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665B1 - 퓨즈회로 - Google Patents

퓨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665B1
KR101204665B1 KR1020100029515A KR20100029515A KR101204665B1 KR 101204665 B1 KR101204665 B1 KR 101204665B1 KR 1020100029515 A KR1020100029515 A KR 1020100029515A KR 20100029515 A KR20100029515 A KR 20100029515A KR 101204665 B1 KR101204665 B1 KR 10120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use
pull
response
fus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685A (ko
Inventor
김근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9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665B1/ko
Priority to US12/975,043 priority patent/US8368456B2/en
Publication of KR20110109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 G11C29/785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redundancy programming schem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11C17/14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by selectively establishing, breaking or modifying connecting links by permanently altering the state of coupling elements, e.g. PROM
    • G11C17/18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Landscapes

  • Logic Circuit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퓨즈회로는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퓨즈정보신호를 프리차지시키고, 선택신호 및 퓨즈의 커팅에 응답하여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구동하는 퓨즈정보신호생성부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구동하여 상기 퓨즈의 양단 전위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출력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퓨즈회로{FUSE CIRCUIT}
본 발명은 퓨즈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집적회로 제품은 그 제품의 모드 변경을 위하여 옵션처리방식을 사용한다. 기존의 옵션처리방식은 본딩 옵션, 메탈 옵션, 또는 퓨즈 옵션 등이 있다.
특히 퓨즈옵션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된 비정상의 메모리 셀을 정상의 메모리 셀로 대치하는 경우와 반도체 메모리칩의 디자인을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퓨즈옵션은 레이저빔을 조사하거나 과도한 전류를 흘려서 퓨즈를 커팅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데, 퓨즈옵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퓨즈를 구비한 회로를 퓨즈회로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퓨즈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퓨즈회로는 프리차지를 위해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프리차지신호(FPCG)에 의해 노드(nd10)를 로직하이레벨로 프리차지시킨다. 이후, 프리차지신호(FPCG)가 로직하이레벨로 디스에이블되면 제1 내지 제8 선택신호(SEL<1:8>)가 입력되어 출력신호(OUT)의 레벨을 결정한다.
이때, 출력신호(OUT)의 레벨은 제1 내지 제8 퓨즈(F11~F18)의 커팅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8 선택신호(SEL<1:8>) 중 제2 선택신호(SEL<2>)만 로직하이레벨로 입력되는 경우 제2 퓨즈(F12)의 커팅여부에 따라 래치출력신호(OUT)의 레벨이 결정된다. 즉, 제2 퓨즈(F12)가 커팅되지 않은 경우 래치출력신호(OUT)는 로직로우레벨로 출력되고, 제2 퓨즈(F12)가 커팅된 경우 래치출력신호(OUT)는 로직하이레벨로 출력된다.
그런데, 제1 내지 제8 퓨즈(F11~F18)가 구리(CU) 등의 물질로 구현되는 경우 앞서의 예에서 커팅된 제2 퓨즈(F12)가 다시 연결되어 래치출력신호(OUT)를 로직로우레벨로 출력하는 오류를 발생시킨다. 이는 구리(CU) 등의 물질로 구현된 제1 내지 제8 퓨즈(F11~F18)의 양단에 전위차가 있으면 구리이온이 이동하여 커팅된 부분을 메우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커팅된 퓨즈양단에 전위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오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퓨즈회로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퓨즈정보신호를 프리차지시키고, 선택신호 및 퓨즈의 커팅에 응답하여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구동하는 퓨즈정보신호생성부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구동하여 상기 퓨즈의 양단 전위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출력구동부를 포함하는 퓨즈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퓨즈정보신호를 프리차지시키는 프리차지소자와, 상기 퓨즈정보신호가 출력되는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퓨즈와,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상기 제2 노드를 풀다운구동하는 스위치소자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노드를 풀다운구동하는 출력구동부를 포함하는 퓨즈회로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퓨즈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퓨즈회로에 포함된 퓨즈정보신호생성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퓨즈회로에 포함된 출력구동부의 회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퓨즈회로는 프리차지신호(FPCG)에 응답하여 퓨즈정보신호(FSES)를 프리차지시키고, 제1 내지 제4 선택신호(SEL<1:4>) 및 제1 내지 제4 퓨즈(미도시)의 커팅에 응답하여 퓨즈정보신호(FSES)를 구동하는 퓨즈정보신호생성부(2)와, 제어신호(CTLP)에 응답하여 퓨즈정보신호(FSES)를 구동하여 제1 내지 제4 퓨즈(미도시)의 양단 전위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출력구동부(3)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을 참고하면, 퓨즈정보신호생성부(2)는 프리차지신호(FPCG)에 응답하여 퓨즈정보신호(FSES)를 풀업구동하는 프리차지소자(20)와, 제1 내지 제4 선택신호(SEL<1:4>) 및 제1 내지 제4 퓨즈(F21~F24)의 커팅에 응답하여 퓨즈정보신호(FSES)를 풀다운 구동하는 풀다운부(21)로 구성된다.
