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990A -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990A
KR20130076990A KR1020110145453A KR20110145453A KR20130076990A KR 20130076990 A KR20130076990 A KR 20130076990A KR 1020110145453 A KR1020110145453 A KR 1020110145453A KR 20110145453 A KR20110145453 A KR 20110145453A KR 20130076990 A KR20130076990 A KR 20130076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orter
ferrous
ferrous metal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경호
곽연호
김용학
김건태
임성균
이윤석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6990A/ko
Publication of KR20130076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6Mills provided with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8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industrial residues and 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투입되는 폐기물 중, 철금속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자력 선별기와; 상기 자력 선별기에 의해 철금속재 이물질이 걸러진 폐기물 중, 비철금속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비철 선별기 및; 상기 자력 선별기 및 비철 선별기에 의해 철금속재 이물질 및 비철금속재 이물질이 걸러진 폐기물 중, 입도가 작은 토사 및 수분을 선별하는 입도 선별기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와, 이 폐기물 선별기를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각종 폐기물에서 철금속재의 이물질과, 비철금속재 이물질과,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이 제거된 후, 고형재생연료가 생산됨으로써, 그 발열량이 우수한 고형재생연료의 생산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Machine for sorting waste, device and method for RDF production with same}
본 발명은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폐기물에서 철금속재 이물질과, 비철금속재 이물질과,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하는 폐기물 선별기와, 이 폐기물 선별기를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와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산업의 발달로 각종 폐기물들이 양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폐기물들은 대부분 매립 또는 소각되어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을 매립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대지가 필요로 하고, 매립에 따른 악취 등이 발생함은 물론 미생물에 의한 분해기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유해가스 발생을 억제하면서 소각으로 많이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각종 폐기물 즉, 폐합성수지, 폐비닐과 같은 농촌폐기물, 각종 생활폐기물 등은 매립 및 소각에 앞서 재활용이 가능한 것은 선별하여 재활용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다.
또한, 폐합성수지 등의 폐기물과 폐목재 등의 폐기물은 소각시 발열량이 매우 높아 이를 각종 산업시설의 열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고형재생연료(RDF : Refuse Derived Fuel)로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재활용품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폐기물이나 발열량이 높은 폐기물은 철금속재 이물질, 비철금속재 이물질, 토사 등의 각종 이물질과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 처리할 경우 매연이 많이 발생됨은 물론 발열시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여 최대 발열에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재활용을 위한 원료로의 사용시에도 세척과 건조 등의 작업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폐기물에서 철금속재의 이물질과, 비철금속재 이물질과,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하는 폐기물 선별기를 제공하고, 이 선별기를 이용하여 고형재생연료를 생산하는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각종 폐기물에서 철금속재의 이물질과, 비철금속재의 이물질과,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한 후, 고형재생연료를 생산하도록 함으로써, 그 발열량이 우수한 고형재생연료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기는, 투입되는 폐기물 중, 철금속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자력 선별기와; 상기 자력 선별기에 의해 철금속재 이물질이 걸러진 폐기물 중, 입도가 작은 토사 및 수분을 선별하는 입도 선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력 선별기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의 내경 중, 반원에 걸쳐 고정설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풀리 중, 벨트부가 회전되는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구동풀리는, 양측단에 일정간격만큼만 풀리부로 형성되고, 상기 풀리부의 사이에 풀리부 보다 직경이 작은 샤프트가 축설되며,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자성체가 감겨져서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에도 상기 자성체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벨트부는 회전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력 선별기에서 자성체가 설치된 끝부분의 저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된 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가 설치되고, 상기 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의 저부에는 철금속재 이물질 포집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비철 선별기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의 안쪽에 내설되며, 양단에 N극과 S극이 형성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철 선별기의 벨트부는 회전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철 선별기에서 벨트부의 진행방향 선단쪽에는 투입구가 형성된 비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가 설치되고, 상기 비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의 저부에는 비철금속재 이물질 포집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입도 선별기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도 선별기의 아래쪽에는 입자가 작은 토사 및 수분이 통과되어 포집되는 포집통이 더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도, 상기 입도 선별기는 한쪽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도 선별기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흔들면서 진동을 일으키도록 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기를 이용한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는, 각종 폐기물을 일정크기로 1차 파쇄하는 1차 파쇄기와; 상기 1차 파쇄기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 중, 철금속재 이물질과 비철금속재 이물질과 토사 및 수분 등의 불순물을 걸러내어 선별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구성의 폐기물 선별기와; 상기 폐기물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폐기물을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에 의해 건조된 폐기물을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폐기물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폐기물을 더욱 잘게 파쇄하기 위한 2차 파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기를 이용한 고형재생연료 생산방법은, (a) 각종 폐기물을 일정크기로 1차 파쇄하는 단계; (b) 상기 1차 파쇄 단계에서 파쇄된 폐기물 중, 상기한 구성의 폐기물 선별기를 통해 철금속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c) 상기 철금속재 이물질이 선별된 폐기물 중, 상기한 구성의 폐기물 선별기를 통해 비철금속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d) 상기 철금속재 이물질 및 비철금속재 이물질이 선별된 폐기물 중, 상기한 구성의 폐기물 선별기를 통해 토사 및 수분을 선별하는 단계; (e) 상기 폐기물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폐기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건조부에 의해 건조된 폐기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선별된 폐기물을 더욱 잘게 파쇄하기 위한 2차 파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이용한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에 의하면, 각종 폐기물에서 철금속재의 이물질과, 비철금속재의 이물질과,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하는 폐기물 선별기가 제공되고, 이 선별기를 이용하여 고형재생연료를 생산하게 됨으로써, 보다 양질의 RDF 생산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각종 폐기물에서 철금속재의 이물질과, 비철금속재의 이물질과,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한 후, 고형재생연료를 생산하게 됨으로써, 그 발열량이 우수한 고형재생연료의 생산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자력 선별기의 일부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자력 선별기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기를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10)는, 각종 폐기물을 적정크기로 파쇄하는 1차 파쇄기(20)를 포함한다.
