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203A - 일체형파쇄선별기 - Google Patents

일체형파쇄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203A
KR20210104203A KR1020200018221A KR20200018221A KR20210104203A KR 20210104203 A KR20210104203 A KR 20210104203A KR 1020200018221 A KR1020200018221 A KR 1020200018221A KR 20200018221 A KR20200018221 A KR 20200018221A KR 20210104203 A KR20210104203 A KR 20210104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waste
unit
sorting
sor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182B1 (ko
Inventor
조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Priority to KR102020001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18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6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일체형파쇄선별기(1000)가 제공된다. 상기 일체형파쇄선별기(1000)는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파봉 및 파쇄하도록 구성되는 파쇄부(100); 및 상기 파쇄부(100)에 의해 파봉 및 파쇄된 폐기물을 회전력에 의해 타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선별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100) 및 상기 선별부(200)는 상하로 적층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파쇄선별기{AN INTEGRATED APPARATUS FOR CRUSHING AND SEPARATING THE WASTES}
본 발명은 일체형파쇄선별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간 효율적으로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선별 작업을 통해 폐기물 선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파쇄선별기에 관한 발명이다.
생활 현장에서 또는 산업 현장에서 버려지는 폐기물에는 일반적으로 금속류, 플라스틱류, 섬유, 종이류, 비닐류 등 다양한 종류의 물질이 혼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폐기물이 종래에는 별도의 파쇄, 선별 작업이 없이 전량 매립되거나 소각 처리되었으며, 그에 따라 엄청난 처리 비용을 야기하거나 심각한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전세계적으로 자원 고갈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거나 화석 에너지를 대체하는 연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해서, 폐기물을 파쇄하고, 파쇄된 폐기물을 타격 및 분리하여 선별하는 작업이 산업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폐기물 처리 현장에서는 폐기물 파쇄 장치와 폐기물 선별 장치가 상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폐기물 파쇄 장치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을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폐기물 선별 장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따라서 폐기물 파쇄 장치-컨베이어 벨트- 폐기물 선별 장치의 총 길이가 약 20~30 미터에 이르게 된다.
하지만, 공간이 제한되는 폐기물 처리 현장에서는 이와 같은 약 20~30 미터의 장비 사이즈가 상당한 제약이 될 수 밖에 없으며, 특히 파쇄된 폐기물을 상당한 거리만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 장비의 설치 비용, 전력 비용 등의 재정적 부담이 따르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폐기물 선별기는 투입되는 폐기물에 대해 단편적인 1회성의 타격 및 분리만을 진행함으로써 선별 효율이 상대적으로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재활용품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폐기물이나 발열량이 높은 폐기물은 토사 등의 각종 이물질과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 처리할 경우 매연이 많이 발생되고 발열 시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여 최대 발열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한 원료로의 사용시에도 세척과 건조 등의 작업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많은 제약이 있다.
그러므로, 공간 효율적으로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선 별 작업을 통해 폐기물 선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일체형파쇄선별기에 관한 필요가 폐기물 처리 현장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에서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을 가능하게 하는 일체형파쇄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선별유닛을 통해 복수의 선별 작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폐기물 선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파쇄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선별유닛을 구현함에 있어 폐기물의 이동 방향 및 폐기물의 선별 정도를 고려하여 복수의 선별유닛이 서로 상이한 규격을 갖도록 함으로써, 폐기물 선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파쇄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격날 및 타격스크린의 교체, 수선 유지를 위한 유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폐기물 파쇄 및 선별의 작업 효율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일체형파쇄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회전파쇄부 사이의 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의 파쇄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일체형파쇄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는,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파봉 및 파쇄하도록 구성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에 의해 파봉 및 파쇄된 폐기물을 회전력에 의해 타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 및 상기 선별부는 상하로 적층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부에 구비되는 톱니는 상기 선별부에 구비되는 타격날과 수직하게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는, 상기 파쇄부의 출력에 연결되되, 제1 선별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 타격날이 폐기물을 1차 타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선별유닛; 상기 제1 선별유닛의 출력에 연결되되, 제2 선별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타격날이 폐기물을 2차 타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선별유닛; 및 상기 제2 