 형성하여 오일 씨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오일 씨일에 따른 마모, 누수, 수리 등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각 회전축 지지부(16a)(16b)의 사이 공간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중간 공간부(16c)는 기존의 악취 차단과 오일 누수를 차단하는 오일 씨일을 대신하여 오일 씨일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오일 씨일에 장착에 따른 마모로 인해 부품 수리, 교체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 케이스(2)의 정면, 즉 파쇄 회전축(8)의 회전방향(도 3의 좌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 쪽 정면은 상부를 힌지판(21a)과 힌지핀(21b)을 이용하여 힌지연결하고, 하부는 하부 케이스(4)와 결합할 때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충격절단용 결합부재(22)로 결합하는 것으로 인해 임의로 개폐될 수 있는 안전덮개(29)로 하여 이를 비상도어 개폐장치(40)로 구성한다. 즉 폐기물의 파쇄를 위해 파쇄 회전축(8)이 회전구동할 때, 크고 중량이 있는 회전하는 폐기물로 인해 중간 케이스(2)의 정면인 안전덮개(29)가 안쪽에서 쇠붙이나 큰 뼈다귀와 같은 중량물에 의한 끼임 등으로 충격을 받으면, 이 충격에 의한 힘의 작용으로 충격절단용 결합부재(22)가 절단되면서 상부의 힌지연결로 인해 상기 중간 케이스(2)의 정면인 안전덮개(29)이 살짝 열려 파쇄 회전축(8)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충격절단용 결합부재(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의 가운데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가늘게 구성한 충격절단용 볼트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볼트의 가운데 부분이 충격에 의해 절단되면서 부러져, 상기 볼트로 결합된 상기 중간 케이스(2)의 정면인 안전덮개(29)와 하부 케이스(4)가 서로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중간 케이스(2)의 회전축 장착공간(2a)에 장착되는 파쇄 회전축(8)은 상기 중간 케이스(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 장착공간(2a)부분의 파쇄 회전축(8)에는 유입되는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한쪽에서 다른 쪽, 즉 상기 중간 케이스(2) 일측의 회전축 지지부(16a) 쪽(도 3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다수개의 파쇄날(8a)이 길이방향으로 나선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된다. 즉 상기 파쇄 회전축(8)은 회전 작동하는 파쇄날(8a)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4)를 통해 하부로 낙하하는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회전축 지지부(16a)(16b)와 대응하는 파쇄 회전축(8)에는 베어링이 장착됨은 물론이고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파쇄날(8a)이 회전하는 파쇄 회전축(8)의 축상에서 나선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장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중간 케이스(2) 일측의 회전축 지지부(16a)의 쪽 끝 부위에 있는 파쇄 회전축(8)의 파쇄날(8b),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끝의 3개의 파쇄날(8b)은 역나선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파쇄 회전축(8)의 일부의 파쇄날(8b)이 일측의 회전축 지지부(16a) 쪽 끝 부위에서 역나선방향으로 장착되면, 회전하는 상기 파쇄 회전축(8)의 파쇄날(8a)에 의해 파쇄되면서 한쪽에서 일측의 회전축 지지부(16a) 쪽으로 이송되는 폐기물이 역나선방향의 파쇄날(8b)들에 걸려 파쇄 회전축(8)의 일측의 회전축 지지부(16a) 쪽 끝까지 도달하지 않고, 나선방향으로 장착되는 파쇄날(8a)까지만 갔다가 다시 반대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파쇄 회전축(8)의 일측의 회전축 지지부(16a) 쪽 끝으로는 파쇄되는 폐기물이 거의 접촉하지 않아 마모와 이물질 끼임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 파쇄 회전축(8)은 회전축에 장착된 풀리(13c)와 하부 케이스(4)의 다른 쪽 측면에 부착된 받침대(27b) 상에 설치된 구동모터(14b)의 구동축에 장착된 풀리(13d) 사이에 연결된 구동벨트(15b)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쇄 회전축(8)은 파쇄 케이스(2) 양측에 장착되는 상하좌우 이동수단(17a)(17a)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어 파쇄 여과망(3)과의 간격을 파쇄물의 양 등의 필요에 따라 일률적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각 상하좌우 이동수단(17a)(17a)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각 상하좌우 이동수단(17a)(17a)은 받침브래킷(18a)(18b)과 받침판(19a)(19b) 및 상하간격 조절볼트(20a)(20b) 및 좌우간격 조절볼트(44a)(44b)로 구성된다. 