1차 파쇄기(20)에서 파쇄가 이루어진 각종 폐기물은 철금속재의 이물질과,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10)는, 1차 파쇄된 각종 폐기물에서 철금속재의 이물질과, 토사 등의 이물질 및 수분 등을 제거하여 1차 파쇄된 폐기물만 걸러지도록 하는 폐기물 선별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폐기물 선별기는, 1차 파쇄되어 제1이송부(30)에 의해 이송되는 폐기물들 중, 자력에 의해 철금속재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자력 선별기(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력 선별기(40)에 의해 걸러진 철금속재의 이물질은 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42)를 통해 철금속재 이물질 포집부(44)로 포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폐기물 선별기는, 철금속재의 이물질이 걸러진 폐기물 중, 자력에 반응하지 않는 비철금속재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비철 선별기(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비철 선별기(50)에 의해 걸러진 비철금속재의 이물질은 비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52)를 통해 비철금속재 이물질 포집부(54)로 포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폐기물 선별기는, 철금속재의 이물질이 걸러진 폐기물 중, 입자크기가 작은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걸러내는 그물망 형태의 입도 선별기(60)를 더 포함한다.
입도 선별기(60)에 의해 걸러진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은 별도의 포집통(70)으로 포집되고, 선별된 폐기물은 제2이송부(72)를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기 중, 자력 선별기의 일부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자력 선별기의 단면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풀리(40b)와, 이 구동풀리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벨트부(40a)를 포함한다.
구동풀리(40b)는 벨트부(40a)의 내측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벨트부(40a)를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벨트부(40a)의 회전방향 선단쪽에 위치하는 구동풀리(40b)는 양측단에 일정간격만큼만 풀리부(40b-1)로 형성되고, 이 풀리부(40b-1)의 사이에는 풀리부(40b-1) 보다 직경이 작은 샤프트(40b-2)가 축설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구동풀리(40b)의 샤프트(40b-2) 둘레에는 자성체(40c)가 감겨져 있는데, 이 자성체(40c)는 벨트부(40a)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벨트부(40a)의 전체 내경에서 반원에 걸쳐서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자력 선별기(40)는 벨트부(40a)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력 선별기(40)에서 자성체(40c)가 설치된 끝부분의 저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된 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42)가 설치되고, 이 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42)의 저부에는 철금속재 이물질 포집부(4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비철 선별기(50)도 자력 선별기(40)와 마찬가지로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풀리(도면부호 미부여)와, 이 구동풀리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벨트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비철 선별기(50) 또한 벨트부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벨트부의 안쪽에는 N극과 S극을 갖는 자석(56)이 내설되어 있으며, 이 자석(56)은 비철 선별기(50)의 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벨트부로 낙하되는 폐기물 중, 비철금속재의 이물질을 튕기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력 선별기(40) 및 비철 선별기(50)의 저부에는 그물망 형태의 입도 선별기(6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입도 선별기(60)의 아래쪽에는 입도 선별기(60)에 의해 걸러진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포집하는 포집통(7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입도 선별기(60) 또한 한쪽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진동부를 설치하여 상기 입도 선별기(60)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면서 진동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폐기물 선별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차 파쇄되어 투입되는 폐기물들은 자력 선별기(40)로 낙하된다. 이때, 자력 선별기(40)는 선단과 후단의 구동풀리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하향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 벨트부(40a)가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데, 벨트부(40a)의 선단측 내부에는 벨트부(40a)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자성체(40c)가 고정설치되어 있는바, 투입되는 폐기물들 중, 자성체(40c)의 자력에 의해 철금속재 이물질들은 벨트부(40a)에 부착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선단측 구동풀리(40b)는 양쪽의 풀리부(40b-1)가 벨트부(40a)의 기어부(40a-1)와 맞물려 벨트부(40a)가 회전되도록 하되, 그 중간의 샤프트(40b-2)는 자성체(40c)에 대하여 공회전됨으로써, 상기 자성체(40c)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자성체(40c)에 의한 자력을 띠지 않는 일반 폐기물 즉, 폐합성수지나 폐목재와 같은 폐기물은 하향경사진 자력 선별기(40)의 벨트부(40a) 끝단에 다다르면 자중과 중력에 의해 아래에 위치하는 비철 선별기(50)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자성체(40c)에 의한 자력을 띠는 철금속재 이물질은 자중과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낙하되지 않고 벨트부(40a)에 계속 부착된 상태로 회전을 하게 되며, 자성체(40c)가 설치된 부위를 지나게 되면 비로소 자중과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낙하되는 철금속재 이물질들은 그 저부에 형성된 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42)를 통해 철금속재 이물질 포집부(44)로 포집된다.
