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044B1 -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044B1
KR102212044B1 KR1020190175796A KR20190175796A KR102212044B1 KR 102212044 B1 KR102212044 B1 KR 102212044B1 KR 1020190175796 A KR1020190175796 A KR 1020190175796A KR 20190175796 A KR20190175796 A KR 20190175796A KR 102212044 B1 KR102212044 B1 KR 10221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synthetic resin
waste synthetic
uni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실업
Priority to KR102019017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using density dif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76Cutting or tearing members, e.g. spiked or toothed cylinders or intermeshing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투입된 복합 폐합성수지를 파쇄한 후 비중과 풍력에 의하여 선별하는 폐합성수지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폐합성수지 비중 선별장치는 폐합성수지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가지는 제1본체 프레임과; 제1본체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파쇄부와, 파쇄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원 및, 제1구동원과 파쇄부 사이에 마련되어 제1구동원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파쇄부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를 구비한 파쇄유닛과; 파쇄유닛에서 파쇄된 폐합성수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것으로, 제1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부와, 복수의 이송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원과, 제2구동원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복수의 이송부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구비한 이물질 분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폐합성수지 선별장치{Apparatus for selecting waste plastics}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투입된 복합 폐합성수지를 파쇄한 후 비중과 풍력에 의하여 선별하는 폐합성수지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전에 따라 합성수지는 생활 및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은 매년 급증하고 있다. 즉,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PET),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 발생된 폐합성수지의 대부분을 중국 등 해외로 수출하거나 매립 또는 소각하여 왔다. 한편, 2018년 이후 중국 정부의 폐합성수지 등 24종 폐기물 수입 중단조치에 따라 대중 수출이 금지되었다. 또한 2018년 1월 자원순환기본법이 시행됨에 따라 '폐기물처분(소각·매립) 부담금'이 부과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인으로 폐합성수지 등의 재활용 폐기물 처리 대란이 발생된 바 있다.
또한, 폐합성수지는 상당부분 고형연료제품(SRF, Solid Refuse Fuel)으로 재활용되고 있으나, 최근 국내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폐기물 SRF 에너지를 지양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바, 앞으로 재활용 수요처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폐합성수지의 경우, 성형 공정을 거쳐 성형품으로 재탄생하는 물질 재활용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국내 합성수지 발생량을 살펴보면, 약 40%가 생활계 복합 폐합성수지로서 이물질 및 다른 재질이 혼합되어 있는 바, 재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혼합된 재질을 분리 선별하기 위한 선별 공정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17-0033561(2017. 03. 27.) 등록특허공보 10-1459345 (2014. 11. 0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합 폐합성수지 등의 복합 성형재를 파쇄한 후 비중차 및/또는 풍력에 의하여 선별함으로써 양질의 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비중 선별장치는 폐합성수지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가지는 제1본체 프레임과; 제1본체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원 및, 상기 제1구동원과 상기 파쇄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구동원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파쇄부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를 구비한 파쇄유닛과; 상기 파쇄유닛에서 파쇄된 폐합성수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 제1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부와, 상기 복수의 이송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원과, 상기 제2구동원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복수의 이송부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구비한 이물질 분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파쇄부는, 파쇄 샤프트와; 상기 파쇄 샤프트 