상기 각 받침브래킷(18a)(18b)은 파쇄 케이스(2)의 일측면 및 타측면으로 각각 돌출된 파쇄 회전축(8)의 양쪽 축을 각각 걸치도록 상기 파쇄 케이스(2)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각 받침판(19a)(19b)은 각각의 받침브래킷(18a)(18b) 상에 위치하여 파쇄 회전축(8)의 양쪽 축을 각각 받치게 되며, 상기 각 상하간격 조절볼트(20a)(20b)는 약간의 간격을 둔 각각의 받침브래킷(18a)(18b)과 받침판(19a)(19b)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각 상하간격 조절볼트(20a)(20b)의 조임 및 풀림 동작에 의해 파쇄 회전축(8)의 양쪽 회전축은 각 받침판(19a)(19b)과 함께 수직방향을 따라 위로 조금 올라가거나 아래로 조금 내려오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받침판(19a)(19b)의 양쪽 측면에는 좌우간격 조절볼트(44a)(44b)를 장착하여 상기 좌우간격 조절볼트(44a)(44b)에 의해 파쇄 회전축(8)을 좌우로도 움직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쇄 회전축(8)과 파쇄 여과망(3) 사이의 간격을 일률적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직 방향으로만 파쇄 회전축(8)을 이동시키면 상기 파쇄 회전축(8)과 파쇄 여과망(3) 사이가 편심이 져서 간격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파쇄 회전축(8)을 좌우로도 움직이도록 하면 상기 파쇄 회전축(8)과 파쇄 여과망(3) 사이가 편심이 없이 간격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파쇄 회전축(8)을 좌우간격 조절볼트(44a)(44b)에 의해 좌우로 움직이면 파쇄 회전축(8)의 파쇄날(8a)과 비상도어 개폐장치(40)의 내벽면 사이의 간격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쇄 여과망(3)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1)와 중간 케이스(2)의 사이에 장착되어 파쇄 회전축(8)의 파쇄날(8a)에 의해 파쇄되어 낙하하는 폐기물 중 부피가 있는 폐기물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면이 다수의 원형구멍이 형성된 타공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쇄 여과망(3)은 반원형로 중간 케이스(2)의 회전축 장착공간(2a)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하되, 반원형의 안쪽에 파쇄 회전축(8)이 상기 파쇄 여과망(3)과 수mm의 간격을 두고 아래의 절반 정도가 삽입되어 위치한다. 상기 파쇄 여과망(3)의 크기는 파쇄하고자 하는 파쇄물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파쇄 여과망(3)의 반원형의 한쪽 상단, 즉 상기 파쇄 회전축(8)의 회전방향 쪽 상단에는 고정날(3a)이 각각 길게 부착되어 있어, 상기 각 고정날(3a)과 회전하는 파쇄 회전축(8)의 파쇄날(8a) 사이에 걸려 파쇄되는 폐기물의 파쇄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파쇄 여과망(3)은 중간 케이스(2)의 정면 및 후면 아래의 양쪽에서 내부로 각각 삽입되어 부착되는 망지지대(3b)들 위에 각각 걸쳐 고정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4)는 중간 케이스(2)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면에 형성되어 비스듬히 위로 바라보는 배출구(4a)에 배출관(5)이 연결되어 내부의 공기와 악취 및 가벼운 이물질 등을 배출하고, 타측면으로는 폐기물이 유입되는 투입구(4b)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5)은 배출구(4a)와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관(5a)과 이 경사관(5a)의 상단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 연결관(5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4)의 배출관(5)의 형태, 즉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결된 상기 경사관(5a)과 연결관(5b)의 형태는 폐기물의 파쇄시 공기와 냄새 및 이물질 등의 이동저항을 최소화하면서 흡입효율을 상승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4)의 정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2)(4)들의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검구(28)를 형성하여, 상기 점검구(28)를 개폐형 점검부(9)로 막으면서 힌지연결 방식으로 개폐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형 점검부(9)는 안쪽 면에는 점검판(24)을 각각 부착하되, 상기 각 점검판(24)이 각각의 점검부의 크기에 맞추어 안쪽 둘레에 밀착되면서 삽입됨으로써 이러한 상기 각 점검판(24)에 의해 누수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개폐형 점검부(9a)(9b)가 간격을 두고 나란히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경우, 임의로 열리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신속하게 개폐하고자 각 개폐형 점검부(9a)(9b) 사이에 좌우이동판(25)이 부착한다. 