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153A -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153A
KR20180062153A KR1020160162115A KR20160162115A KR20180062153A KR 20180062153 A KR20180062153 A KR 20180062153A KR 1020160162115 A KR1020160162115 A KR 1020160162115A KR 20160162115 A KR20160162115 A KR 20160162115A KR 20180062153 A KR20180062153 A KR 20180062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s
cutting
rotary dryer
chip
was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001B1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산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산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산플랜트
Priority to KR102016016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0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hinged to the rotor; Hammer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C9/006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recirculation taking place in the combustion cha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또는 비철금속을 가공하는 공정 중에 발생되는 가공칩을 모아 저장하는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르로부터 배출되는 가공칩을 분쇄하는 해머 크러셔; 상기 해머 크러셔에서 제공되는 가공칩을 입자 크기 별로 선별하는 원형선별기; 상기 원형선별기에서 제공되는 가공칩을 가열하여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를 연소시키는 로터리 드라이어;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재가열시켜 배출가스에 포함되는 유해물질 및 냄새입자를 연소시키는 연소로; 및 상기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로 순환시키는 폐열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DISPOSAL EQUIPMENT FOR CUTTING CHIP BE STAINED WITH CUTTING OIL AND CUTTING OIL DISPOSAL METHOD USING THAT}
본 발명은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재료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비철금속 원자재를 가공한 후에 발생되는 가공칩으로부터 절삭유를 제거하여 원자재 가공칩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칩에 잔존하는 절사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료의 절삭가공과정에서는 입자형이나 나선형 등 다양한 형태의 절삭칩이 발생하게 되고, 이 절삭칩은 통상 가공되는 금속 소재 중량의 5~10% 정도에 이르는 많은 양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를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주조물의 절삭가공시에 발생되는 절삭칩의 경우 용해로에서 원재료 금속 용탕과 함께 재용해시켜 주물 재료로 다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용해로에 투입되는 절삭칩 회수물은 원재료 금속의 용탕에 비해 현저하게 작은 비중을 갖기 때문에, 용해로에 투입된 절삭칩의 대부분은 용탕 내에 잠기지 않고 용탕 표면부에 부유된 상태로 용해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절삭칩의 상당량이 대기와의 접촉에 의해 산화된다. 산화된 절삭칩은 원재료 금속 고유의 성질을 상실하므로 걸러내어 폐기하게 되고, 이에 따라 투입된 절삭칩 중에서 50~60% 정도만 재사용될 수 있어 자원 회수율(재생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용탕을 회전시켜 투입된 절삭칩들이 보다 용이하게 용탕에 잠기도록 하여 절삭칩의 산화로 인한 손실을 줄이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용탕을 회전시키기 위한 특수한 설비들이 필요하고, 이 설비들에 맞추어 용해로도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용해장치의 설치비용이 대폭 증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용탕의 회전으로 인해 용해로의 수명이 단축되고, 공정에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이 증가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용탕 표면부에 부유하고 있는 절삭칩을 강제로 눌러 용탕 내부로 침적시키는 방법도 제시되고 있으나, 이 역시 절삭칩을 침적시키기 위한 특수 설비가 요구되어 용해장치의 시설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작고 가벼운 절삭칩의 경우 용탕 내로 침적시키기가 어려워 절삭칩의 산화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회수된 절삭칩에는 금속 재료의 절삭가공을 위해 사용된 절삭유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절삭유가 포함된 절삭칩을 그대로 용해시킬 경우, 절삭유의 연소로 인해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절삭유 제거를 위한 별도의 세척공정이 필요했으며, 표면적이 넓은 절삭칩의 특성으로 인해 세척공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절삭칩의 재생 효율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 절삭칩 재생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금속 절삭칩 재생장치는, 내부에 절삭칩이 압축 성형되는 캐비티가 구비되고 종방향 양측에 상기 캐비티와 연통된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금형과, 금형의 출구 측에 연접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위치에 따라 상기 금형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게이트와, 게이트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게이트 액츄에이터와, 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절삭칩을 투입하는 공급수단과, 금형의 입구를 통해 캐비티 내부로 진입되면서 절삭칩을 가압하여 캐비티와 대응되는 형태의 고형체로 성형하는 성형플런저와, 성형플런저를 금형 내부와 외부로 왕복운동시키면서 성형 압력을 제공하는 프레스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2370호(2011년 12월 09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금속 절삭칩 재생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재생장치는, 절삭칩을 비중이 높은 압축 