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540B1 - 폐어망 재활용 설비 - Google Patents

폐어망 재활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540B1
KR101565540B1 KR1020150099638A KR20150099638A KR101565540B1 KR 101565540 B1 KR101565540 B1 KR 101565540B1 KR 1020150099638 A KR1020150099638 A KR 1020150099638A KR 20150099638 A KR20150099638 A KR 20150099638A KR 101565540 B1 KR101565540 B1 KR 101565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unit
cutter
pieces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철
Original Assignee
김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철 filed Critical 김정철
Priority to KR102015009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Kn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어망 재활용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어망을 수거하여 재생 합성수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폐어망 재활용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폐어망 재활용 설비는, 수거된 폐어망을 일정 크기 이하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로부터 공급된 폐어망 조각들에서 염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세척부와, 상기 제 1 세척부에서 1차 세척이 완료된 폐어망 조각들로부터 염분 및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하기 위한 제 2 세척부 및 상기 제 2 세척부에서 2차 세척이 완료된 폐어망 조각들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척부 및 제 2 세척부는 폐어망 조각들을 세척한 물이 담기는 저류조와 각각 연계되되, 상기 제 1 세척부에는 상기 저류조의 물이 재활용되도록 순환식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어망 재활용 설비{FACILITY FOR RECYCLING WASTED FISH NET}
본 발명은 폐어망 재활용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어망을 수거하여 재생 합성수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폐어망 재활용 설비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과 더불어 해양에는 공장 및 도시 등에서 유입되는 각종 쓰레기와 하천을 따라 유입되는 각종 생활쓰레기 등으로 인해 심각한 해양오염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특히, 연안 양식어장이 증가하면서 어망 및 그물 등의 어구와 같은 해양 폐어망 역시 해양오염을 가중시키는 주요인이 되어 이들을 수거 및 처리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과 연구가 소비되고 있다.
즉, 주로 PE(폴리에틸렌) 및 PP(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폐어망은 해양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과거에는 이들 폐어망을 수거하여 소각 또는 매립처리하였으나 소각 시 다이옥신 등과 같은 심각한 대기오염 물질이 다량 발생한다.
폐어망을 땅에 매립하는 경우, 수십년간 썩지 않아 식물 생장에 방해가 되는 등 이러한 처리과정에서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회수하여 재생자원으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폐어망은 일반 폐기물과 달리 바닷물에 의해 다량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염분으로 인한 폴리머(Polymer) 산화작용 등으로 성형가공성이 저해되고, 압출성형 후에는 제조된 제품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염분제거를 위한 탈염작업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폐어망의 구성 성분 중 소각 시 대기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구성 성분의 물질만을 분리하여 이것만 연소 용융시켜 연소용융과정에서 폐열을 회수하거나 융융슬래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폐어망을 연소용융실에서 용용시켜 용융슬래그를 재활용 고형물로 재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폐어망을 연소용융실에 투입하여 버너로 고온에서 용융시켜 재활용이 가능한 용융슬래그를 얻을 수 있으나, 고온 용융 시 많은 열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를 건조 및 소각하고 건조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응축시켜 응축수를 회수하여 깨끗한 수증기를 생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비등점(끓는점)이 물보다 높은 연료유를 슬러지와 혼합하여 슬러지의 열전달이 신속하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소각하고, 이를 통해 발생된 수증기는 응축기에서 응축수로 회수되며, 증기발생기에서는 깨끗한 수증기를 회수할 수 있다.
그러나, 폐어망은 함수율이 매우 높아 재활용 과정 등에서 건조,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재활용하는데 경제성과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즉, 함수율이 높으며 염분을 포함하고 있는 폐어망을 재활용함에 있어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작업을 보다 경제적이고 생산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624197호가 제시되었다.