상기 좌우이동판(25)이 고리형 볼트(25a)에 의해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는 각 개폐형 점검부(9a)(9b) 쪽을 각각 위로 덮어 막게 되며, 상기 각 개폐형 점검부(9a)(9b)의 마주보는 쪽의 반대쪽은 힌지연결로 각각의 점검구(28) 일측 및 타측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좌우이동판(25)을 고정하는 고리형 볼트(25a)를 풀고, 예컨대 상기 좌우이동판(25)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좌측의 개폐형 점검부(9a)를 막고 있던 것이 해제되어 힌지연결을 통해 여닫이 식으로 열 수 있게 되며, 상기 좌우이동판(25)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우측의 개폐형 점검부(9b)를 막고 있던 것이 해제되어 힌지연결을 통해 여닫이 식으로 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쇄기 내부의 점검이 손쉽고도 빠르게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배출수단(30)은 흡입모터(30a)와 흡입팬(30b)으로 구성되어 상부 케이스(4)에 연결된 배출관(5)에 설치하되, 상기 배출관(5)의 연결관(5b) 바깥에 흡입모터(30a)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모터(30)의 모터축이 연결관(30b)의 내부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축에 흡입팬(30b)이 연결된다. 상기 흡입팬(30b)은 제어장치에 의해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계절에 따라 변하는 폐기물의 양에 따라 흡입배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배출수단(30)에 의해 상기 케이스(1)(2)(4)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기, 이물질, 수증기 및 악취 등을 상기 배출관(5)으로 안내하여 배출하게 된다.
상기 순환수단(6)은 분리관(6a)과 순환관(6b)으로 구성되어 배출관(5)의 연결관(5b)과 연결하되, 내부에 스크루 컨베이어(26)을 장착하고 하면에 다수의 관통홀(h)이 형성된 분리관(6a)이 상기 연결관(5b)에 연결되고, 상기 분리관(6a)의 하부에 연결되어 관통홀(h)을 수용하는 순환관(6b)은 하부 케이스(1)의 흡입구(10)와 연결된다. 이러한 순환수단(6)에서 분리관(6a)은 흡입배출수단(5)에 의해 배출관(5)을 통해 흡입배출되는 공기, 이물질, 수증기 및 악취 중에서 이물질을 스크루 컨베이어(26)를 통해 이송하여 배출하고, 공기, 미세오니, 수증기, 악취는 분리관(6a)의 관통홀(h)을 통해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연결된 순환관(6b)으로 이송되어 흡입구(10)를 통해 하부 케이스(1) 내로 유입된다.
상기 순환수단(6)은 폐기물의 파쇄로 인해 배출관(5)을 통해 배출되는 가벼운 이물질은 따로 분리하여 배출하면서 미세오니를 포함한 공기와 수증기 및 악취를 연속해서 재순환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폐기물 쓰레기의 파쇄에 따른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순환되는 공기와 수증기를 이용하여 폐기물의 파쇄시 발생하는 먼지와 이물질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의 미설명 부호 41은 교체용 도마판이고, 42는 안전덮개(29)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접촉센서이며, 43은 쇠붙이나 큰 뼈다귀와 같은 중량물이 부딪쳐 떨어지는 낙하턱 부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파쇄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의 상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일측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하부통로(11)가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1)의 하부 공간부(12)에 파쇄된 폐기물을 상기 하부통로(11)로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루(7)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1)의 상부에 회전축 장착공간(2a)이 내부에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회전축 지지부(16a)(16b)가 각각 형성되는 중간 케이스(2)를 결합한 후, 상기 중간 케이스(2)의 내부에 파쇄날(8a)을 통해 유입되는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 회전축(8)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하부 케이스(1)와 중간 케이스(2)의 사이에는 파쇄물의 여과를 위해 파쇄 여과망(3)을 사면의 망지지대(3b)를 통해 받쳐 장착한다. 또한 상기 중간 케이스(2)의 정면인 안전덮개(29)는 상부를 힌지연결하고, 중간 케이스(2)의 하부는 하부 케이스(1)의 상부와 충격절단용 결합부재(22)인 충격절단용 볼트로 서로 결합한다. 