고형체로 가공하여 절삭칩을 용해시키기 때문에 절삭칩을 압축시키기 위한 금형 및 성형플런저를 구비해야 하므로 재생장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렵고, 절삭칩을 고압으로 가압하기 위해 요구되는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공급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기 어려워 절삭칩 재생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금속재료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비철금속 원자재를 가공한 후에 발생되는 가공칩으로부터 절삭유를 제거하여 원자재 가공칩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칩에 잔존하는 절사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금속 또는 비철금속을 가공하는 공정 중에 발생되는 가공칩을 모아 저장하는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르로부터 배출되는 가공칩을 분쇄하는 해머 크러셔; 상기 해머 크러셔에서 제공되는 가공칩을 입자 크기 별로 선별하는 원형선별기; 상기 원형선별기에서 제공되는 가공칩을 가열하여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를 연소시키는 로터리 드라이어;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재가열시켜 배출가스에 포함되는 유해물질 및 냄새입자를 연소시키는 연소로; 및 상기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로 순환시키는 폐열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원형선별기는, 복수 개의 기둥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망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통스크린; 및 상기 원통스크린에 오염토양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적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절삭칩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화염을 공급하여 가열공정을 행하는 연소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에 설치며 절삭칩을 분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케이스에 진동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스 내벽에 절삭칩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착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공장에서 배출되는 가공칩을 모아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하면서 가공칩을 설정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 (b) 분쇄된 가공칩을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여 이물질은 제거하고 기준 크기에 해당하는 가공칩을 공급하는 단계; (c) 가공칩을 로터리 드라이어에 공급하고, 섭씨 500~600℃의 온도로 10~6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 (d)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연소로에 공급하고, 섭씨 900~1000℃의 온도로 재가열하여 유분 및 악취를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에서 배출되는 가공칩을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고, 금속물질을 거른 후에 재활용 제품으로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d) 단계에서 발생되는 폐열은 상기 연소로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열교환부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본 발명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은, 절삭유가 잔존하는 절삭칩을 가열하여 건조시킬 때에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재가열하여 연소시키고 2차 연소되어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므로 절삭유 제거장치가 설치되는 주변의 환경을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배출가스를 가열하면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1차 연소를 행하는 연소장치로 순환시키므로 가열공정에 소요되는 연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은, 공정을 행하는 기술구성들 사이에 각각 수직이송부가 설치되므로 기술구성들이 위치하는 장소의 높이 차이가 있어도 절삭칩의 공급을 원활히 행할 수 있어 절삭유 제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절삭유 제거장치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수직이송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착탈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원형선별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누적방지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원형성별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로터리 드라이어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로터리 드라이어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수직이송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착탈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원형선별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누적방지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원형성별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로터리 드라이어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의 로터리 드라이어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는, 금속 또는 비철금속을 가공하는 공정 중에 발생되는 가공칩을 모아 저장하는 투입호퍼(112)와, 투입호퍼(112)로부터 배출되는 가공칩을 분쇄하는 해머 크러셔(120)와, 해머 크러셔(120)에서 제공되는 가공칩을 입자 크기 별로 선별하는 원형선별기(202)와, 원형선별기(202)에서 제공되는 가공칩을 가열하여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를 연소시키는 로터리 드라이어(300)와, 로터리 드라이어(300)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재가열시켜 배출가스에 포함되는 유해물질 및 냄새입자를 연소시키는 연소로(130)와, 연소로(130)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로터리 드라이어(300)로 순환시키는 폐열회수부(170)를 포함한다.
