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561A -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561A
KR20170033561A KR1020150131433A KR20150131433A KR20170033561A KR 20170033561 A KR20170033561 A KR 20170033561A KR 1020150131433 A KR1020150131433 A KR 1020150131433A KR 20150131433 A KR20150131433 A KR 20150131433A KR 20170033561 A KR20170033561 A KR 20170033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ynthetic
synthetic resins
water
synthetic resin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산
Original Assignee
이청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청산 filed Critical 이청산
Priority to KR1020150131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3561A/ko
Publication of KR2017003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6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서로 뒤엉킨 폐합성수지(S1∼S10)들을 분쇄하고,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10); 상기 집진기(10)의 하류에 물을 수용되는 수용공간(21)을 설치하고, 수용공간(21) 상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하면서 폐합성수지들(S1∼S10)의 비중에 의해 각각 분류하는 분류수단(20); 상기 분류수단(20) 상에 각각 연통되게 설치하고, 각각 분류된 폐합성수지(S1∼S10)들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2, 3, 4배출구(31)(32)(33)(34)를 구비하는 배출수단(30); 및 상기 분류수단(20)과 배출수단(30)의 외주면에 장착하고, 폐합성수지(S1∼S10)들의 세척과 들러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온수를 공급하는 가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수개로 뒤엉킨 폐합성수지들을 자동화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적용되어 선별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작은 크기의 폐합성수지들이 물에 수용된 상태에서 물의 비중(比重)으로 분류하여 선별됨에 따라 정확성이 크게 향상되며,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Waste plastic sorting device using a specific gravity of water}
본 발명은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개로 뒤엉킨 폐합성수지들을 자동화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적용되어 선별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작은 크기의 폐합성수지들이 물에 수용된 상태에서 물의 비중(比重)으로 분류하여 선별됨에 따라 정확성이 크게 향상되며,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마저 도모할 수 있는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재활용재로 사용되는 폐합성수지(廢合成樹脂)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PET, PE, PP, PS, ABS, PVC 등이 있다. 최근에 이러한 폐합성수지는 대부분이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많은 양의 폐합성수지가 뒤엉킨 상태로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각각의 종류에 따라 선별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그 선별이 쉽지 않아 여러 종류의 선별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선별장치는 대부분이 수작업이나 자동화 장치방향으로 개발하고 있긴 하지만, 그 선별방법 및 선별로 인한 효율성이 낮아 보다 뛰어난 선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74809호에 따르면, ‘분쇄하여 입자상으로 형성한 복수종의 플라스틱편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플라스틱편(1)을, 마찰대전장치(3)에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플라스틱편(1)의 종류에 따른 극성 및 대전량으로 마찰대전시킨 후, 각 플라스틱편(1)을 정전분리부(G)에서 극성 및 대전량에 따라서 분리용 용기에 각각 회수하도록 하여 특정 플라스틱편(1)을 꺼내도록 한 플라스틱 선별방법으로서, 회수하고자 하는 특정 플라스틱편(1)의 중량이 플라스틱편(1)의 전체중량의 10%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 혼합한 플라스틱편(1)끼리를 마찰대전장치(3)에서 교반할 때에, 그 특정 플라스틱편(1), 그것과 동종의 플라스틱편, 혼합한 플라스틱편의 대전서열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플라스틱편 및 소정의 대전서열에서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측에 위치하는 플라스틱편 중 어느 하나를 마찰대전 보조재(21)로서 소정량만큼 첨가하고, 이 첨가한 마찰대전 보조재(21)를 마찰대전장치(3)에 잔류시킴으로써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선별방법.’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플라스틱 선별방법의 경우 마찰을 이용하여 선별함에 따라 마찰 발생이 없는 수지재의 경우 선별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 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48430호에 따르면, ‘폐기플라스틱을 폐기플라스틱의 긴 쪽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시키는 제1 정렬수단; 해당 제1 정렬수단에 폐기플라스틱을 투입하는 투입수단; 해당 제1 정렬수단에 의해 정렬시킨 폐기플라스틱 중 일렬로 정렬되지 않은 폐기플라스틱을 선별 배제하는 제2 정렬수단; 해당 제2 정렬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검지하는 검지수단; 해당 제2 정렬수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폐기플라스틱을 분류하는 분류수단; 해당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분류수단의 분류작업을 제어하는 분류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선별장치는 정렬된 상태로 작업자가 직접 선별을 해야 함에 따라 불편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74809호 “플라스틱 선별방법”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48430호 “폐기플라스틱의 선별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로 뒤엉킨 폐합성수지들을 자동화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적용되어 선별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작은 크기의 폐합성수지들이 물에 수용된 상태에서 물의 비중(比重)으로 분류하여 선별됨에 따라 정확성이 크게 향상되며,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마저 도모할 수 있는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물의 비중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서로 뒤엉킨 폐합성수지들을 분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 상기 집진기의 하류에 물을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설치하고, 수용 공간상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하면서 폐합성수지들의 비중(比重)에 의해 각각을 분류하는 분류수단; 상기 분류수단 상에 각각 대응하면서 연통되게 설치하고, 분류된 폐합성수지들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2, 3, 4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수단; 상기 분류수단과 배출수단의 외주면에 장착하고, 폐합성수지들의 세척 및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온수를 공급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류수단은 폐합성수지들을 하류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이송스크류 상에 배출수단과 인접하여 폐합성수지들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분리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류수단은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증발 또는 배출로 인해 부족한 보충수를 공급하고 수위를 설정하는 보충수주입구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류수단과 배출수단은 물의 비중에 의해 폐합성수지들을 각각 분류하는 동시에 제1, 2, 3, 4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컨베이어로 각각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로 뒤엉킨 폐합성수지들을 자동화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적용되어 선별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작은 크기의 폐합성수지들이 물에 수용된 상태에서 물의 비중(比重)으로 분류하여 선별됨에 따라 정확성이 크게 향상되며,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에 따른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의 주요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에 따른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의 주요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물의 비중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집진기(10), 분류수단(20), 배출수단(30), 가열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10)는 서로 뒤엉킨 폐합성수지(S1∼S10)들을 분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한다. 폐합성수지(S1∼S10)들은 각종 오니와 오물, 먼지 등의 이물질과 함께 섞인 상태로 보관되어 있어 폐합성수지(S1∼S10)들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함께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해야만 한다. 이러한 폐합성수지(S1∼S10)들로부터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폐합성수지(S1∼S10)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부피를 줄여주게 된다. 그리고 분쇄된 폐합성수지(S1∼S10)들을 집진기(10)에 형성된 투입부(10a)에 유입시키게 되면, 폐합성수지(S1∼S10)들에게 포함되어 있는 대체적으로 가벼운 고체 상태의 이물질은 집진기(1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하게 되고, 폐합성수지(S1∼S10)들의 외주면에 묻은 액체 상태의 이물질은 후술하여 설명할 가열수단(40)에 의해 제거되는바, 이는 후술토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이물질이 제거된 폐합성수지(S1∼S10)들은 후술할 분류수단(20)으로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폐합성수지(S1∼S10)들은 PP(S1), PE(S2), PS(S3), ABS(S4), PVC(S5), PET(S6), PA(S7), PU(S8), PC(S9), 고무(S10) 등으로 지정하여 구비되지만, 그 이외의 폐합성수지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분류수단(20)은 상기 집진기(10)의 하류에 물을 수용되는 수용공간(21)을 설치하고, 수용공간(21) 상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하면서 폐합성수지(S1∼S10)들의 비중(比重)에 의해 각각 분류한다. 분류수단(20)은 전술한 집진기(10)에서 하부로 폐합성수지(S1∼S10)가 배출하게 되면, 수용공간(21)으로 수용되는 바, 상기 수용공간(21)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비스듬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게 된다. 물은 한계수위를 지정하여 후술하는 배출수단(30)에 의해 각각의 폐합성수지(S1∼S10)들이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분류수단(20)의 수용공간(21)은 도면상에 비스듬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면의 표현기법일 뿐, 수용공간(21)을 수직 방향으로 형성한 다음 배출수단(30)으로 연통되어 폐합성수지(S1∼S10)들이 유입되는 부분의 각도를 조절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단(30)은 상기 분류수단(20)에 각각 연통되게 설치하고, 각각 분류된 폐합성수지(S1∼S10)들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2, 3, 4배출구(31)(32)(33)(34)를 구비한다. 배출수단(30)은 상기 분류수단(20)으로부터 각각 분류된 폐합성수지(S1∼S10)들을 각각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이는 상기 분류수단(20)과 함께 후술토록 한다.