선별유닛의 출력에 연결되되, 제3 선별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3 타격날이 폐기물을 3차 타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3 선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선별모터의 구동력은 상기 제1 선별모터의 구동력보다 작고 상기 제3 선별모터의 구동력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부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회전파쇄부 및 제2 회전파쇄부로 구성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이 상기 제1 회전파쇄부 및 상기 제2 회전파쇄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유도됨으로써 상기 폐기물의 파봉 및 파쇄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폐기물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회전파쇄부와 상기 제2 회전파쇄부 사이의 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타격날에 의해 타격되는 폐기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방호판; 및 상기 방호판의 일 측에서, 상기 파쇄부와 상기 선별부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판 및 상기 연결판은 착탈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유닛의 일측 및 상기 제3 선별유닛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부의 외측을 차폐하되, 유압이 작용함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유압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에 의하면, 제한된 공간에서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에 의하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선별유닛을 통해 복수의 선별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폐기물 선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에 의하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선별유닛을 구현함에 있어 폐기물의 이동 방향 및 폐기물의 선별 정도를 고려하여 복수의 선별유닛이 서로 상이한 규격을 갖도록 함으로써, 폐기물 선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에 의하면, 타격날 및 타격스크린의 교체, 수선 유지를 위한 유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폐기물 파쇄 및 선별의 작업 효율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에 의하면,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에 따라 두 회전파쇄부 사이의 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의 파쇄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일체형파쇄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100)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파쇄부(100)에 의한 폐기물 파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200)의 구성도에 해당하고,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선별부(200)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선별유닛이 가질 수 있는 상이한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의 정면 실사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의 측면 실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는 파쇄부(100)와 선별부(200)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파쇄부(100)와 선별부(200)는 상하로 적층 배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쇄부(100)가 상측에 그리고 선별부(200)가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파쇄기에서 파쇄된 폐기물을 긴 길이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선별기로 이동시킴으로써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을 구현하였던 기존의 장치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파쇄기(100)에서 파쇄된 폐기물이 바로 선별부(200)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선별유닛(210)으로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상당히 공간 효율적이고 그리고 비용 효율적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를 구현할 수 있다.
파쇄부(100)는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파봉 및 파쇄할 수 있다. 파쇄부(100)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로 구성될 수 있고,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이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유도됨으로써 폐기물의 파봉 및 파쇄가 구현될 수 있다.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파쇄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2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파쇄부(100)의 외벽 일 측에는 감속기(140)가 배치될 수 있고, 감속기(140)는 제1 회전파쇄부(110)의 제1 파쇄축(111, 도 2b 참조) 및 제2 회전파쇄부(120)의 제2 파쇄축(121, 도 2b 참조)의 회전력의 크기, 비율 등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감속기(140)를 통해 감소되되, 투입되는 폐기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 감속기(140)는 제1 파쇄축(111) 및 제2 파쇄축(121)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투입되는 폐기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 감속기(140)는 제1 파쇄축(111) 및 제2 파쇄축(121)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폐기물의 양에 따라 파쇄축(111, 112)의 회전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파쇄부(100)는 톱니(113, 123)가 구비된 파쇄원판이 대향하는 파쇄디스크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폐기물의 파쇄를 구현하고, 선별부(200)는 디스크에 부착된 타격날(214, 224, 234)이 투입된 폐기물을 타격함으로써 폐기물의 선별을 구현하는데, 여기서 파쇄부(100)에 구비되는 톱니(113, 123)는 선별부(200)에 구비되는 타격날(214, 224, 234)과 수직하게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되는 일체형파쇄선별기(1000)의 정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에, 파쇄부(100)에 구비되는 톱니(113, 123)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함에 반해, 선별부(200)에 구비되는 타격날(214, 224, 234)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톱니와 타격날을 