알루미늄 속에 함유된 절삭유는 건조과정에서 많은 유분과 악취로 변하게 되므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로터리 드라이어(300)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연소로에 공급하여 재가열하여 유분 및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연소로(130)는, 내부에 내화벽돌이 설치되므로 고온에 견딜 수 있고, 연료비를 줄이기 위하여 약750도의 열원을 공급하고, LPG을 사용하여 초기 온도를 상승 시킨 후에 로터리 드라이어(300) 내부에서 발생된 유분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열원을 공급하므로 LPG의 전원을 차단하여도 내부에 발생된 유분(기름성분)이 착화되어 화염의 공급이 지속되면서 가열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버너(336a)를 계속적으로 가동하면서 소각하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는, 건조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절삭칩에는 약10%의 절삭유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로터리 드라이어(300) 내부 온도를 520도 정도 주게 되면 절삭칩에 함유되어 있는 유분이 기체로 바뀌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 기체를 송풍팬을 이용하여 연소로에 통과시키면 유분이 타면서 약920도의 고온이 발생된다.
이런 방법으로 별도의 연소로에 연료을 주입하지 않고 자체 발생된 유분으로 고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연소로(130)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송풍팬과 순환관(174)을 이용하여 폐열을 포집하여 로터리 드라이어(300)에 투입하므로 방출되는 폐열을 이용할 수 있고, 로터리 드라이어(300)에 부착된 1차 버너(336a)를 약20여분 가동하여 건조 시 발생되는 유분을 이용하여 자체적인 열원을 공급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1차 버너(336a)를 연소 후에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유분이 소각 열원으로 사용되며, 550-900도의 열원을 공급 할 수 있으므로 연료비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원형선별기(200)는, 복수 개의 기둥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망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통스크린(230)과, 원통스크린(230)에 오염토양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적방지부(270)를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사각 모양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베이스(210)의 상면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제1기둥(212)과, 제1기둥(212)과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는 제2기둥(214)이 설치되며, 제1기둥(212)과 제2기둥(214)에 설치되는 롤러에 의해 원통스크린(23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원통스크린(230)의 일단에는 링 모양의 주동기어(274a)가 설치되고, 주동기어(274a)에 기어연결되는 기어에 구동체가 연결되어 구동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원통스크린(230)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체 및 구동체와 주동기어(274a)의 연결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베이스(210)의 상부에는 원통스크린(230)을 감싸는 케이스(250)가 설치되는데, 케이스(250)의 상부에는 한 쌍의 도어(25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252)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254)가 구비된다.
개폐부(254)는, 한 쌍의 도어(252) 중 어느 하나와 케이스(25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와, 한 쌍의 도어(252) 중 다른 하나와 케이스(25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실린더를 포함한다.
따라서 원통스크린(230) 또는 누적방지부(270)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누적방지부(270)의 타격부재(276)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로부터 로드를 돌출시키도록 구동시켜 한 쌍의 도어(252)를 개방하여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누적방지부(270)는, 케이스(250)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통스크린(230)에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연동축(272)과, 원통스크린(230)의 회전운동을 연동축(27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74)와, 연동축(272)에 구비되고 원통스크린(230)과 충돌되어 원통스크린(230)을 이루는 망사부재에 잔존하는 오염토양을 분리시키는 타격부재(276)와, 타격부재(276)를 연동축(27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278)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체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원통스크린(230)이 회전되면 동력전달부(274)의 작동에 의해 연동축(272)이 회전되고, 연동축(272)에 구비되는 타격부재(276)가 원통스크린(230)과 충돌되면서 원통스크린(230)을 이루는 철망부재에 압입된 오염토양을 철망부재로부터 분리되도록 충격을 가하게 된다.