이때, 상기 분류수단(20)은 폐합성수지들을 하류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22)와, 이송스크류(22) 상에 배출수단(30)과 인접하여 폐합성수지(S1∼S10)들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분리날개(2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류수단(20)은 각각의 폐합성수지(S1∼S10) 들을 분류하여 선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서, 비스듬한 형태의 수용공간(21)에 대응되게끔 이송스크류(22)가 양끝단의 구동축(22a)(22b) 및 모터(미도시) 등의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이렇게 회전되는 이송스크류(22)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폐합성수지(S1∼S10)들이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폐합성수지(S1∼S10)들은 이송스크류(22) 상에 상기 이송스크류(22)와 함께 회전하는 분리날개(23)를 구비하는 바, 이러한 분리날개(23)는 제1, 2, 3배출구(31)(32)(33)와 근접된 위치에서 서로 뒤엉켜 있는 폐합성수지(S1∼S10)들을 흩날려 물에 대한 비중(比重)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흩날린 폐합성수지(S1∼S10)들 가운데에서 PP(S1)와 PE(S2)는 배출수단(30)의 제1배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제1배출구(31)는 상부에 형성됨으로 인해 PP(S1)와 PE(S2)는 물의 표면에 부상하게 되고, 부상된 PP(S1)와 PE(S2)는 유도날개(31a)를 통해 배출 방향으로 유동(流動)시켜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제1배출구(31)의 하부에 형성된 제2배출구(32)는 PP(S1)와 PE(S2)가 배출되고 남은 폐합성수지(S3∼S10)들을 재차 이송스크류(22)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송하게 되고, 제2배출구(32)에 근접 형성된 분리날개(23)에 의해 서로 뒤엉켜 있는 폐합성수지(S3∼S10)들을 재차 흩날림으로써 PS(S3)은 비중(比重)에 의해 제2배출구(32)의 방향으로 부상하게 되며, 나머지 폐합성수지(S4∼S10)는 또 다시 이송스크류(22)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여기서 폐합성수지재 중의 하나인 PS(S3)를 제2배출구(32)로 이송하는 이유는, 제2배출구(32)의 유입부분이 제1배출구(31)의 유입부분 보다 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비중(比重)이 커지게 됨으로써 제1배출구(31)의 유입부분에서 부상하지 않던 PS(S3)는 제2배출구(32)의 유입부분에 근접되어서야 부상(浮上)하게 되어 제2배출구(32)의 방향으로 유동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PS(S3)는 제2배출구(32)의 유입부분으로 이송스크류(22)로 이송될 시에도 부상(浮上)이 가능한 상태이지만, 상기 이송스크류(22)가 PS(S3)를 억지 이송함에 따라 부상은 제한되어 있고, 제2배출구(32)에 근접 형성된 분리날개(23)에 의해 흩날려버리기 때문에 비중(比重)이 발생하여 제2배출구(32)의 유입부분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 2배출구(31)(32)로 배출된 폐합성수지(S1∼S3)를 제외한 폐합성수지(S4∼S10)는 재차 이송스크류(22)를 통해 하부방향으로 이송하게 되고, 폐합성수지(S4∼S10)는 제3배출구(33)에 근접 형성된 분리날개(23)에 의해 흩날려짐으로써 ABS수지(S4)는 제3배출구(33)로 이송하여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남은 폐합성수지(S5∼S10)는 제4배출구(34)로 이송하여 배출하게 됨으로써 선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4배출구(34)에서 배출되는 PVC(S5), PET(S6), PA(S7), PU(S8), PC(S9), 고무(S10) 등은 도면상에서 함께 배출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상술한 PVC(S5), PET(S6), PA(S7), PU(S8), PC(S9), 고무(S10) 등도 물에 대한 비중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술하였던 원리를 이용하여 선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분류수단(20)은 수용공간(2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증발 또는 배출로 인해 부족한 보충수를 공급하여 수위를 설정하는 보충수주입구(2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류수단(20)은 수용공간(21)의 상부에 연통되어 수용공간(21)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보충수주입구(24)를 구비하는 바, 수용공간(21)의 물은 폐합성수지(S1∼S10)들을 비중에 의해 선별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의 수위가 달라지면 비중이 발생하는 위치도 함께 달라짐에 따라 물의 수위를 설정된 한계수위 내로 조절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폐합성수지(S1∼S10)들은 배출 시 물도 함께 배출됨은 물론이고, 후술하는 가열수단(40)에 의해 물을 가열함으로써 증발에 의해 소모되는 물도 보충하여 조절토록 한다.