또한 상기 파쇄 회전축(8)은 상하좌우 이동수단(17)에 의해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켜 폐기물의 양 등에 따라 파쇄 회전축(8)과 마주보는 여과망(3)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 케이스(2)의 상부에 일측면에는 배출구(4a)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폐기물이 유입되는 투입구(10)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4)를 결합한 후, 상기 상부 케이스(4)의 배출구(4a)에 연결되어 내부의 공기, 이물질, 수증기 등이 배출되는 배출관(5)에 각 케이스(1)(2)(4)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공기 등을 흡입배출하는 흡입배출수단(3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4)의 배출관(5)에 선택적으로 분리관(6a)과 순환관(6b)으로 구성된 순환수단(6)을 연결하여, 스크루 컨베이어(26)가 내장된 분리관(6a)을 배출관(5)에 연결하고, 상기 분리관(6a)과 하부 케이스(1)의 흡입구(10) 사이를 순환관(6b)으로 연결하면 본 발명의 파쇄기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파쇄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파쇄기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파쇄기를 구성하는 파쇄 회전축(8)과 상부 케이스(4)의 배출관(5)에 설치된 배출흡입수단(30)을 작동시킨 후, 상기 상부 케이스(4)의 투입구(4b)를 통해 폐기물을 투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투입구(4b)를 통해 하부로 낙하하는 폐기물은 자중에 의해 중간 케이스(2)에 장착되는 파쇄 회전축(8)의 파쇄날(8a)을 통해 파쇄되어 하부로 낙하된다. 이때 파쇄 회전축(8)의 파쇄날(8b)에 의해 파쇄되면서 타측에서 흡입구(10) 쪽으로 이송되는 파쇄 폐기물은 상기 중간 케이스(2)의 양측의 각 회전축 지지부(16a)(16b)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 공간부(16c)에 의해 상기 파쇄 회전축(8)의 양쪽 끝까지 가지 않고 그 사이에서 이송된다. 더욱이 중간 케이스(2) 일측의 회전축 지지부(16a) 쪽 끝 부위에 장착되는 상기 파쇄 회전축(8)의 일부의 파쇄날(8b)은 역나선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어, 일측의 회전축 지지부(16a) 쪽 끝까지 파쇄된 폐기물이 이송되지 못하고 되돌아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파쇄날(8a)을 통해 파쇄되는 폐기물 중 먼지와 같은 가벼운 이물질, 미세오니, 공기, 수증기 및 악취 등은 상부 케이스(4)의 쪽으로 부양되면서 적절한 회전속도로 설정된 배출흡입수단(30)의 흡입팬(30b)의 흡입력에 의하여 상부 케이스(4)에 연결된 배출관(5)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쇄 회전축(8)의 파쇄날(8a)에 의해 파쇄되어 낙하하는 폐기물은 하부 케이스(1)와 중간 케이스(2)의 사이에 장착되는 파쇄 여과망(3)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부피가 있는 파쇄물은 파쇄 여과망(3)에 여과되고, 상기 파쇄 여과망(3)을 형성하는 타공판의 원형구멍보다 작은 파쇄물은 상기 구멍을 통해 낙하하여 하부 케이스(1)에 장착되는 이송스크루(7)를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1)의 하부 통로(1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하좌우 이동수단(17)에 의해 파쇄 회전축(8)을 상하로 이동시켜 파쇄 여과망(3)과의 간격을 적절하고도 균일하게 조절하는 것과, 상기 파쇄 여과망(3)의 한쪽 상단에 장착된 고정날(3a)에 의해 회전하는 폐기물의 파쇄효율은 더욱 높아진다. 더욱이 쇠붙이나 큰 뼈다귀와 같은 부피가 크고 무거운 폐기물이 파쇄 회전축(8)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다 중간 케이스(2)의 내벽에 부딪쳐 떨어지면서, 상기 안전덮개(29)와 파쇄 회전축(8)의 파쇄날(8a) 사이에 끼어 강한 충격을 주는 경우, 상기 파쇄 회전축(8)의 회전방향에 있는 상기 중간 케이스(2)의 정면인 안전덮개(29)가 상기 끼임 등에 의한 강한 충격에 의해 충격절단용 결합부재(22)인 볼트의 가운데 부분이 부러지면서 살짝 열리게 되어 있어, 충격을 완화시켜 파쇄 회전축(8)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흡입수단(30)을 통해 상기 배출관(5)으로 흡입배출되는 공기, 이물질, 수증기, 악취 등은 순환수단(6)을 따라 이동하면서 비교적 가벼운 상기 이물질은 분리관(6a)에서 스크루 컨베이어(26)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을 제외한 공기, 미세오니, 수증기, 악취 등은 상기 분리관(6a)의 관통홀(h)을 통과하여 순환관(6b)으로 유입된 후 흡입구(10)를 통해 하부 케이스(1) 내로 들어가, 각 케이스(1)(2)(4)와 배출관(5) 및 순환수단(6)을 따라 순환하는 순환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케이스(1)(2)(4)들의 내부는 양쪽의 개폐형 점검부(9a)(9b)를 통해 수시로 점검하면서 내부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26)의 구동은 상기한 이송스크루(7)와 파쇄 회전축(8)과 동일한 구동수단으로 구동시키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파쇄기에 의한 공기, 수증기 및 악취 등의 순환과정을 통해서 폐기물 쓰레기의 파쇄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와 수증기의 배출량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쇄기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하부 케이스 2 : 중간 케이스
2a : 회전축 장착공간 3 : 파쇄 여과망
3a : 고정날 3b : 망지지대
4 : 상부 케이스 4a : 배출구
4b : 투입구 5 : 배출관
5a : 경사관 5b : 연결관
6 : 순환수단 6a : 분리관
6b : 순환관 7 : 이송스크루
8 : 파쇄 회전축 8a : 파쇄날
9,9a,9b : 개폐형 점검부 10 : 흡입구
11 : 하부 통로 12 : 하부 공간부
13a,13b.13c.13d : 풀리 14a,14b : 구동모터
15a,15b : 구동벨트 16a,16b : 회전축 지지부
16c : 중간 공간부 17a,17b : 상하좌우 이동수단