동력전달부(274)는, 원통스크린(230)의 일단 또는 양단부에 설치되는 링 모양의 주동기어(274a)와, 주동기어(274a)와 기어연결되고 연동축(272)에 설치되는 종동기어(274b)를 포함하므로 원통스크린(230)과 반대 방향으로 연동축(272)이 회전되면서 연동축(272)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타격부재(276)가 원통스크린(230)의 둘레면에 충돌된다.
타격부재(276)는 원통스크린(230)과 충돌되는 경우에 변형되면서 굴곡되어 원통스크린(230)을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키지 않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연동축(272)과 원통스크린(23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원통스크린(230)과 연동축(272)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충격이 커져 타격부재(276)의 충돌에 의해 원통스크린(230)에 잔존하는 오염토양을 쉽게 분리시키고, 충돌되는 순간에 타격부재(276)가 변형되면서 원형스크린의 일부분에 충격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원형스크린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278)는, 연동축(272)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다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돌출되는 돌출편(278a)과, 돌출편(278a) 및 타격부재(276)에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연결홀부(278b)를 포함한다.
따라서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타격부재(276)가 장기간 원통스크린(230)과 충돌되어 마모되거나 파손되면 작업자는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를 구동시켜 도어(252)를 개방하고, 연결홀부(278b)로부터 체결부재를 분리시켜 돌출편(278a)과 타격부재(276)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새로운 타격부재(276)를 돌출편(278a)에 결합시킨 후에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게 구동시키면 도어(252)가 폐쇄되어 타격부재(276)의 교체작업을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로터리 드라이어(300)는, 구동부(33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절삭칩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332)와, 케이스(332) 내부에 화염을 공급하여 가열공정을 행하는 연소부와, 케이스(332) 내부로 삽입되고 구동부(336)의 동력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337)에 설치며 절삭칩을 분쇄하는 임펠러(337a)와, 케이스(332)에 진동을 제공하여 케이스(332) 내벽에 절삭칩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착방지부(338)를 포함한다.
연소부는, 케이스(332) 일측에 설치되고 화염을 제공하는 버너(336a)와, 버너(336a)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탱크를 포함하므로 연료탱크에서 공급되는 연료가 버너(336a)에서 제공하는 불꽃에 의해 점화되어 케이스(332) 내부로 화염을 제공하게 된다.
케이스(332)는 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구동부(336)의 작동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며, 케이스(332)의 회전중심으로 삽입되는 구동축(337)은 케이스(33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케이스(332) 내부에 수납되는 절삭칩에 잔존하는 절삭유를 기화시키며 절삭칩으로부터 절삭유를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332)와 임펠러(337a)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절삭칩을 효과적으로 유동시키고 가열하면서 절삭칩으로부터 절삭유를 분리시키게 된다.
고착방지부(338)는, 케이스(332) 외벽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해머부재(338a)와, 해머부재(338a)를 케이스(3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부(338b)와, 해머부재(338a)에 대향되는 케이스(332) 외벽에 설치되는 패드부재(338c)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부(336)의 작동에 의해 케이스(332)가 회전되면 해머부재(338a)가 힌지부(338b)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케이스(332) 외벽을 타격하게 되므로 케이스(332) 내부로 진동이 전달되어 케이스(332) 내벽에 절삭칩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332) 외벽에는 해머부재(338a)가 충돌되는 부위를 커버하도록 패드부재(338c)가 설치되므로 해머부재(338a)의 충돌에 의해 케이스(33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투입호퍼(112)와 해머 크러셔(120) 사이에 제1수직이송부(102)가 설치되고, 해머 크러셔(120)와, 제1원형선별기(202) 사이에 제2수직이송부(104)가 설치되고, 저장호퍼(114)와 로터리 드라이어(300) 사이에 제3수직이송부(160)가 설치되고, 로터리 드라이어(300)와 제2원형선별기(204) 사이에 제4수직이송부(108)가 설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장치들이 설치되는 높이가 서로 다르더라도 수직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절삭칩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다음의 공정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거장치를 설치하는 공간을 줄이면서 신속한 공급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수직이송부(100)는, 공급관(10)을 따라 공급되는 절삭칩이 분기관(14)을 따라 공급되는 유입구(32)를 구비하는 상승관(30)과, 상승관(30)에 설치되고 유입구(32)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칩이 수납되어 이동되도록 구동체인(52)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버킷(54)과,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구동체인(52)에 제공하여 버킷(54)의 순환운동을 행하는 구동축(50)과, 유입구(32)를 통해 상승관(30)에 투입되는 절삭칩에 진동을 제공하는 분쇄부(70)와, 구동축(50)의 동력을 분쇄부(7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80)를 포함한다.