자력 선별기(40)로부터 낙하되는 폐기물들은 비철 선별기(50)로 낙하되어 벨트부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비철 선별기(50)의 벨트부 안쪽에 위치하는 자석의 고속으로 회전에 따른 극성 변화로 상기 자력 선별기(40)에 의해 선별되지 않은 비철금속재 이물질은 튕겨져 나가면서 비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52)를 거쳐 비철금속재 이물질 포집부(54)로 포집된다.
이러한 비철 선별기(50)에 의해 튕겨져 나가지 않은 폐합성수지 또는 폐목재 등의 폐기물들은, 다시 자중과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낙하하게 되어 입도 선별기(6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입도 선별기(60)는 진동부(미도시됨)에 의해 전후좌우로 흔들리면서 진동을 일으키게 되는바, 이러한 진동에 의해 흔들리면서 점차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흘러 내려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폐기물들에 묻어 있는 작은 입자의 토사나 수분은 입도 선별기(60)의 아래로 떨어져 포집통(70)에 포집된다.
이와 같이, 철금속재 이물질과, 비철금속재 이물질과, 토사 및 수분 등이 제거된 폐기물은 후공정을 거쳐 고형재생연료로 생산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는, 각종 폐기물을 적정 크기로 1차 파쇄하는 1차 파쇄기(20)와, 이 1차 파쇄기(20)로부터 파쇄되어 이송되는 폐기물들 중,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금속재 이물질, 비철금속재 이물질, 토사 및 수분을 걸러내는 폐기물 선별기와, 이 폐기물 선별기로부터 선별된 폐기물들을 2차 파쇄하는 2차 파쇄기(8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2차로 파쇄되어 작은 입자로 형성되고, 각종 불순물(철금속재 이물질, 비철금속재 이물질, 토사, 수분 등)이 걸러진 폐기물은 건조부(90)와, 성형부(100)를 거쳐 최종 고형재생연료로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10)를 이용한 생산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파쇄단계, 자력 선별기(40)에 의한 철금속재 이물질 선별 단계, 비철 선별기(50)에 의한 비철금속재 이물질 선별 단계, 작은 입자의 토사나 수분 등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철금속재 이물질과, 비철금속재 이물질과, 토사 및 수분이 걸러진 폐기물을 2차 파쇄하는 단계를 더 거친 후, 건조와 성형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고형재생연료를 생산하면 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2차 파쇄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20 : 1차 파쇄기
30 : 제1이송부 40 : 자력 선별기
40a : 벨트부 40a-1 : 기어부
40b : 구동풀리 40b-1 : 풀리부
40b-2 : 샤프트 40c : 자성체
42 : 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 44 : 철금속재 이물질 포집부
50 : 비철 선별기 56 : 자석
60 : 입도 선별기 70 : 포집통

Claims (16)

  1. 투입되는 폐기물 중, 철금속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자력 선별기와;
    상기 자력 선별기에 의해 철금속재 이물질이 걸러진 폐기물 중, 비철금속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비철 선별기 및;
    상기 자력 선별기 및 비철 선별기에 의해 철금속재 이물질 및 비철금속재 이물질이 걸러진 폐기물 중, 입도가 작은 토사 및 수분을 선별하는 입도 선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선별기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의 내경 중, 반원에 걸쳐 고정설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 중, 벨트부가 회전되는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구동풀리는,
    양측단에 일정간격만큼만 풀리부로 형성되고, 상기 풀리부의 사이에 풀리부 보다 직경이 작은 샤프트가 축설되며,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자성체가 감겨져서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에도 상기 자성체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회전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선별기에서 자성체가 설치된 끝부분의 저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된 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가 설치되고, 상기 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의 저부에는 철금속재 이물질 포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철 선별기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의 안쪽에 내설되며, 양단에 N극과 S극이 형성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철 선별기의 벨트부는 회전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철 선별기에서 벨트부의 진행방향 선단쪽에는 투입구가 형성된 비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가 설치되고, 상기 비철금속재 이물질 투입부의 저부에는 비철금속재 이물질 포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도 선별기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도 선별기의 아래쪽에는 입자가 작은 토사 및 수분이 통과되어 포집되는 포집통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도 선별기는 한쪽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도 선별기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흔들면서 진동을 일으키도록 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기.