18a,18b : 받침브래킷 19a,19b : 받침판
20a,20b : 간격조절볼트 21a : 힌지판
21b : 힌지핀 22 : 충격절단용 결합부재
23 : 교체용 판 24 : 점검판
25 : 좌우이동판 25a : 고리형 볼트
26 : 스크루 컨베이어 27a,27b : 받침대
28 : 점검구 29 : 안전덮개
30 : 흡입배출수단 30a : 흡입모터
30b : 흡입팬 41 : 교체용 도마판
42 : 접촉센서 43 : 낙하턱 부재
44a,44b : 좌우간격 조절볼트
40 : 비상도어 개폐장치
b : 볼트 h : 관통홀

Claims (9)

  1. 일측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일측 하부에 외부와 연통하는 하부통로가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파쇄된 폐기물을 상기 하부통로로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스크루;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회전축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회전축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면의 상기 각 회전축 지지부의 사이에는 중간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는 중간 케이스;
    상기 중간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축 지지부에 걸쳐 장착되고 회전 작동하는 파쇄날을 통해 유입되는 폐기물을 파쇄하되, 상기 파쇄날은 회전축의 한쪽에서 일측의 회전축 지지부 쪽으로 나선방향을 따라 장착되다 상기 회전축 지지부 쪽의 회전축 끝에서 일부의 파쇄날이 역나선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파쇄 회전축;
    상기 하부 케이스와 중간 케이스의 사이에 장착되는 파쇄 여과망;
    상기 중간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면의 배출구에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연결되며, 타측면에는 폐기물이 유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배출관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와 중간 및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기, 이물질, 수증기와 악취를 흡입배출하는 흡입배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파쇄 회전축은 상하좌우 이동수단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어 파쇄 여과망과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좌우 이동수단은,
    상기 중간 케이스의 일측면 및 타측면으로 돌출된 파쇄 회전축을 각각 걸치도록 중간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된 받침브래킷;
    상기 각 받침브래킷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각각 받치고 있는 받침판;
    상기 각 받침브래킷과 받침판 사이를 각각 연결한 간격조절볼트; 및
    상기 받침판의 양쪽 측면에 각각 장착된 좌우간격 조절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정면에 나란히 간격을 두고 관통된 점검구를 막는 개폐형 점검부를 각각 힌지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각 개폐형 점검부 사이에 좌우이동판을 설치하여 상기 좌우이동판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에 따라 양쪽의 개폐형 점검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폐형 점검부는 안쪽 면에 상기 각 점검구에 맞추어 삽입되는 점검판을 각각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여과망은 파쇄 회전축과 마주보는 상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쇄 회전축의 일부가 간격을 두고 반원형 부분에 삽입되며, 상기 파쇄 회전축의 회전방향 쪽인 상기 반원형의 한쪽 상단에는 고정날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출수단은 흡입팬이 모터축에 장착된 흡입모터이며, 상기 흡입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에 연결된 배출관과 상기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흡입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흡입배출수단에 의해 흡입배출되는 공기, 악취 및 수증기를 순환시키도록 한 순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수단은,
    상기 배출관 쪽에 연결되어 하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스크루컨베이어가 장착되어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관; 및
    상기 분리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악취 및 수증기를 순환시키도록 하부 케이스의 흡입구와 연결된 순환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KR1020170146476A 2017-11-06 2017-11-06 파쇄기 KR101898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76A KR101898699B1 (ko) 2017-11-06 2017-11-06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76A KR101898699B1 (ko) 2017-11-06 2017-11-06 파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699B1 true KR101898699B1 (ko) 2018-09-13