활용하여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을 구현하는 일반적인 파쇄선별기와는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100)는 파쇄부(100)에 구비되는 톱니(113, 123)가 선별부(200)에 구비되는 타격날(214, 224, 234)과 수직하게 회전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 효율을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선별부(200)는 파쇄부(100)에 의해 파봉 및 파쇄되는 폐기물을 회전력에 의해 타격 및 분리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200)는 복수의 선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호 나란하게 또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선별유닛(210), 제2 선별유닛(220) 및 제3 선별유닛(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별부(200)는, 파쇄부(100)의 출력에 연결되되, 제1 선별모터(25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 타격날(214)이 폐기물을 1차 타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선별유닛(210); 제1 선별유닛(210)의 출력에 연결되되, 제2 선별모터(25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타격날(224)이 폐기물을 2차 타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선별유닛(220); 및 제2 선별유닛(220)의 출력에 연결되되, 제3 선별모터(253)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3 타격날(234)이 폐기물을 3차 타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3 선별유닛(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각 선별유닛(210, 220, 230)에 의한 폐기물의 타격 및 분리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의 도 3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선별부(200)의 타격날(214, 224, 234) 및 타격스크린(241, 242, 243)은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주거나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는 유압 스크린(2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유압 스크린(260)은 선별부(200)의 몸체 외벽에,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선별유닛(210)의 일측 및 제3 선별유닛(230)의 타측에 구비되어 일체형파쇄선별기(1000)의 동작 시에는 선별부(200)의 외측을 차폐하되, 교체, 유지 및 보수 작업 시에는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유압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유압 스크린(260)에 유압을 작용하여 유압 스크린(260)을 하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타격날(214, 224, 234) 및 타격스크린(241, 242, 243)의 교체,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유압을 반대 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유압 스크린(260)을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선별부(200)의 상측에는 방호판(290)이 배치되어 타격날(214, 224, 234)에 의해 타격되는 폐기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선별부(200)의 상측에는 방호판(290)이 배치되고 선별부(200)의 양측에는 유압 스크린(260)이 설치됨으로써, 내부에서 타격되는 폐기물이 외부로 이탈되어 주변 작업자가 부상 또는 피해를 입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폐기물의 수거 효율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방호판(290)과 연결판(291)이 착탈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선별부(200)에서 수행되는 선별 작업의 횟수를 구현예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의 예에서는 파쇄부(100)의 출력이 연결판(291)을 통해 제1 선별유닛(210)과 연결되고 그에 따라 파쇄된 폐기물이 총 3회의 선별 작업을 거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 가능하게 구현되는 연결판(291)을 제2 선별유닛(220)과 연결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구현되는 방호판(290) 중에서 제2 선별유닛(220) 상부에 배치되는 방호판을 제거함과 동시에 파쇄부(100)의 수평 위치를 상응하게 조정함으로써, 파쇄부(100)의 출력이 연결판(291)을 통해 제2 선별유닛(220)과 연결되고 그에 따라 파쇄된 폐기물이 총 2회의 선별 작업을 거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는 타격날(214, 224, 234)에 의해 타격되는 폐기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방호판(290)과, 파쇄부(100) 및 선별부(2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판(291)을 착탈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선별 작업의 횟수를 일체형파쇄선별기(1000)의 설치 환경, 투입되는 폐기물의 종류, 투입되는 폐기물의 양, 폐기물 처리 운영자의 요구 사항,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별부(200)에서 선별된 폐기물은 컨베이어 벨트(270)를 통해 다른 장소 또는 다른 장치로 이송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선별부(200)의 하부에 폐기물이 적재됨이 없이 일체형파쇄선별기(1000)의 연속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100)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파쇄부(100)에 의한 폐기물 파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파쇄부(100)는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파봉 및 파쇄할 수 있다. 파쇄부(100)는 복수의 파쇄축(111, 121) 및 상기 복수의 파쇄축(111, 121)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파쇄원판(112, 12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파쇄원판(112, 12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톱니(113, 123)가 형성되어 투입되는 폐기물을 용이하게 파봉 및 절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복수의 파쇄축(111, 121), 복수의 파쇄원판(112, 122) 및 복수의 톱니(113, 123)는 회전 운동할 수 있고, 회전하는 복수의 톱니(113, 123) 사이로 폐기물을 삽입 유도함으로써 폐기물을 파쇄 및 절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100)는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회전파쇄부(110)는 제1 파쇄축(111)과, 상기 제1 파쇄축(111)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여 외주면에 제1 톱니(113)가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파쇄원판(112)과, 상기 복수의 제1 파쇄원판(112) 사이에 배치되되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지 않는 복수의 제1 