또, 상기 분류수단(20)과 배출수단(30)은 물의 비중에 의해 폐합성수지(S1∼S10)들을 각각 분류하는 동시에 제1, 2, 3, 4배출구(31)(32)(33)(34)를 통하여 배출컨베이어(31a)(32a)(33a)(34a)로 각각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컨베이어(31a)(32a)(33a)(34a)는 각각의 제1, 2, 3, 4배출구(31)(32)(33)(34)에 배치되어 폐합성수지(S1∼S10)들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배출컨베이어(31a)(32a)(33a)(34a)는 폐합성수지(S1∼S10)들의 재질 및 특성에 따라 밸트형 컨베이어, 스크류형 컨베이어 및 두레형 컨베이어 등으로 형성이 가능한 바, 밸트형 컨베이어는 파손이 잘되거나 무게가 가벼운 폐합성수지에 적합하고, 어느 정도 강도가 있는 폐합성수지의 경우에는 스크류형 컨베이어가 적합하며, 두레형 컨베이어는 무게가 무거운 측에 속하는 폐합성수지를 수용하여 퍼 올려 이송하는 것이 적합하다. 하지만, 이러한 배출컨베이어(31a)(32a)(33a)(34a)의 구성은 폐합성수지의 종류와 상황에 맞게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40)은 상기 분류수단(20)과 배출수단(30)의 외주면에 장착하고, 폐합성수지(S1∼S10)들의 세척과 이리저리 들러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온수를 공급한다. 가열수단(40)은 분류수단(20)과 배출수단(30)의 외부에 부착되어 수용공간(21)과 배출수단(3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가열수단(40)은 밴드히터 또는 평판히터로 형성되어 분류수단(20)과 배출수단(30)의 외부에 장착되는 바, 온수는 폐합성수지(S1∼S10)를 세척하여 표백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본드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온수로부터 세척된 폐합성수지(S1∼S10)는 상술한 배출수단(30)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서로 뒤엉킨 상태의 폐합성수지(S1∼S10)를 분쇄한 상태에서 집진기(10)에 유입시키면 각종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서 물이 수용되어 있는 분류수단(20)의 수용공간(21)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폐합성수지(S1∼S10)는 물에 수용된 상태로 각각의 물 비중(比重)에 비례하여 각각의 배출수단(30)으로 배출함으로써 효율적인 선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로 뒤엉킨 폐합성수지들을 자동화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적용되어 선별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작은 크기의 폐합성수지들이 물에 수용된 상태에서 물의 비중(比重)으로 분류하여 선별됨에 따라 정확성이 크게 향상되며,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집진기 20: 분류수단
21: 수용공간 22: 이송스크류
23: 분리날개 24: 보충수주입구
30: 배출수단 31, 32, 33, 34: 제1, 2, 3, 4배출구
31a, 32a, 33a, 34a: 배출컨베이어 40: 가열수단
S1∼S10: 폐합성수지 S1: PP
S2: PE S3: PS
S4: ABS S5: PET
S7: PA S8: PU
S10: 고무

Claims (4)

  1. 폐합성수지를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서로 뒤엉킨 폐합성수지(S1∼S10)들을 분쇄하고,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10);
    상기 집진기(10)의 하류에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1)을 설치하고, 수용공간(21) 상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하면서 폐합성수지들(S1∼S10)의 비중(比重)에 의해 각각 분류하는 분류수단(20);
    상기 분류수단(20) 상에 각각 연통되게 설치하고, 각각 분류된 폐합성수지(S1∼S10)들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2, 3, 4배출구(31)(32)(33)(34)를 구비하는 배출수단(30); 및