Family

ID=6359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476A KR101898699B1 (ko) 2017-11-06 2017-11-06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6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9479A (zh) * 2019-05-05 2020-11-06 北京国资环境保护技术有限公司 一种后厨剩余物的预处理设备及方法
CN113769849A (zh) * 2021-07-31 2021-12-10 苏州市建筑材料再生资源利用有限公司 一种装修垃圾中铁制品筛选设备
US20210387202A1 (en) * 2018-11-02 2021-12-16 Tiger Machine Co., Ltd. Shredding device
CN114798107A (zh) * 2022-04-19 2022-07-29 江苏腾日科技有限公司 一种牛皮筒靴生产加工用废料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228567A (zh) * 2022-06-30 2022-10-25 福建高龙海洋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高dha含量的鱼油加工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6405B2 (ja) * 2002-01-30 2007-10-24 寿産業株式会社 タイヤ粉砕機
KR100918710B1 (ko) * 2009-01-30 2009-09-22 한빛테크원 (주)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파쇄장치
KR101128188B1 (ko) * 2011-10-31 2012-03-22 배재철 파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6405B2 (ja) * 2002-01-30 2007-10-24 寿産業株式会社 タイヤ粉砕機
KR100918710B1 (ko) * 2009-01-30 2009-09-22 한빛테크원 (주)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파쇄장치
KR101128188B1 (ko) * 2011-10-31 2012-03-22 배재철 파쇄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7202A1 (en) * 2018-11-02 2021-12-16 Tiger Machine Co., Ltd. Shredding device
CN111889479A (zh) * 2019-05-05 2020-11-06 北京国资环境保护技术有限公司 一种后厨剩余物的预处理设备及方法
CN111889479B (zh) * 2019-05-05 2023-11-03 北京国资环境保护技术有限公司 一种后厨剩余物的预处理设备及方法
CN113769849A (zh) * 2021-07-31 2021-12-10 苏州市建筑材料再生资源利用有限公司 一种装修垃圾中铁制品筛选设备
CN114798107A (zh) * 2022-04-19 2022-07-29 江苏腾日科技有限公司 一种牛皮筒靴生产加工用废料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228567A (zh) * 2022-06-30 2022-10-25 福建高龙海洋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高dha含量的鱼油加工设备
CN115228567B (zh) * 2022-06-30 2023-09-22 福建高龙海洋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高dha含量的鱼油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699B1 (ko) 파쇄기
KR100918710B1 (ko)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파쇄장치
KR101825266B1 (ko) 타격 파쇄 및 풍력건조에 의한 가연성 쓰레기 선별장치
KR100918711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100801898B1 (ko) 매립 쓰레기 선별장치
CN111604155B (zh) 一种城市固体废弃物的处理方法及装置
KR20140134829A (ko) 가연성 이물질 건식타격 선별장치
KR20110096926A (ko) 파쇄기
KR102294780B1 (ko) 유기성 폐기물 분쇄기
KR101501452B1 (ko) 듀얼 파쇄식 이물질 제거장치
EP3431181A1 (de) Zerkleinerungsvorrichtung für diverse materialien
JP2001300331A (ja) 使用済トナー容器の破砕装置
KR102121612B1 (ko) 복합 선별기
CN209885930U (zh) 一种垃圾破碎、分选和打浆的一体机
CN111432932B (zh) 适应性结构固体分流器和粉碎器
KR101128188B1 (ko) 파쇄기
KR101614503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자동 선별 파쇄장치
JP7345862B2 (ja) 破砕装置
CN211564014U (zh) 一种易腐垃圾预处理装置
KR101910463B1 (ko)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류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방법
KR101968187B1 (ko) 폐가축 처리용 소각기의 분리 처리장치
CN108722548B (zh) 一种垃圾填埋场用粉碎机
KR100831951B1 (ko) 음식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2369787B1 (ko) 폐가전제품 파쇄장치
CN115487914A (zh) 一种高效环保的建筑垃圾回收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