파쇄디스크(114)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회전파쇄부(120)는 제2 파쇄축(121)과, 상기 제2 파쇄축(121)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여 외주면에 제2 톱니(123)가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파쇄원판(122)과, 상기 복수의 제2 파쇄원판(122) 사이에 배치되되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지 않는 복수의 제2 파쇄디스크(124)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1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파쇄원판(112)이 복수의 제2 파쇄디스크(124)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동시에 복수의 제2 파쇄원판(122)이 복수의 제1 파쇄디스크(114)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파쇄부(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쇄원판(112, 122)과 복수의 파쇄디스크(114, 124)는 서로 엇갈린 형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그러한 파쇄원판-파쇄디스크의 맞물림 구조에 의해 폐기물의 파봉 및 파쇄가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톱니(113) 또는 복수의 제2 톱니(123)는 폐기물을 제1 회전파쇄부(110)와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폐기물을 파봉할 수 있고, 삽입된 폐기물은 제1 회전파쇄부(110)와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를 통과하면서 파쇄부(100)의 회전 가압에 의해 파쇄 및 절단될 수 있다. 파쇄원판-파쇄디스크의 이러한 맞물림 구조에 의해 폐기물이 제1 회전파쇄부(110)와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에 끼이거나 가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파쇄부(100)로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의 장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파쇄원판(112)에 형성된 제1 톱니(113) 및 제2 파쇄원판(122)에 형성된 제2 톱니(123)는 각 파쇄원판(112, 122)의 회전 방향으로 갈고리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톱니(113, 123)를 갈고리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폐기물을 둘러싸고 있는 비닐류 등을 보다 용이하게 찢을 수 있고, 그에 따라 폐기물 파봉 효율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의 회전력이 갈고리 형태의 끝점에 집중됨으로써 파쇄부(100)의 파쇄력이 보다 상승될 수 있으며, 폐기물을 갈고리에 걸어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갈고리 형태의 톱니(113, 123)는 제1 회전파쇄부(110)와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로 폐기물을 보다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 2a 및 도 2b에는 제1 회전파쇄부(110)와 제2 회전파쇄부(120)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제1 파쇄축(111)과 제2 파쇄축(121)이 평행하게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하지만, 이는 파쇄부(100)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시한 예시적인 구성에 해당할 뿐이고,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파쇄부(100)는 셋 이상의 회전파쇄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회전파쇄부의 크기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파쇄축의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파쇄부(100)에 의한 폐기물 파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b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입구(130)로 복수의 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100)는 생활 폐기물뿐만 아니라 나무토막 등과 같이 다양한 폐기물을 분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즉, 시계 방향 회전 및 반시계 방향 회전)할 수 있으며, 도 2b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폐기물을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이송 및 파쇄할 수 있다.
특히, 도 2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갈고리 모양의 톱니(113, 123)는 폐기물의 이송 및 파쇄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에 투입된 폐기물은 파쇄원판(112, 122)의 회전 시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절단될 수 있는 바 나무토막과 같이 단단한 폐기물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도 2b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파쇄부(100)는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로 이송된 폐기물을 회전 가압을 통하여 파봉, 파쇄 및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회전파쇄부(110)와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쇄축(111) 및 제2 파쇄축(121) 중 적어도 하나를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즉,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가 큰 경우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 보다 구체적으로 파쇄부(100)에는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100)는 다양한 크기의 폐기물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폐기물의 파쇄 및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100)의 내부에는 제1 파쇄축(111) 또는 제2 파쇄축(121)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절레일(미도시), 위치고정수단(미도시)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100)는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센서에 의해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파쇄축(111, 121)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비용-효율적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의 가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200)의 구성도에 해당하고,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선별부(200)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20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선별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선별유닛(210), 제2 선별유닛(220) 및 제3 선별유닛(23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는 그 중에서 제1 선별유닛(210)의 구성을 대표하여 도시한다.