상에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판과, 상기 복수의 고정판 각각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쇄 블레이드를 구비한 파쇄 블레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부는, 제1파쇄 샤프트와, 상기 제1파쇄 샤프트 상에 결합 설치되는 제1파쇄 블레이드유닛을 구비한 제1파쇄부와; 제2파쇄 샤프트와, 상기 제2파쇄 샤프트 상에 결합 설치되는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을 구비한 제2파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파쇄 블레이드유닛의 파쇄 블레이드와 상기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의 파쇄 블레이드는 상호 간섭없이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파쇄 샤프트 각각의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하기의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Figure 112019134470340-pat00001
여기서, D는 상기 제1파쇄 샤프트의 중심과 상기 제2파쇄 샤프트의 중심 사이의 간격이고, R11은 상기 제1파쇄 샤프트의 반경이고, 상기 R21는 상기 제2파쇄 샤프트의 반경이고, R12는 상기 제1파쇄 샤프트의 중심에서 상기 제1파쇄 블레이드유닛의 파쇄 블레이드의 단부까지의 최대거리이고, R22는 상기 제2파쇄 샤프트의 중심에서 상기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의 파쇄 블레이드의 단부까지의 최대거리이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이송 샤프트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송 샤프트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두 종류의 스커트가 교번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제1이송 샤프트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두 종류의 스커트가 교번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제2이송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의 배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 샤프트와 상기 제2이송 샤프트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되, 서로 이웃하는 제1이송 샤프트의 스커트와 상기 제2이송 샤프트의 스커트는 상기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는 중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풍력 선별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에서 파쇄된 폐합성수지를 투입받는 투입구와, 풍력 선별 후 폐합성수지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제2본체 프레임과; 제2본체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풍력을 발생시키는 풍력발생부와; 상기 풍력발생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과 상기 풍력발생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풍력발생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풍력발생부를 감싸는 메쉬형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풍력발생부는, 제2본체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 샤프트와; 상기 풍력 샤프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홀더와; 상기 복수의 고정홀더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력에 의하여 풍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선별장치는, 투입되는 폐합성수지를 분쇄하고 비중차에 의하여 폐합성수지를 선별하는 것으로, 상기한 비중 선별장치와; 상기 비중 선별장치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선별된 폐합성수지를 바람에 의해 날리는 정도에 따라 이차적으로 선별하는 것으로, 상기한 풍력 선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비중 선별장치는 파쇄유닛을 통하여, 투입되는 폐합성수지를 전체적으로 잘게 부순 후,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이물질 분리유닛을 통하여 폐합성수지와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품질의 폐합성수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풍력 선별장치는 투입되는 파쇄된 폐합성수지에 대해 복수의 날개부의 회전과 메쉬형 드럼을 통하여 폐합성수지와 함께 이동하는 이물질을 분리함으로써 고품질의 폐합성수지를 획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선별장치는 상기한 비중 선별장치 및 풍력 선별장치를 모두 포함하여, 크게 2차에 걸쳐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폐합성수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선별장치의 처리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비중 선별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비중 선별장치의 파쇄부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파쇄부의 파쇄 블레이드를 보인 부분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비중 선별장치의 이송부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이송부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풍력 선별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풍력 선별장치의 풍력 선별유닛을 보인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풍력 선별유닛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선별장치의 처리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의 전(全)처리 공정을 살펴보면, 복합 필름류 등의 복합 폐합성수지를 분쇄 선별하는 것으로, 크게 비중차에 의하여 폐합성수지를 선별하는 비중 선별장치(100)와, 바람에 의해 날리는 정도에 따라 폐합성수지를 선별하는 풍력 선별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중 선별장치(100)에는 집게차(10) 등에 의하여 운반되는 폐합성수지가 투입된다. 