상술한 종래특허에 의한 폐어망 재활용 장치에서는 드라이 클리너를 통해 폐어망에 묻은 불순물이 제거되며, 원심분리기 안으로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폐어망의 온도를 낮추어 소재변형을 예방하거나 나일론 가루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특허의 드라이 클리너는 폐어망을 충분히 타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단이 부족하기 때문에 불순물의 분리 및 선별작업이 원활하지 못하며, 원심분리기에서 사용되고 남은 물이 그대로 배출되므로 수자원 이용이 비경제적이며, 이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어망을 수거하여 재생 합성수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폐어망 재활용 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폐어망 재활용 설비는, 수거된 폐어망을 일정 크기 이하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로부터 공급된 폐어망 조각들에서 염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세척부와, 상기 제 1 세척부에서 1차 세척이 완료된 폐어망 조각들로부터 염분 및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하기 위한 제 2 세척부 및 상기 제 2 세척부에서 2차 세척이 완료된 폐어망 조각들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척부 및 제 2 세척부는 폐어망 조각들을 세척한 물이 담기는 저류조와 각각 연계되되, 상기 제 1 세척부에는 상기 저류조의 물이 재활용되도록 순환식으로 공급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공급되는 폐어망을 일정 크기 이하로 예비 절단하기 위한 커터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1 차 절단작업을 위한 제 1 절단수단 및 2 차 절단작업을 위한 제 2 절단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단수단은, 내부에 배출구를 갖는 것으로서,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의 일부가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차단판이 수용되며 내부에 폐어망 조각들이 투입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호퍼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가압판의 일단에 마련되며 상기 호퍼에 투입된 폐어망 조각들을 절단하기 위한 제 1 커터와, 상기 제 1 커터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선단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 2 커터 및 상기 가압판 및 차단판에 이송력을 전달하기 위한 이송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단수단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폐어망 조각들을 절단하도록 다수개의 절단날을 갖는 제 1 커터부와, 상기 제 1 커터부와 일직선상에 순차 배치되며, 상기 제 1 커터부의 절단날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다수개의 절단날을 갖는 제 2 커터부 및 상기 제 1 커터부 및 제 2 커터부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터부 및 제 2 커터부는 서로 동시에 구동되거나 개별적인 시간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척부 및 제 2 세척부 중 어느 하나는, 내부에 세척 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물 공급관 및 물 배출관과 연결되며 내부에 폐어망 조각들이 투입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호퍼 및 외부에 세척된 폐어망 조각들이 배출되도록 후단에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세척탱크와, 상기 세척탱크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축의 회전력을 매개로 폐어망 조각들을 타격하기 위한 다수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에 배치되어 폐어망 조각들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더 및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폐어망 조각들과 불순물을 선별하도록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메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가 이웃하는 다른 블레이드와 서로 엇갈리게 마련되되,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블레이드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는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보강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보강수단이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보강수단과 이격되게 대면하는 만곡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일방으로 비틀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내부에 건조 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내부에 폐어망 조각들이 투입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호퍼 및 건조된 폐어망 조각들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단에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건조탱크와, 상기 건조탱크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축의 회전력을 매개로 폐어망 조각들을 타격하기 위한 다수개의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재활용 설비를 이루는 각 부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수거된 대용량의 폐어망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 예방 및 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산업경제의 활성화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
즉, 절단부가 유압식의 제 1절단수단 및 햄머식의 제 2절단수단으로 마련됨으로써, 대용량의 폐어망이 일정 크기 이하로 절단되기 때문에 절단부 이후의 공정에서 폐어망의 세척 및 선별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저류조와 각각 연계된 제 1 세척부 및 제 2 세척부가 복수의 처리 공정을 거쳐 폐어망의 조각들을 세척함으로써, 폐어망의 조각들에 포함된 염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재활용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의 제 1 절단수단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의 제 1 절단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의 제 2 절단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세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세척부의 내부 구성요소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세척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재활용 설비를 통해 선별된 폐어망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재활용 설비를 통해 선별된 폐어망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재활용 설비를 통해 최적화된 폐어망의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폐어망 재활용 설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어망 재활용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폐어망 재활용 설비(이하 재활용 설비)는 절단부(100), 제 1 세척부(200), 제 2 세척부(300), 건조부(400) 및 압축부(500)를 포함하며, 상술한 각 부의 순서를 통해 처리 공정이 진행된다.