제1 선별유닛(210), 제2 선별유닛(220) 및 제3 선별유닛(230)은 동일한 규격을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예를 들어, 도 1a의 경우), 또는 제1 선별유닛(210), 제2 선별유닛(220) 및 제3 선별유닛(230)은 상이한 규격을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선별유닛(210)은 제1 선별모터(251)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게 되는 제1 타격축(281)과, 상기 제1 타격축(281)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1 디스크(211)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디스크(211) 각각의 둘레에는 일정 간격으로 삽입공이 형성되며, 복수의 제1 디스크(211)의 삽입공은 각각 동일 축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디스크(211)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4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이들 4개의 삽입공은 모두 동일 축선상에 일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선별유닛(210)은 제1 디스크(211)의 삽입공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제1 연결축(213)과, 제1 연결축(213)이 제1 디스크(211)의 삽입공에 삽입될 때에 제1 연결축(213)의 단부에 삽입되어 제1 디스크(21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제1 연결축(213)에 대하여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복수의 제1 회전편(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편(215)은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축(213)에 대하여 자유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삽입부(212)와, 제1 삽입부(212)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되 직사각형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타격날(2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디스크(21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회전편(215) 중에서 일부 회전편의 제1 타격날(214)은 단면적이 넓은 면이 회전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계되고, 나머지 일부 회전편의 제1 타격날(214)은 단면적이 좁은 면이 회전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선별유닛(210)의 내부로 유입된 폐기물이 파쇄와 동시에 이물질 및 수분 분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복수의 제1 회전편(215) 중에서 단면적이 넓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하게 설치되는 제1 타격날(214)은 폐기물과 충돌되는 면적이 커짐에 따라 폐기물에 함유된 토사 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복수의 제1 회전편(215) 중에서 단면적이 좁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하게 설치되는 제1 타격날(214)은 폐기물을 절단하여 엉킨 것을 푸는 기능을 담당함으로써, 파쇄와 동시에 이물질 및 수분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크(211)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회전편(215)은 단면적이 넓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하게 설치되는 제1 타격날(214)과, 단면적이 좁은 면이 회전되는 방향과 일치하게 설치되는 제1 타격날(214)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의 파쇄와 이물질의 분리가 동시에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크(211)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복수의 제1 회전편(215) 중에서 좌우측 가변에 위치하게 되는 제1 회전편(215)의 제1 타격날(214)은, 폐기물이 좌우측 가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예방하도록 안쪽으로 일정각도만큼 경사지게(예를 들어, 약 45도 각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 선별유닛(21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타격축(28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제1 디스크(211)가 형성되고, 제1 디스크(211)의 둘레에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제1 연결축(213)을 어느 한쪽 끝 단의 제1 디스크(211) 삽입공을 통해 순차적으로 삽입시킨다. 여기서, 제1 디스크(211) 사이에는 각각 제1 회전편(215)의 제1 삽입부(212)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 연결축(213)이 제1 디스크(211)의 삽입공에 삽입됨과 동시에 각각의 제1 회전편(215)의 제1 삽입부(212)에도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복수의 제1 회전편(215)은 제1 연결축(213)에 대하여 동일 축선상에 나란하게 위치하게 되며, 또한 제1 연결축(213)에 대하여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 디스크(211)의 각 삽입공에 각각의 제1 연결축(213)을 삽입하면서 각각의 제1 회전편(215)을 조립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타격축(281)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1 회전편(215)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선별유닛(210))에서 제1 회전편(215)이 원심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강한 바람을 생성시키는 풍력이 발생하게 되고, 제1 회전편(215)의 타격 시에 폐기물에서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은 미량의 수분은 풍력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선별유닛(210)에서의 폐기물의 선별 및 건조 효과는 제2 선별유닛(220) 및 제3 선별유닛(230)에서 동일하게 획득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200)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즉 3개의 선별유닛(210, 220, 230)을 구비함으로써 폐기물의 이물질 및 수분의 선별과, 파쇄 및 건조가 다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폐기물 처리의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통해 상술한 제1 선별유닛(210)의 세부 구성은 선별부(200)를 함께 구성하는 제2 선별유닛(220) 및 제3 선별유닛(23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도 1a의 경우),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별부(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선별유닛(210, 220, 230)이 서로 상이한 규격을 가질 수도 있으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선별유닛이 가질 수 있는 상이한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에 해당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1000)를 구현함에 있어 폐기물의 이송 방향을 고려하여 각 선별유닛(210, 220, 230)의 구동력을 상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쇄부(100)로부터 파쇄된 폐기물을 직접 수용하는 제1 선별유닛(210)은 가장 큰 구동력을 갖는 제1 선별모터(251)와 연결되고,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선별유닛(220)은 중간 구동력을 갖는 제2 선별모터(252)와 연결되며, 가장 마지막에 배치되는 제3 선별 유닛(230)은 가장 작은 구동력을 갖는 제3 선별모터(25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서로 상이한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1 선별모터(251), 제2 선별모터(252) 및 제3 선별모터(253)가 도 4a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참고로, 선별모터(251, 252, 253)에서 출력되는 상이한 구동력은 모터의 회전 속도와 연관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의 구성에서 제2 선별모터(252)의 회전 속도는 제1 선별모터(251)의 회전 속도보다 작고 제3 선별모터(253)의 회전 속도보다 클 수 있다.