공급관(10)은 하역장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급관(10)을 따라 이송되고, 공급관(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루(12)의 구동에 의해 공급관(10)을 따라 절삭칩이 공급된다.
상승관(30) 일측 까지 이송되는 절삭칩은 공급관(10) 일단부에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분기관(14)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배출되고, 분기관(14)의 하단에 연결되는 유입구(32)를 통해 상승관(30)의 하부로 절삭칩이 제공된다.
수직이송부(100)를 따라 이동되는 절삭칩은, 절삭유 함유량에 따라 유입구(32)에서 뭉침이 발생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는 유입구(32)에 설치되는 분쇄부(70)의 작동에 의해 절삭칩에 진동을 제공하므로 상승관(30)에 투입되는 절삭칩이 유입구(32) 내벽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분쇄부(70)의 작동에 의해 절삭칩이 유입구(32) 내벽에 누적되지 않고 유동되면서 상승관(30) 하부로 투입되므로 상측 방향으로 궤도운동을 행하는 구동체인(52)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버킷(54)에 수납되어 절삭칩이 상측으로 이송되는 연속공급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이송부(100)는 유입구(32)에 절삭칩이 막히는 오작동이 방지되므로 수직이송부(100)의 수리를 위한 이송작업 중단이 감소되고, 이송작업에 의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유입구(32)는 분기관(14)이 연결되도록 상승관(30)의 일측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분기관(14)으로부터 배출되는 절삭칩이 슬라이딩되며 공급되는 경사면(32a)이 유입구(32)에 형성된다.
유입구(32)는 상승관(30)의 하부로부터 분기관(14)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유입구(32)의 저면에는 하측 방향으로 상승관(30)의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32a)이 형성된다.
따라서 분기관(14)으로부터 배출되는 절삭칩은 유입구(32) 내부로 공급되어 경사면(32a)에 안착된 후에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승관(30) 하부 측으로 공급되어 절삭칩이 유입구(32) 내벽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분쇄부(70)는, 유입구(32)에 설치되는 회전축(72)과, 회전축(72)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회전축(7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유입구(32)를 통해 제공되는 절삭칩을 유동시키는 복수 개의 날개부재(76)를 포함한다.
회전축(72)은 유입구(32)를 가로지르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날개부재(76)는 회전축(72)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회전축(72)은 절삭칩 투입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회전축(72)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재(76)는 절삭칩의 투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동력전달부(80)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축(72)이 회전되면 회전축(72)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재(76)가 회전되면서 유입구(32) 내부로 투입되는 절삭칩을 타격하게 되므로 절삭칩에 진동을 제공하여 절삭칩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날개부재(76)는 절삭칩의 투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절삭칩의 투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날개부재(76)에 의해 절삭칩이 타격될 때에 절삭칩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과 날개부재(76)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절삭칩에 전달되는 충격량이 배가되어 절삭칩에 보다 효과적인 진동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수 개의 날개부재(76)는 회전축(72)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본체(74)부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다수 개의 날개부재(76)가 서로 이격되게 다른 각도로 배치되므로 날개부재(76)와 날개부재(76) 사이의 간격에 절삭칩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수 개의 날개부재(76)는, 본체(74)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므로 유입구(32)를 통해 제공되는 절삭칩 중에 날개부재(76)에 의해 타격되지 않고 투입되는 절삭칩이 없도록 하여 모든 절삭칩에 진동을 제공하게 되어 절삭칩이 유입구(32) 내벽에 누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동력전달부(80)는, 구동축(50)에 설치되는 주동스프로킷(82)과, 회전축(72)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84)과, 주동스프로킷(82)과 종동스프로킷(84)에 설치되고 구동축(50)의 동력을 회전축(72)에 전달하는 전달체인(86)을 포함한다.