절단부(100)는 수거된 폐어망을 일정 크기 이하로 절단하도록 1 차 절단작업을 위한 제 1 절단수단(130) 및 2 차 절단작업을 위한 제 2 절단수단(1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절단부(100)를 통한 작업을 진행하기 이전에는, 절단부(100)에 공급되는 폐어망을 일정 크기 이하로 예비 절단하기 위한 커터수단(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즉, 커터수단이 절단부(100)를 통한 절단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적용됨으로써, 수거된 대용량의 폐어망이 일정 크기 이하로 절단되어 다음에 진행될 절단부(100)에 의한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세척부(200)는 절단부(100)로부터 공급된 폐어망 조각들에서 염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1차 제거하며, 제 1 세척부(2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 2 세척부(300)는 제 1 세척부(200)에 의하여 1차 세척된 폐어망 조각들로부터 염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2차 제거한다.
이러한 제 1 세척부(200) 및 제 2 세척부(300)는 폐어망 조각들을 세척하는 물이 담기는 저류조(600)와 각각 연결되며, 제 1 세척부(200) 및 제 2 세척부(300)에서 세척이 완료된 물은 저류조(600)로 보내진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저류조(600)는 이물질을 침전시킬 수 있는 다단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물질이 침전된 상등액은 제 1 세척부(200)로 순환되어 공급된다.
즉, 제 1 세척부(200)에는 저류조(600)를 통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물이 재활용되도록 순환식으로 공급되며, 이로 인해,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 세척부(200)을 통하여 1차 세척이 완료된 폐어망 조각들은 제 2 세척부(300)로 공급되어 2차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제 2 세척부(300)에는 깨끗한 물이 공급되어 염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세척이 완료된 폐어망 조각들은 건조부(400)로 공급되며, 이러한 건조부(400)를 통해 제 2 세척부(300)로부터 공급된 폐어망 조각들을 건조시키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설비의 각 부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폐어망 처리 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폐어망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연속 배치구조를 통해 구현가능하다.
또한, 각 부에서 처리된 폐어망 조각들은 컨베이어(미도시)를 매개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컨베이어는 호퍼수단이 마련된 일부 공정과 연계되기 위해, 그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재활용 설비를 구성하는 각 부를 폐어망의 통과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단, 각 부의 동작관계를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시하며, 편의상 주변 요소의 구체적인 도시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의 제 1 절단수단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의 제 2 절단수단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제 1 절단수단(130)은 절단부(100)의 1차 절단작업을 위해 유압식으로 구동되는 것으로써, 상단에는 호퍼(132)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배출구(133)를 갖는 본체(131)와, 이러한 본체(1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송력을 전달하는 이송 엑츄에이터(139)를 포함한다.
이때, 이송 엑츄에이터(139)는 본체(131)의 외부에 마련된 동력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 로드(138)를 매개로 본체의 내부에 이송력을 전달한다.
즉, 본체(131)의 내부에는 이송 엑츄에이터(139)의 이송 로드(138)를 매개로 직선 운동하는 가압판(136) 및 이러한 가압판(136)의 일부가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차단판(137)이 마련되되, 가압판(136)의 일단에는 횡방향으로 단일 형성된 제 1 커터(134)가 구비된다.
또한, 배출구(133)의 선단에는 제 1 커터(134)와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종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 2 커터(135)가 구비된다.
이때, 제 2 커터(135)는 제 1 커터(134)가 전진 이송된 최종 위치와 이격 거리를 갖도록 배치되어 가압판(136)의 직선 운동에 의해 발생가능한 제 1 커터(134) 및 제 2 커터(135)의 상호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가압판(136) 및 차단판(137)은 이송 엑츄에이터(139)와 연결된 이송 로드(138)의 이송력으로 전진 및 후진 운동하며, 직선 운동하는 차단판(137)에 의해 호퍼(132)와 본체(131)는 상호 왕래가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 1 절단수단(130)에 의하여 호퍼(132)로 공급된 폐어망은 일정 크기 이하로 절단된다.
상술한 절단부(100)의 제 1 절단수단(130)에서는 그 본체(131)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직선 운동을 구현하고자 이송 엑츄에이터(139)를 마련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가압판(136) 및 차단판(137)이 동시에 전진 및 후진되도록 이송력을 전달하는 구조, 예컨대, 압축 실린더 및 볼스크류 등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제 2 절단수단(150)은 절단부(100)의 2차 절단작업을 위해 햄머식으로 구동되는 것으로써,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된 채 그 내부를 컨베이어(미도시)가 일직선상으로 관통하는 하우징(151)과, 이러한 하우징(15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 1 커터부(153) 및 제 2 커터부(155)를 포함한다.