  13. 각종 폐기물을 일정크기로 1차 파쇄하는 1차 파쇄기와;
    상기 1차 파쇄기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 중, 철금속재 이물질과 비철금속재 이물질과 토사 및 수분 등의 불순물을 걸러내어 선별하는 것으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폐기물 선별기와;
    상기 폐기물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폐기물을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에 의해 건조된 폐기물을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폐기물을 더욱 잘게 파쇄하기 위한 2차 파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15. (a) 각종 폐기물을 일정크기로 1차 파쇄하는 단계;
    (b) 상기 1차 파쇄 단계에서 파쇄된 폐기물 중,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폐기물 선별기를 통해 철금속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c) 상기 철금속재 이물질이 선별된 폐기물 중,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폐기물 선별기를 통해 비철금속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단계;
    (d) 상기 비철금속재 이물질이 선별된 폐기물 중,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폐기물 선별기를 통해 토사 및 수분을 선별하는 단계;
    (d) 상기 폐기물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폐기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건조부에 의해 건조된 폐기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선별된 폐기물을 더욱 잘게 파쇄하기 위한 2차 파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방법.
KR1020110145453A 2011-12-29 2011-12-29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 KR20130076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453A KR20130076990A (ko) 2011-12-29 2011-12-29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453A KR20130076990A (ko) 2011-12-29 2011-12-29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990A true KR20130076990A (ko) 2013-07-09

Family

ID=4899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453A KR20130076990A (ko) 2011-12-29 2011-12-29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69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3682A1 (ko) * 2014-03-07 2015-09-11 (주)정일기계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성형 고형연료 제조방법
KR101630701B1 (ko) * 2015-11-27 2016-06-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3695030A (zh) * 2021-07-13 2021-11-26 江西天奇金泰阁钴业有限公司 一种避免环境污染的废旧锂电池破碎后分选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3682A1 (ko) * 2014-03-07 2015-09-11 (주)정일기계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성형 고형연료 제조방법
US10047312B2 (en) 2014-03-07 2018-08-14 Jst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fluff solid fuel using combustible waste
KR101630701B1 (ko) * 2015-11-27 2016-06-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3695030A (zh) * 2021-07-13 2021-11-26 江西天奇金泰阁钴业有限公司 一种避免环境污染的废旧锂电池破碎后分选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217B1 (ko) 매립된 가연성 쓰레기와 생활쓰레기를 연료화하기 위한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KR101213717B1 (ko) 폐그물 재생장치
US85171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materials from soil
ES2928243T3 (es) Separación mecanizada de desecho sólidos mezclados y recuperación de productos reciclables
CN105642645B (zh) 城镇混合垃圾干式自动化精细分选方法及其设备
KR102218865B1 (ko) 가연성쓰레기를 연료화 하기 위한 압축 절단파쇄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CN101274322A (zh) 生活垃圾分选方法
JP4322896B2 (ja) 建設廃棄物選別処理システム
JP2008013698A (ja) 産業廃棄物シュレッダーダストを用いた固形燃料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CN102191106B (zh) 一种从市政垃圾中提取垃圾衍生燃料的系统
KR101814123B1 (ko) 폐기물 복합 자원화 방법과 장치
CN110076176A (zh) 生活垃圾终端机械化分类系统及方法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CN103537470A (zh) 固体废弃物净化回收再利用系统
KR100930324B1 (ko)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폐목재 및 가연물의 입도·성상별 선별방법
KR20220124132A (ko)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KR20130076990A (ko)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KR101294416B1 (ko)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
JP6059022B2 (ja) 固体燃料製造システム及び固体燃料製造方法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JP2859580B2 (ja) ガラス製品のリサイクルプラント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CN214147888U (zh) 一种城市垃圾体垃圾回收利用的处理装置
KR100641400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