    상기 분류수단(20)과 배출수단(30)의 외주면에 장착하고, 폐합성수지(S1∼S10)들의 세척과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온수를 공급하는 가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수단(20)은 폐합성수지들을 하류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22)와, 이송스크류(22) 상에 배출수단(30)과 인접하여 폐합성수지(S1∼S10)들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분리날개(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수단(20)은 수용공간(2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증발 또는 배출로 인해 부족한 보충수를 공급하여 수위를 설정하는 보충수주입구(2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수단(20)과 배출수단(30)은 물의 비중에 의해 폐합성수지(S1∼S10)들을 각각 분류하는 동시에 제1, 2, 3, 4배출구(31)(32)(33)(34)를 통하여 배출컨베이어(31a)(32a)(33a)(34a)로 각각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1020150131433A 2015-09-17 2015-09-17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20170033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33A KR20170033561A (ko) 2015-09-17 2015-09-17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33A KR20170033561A (ko) 2015-09-17 2015-09-17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61A true KR20170033561A (ko) 2017-03-27

Family

ID=5849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33A KR20170033561A (ko) 2015-09-17 2015-09-17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35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052B1 (ko) 2020-03-04 2020-10-28 김기정 폐합성수지 분리장치
KR102171040B1 (ko) 2020-03-04 2020-10-29 김기정 폐합성수지 박피 제거 및 선별 시스템
KR102212044B1 (ko) 2019-12-26 2021-02-04 주식회사 대한실업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102260145B1 (ko) 2020-03-16 2021-06-03 주식회사 대한실업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044B1 (ko) 2019-12-26 2021-02-04 주식회사 대한실업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102171052B1 (ko) 2020-03-04 2020-10-28 김기정 폐합성수지 분리장치
KR102171040B1 (ko) 2020-03-04 2020-10-29 김기정 폐합성수지 박피 제거 및 선별 시스템
KR102260145B1 (ko) 2020-03-16 2021-06-03 주식회사 대한실업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3561A (ko) 물의 비중을 이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장치
KR101684633B1 (ko) 폐배터리 해체용 수력분리기 및 폐배터리 해체 시스템
KR101067584B1 (ko) 폐플라스틱 재생시스템 및 여기에 적용되는 물의 재활용 방법
CN102574304A (zh) 废旧塑料的分选分离方法和分选分离设备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CN203991334U (zh) 一种废旧物品分拣装置
KR20120003733A (ko) 폐유리 재활용 시스템
EP0469903A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mixture of plastic material into fractions
KR100890617B1 (ko) 폐코팅종이 처리장치
KR100792027B1 (ko) 풍력비중선별장치
CN210791664U (zh) 一种塑料静电分选机
KR102235794B1 (ko) 재활용 분쇄물 회수 장치
CN104941790A (zh) 三元垃圾淘洗分选机
JP4834241B2 (ja) 廃プラスチック処理装置
JP3549405B2 (ja) プラスチック選別装置およびプラスチック選別方法
KR20190112383A (ko) Pvc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자원화하는 재활용시스템 및 재활용방법
KR100939805B1 (ko) 폐기물 분리 방법
JP4579466B2 (ja) 樹脂リサイクルシステム
KR101796108B1 (ko) 폐플라스틱 비중 분리장치
JP5713798B2 (ja) 摩擦帯電装置および静電選別装置
CN108855645A (zh) 一种末煤粗煤泥分级分选机组
CN104889145A (zh) 废旧铅蓄电池再处理生产线
JP6873434B2 (ja) 循環水流を用いた廃プラスチック選別装置
JP5800538B2 (ja) 比重選別装置
CN209999534U (zh) 塑胶废料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87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205

Effective date: 201809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