제 1 커터부(153) 및 제 2 커터부(155)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일직선상에 순차 배치되며, 서로 동시에 구동되거나 개별적인 시간차에 의해 구동가능하다.
즉, 제 1 커터부(153)는 절단부(100)의 제 1 절단수단(130)을 통해 일정 크기 이하로 절단된 폐어망 조각들을 1차 처리하는 수단으로써, 엑츄에이터(150a)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이 로드(153a)에 전달되어 상하 운동을 진행하며, 이러한 로드(153a)의 상하 운동을 매개로 제 1 커터부(153)의 선단에 마련된 다수개의 절단날(153b)이 폐어망 조각들을 횡방향으로 절단한다.
제 2 커터부(155)는 절단부(100)의 제 1 절단수단(130)을 통해 일정 크기 이하로 절단된 폐어망 조각들을 선행된 제 1 커터부(153) 이후에 2차 처리하는 수단으로써, 엑츄에이터(150b)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이 로드(155a)에 전달되어 상하 운동을 진행하며, 이러한 로드(155a)의 상하 운동을 매개로 제 2 커터부(155)의 선단에 마련된 다수개의 절단날(155b)이 폐어망 조각들을 종방향으로 절단한다.
상술한 도 4에서는 제 1 커터부(153) 및 제 2 커터부(155)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채, 제 1 커터부(153)의 절단날(153b)이 횡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고, 제 2 커터부(155)의 절단날(155b)이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컨베이어상의 폐어망 조각들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구조를 예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 커터부(153) 및 제 2 커터부(155)의 배치 관계에 있어서, 상술한 배치 순서로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예시한 구조가 복합적으로 마련된 배치 구조, 예컨대, 제 1 커터부(153)와 제 2 커터부(155)가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세척부, 제 2 세척부 및 건조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세척부, 제 2 세척부 및 건조부는 주요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1 세척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 건조부는 제 1 세척부 및 제 2 세척부와 주요 구성요소가 동일하되, 물 공급관이 생략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세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제 1 세척부(200)는 세척탱크(210), 블레이드(220), 가이더(230) 및 메쉬필터(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세척탱크(210)는 내부에 세척 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물 공급관(200a) 및 물 배출관(200b)과 연결되며 내부에 폐어망 조각들이 투입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호퍼(210a)와, 세척된 폐어망 조각들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단에 마련되는 배출구(210c)를 포함한다.
이때, 물 공급관(200a)을 통해 저류조(600)의 물이 세척탱크(210)의 내부로 공급되며, 이러한 물은 세척탱크(21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자유낙하 또는 분사되면서 블레이드(220)의 회전력에 의해 타격되는 폐어망 조각들에 분사된다.
공급된 물은 폐어망 조각들로부터 염분과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하방으로 분리 및 선별시키며, 각종 불순물과 함께 유동되어 물 배출관(200b)을 통해 다시 저류조(600)로 공급된다.
이러한 세척탱크(210)는 상부의 원형 형상의 공간과 하부의 박스 형상의 공간이 일체식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세척 공간을 갖는 구조체로써, 상부의 원형 형상의 공간으로는 회전축(210b)이 관통하여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블레이드(220)는 세척탱크(210)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축(210b)의 회전력을 매개로 폐어망 조각들을 타격하기 위해 회전축(210b)의 외주면에 다수개로 마련된다.
이러한 블레이드(220)는 이웃하는 다른 블레이드(220)와 서로 엇갈리게 마련되며, 또한,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에 각각 위치하는 블레이드(220)는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홀수번째의 블레이드(220)에서 타격된 폐어망 조각들이 배치가 상이한 짝수번째 블레이드(220)로 이동되면서, 다른 타격 운동을 진행하기 때문에 폐어망의 조각들을 세척하는 작업이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블레이드(220)의 일단에는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 블레이드(220)의 선단 형상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보강수단(225)이 더 마련되어 고정수단(240)을 매개로 체결된다.
여기서, 블레이드(220) 및 보강수단(225)의 각 체결홀(223, 225a)에는 다수개의 볼트(241)가 삽입되어 이에 대응하는 너트(243)와 결합되며, 이러한 볼트(241) 및 너트(243)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240)에 의해 블레이드(220)와 보강수단(225)은 더욱 긴밀하게 체결되어 회전 운동을 진행한다.