파쇄부(100)에서 파쇄된 폐기물은 토사 등의 각종 이물질과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그 중량이 무겁고, 서로 엉켜 있어 이를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데 있어 더 많은 부하가 필요하게 되고, 폐기물이 배출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폐기물 타격 및 분리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이물질과 수분의 양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부하가 감소하게 되므로 그에 필요한 모터의 구동력을 또한 감소시키는 것이 장비 가동 효율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폐기물의 이송 방향에 따라 모터의 구동력을 점차 감소시키는 구성에 더하여, 폐기물을 타격 및 분리하는 타격날(214, 224, 234)의 크기를 점차 감소시키는 구성도 또한 가능하다. 도 4b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폐기물의 1차 타격 및 분리를 수행하는 제1 타격날(214)의 크기가 가장 큰 반면, 폐기물의 3차(즉, 최종) 타격 및 분리를 수행하는 제3 타격날(234)의 크기가 가장 작도록 복수의 타격날(214, 224, 234)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200)의 하측에는 타격스크린(240)이 구비되고, 상기 타격스크린(240)에는 일정 크기의 구멍이 복수 개 형성되며, 선별부(20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과 수분이 타격스크린(240)의 구멍을 통해 아래로 낙하하여 포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스크린(240)은 제1 선별유닛(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타격스크린(241; 도 3a 참조), 제2 선별유닛(22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타격스크린(242) 및 제3 선별유닛(2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 타격스크린(243)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타격스크린(240)의 구성이 도 4c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물이 일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폐기물의 타격 및 분리에 의해 폐기물의 중량 및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제1 타격스크린(241)에 형성되는 제1 개구(241a)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는 한편 제3 타격스크린(243)에 형성되는 제3 개구(243a)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타격스크린(241, 242, 243)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구현되되, 각각의 타격축(281, 282, 283)을 중심으로 폐기물의 이송 방향으로의 곡률 반경이 그 반대 방향으로의 곡률 반경보다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타격스크린(241, 242, 243)의 구성에 의해 타격날(241, 224, 234)에 의해 타격 및 분리된 폐기물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이 유도될 수 있다.
추가로,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선별유닛(210, 220, 230)이 수평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성과는 달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선별유닛(210, 220, 230)이 하강 계단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선별유닛(210, 220, 230) 중에서 제1 선별유닛(210)은 지면으로부터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선별유닛(220)은 제1 선별유닛(210)의 높이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강하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선별유닛(230)은 제2 선별유닛(220)의 높이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강하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쇄되는 폐기물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선별유닛(210, 220, 230)의 높이도 또한 낮아지도록 구현함으로써 폐기물의 원활하고 자연스러운 이동을 또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의 정면 실사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의 측면 실사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에 의하면, 제한된 공간에서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에 의하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선별유닛을 통해 복수의 선별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폐기물 선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에 의하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선별유닛을 구현함에 있어 폐기물의 이동 방향 및 폐기물의 선별 정도를 고려하여 복수의 선별유닛이 서로 상이한 규격을 갖도록 함으로써, 폐기물 선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에 의하면, 타격날 및 타격스크린의 교체, 수선 유지를 위한 유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폐기물 파쇄 및 선별의 작업 효율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파쇄선별기에 의하면,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에 따라 두 회전파쇄부 사이의 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의 파쇄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일체형파쇄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일체형파쇄선별기 100: 파쇄부
110: 제1 회전파쇄부 120: 제2 회전파쇄부
130: 투입구 140: 감속기
200: 선별부 210: 제1 선별유닛
220: 제2 선별유닛 230: 제3 선별유닛
240: 타격스크린 250: 선별모터
260: 유압스크린 270: 컨베이어벨트
280: 타격축 290: 방호판
291: 연결판

Claims (9)

  1. 일체형파쇄선별기(1000)로서,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파봉 및 파쇄하도록 구성되는 파쇄부(100); 및
    상기 파쇄부(100)에 의해 파봉 및 파쇄된 폐기물을 회전력에 의해 타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선별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100) 및 상기 선별부(200)는 상하로 적층 배치되는,
    일체형파쇄선별기(10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100)에 구비되는 톱니(113, 123)는 상기 선별부(200)에 구비되는 타격날(214, 224, 234)과 수직하게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일체형파쇄선별기(10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200)는,
    상기 파쇄부(100)의 출력에 연결되되, 제1 선별모터(25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 타격날(214)이 폐기물을 1차 타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선별유닛(210);