또한 비중 선별장치(10)에 의해 선별된 폐합성수지는 컨베이어 장치(30) 등을 통하여 이송되며 풍력 선별장치(300)에 투입된다. 또한 미도시 되었지만, 사람에 의한 육안 선별하는 과정, 자력에 의한 자력 선별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비중 선별장치(100)와 풍력 선별장치(300)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선별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비중 선별장치는 투입되는 복합계 폐합성수지를 분쇄한 후, 비중차에 의하여 선별하는 비중 선별장치(100)이다. 이 비중 선별장치(100)는 제1본체 프레임(110), 파쇄유닛(130) 및 이물질 분리유닛(150)을 포함한다. 제1본체 프레임(110)은 복합계 폐합성수지가 투입되는 투입구(111)를 포함한다. 상기 파쇄유닛(130)은 상기 제1본체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투입구(111)를 통하여 투입되는 폐합성수지를 일차적으로 분쇄한다. 이를 위하여, 파쇄유닛(130)은 제1본체 프레임(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파쇄부(131)와, 상기 파쇄부(1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원(141)을 포함한다. 여기서, 파쇄유닛(130)는 제1구동원(141)과 파쇄부(131) 사이에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파쇄부(131)가 서로 이웃되게 마련된 제1 및 제2파쇄부(131a)(131b)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파쇄부(131a)(131b) 각각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1구동원(141)과 제1동력전달부(145) 각각이 2개씩 구비된 점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이물질 분리유닛(150)은 파쇄유닛(130)에서 파쇄된 후 낙하된 폐합성수지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반면, 이물질 분리유닛(150)은 폐합성수지에 비하여 비중이 무거운 이물질 즉, 폐합성수지에 달라붙어 있거나 폐합성수지와 함께 이송되는 이물질을 수직방향으로 낙하시킴으로써 이물질을 분리 제거한다. 이를 위하여 이물질 분리유닛(150)은 복수의 이송부(151)와, 이 이송부(15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원(161)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물질 분리유닛(150)은 제2구동원(161)과 일 이송부(151) 사이 및 복수의 이송부 중 이웃하는 이송부 사이에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이송부(151)는 배치 구조가 상이한 제1이송부(도 6의 151a)와 제2이송부(도 6의 151b)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비중 선별장치의 파쇄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파쇄부의 파쇄 블레이드를 보인 부분 분리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파쇄부(131)는 파쇄 샤프트(133)와, 파쇄 샤프트(133) 상에 결합 설치되는 파쇄 블레이드유닛(135)을 포함한다. 파쇄 블레이드유닛(135)은 복수의 고정부재(137)와,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137)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쇄 블레이드(139)를 구비한다. 여기서 각각의 고정부재(137)는 한 쌍의 고정판(138)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고정판(138) 사이에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139)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 고정판(138)은 상기 파쇄 샤프트(133)에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138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중공(138a)에는 파쇄 샤프트(133)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파쇄 샤프트(133)의 키(미도시)에 삽입되는 키홈(138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131)로서, 제1파쇄부(131a)와 제2파쇄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파쇄부(131a)는 제1파쇄 샤프트(133a)와, 상기 제1파쇄 샤프트(133a) 상에 결합 설치되는 제1파쇄 블레이드유닛(135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파쇄부(131b)는 제2파쇄 샤프트(133b)와, 상기 제2파쇄 샤프트(133b) 상에 결합 설치되는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135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135a)(135b) 각각은 제1 및 제2파쇄 샤프트(133a)(133b) 각각의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부재(137) 및 파쇄 블레이드(13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135a)(135b)의 배치 관계는 하기의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19134470340-pat00002
여기서, D는 제1파쇄 샤프트(133a)의 중심과 제2파쇄 샤프트(133b)의 중심 사이의 간격이다. 그리고, R11은 제1파쇄 샤프트(133a)의 반경이고, 상기 R21는 제2파쇄 샤프트(133b)의 반경이다. 또한 R12는 제1파쇄 샤프트(133a)의 중심에서 제1파쇄 블레이드유닛(135a)의 파쇄 블레이드의 단부까지의 최대 거리이고, R22는 제2파쇄 샤프트(133b)의 중심에서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135b)의 파쇄 블레이드의 단부까지의 최대 거리이다.