상기에서는 블레이드(220)와 보강수단(225)의 상호 체결을 위한 고정수단(240)이 나사체결식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블레이드(220)의 선단을 보호 및 강화한 채, 블레이드(220)와 올바르게 결속될 수 있는 체결 구조라면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보강수단(225)의 형상이 블레이드(220)의 선단을 보호 및 강화시킬 수 있는 소재의 형상이라면, 상술한 플레이트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 다양한 구조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더(230)는 블레이드(220)의 상부, 즉, 세척탱크(21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폐어망 조각들을 안내하기 위해 다수개로 마련되되, 블레이드(220)의 보강수단(225)과 이격되게 대면하는 만곡 형상으로 이루어진 채, 그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일방으로 비틀어지도록 배치된다.
메쉬필터(250)는 블레이드(220)의 하부에 배치되며 폐어망 조각들과 불순물을 선별하도록 다수개의 타공(255)이 형성된다.
이러한 메쉬필터(250)는 전체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블레이드(220)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방에서 낙하되는 불순물들이 만곡된 메쉬필터(250)의 전면을 따라 이동하여 다수개의 타공(255)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된 후, 저류조(600)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폐어망 조각들에 포함된 염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은 폐어망 조각들에서 용이하게 제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 세척부(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절단부(100)로부터 공급된 폐어망 조각들은 호퍼(210a)에 공급되고, 이때, 모터와 같은 동력원(미도시)으로부터 회전축(210b)에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축(210b) 및 회전축(210b)과 연결된 블레이드(220)는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며, 물 공급관(200a)으로부터 세척탱크(21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된다.
세척탱크(210)의 내부로 공급된 폐어망 조각들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220)와 부딪히게 되고, 이러한 타격효과에 의하여 폐어망 조각들에 포함된 염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은 폐어망 조각들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세척탱크(210)의 내부로 공급된 물 역시, 고속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220)와 부딪혀 비산되며, 비산된 물은 폐어망 조각들에 포함된 염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세척한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220)와 부딪히는 폐어망 조각들은 가이더(230)의 안내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되어 배출구(210c)로 배출된다.
또한, 폐어망 조각들로부터 분리된 염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과 세척이 완료된 물은 메쉬필터(250)를 통과한 후, 물 배출관(200b)을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제 2 세척부(300)는 전술한 제 1 세척부(2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 2 세척부(300)에 공급되는 물은 제 1 세척부(200)와 달리, 깨끗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세척부(300)에 깨끗한 물이 공급됨에 따라, 제 2 세척부(300)에서는 보다 완벽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건조부(400) 역시 물 공급관(200a)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세척부(2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세척부의 세척탱크는 건조부에서는 건조탱크로 용도가 변경된다. 이러한 건조부(400)로 투입된 물기가 있는 폐어망 조각들은 건조부(400)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와 부딪히면서 물기가 제거된다.
도 10 및 도 11는 건조부(400)를 통과한 폐어망 조각들을 나타내는 사진으로써, 도시된 것과 같이,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폐어망 조각들은 최적화를 위해 압축부(500)로 투입된다.