    상기 제1 선별유닛(210)의 출력에 연결되되, 제2 선별모터(25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타격날(224)이 폐기물을 2차 타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선별유닛(220); 및
    상기 제2 선별유닛(220)의 출력에 연결되되, 제3 선별모터(253)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3 타격날(234)이 폐기물을 3차 타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3 선별유닛(230)을 포함하는,
    일체형파쇄선별기(10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별모터(252)의 구동력은 상기 제1 선별모터(251)의 구동력보다 작고 상기 제3 선별모터(253)의 구동력보다 큰,
    일체형파쇄선별기(10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100)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제2 회전파쇄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이 상기 제1 회전파쇄부(110) 및 상기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유도됨으로써 상기 폐기물의 파봉 및 파쇄가 구현되는,
    일체형파쇄선별기(10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의 크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폐기물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회전파쇄부(110)와 상기 제2 회전파쇄부(120) 사이의 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파쇄선별기(1000).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2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타격날(214, 224, 234)에 의해 타격되는 폐기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방호판(290); 및
    상기 방호판(290)의 일 측에서, 상기 파쇄부(100)와 상기 선별부(200)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판(291)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파쇄선별기(1000).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판(290) 및 상기 연결판(291)은 착탈 가능하게 구현되는,
    일체형파쇄선별기(1000).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별유닛(210)의 일측 및 상기 제3 선별유닛(23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부(200)의 외측을 차폐하되, 유압이 작용함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유압 스크린(260)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파쇄선별기(1000).
KR1020200018221A 2020-02-14 2020-02-14 일체형파쇄선별기 KR102390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221A KR102390182B1 (ko) 2020-02-14 2020-02-14 일체형파쇄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221A KR102390182B1 (ko) 2020-02-14 2020-02-14 일체형파쇄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203A true KR20210104203A (ko) 2021-08-25
KR102390182B1 KR102390182B1 (ko) 2022-04-27

Family

ID=77495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221A KR102390182B1 (ko) 2020-02-14 2020-02-14 일체형파쇄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27744A (zh) * 2023-11-16 2024-01-23 渤海宏铄(江苏)环保设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分类再生分拣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876B1 (ko) * 2011-10-31 2012-11-27 주식회사 쌍용에코텍 타격식 복합 선별기
KR20170006471A (ko) * 2015-07-08 2017-01-18 김철환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의 파쇄 탈분기
KR20170013965A (ko) * 2017-01-25 2017-02-07 (주)에코리사이클링 폐형광램프의 하이브리드 친환경 재활용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876B1 (ko) * 2011-10-31 2012-11-27 주식회사 쌍용에코텍 타격식 복합 선별기
KR20170006471A (ko) * 2015-07-08 2017-01-18 김철환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의 파쇄 탈분기
KR20170013965A (ko) * 2017-01-25 2017-02-07 (주)에코리사이클링 폐형광램프의 하이브리드 친환경 재활용 처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27744A (zh) * 2023-11-16 2024-01-23 渤海宏铄(江苏)环保设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分类再生分拣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182B1 (ko)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698B1 (ko) 분쇄기능을 갖는 자력선별기
US43669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inuting solid materials
KR100973771B1 (ko) 파쇄기
KR20160107594A (ko) 폐기물 파쇄장치
KR102218865B1 (ko) 가연성쓰레기를 연료화 하기 위한 압축 절단파쇄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KR102482717B1 (ko) 폐기물 관리 및 재생 시스템
KR20150143098A (ko) 쓰레기용 함마형 파쇄 분리기
KR102390182B1 (ko) 일체형파쇄선별기
US4917310A (en) Processing apparatus for solid refuse
KR101546356B1 (ko) 타격 풍력식 폐기물 선별 장치
KR101204876B1 (ko) 타격식 복합 선별기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KR102237772B1 (ko) 바이트인 커터를 구비한 폐기물 분쇄기
KR20120019962A (ko) 이물질 파쇄 선별기
KR10090944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용 체인 해머 크러셔
US4824028A (en) Shredd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aid process
KR101408893B1 (ko) 목재 파쇄장치
KR101614503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자동 선별 파쇄장치
KR20210109065A (ko) 폐비닐 선별시스템
KR102361059B1 (ko)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KR102470667B1 (ko) 기계식 파쇄기
KR100469677B1 (ko) 임목폐기물 파쇄장치
KR100705773B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101303610B1 (ko) 폐기물의 상호접촉에 의한 파쇄 및 이종재질간 선별이 가능한 드럼형 고속회전 파쇄기
JP2527685B2 (ja) 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