상승관(30)의 하부에는 구동축(50)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구동축(50)에는 지름이 구동축(50)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는 드럼(56)이 설치되고, 드럼(56)의 둘레면을 따라 한 쌍의 구동체인(52)이 권취되어 한 쌍의 구동체인(52) 사이의 간격에 다수 개의 버킷(54)이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부로부터 구동축(50)에 동력이 전달되면 구동축(50) 및 드럼(56)이 회전되면서 구동체인(52)의 순환운동, 즉 궤도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구동체인(52)을 따라 순환되는 버킷(54)에 절삭칩이 수납되어 상승관(30)의 상부로 절삭칩 이송하게 된다.
상측으로 이송되는 버킷(54)은 상승관(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드럼(56)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진행방향이 바뀌어 회전되고, 이때, 회전되는 버컷으로부터 절삭칩이 배출되어 상승관(30)의 상부에 구비되는 배출구를 통해 상승관(30) 외측으로 절삭칩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분쇄부(70)를 유입구(3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착탈부(90)를 더 포함하고, 착탈부(90)는, 유입구(32)의 측벽 및 경사면(32a)에 설치되는 지지패널(92)과, 지지패널(92)에 제1체결부재(96)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7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94)과, 유입구(32)의 측벽에 형성되는 서비스홀부를 개폐하도록 제2체결부재(98)에 의해 설치되는 개폐플레이트(97)를 포함한다.
따라서 장기간 동안 절삭칩이 공급되면서 날개부재(76)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제2체결부재(98)를 해체하면 유입구(32)의 측벽으로부터 개폐플레이트(97)를 분리시켜 유입구(32)의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작업자는 공구를 사용하여 지지패널(92)로부터 제1체결부재(96)를 해체하여 베어링(94)을 지지패널(92)로부터 분리시키면 회전축(72) 및 날개부재(76)를 서비스홀부를 통해 유입구(32)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회전축(72) 및 날개부재(76)가 유입구(32) 외측으로 분리되면 작업자는 회전축(72)으로부터 본체(74) 및 날개부재(76)를 분리시켜 교체작업을 행하고, 상기한 분리작업의 역순으로 회전축(72) 및 새로운 날개부재(76)를 유입구(32) 내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은, 공장에서 배출되는 가공칩을 모아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하면서 가공칩을 설정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된 가공칩을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여 이물질은 제거하고 기준 크기에 해당하는 가공칩을 공급하는 단계와, 가공칩을 로터리 드라이어(300)에 공급하고, 섭씨 500~600℃의 온도로 10~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와, 로터리 드라이어(300)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연소로(130)에 공급하고, 섭씨 900~1000℃의 온도로 재가열하여 유분 및 악취를 제거하는 단계와, 로터리 드라이어(300)에서 배출되는 가공칩을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고, 금속물질을 거른 후에 재활용 제품으로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종 공장에서 발생되는 가공칩이 투입호퍼(112)에 모아지면 일정한 양의 절삭칩이 제1수직이송부(102)의 작동에 의해 해머 크러셔(120)에 제공되어 분쇄되고, 분쇄된 가공칩은 제2수직이송부(104)를 지나 제1원형선별기(202)를 통과하면서 입자 크기별로 선별되어 설정크기 이상의 절삭칩이 저장호퍼(114)에 모아진다.