도 12는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도록 압축부(500)를 통하여 압축이 완료된 폐어망 조각들의 최적화 상태를 나타낸다.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압축부(500)는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된 폐어망 조각들을 가압하여 최적화시킬 수 있는 구조, 예컨대, 롤러 가압식 및 플레이트 가압식 등의 다양한 구조로 구현가능하며, 가압 공정으로 최적화된 재활용 합성수지들을 하나로 취합할 수 있는 벤딩수단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도 1 내지 도 1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설비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재활용 설비를 이루는 각 부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수거된 대용량의 폐어망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 예방 및 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산업경제의 활성화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
즉, 절단부(100)가 유압식의 제 1 절단수단(130) 및 햄머식의 제 2 절단수단(150)으로 마련됨으로써, 대용량의 폐어망이 일정 크기 이하로 절단되기 때문에 절단부(100) 이후의 공정에서 폐어망의 세척 및 선별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저류조(600)와 각각 연계된 제 1 세척부(200) 및 제 2 세척부(300)가 동일한 구성을 이룬 채, 복수의 처리 공정을 거쳐 폐어망의 조각들을 세척함으로써, 폐어망의 조각들에 포함된 염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절단부 130: 제 1 절단수단
131: 본체 132, 210a: 호퍼
133, 210c: 배출구 134: 제 1 커터
135: 제 2 커터 136: 가압판
137: 차단판 138: 이송 로드
139: 이송 엑츄에이터 150: 제 2 절단수단
150a, 150b: 엑츄에이터 151: 하우징
153: 제 1 절단부 153a, 155a: 로드
153b, 155b: 절단날 200: 제 1 세척부
200a: 물 공급관 200b: 물 배출관
210: 세척탱크 210b: 회전축
220: 블레이드 223, 225a: 체결홀
225: 보강수단 230: 가이더
240: 고정수단 241: 볼트
243: 너트 250: 메쉬필터
255: 타공 300: 제 2 세척부
400: 건조부 500: 압축부
600: 저류조

Claims (11)

  1. 수거된 폐어망을 일정 크기 이하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
    상기 절단부로부터 공급된 폐어망 조각들에서 염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세척부;
    상기 제 1 세척부에서 1차 세척이 완료된 폐어망 조각들로부터 염분 및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하기 위한 제 2 세척부; 및
    상기 제 2 세척부에서 세척이 완료된 폐어망 조각들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척부 및 제 2 세척부는 폐어망 조각들을 세척한 물이 담기는 저류조와 각각 연계되되, 상기 제 1 세척부에는 상기 저류조의 물이 재활용되도록 순환식으로 공급되며,
    상기 제 1 세척부 및 제 2 세척부 중 어느 하나는, 내부에 세척 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물 공급관 및 물 배출관과 연결되며 내부에 폐어망 조각들이 투입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호퍼와, 세척된 폐어망 조각들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단에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세척탱크; 상기 세척탱크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축의 회전력을 매개로 폐어망 조각들을 타격하기 위한 다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에 배치되어 폐어망 조각들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더; 및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폐어망 조각들과 불순물을 선별하도록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메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는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보강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보강수단은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재활용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공급되는 폐어망을 일정 크기 이하로 예비 절단하기 위한 커터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재활용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1 차 절단작업을 위한 제 1절단수단 및 2 차 절단작업을 위한 제 2 절단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재활용 설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단수단은,
    내부에 배출구를 갖는 것으로서,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의 일부가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차단판이 수용되며 내부에 폐어망 조각들이 투입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호퍼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가압판의 일단에 마련되며 상기 호퍼에 투입된 폐어망 조각들을 절단하기 위한 제 1 커터;
    상기 제 1 커터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선단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제 2 커터; 및
    상기 가압판 및 차단판에 이송력을 전달하기 위한 이송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재활용 설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단수단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폐어망 조각들을 절단하도록 다수개의 절단날을 갖는 제 1 커터부;
    상기 제 1 커터부와 일직선상에 순차 배치되며, 상기 제 1 커터부의 절단날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다수개의 절단날을 갖는 제 2 커터부; 및
    상기 제 1 커터부 및 제 2 커터부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재활용 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터부 및 제 2 커터부는 서로 동시에 구동되거나 개별적인 시간차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재활용 설비.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이웃하는 다른 블레이드와 서로 엇갈리게 마련되되,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블레이드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재활용 설비.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보강수단과 이격되게 대면하는 만곡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더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일방으로 비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재활용 설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내부에 건조 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내부에 폐어망 조각들이 투입되도록 상단에 마련되는 호퍼와, 건조된 폐어망 조각들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단에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건조탱크;
    상기 건조탱크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축의 회전력을 매개로 폐어망 조각들을 타격하기 위한 다수개의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에 배치되어 폐어망 조각들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재활용 설비.