상기한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합성수지 비중 선별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1파쇄부(131a)와 제2파쇄부(131b)가 중첩되어 보인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쇄 블레이드유닛(135a)의 파쇄 블레이드와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135b)의 파쇄 블레이드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서로 교번하여 제1 및 제2파쇄 샤프트 각각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실질상 상호 간섭없이 회전 구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135a)(135b)을 배치함으로써, 투입되는 폐합성수지에 전체에 대해 잘게 파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쇄된 폐합성수지는 이물질 분리유닛(150)을 통과하면서 폐합성수지와 이물질 사이의 비중차에 의하여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에서 조건 범위가 하한값을 벗어나는 경우 제1파쇄 샤프트(133a))와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135b)이 부딪치거나, 제2파쇄 샤프트(133b)와 제1파쇄 블레이드유닛(135a)이 부딪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비중 선별장치의 이송부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이송부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송부(151)는 소정 간격 이격 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 샤프트(153)와, 복수의 이송 샤프트(153) 각각에 설치되는 스커트(155)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 이송 샤프트(153)에 대해 상기 스커트(155)는 복수개 구비되며, 각 스커트(155)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된다. 여기서, 스커트(15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스커트(155)의 외주면과 폐합성수지 사이의 충격력이 증가하므로,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51)는 이송 샤프트(153)에 대한 스커트(155)의 배치 형태에 따라 제1 및 제2이송부(151a)(151b)로 구분할 수 있다.
제1이송부(151a)는 제1이송 샤프트(153a)를 포함하고, 제2이송부(151b)는 제2이송 샤프트(15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153a)(153b)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두 종류의 스커트(155a)(155b)가 교번 즉, 교대로 반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153a)(153b)의 배치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 샤프트(153a)와 제2이송 샤프트(153b)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여기서, 서로 이웃하는 제1이송 샤프트(153a)의 스커트와 제2이송 샤프트(153b)의 스커트는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153a)(153b)의 반경방향으로는 일부분이 중첩된다. 반면, 서로 이웃하는 제1이송 샤프트(153a)의 스커트와 제2이송 샤프트(153b)의 스커트는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153a)(153b)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호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이송부(151)를 통하여 폐합성수지를 이송함에 있어서, 폐합성수지는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송 샤프트(153)를 통하여 이웃한 이송 샤프트(153) 상으로 이송되며, 후술하는 폐합성수지 풍력 선별장치 방향으로 이송한다. 또한 이송 과정에서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 및 폐합성수지와 함께 이송되는 이물질은 폐합성수지에 비하여 비중이 크다. 그러므로 이 비중이 큰 이물질은 복수의 스커트(155) 사이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비중 선별장치는 파쇄유닛(130)을 통하여, 투입되는 폐합성수지를 잘게 부순 후,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이물질 분리유닛(150)을 통하여 폐합성수지와 이물질을 분리함으로써, 고품질의 폐합성수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풍력 선별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풍력 선별장치(300)는 제2본체 프레임(310), 풍력발생부(330), 풍력발생부(3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원(351) 및 메쉬형 드럼(321)(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본체 프레임(310)은 전처리 공정에서 파쇄된 폐합성수지를 투입받는 투입구(311)과 풍력 선별 후 폐합성수지를 배출하는 배출구(3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생부(330)는 제2본체 프레임(3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풍력을 발생시킨다. 이 풍력발생부(3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구동원(351)과 풍력발생부(330) 사이에 마련되어 구동원(351)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풍력발생부(3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형 드럼은 풍력발생부(330)를 감싸도록 제2본체 프레임(3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메쉬형 드럼(321) 및 하부 메쉬형 드럼(3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메쉬형 드럼(321)과 하부 메쉬형 드럼(325) 각각은 속이 빈 반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외형 전체에 걸쳐 내외부를 관통하는 메쉬(mesh)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쇄된 폐합성수지가 메쉬형 드럼 내에서 상기 풍력발생부(330)의해 회전시, 메쉬형 드럼에 부딪히게 되고, 그 충격에 의해 잔류하는 이물질이 분리되어 메쉬형 드럼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합성수지 풍력 선별장치의 풍력 선별유닛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풍력 선별유닛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풍력발생부(330)는 제2본체 프레임(3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 샤프트(331)와, 풍력 샤프트(331)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홀더(335) 및 복수의 날개부(337)를 포함한다. 