이후에, 제3수직이송부(106)의 작동에 의해 로터리 드라이어(300)에 제공되는 절삭칩은, 1차 가열되면서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가 기화되어 분리되고, 로터리 드라이어(30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연소로에 공급되어 2차 가열되면서 유분 및 냄새입자가 연소되어 절삭유가 제거되며 악취가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연소로(130)의 가열단계에서 발생되는 폐열은 연소로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열교환부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로터리 드라이어(300)에 공급한다.
따라서 연소로(130)에서 발생되는 폐열은 연소로(130)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열교환부(172)에 의해 회수되어 회수관(174)을 따라 로터리 드라이어(300)의 버너(336a) 측으로 공급되면서 발화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로써, 금속재료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비철금속 원자재를 가공한 후에 발생되는 가공칩으로부터 절삭유를 제거하여 원자재 가공칩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칩에 잔존하는 절사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2 : 제1수직이송부 104 : 제2수직이송부
106 : 제3수직이송부 108 : 제4수직이송부
120 : 해머 크러셔 130 : 연소로
140 : 사이클론 집진부 150 : 백필터 집진부
170 : 폐열회수부 172 : 열교환부
174 : 회수관 202 : 제1원형선별기
204 : 제2원형선별기 300 : 로터리 드라이어

Claims (5)

  1. 금속 또는 비철금속을 가공하는 공정 중에 발생되는 가공칩을 모아 저장하는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르로부터 배출되는 가공칩을 분쇄하는 해머 크러셔;
    상기 해머 크러셔에서 제공되는 가공칩을 입자 크기 별로 선별하는 원형선별기;
    상기 원형선별기에서 제공되는 가공칩을 가열하여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를 연소시키는 로터리 드라이어;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재가열시켜 배출가스에 포함되는 유해물질 및 냄새입자를 연소시키는 연소로; 및
    상기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로 순환시키는 폐열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선별기는,
    복수 개의 기둥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망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통스크린; 및
    상기 원통스크린에 오염토양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적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절삭칩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화염을 공급하여 가열공정을 행하는 연소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축에 설치며 절삭칩을 분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케이스에 진동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스 내벽에 절삭칩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착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4. (a) 공장에서 배출되는 가공칩을 모아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하면서 가공칩을 설정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
    (b) 분쇄된 가공칩을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여 이물질은 제거하고 기준 크기에 해당하는 가공칩을 공급하는 단계;
    (c) 가공칩을 로터리 드라이어에 공급하고, 섭씨 500~600℃의 온도로 10~6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
    (d)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연소로에 공급하고, 섭씨 900~1000℃의 온도로 재가열하여 유분 및 악취를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에서 배출되는 가공칩을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고, 금속물질을 거른 후에 재활용 제품으로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발생되는 폐열은 상기 연소로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열교환부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KR1020160162115A 2016-11-30 2016-11-30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KR101905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115A KR101905001B1 (ko) 2016-11-30 2016-11-30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115A KR101905001B1 (ko) 2016-11-30 2016-11-30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153A true KR20180062153A (ko) 2018-06-08