KR1020150099638A 2015-07-14 2015-07-14 폐어망 재활용 설비 KR101565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638A KR101565540B1 (ko) 2015-07-14 2015-07-14 폐어망 재활용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638A KR101565540B1 (ko) 2015-07-14 2015-07-14 폐어망 재활용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540B1 true KR101565540B1 (ko) 2015-11-03

Family

ID=5459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638A KR101565540B1 (ko) 2015-07-14 2015-07-14 폐어망 재활용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54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978A1 (en) * 2016-12-22 2018-06-28 Aquafilslo D.O.O. A process for obtaining copper from waste fishing nets
KR101920882B1 (ko) * 2018-03-06 2019-02-13 김준섭 폐기물 절단기
KR102104649B1 (ko) * 2019-12-05 2020-04-24 김준섭 폐비닐 세척장치
KR20200101164A (ko) 2019-02-19 2020-08-27 (주)조이엠 폐어망 자동 절단기
KR20210070651A (ko) 2019-12-05 2021-06-15 문조영 폐어망 자동 절단장치
KR102298441B1 (ko) * 2021-03-19 2021-09-07 (주)광명케미칼 폐어망 처리 시스템
CN113863257A (zh) * 2021-10-27 2021-12-31 吴玉盏 一种海洋中渔网的打捞器
KR102395320B1 (ko) 2021-06-21 2022-05-09 배덕관 세척스크류를 구비한 회수된 폐비닐과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KR102395318B1 (ko) 2021-04-09 2022-05-09 배덕관 회수된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GB2612371A (en) * 2021-11-02 2023-05-03 Fishy Filament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waste plastic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717B1 (ko) * 2012-07-09 2012-12-18 송옥주 폐그물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717B1 (ko) * 2012-07-09 2012-12-18 송옥주 폐그물 재생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978A1 (en) * 2016-12-22 2018-06-28 Aquafilslo D.O.O. A process for obtaining copper from waste fishing nets
KR101920882B1 (ko) * 2018-03-06 2019-02-13 김준섭 폐기물 절단기
KR20200101164A (ko) 2019-02-19 2020-08-27 (주)조이엠 폐어망 자동 절단기
KR102104649B1 (ko) * 2019-12-05 2020-04-24 김준섭 폐비닐 세척장치
KR20210070651A (ko) 2019-12-05 2021-06-15 문조영 폐어망 자동 절단장치
KR102298441B1 (ko) * 2021-03-19 2021-09-07 (주)광명케미칼 폐어망 처리 시스템
KR102395318B1 (ko) 2021-04-09 2022-05-09 배덕관 회수된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KR102395320B1 (ko) 2021-06-21 2022-05-09 배덕관 세척스크류를 구비한 회수된 폐비닐과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CN113863257A (zh) * 2021-10-27 2021-12-31 吴玉盏 一种海洋中渔网的打捞器
GB2612371A (en) * 2021-11-02 2023-05-03 Fishy Filament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waste plastic
WO2023079255A1 (en) 2021-11-02 2023-05-11 Fishy Filament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waste plasti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540B1 (ko) 폐어망 재활용 설비
KR101004462B1 (ko) 해양폐기물과 가연성폐기물의 혼합물을 원료로 하는 고형연료 제조장치
CN103640104A (zh) 废旧地膜回收再生清洗造粒加工方法
CA3043324C (en) Advanced manufacturing system to recycle carpet
CN106180156A (zh) 一种混杂铝纸塑废料的分质增值的工艺
JP2010241082A (ja) 農業用プラスチック製品の分別再生プラント
US20130119171A1 (en) Plastic waste recycling apparatus and system
CN105643838A (zh) 一种再生塑料颗粒的生产工艺
KR101070252B1 (ko)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CN102373636A (zh) 废纸回收生产中的固体废弃物再回收工艺与装备
CN201800149U (zh) 废旧塑料清洗回收处理线
KR101272123B1 (ko)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KR102259772B1 (ko) 트롬멜 선별기
CN204914324U (zh) 一种杂质分离效果好的废旧塑料瓶处理系统
KR102298441B1 (ko) 폐어망 처리 시스템
CN102675713A (zh) 利用生活垃圾中的混合塑料与木粉制备的塑木及其方法
CN210754302U (zh) 一种生活垃圾沼液卫生分选系统
CN201632471U (zh) 自动分类生活垃圾处理装置
CN202412520U (zh) 造粒机的干燥装置
CN115382752A (zh) 农用地膜除杂分离系统
KR101134405B1 (ko) 폐합성수지 처리장치
CN211679254U (zh) 生活垃圾捡拾机
CN110978335A (zh) 一种高含杂废旧农膜环保再生生产线
CN210552371U (zh) 废塑料处理回收系统
CN114434684B (zh) 废塑料粉碎清洗分选设备及其应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