복수의 고정홀더(335) 각각은 풍력 샤프트(331) 상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날개부(337)가 회동 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복수의 날개부(337)는 상기 복수의 고정홀더(335)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복수의 날개부(337) 각각은 상기 풍력 샤프트(331)의 회전력에 의하여 원심력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서 풍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복수의 날개부(337)의 회전에 의하여, 메쉬형 드럼 내에 투입된 폐합성수지가 메쉬형 드럼 내에서 회전하면서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합성수지 풍력 선별장치는 투입되는 파쇄된 폐합성수지에 대해 복수의 날개부의 회전과 메쉬형 드럼을 통하여 폐합성수지와 함께 이동하는 이물질을 분리함으로써 고품질의 폐합성수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비중 선별장치
110: 제1본체 프레임
130: 파쇄유닛
131: 파쇄부 133: 파쇄 샤프트
135: 파쇄 블레이드유닛 137: 고정부재
138: 고정판 139: 파쇄 블레이드
141: 제1구동원 145: 제1동력전달부
150: 이물질 분리유닛
151: 이송부 153: 이송 샤프트
155: 스커트 161: 제2구동원
165: 제2동력전달부
300: 풍력 선별장치
310: 제2본체 프레임
321: 상부 메쉬형 드럼
325: 하부 메쉬형 드럼
330: 풍력발생부
331: 풍력 샤프트 335: 고정홀더
337: 날개부
351: 구동원
355: 동력전달부

Claims (8)

  1. 폐합성수지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가지는 제1본체 프레임과;
    제1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원 및, 상기 제1구동원과 상기 파쇄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구동원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파쇄부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를 구비한 파쇄유닛과;
    상기 제1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파쇄유닛에서 파쇄된 후 낙하된 폐합성수지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부와, 상기 복수의 이송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원과, 상기 제2구동원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복수의 이송부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구비하여, 파쇄된 폐합성수지에 달라붙어 있거나 폐합성수지와 함께 이송되는 이물질을 수직방향으로 낙하시킴으로써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이물질 분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1본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간격 소정 간격 D 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파쇄 샤프트(133a)(133b)와,
    상기 제1 및 제2파쇄 샤프트(133a)(133b) 상에 각각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부재(137)와;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137) 각각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139)를 구비한 제1 및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135a)(135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파쇄 샤프트(133a)(133b)는,
    상기 제1파쇄 샤프트(133a)의 중심과 상기 제2파쇄 샤프트(133b)의 중심 사이의 간격(D)이 상기 제1파쇄 샤프트(133a)의 중심에서 제1파쇄 블레이드유닛(135a)의 파쇄 블레이드의 단부까지의 최대 거리(R12)와 제2파쇄 샤프트(133b)의 중심에서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135b)의 파쇄 블레이드의 단부까지의 최대 거리(R22)의 합 보다 짧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파쇄 블레이드유닛(135a)의 파쇄 블레이드와 상기 제2파쇄 블레이드유닛(135b)의 파쇄 블레이드는,
    상호 간섭없이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파쇄 샤프트 각각의 축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137) 각각은,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파쇄 샤프트(133a)(133b)에 삽입 고정되는 중공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13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판(138) 사이에 상기 파쇄 블레이드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이송 샤프트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송 샤프트는,
    상기 복수의 스커트 중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두 종류의 스커트가 교번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제1이송 샤프트와; 상기 복수의 스커트 중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두 종류의 스커트가 교번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제2이송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의 배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 샤프트와 상기 제2이송 샤프트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되, 서로 이웃하는 제1이송 샤프트에 설치된 스커트와 상기 제2이송 샤프트에 설치된 스커트는 상기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는 중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이송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 비중 선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투입되는 폐합성수지를 분쇄하고 비중차에 의하여 폐합성수지를 선별하는 것으로, 제1항에 따른 비중 선별장치와;
    상기 비중 선별장치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선별된 폐합성수지를 바람에 의해 날리는 정도에 따라 이차적으로 선별하는 풍력 선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풍력 선별장치는,