KR101905001B1 KR101905001B1 (ko) 2018-10-05

Family

ID=6260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115A KR101905001B1 (ko) 2016-11-30 2016-11-30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0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101A (ko) * 2019-03-27 2020-10-07 일 김 알루미늄칩 자동집하, 이동 및 용해시스템
KR102572943B1 (ko) * 2023-02-02 2023-08-31 주식회사 티이 열순환 방식을 이용한 hss 가공 공정 폐기물로부터 hss 모합금을 제조하는 재활용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535Y1 (ko) * 2002-12-24 2003-05-13 대금환경개발 주식회사 원통형 드럼의 배출공 막힘 방지 장치
KR101146954B1 (ko) * 2011-10-17 2012-05-22 놀뫼환경(주) 이물질 막힘 제거가 우수한 이중 스크린망 원통선별기
KR101404698B1 (ko) * 2012-04-26 2014-06-09 주식회사 엠에스비이이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KR20160127905A (ko) * 2015-04-27 2016-11-07 (주)보정스틸 핫 팩 주원료 생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5317B2 (ja) * 1999-07-13 2009-03-11 日工株式会社 揮発性有機化合物を含む汚染土壌の浄化装置
KR200383029Y1 (ko) * 2005-02-04 2005-04-28 김학수 폐 오일필터 파쇄 분리장치
KR100799734B1 (ko) * 2007-06-27 2008-02-01 유한회사 강성산업개발 폐기물 선별스크린의 진동장치
KR101060185B1 (ko) * 2011-04-14 2011-08-29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열탈착식 오염토양 복원장치
KR101339554B1 (ko) * 2013-07-01 2013-12-10 이재림 잉곳절삭용 재생슬러리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부산물 내의 유효성분을 재회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535Y1 (ko) * 2002-12-24 2003-05-13 대금환경개발 주식회사 원통형 드럼의 배출공 막힘 방지 장치
KR101146954B1 (ko) * 2011-10-17 2012-05-22 놀뫼환경(주) 이물질 막힘 제거가 우수한 이중 스크린망 원통선별기
KR101404698B1 (ko) * 2012-04-26 2014-06-09 주식회사 엠에스비이이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KR20160127905A (ko) * 2015-04-27 2016-11-07 (주)보정스틸 핫 팩 주원료 생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101A (ko) * 2019-03-27 2020-10-07 일 김 알루미늄칩 자동집하, 이동 및 용해시스템
KR102572943B1 (ko) * 2023-02-02 2023-08-31 주식회사 티이 열순환 방식을 이용한 hss 가공 공정 폐기물로부터 hss 모합금을 제조하는 재활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001B1 (ko)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266B1 (ko) 타격 파쇄 및 풍력건조에 의한 가연성 쓰레기 선별장치
CN204208601U (zh) 一种锤式破碎机
KR100643654B1 (ko) 건식 이중 회전드럼식 골재재생기를 이용한 순환골재의생산방법 및 장치
CN210752922U (zh) 一种用于绿色建筑施工的垃圾收集装置
KR101905001B1 (ko)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CN108479924A (zh) 一种固体废弃物资源再回收利用装置
KR100529744B1 (ko) 고 순도 순환골재 생산장치
KR101591343B1 (ko) 가연성쓰레기의 고순도 선별 연료화 시스템
CN112742845B (zh) 一种工业固体废弃物环保处理方法
CN113058721A (zh) 一种废弃建筑材料回收机
CN110804699B (zh) 一种危险废物回收处理生产线
CN113102023A (zh) 一种具有粉碎和磁力分选功能的建筑垃圾加工装置
CN201684884U (zh) 铸造旧砂、炉渣回收处理设备
CN101862810B (zh) 一种铸造旧砂、炉渣回收处理设备
CN101797528A (zh) 一种粉碎机
CN214555249U (zh) 一种铸钢件加工用废料筛分收集装置
CN212759108U (zh) 一种生活垃圾焚烧发电厂的炉渣综合化处理系统
CN213254933U (zh) 一种建筑垃圾回收处理机构
CN210333713U (zh) 一种水泥窑耐材固废的回收分离再利用装置
CN109737415B (zh) 一种垃圾焚烧处理方法
CN212651931U (zh) 一种土木工程用废料回收装置
WO2016168714A1 (en) Adjustable dwell shredder
CN220386708U (zh) 一种建筑垃圾处置再利用设备
CN210188025U (zh) 岩棉废角料二次回收系统
KR200263266Y1 (ko)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이송 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