    전처리 공정에서 파쇄된 폐합성수지를 투입받는 투입구와, 풍력 선별 후 폐합성수지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제2본체 프레임과;
    제2본체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풍력을 발생시키는 풍력발생부와;
    상기 풍력발생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과 상기 풍력발생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풍력발생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풍력발생부를 감싸는 메쉬형 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생부는,
    제2본체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력 샤프트와;
    상기 풍력 샤프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홀더와;
    상기 복수의 고정홀더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력에 의하여 풍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8. 삭제
KR1020190175796A 2019-12-26 2019-12-26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102212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796A KR102212044B1 (ko) 2019-12-26 2019-12-26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796A KR102212044B1 (ko) 2019-12-26 2019-12-26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044B1 true KR102212044B1 (ko) 2021-02-04

Family

ID=7455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796A KR102212044B1 (ko) 2019-12-26 2019-12-26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0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876B1 (ko) * 2011-10-31 2012-11-27 주식회사 쌍용에코텍 타격식 복합 선별기
KR101459345B1 (ko) 2013-07-25 2014-11-07 주식회사 한국폴리텍 비중 차를 이용한 폐플라스틱 습식 선별장치
KR20150146443A (ko) * 2014-06-19 2015-12-31 대보건설 주식회사 타격 파쇄 및 풍력건조에 의한 가연성 쓰레기 선별장치
KR20160036024A (ko) * 2016-03-16 2016-04-01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폐합성수지의 더블 절삭 파쇄 장치
KR20170033561A (ko) 2015-09-17 2017-03-27 이청산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20170035034A (ko) * 2015-09-22 2017-03-30 크린자원산업 (주)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폐기물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876B1 (ko) * 2011-10-31 2012-11-27 주식회사 쌍용에코텍 타격식 복합 선별기
KR101459345B1 (ko) 2013-07-25 2014-11-07 주식회사 한국폴리텍 비중 차를 이용한 폐플라스틱 습식 선별장치
KR20150146443A (ko) * 2014-06-19 2015-12-31 대보건설 주식회사 타격 파쇄 및 풍력건조에 의한 가연성 쓰레기 선별장치
KR20170033561A (ko) 2015-09-17 2017-03-27 이청산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20170035034A (ko) * 2015-09-22 2017-03-30 크린자원산업 (주)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160036024A (ko) * 2016-03-16 2016-04-01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폐합성수지의 더블 절삭 파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76516B (zh) 固体废弃物流中的湿物料和干物料的机械化分离
KR101213717B1 (ko) 폐그물 재생장치
KR100441917B1 (ko)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
KR1013731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 선별방법 및 선별장치
KR100718653B1 (ko) 비중차식 원심난류차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별파쇄장치
KR20150143098A (ko) 쓰레기용 함마형 파쇄 분리기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20150146443A (ko) 타격 파쇄 및 풍력건조에 의한 가연성 쓰레기 선별장치
PL184655B1 (pl) Sposób rozkładu odpadów zawierających przynajmniej częściowo składniki nadające się do ponownego wykorzystania
KR102017478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선별장치
KR20100138730A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Cook et al. Investigation into the non-biological outputs of mechanical–biological treatment facilities
CN107670806B (zh) 用于废旧墨盒的处理设备
KR102212044B1 (ko)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100974206B1 (ko)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Faitli et al. Developing the combined magnetic, electric and air flow (KLME) separator for RMSW processing
KR102260145B1 (ko)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102263675B1 (ko) 음식물류 폐기물 복합처리 시스템
JP3761832B2 (ja) 廃プラスチック選別システム
KR101614503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자동 선별 파쇄장치
RU2279934C1 (ru) Способ и линия комплекс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смешанных отходов
KR100462561B1 (ko) 트롬멜형 농업용 멀칭 폐비닐 전처리 장치
KR100366222B1 (ko) 쓰레기 선별효율 증진을 위한 칼날이 장착된 회전 드럼형 장치
KR101883989B1 (ko)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선별장치
KR101168206B1 (ko) 재생에너지원료의 생산설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