프리차지소자(20)는 전원전압(VDD)과 노드(nd20) 사이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21)이다. PMOS 트랜지스터(P21)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프리차지신호(FPCG)는 프리차지 동작을 위해 로직로우레벨로 인가된 후 로직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신호이다.
풀다운부(21)는 노드(nd20)와 노드(nd21) 사이에 연결된 제1 퓨즈(F21)와, 노드(nd21)와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선택신호(SEL<1>)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스위치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21)와, 노드(nd20)와 노드(nd22) 사이에 연결된 제2 퓨즈(F22)와, 노드(nd22)와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어 제2 선택신호(SEL<2>)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스위치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22)와, 노드(nd20)와 노드(nd23) 사이에 연결된 제3 퓨즈(F23)와, 노드(nd23)와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어 제3 선택신호(SEL<3>)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스위치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23)와, 노드(nd20)와 노드(nd24) 사이에 연결된 제4 퓨즈(F24)와, 노드(nd24)와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어 제4 선택신호(SEL<4>)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스위치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선택신호(SEL<1:4>)는 프리차지신호(FPCG)가 로직로우레벨에서 로직하이레벨로 천이한 후 기설정된 시점에서 선택적으로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후 모두 로직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는 신호들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출력구동부(3)는 퓨즈정보신호(FSES)를 버퍼링하여 래치출력신호(OUTN)를 생성하는 버퍼부(30)와, 제어신호(CTLP)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퓨즈정보신호(FSES)를 풀다운구동하는 구동제어부(31)를 포함한다.
버퍼부(30)는 인버터들(IV30, IV31)로 구성되어, 퓨즈정보신호(FSES)를 래치하는 래치부(300)와, 래치부(300)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래치출력신호(OUTN)로 출력하되, 제어신호(CTLP)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래치출력신호(OUTN)를 래치하는 선택래치부(301)로 구성된다. 선택래치부(301)는 래치부(300)의 출력신호와 낸드게이트(ND3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부정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래치출력신호(OUTN)를 출력하는 낸드게이트(ND30)와, 래치출력신호(OUTN)와 제어신호(CTLP)를 입력받아 부정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낸드게이트(ND31)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신호(CTLP)는 제1 내지 제4 선택신호(SEL<1:4>)가 선택적으로 로직하이레벨로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하여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후 제1 내지 제4 선택신호(SEL<1:4>)가 모두 로직로우레벨로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하여 로직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된다.
구동제어부(31)는 래치출력신호(OUTN)와 제어신호(CTLP)를 입력받아 부정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낸드게이트(ND31)와, 파워업신호(PWRUPB)와 낸드게이트(ND3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부정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풀다운신호(PD)를 생성하는 낸드게이트(ND31)와, 풀다운신호(PD)를 입력받아 퓨즈정보신호(FSES)를 풀다운구동하는 풀다운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30)로 구성된다. 여기서, 파워업신호(PWRUPB)는 파워업구간에서 로직로우레벨이고, 파워업구간이 종료된 후 로직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신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퓨즈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되, 제1 내지 제4 퓨즈(F21~F24) 중 제2 퓨즈(F22)만 커팅되고, 제1 내지 제4 선택신호(SEL<1:4>) 중 제2 선택신호(SEL<2>)만 로직하이레벨로 인가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프리차지 동작을 위해 프리차지신호(FPCG)가 로직로우레벨로 인가되면 노드(nd20)에서 출력되는 퓨즈정보신호(FSES)는 로직하이레벨로 프리차지된다. 따라서, 버퍼부(30)는 퓨즈정보신호(FSES)를 래치하고 버퍼링하여 로직하이레벨의 래치출력신호(OUTN)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프리차지신호(FPCG)가 로직하이레벨로 천이된 후 기설정된 시점에서 제2 선택신호(SEL<2>)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어 인가된다. 로직하이레벨의 제2 선택신호(SEL<2>)에 의해 턴온되는 NMOS 트랜지스터(N22)에 의해 노드(nd22)는 접지전압(VSS)으로 풀다운구동된다.
이때, 로직하이레벨로 인가되는 제어신호(CTLP)에 의해 래치출력신호(OUTN)는 래치되고, 구동제어부(31)의 풀다운신호(PD)는 로직하이레벨로 생성되므로, NMOS 트랜지스터(N30)가 턴온되어 퓨즈정보신호(FSES)가 출력되는 노드(nd20)을 접지전압(VSS)으로 풀다운구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퓨즈회로는 로직하이레벨로 인가되는 제2 선택신호(SEL<2>)에 의해 노드(nd22)가 접지전압(VSS)으로 풀다운구동될 때 퓨즈정보신호(FSES)가 출력되는 노드(nd20)도 접지전압(VSS)으로 풀다운구동한다. 따라서, 커팅된 제2 퓨즈(F22)의 양단, 즉, 노드(nd20) 및 노드(nd22) 사이의 전위차는 발생하지 않아 커팅된 제2 퓨즈(F22)가 다시 연결되어 래치출력신호(OUTN)가 로직로우레벨로 출력되는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2: 퓨즈정보시호생성부 20: 프리차지부
21: 풀다운부 3: 출력구동부
30: 버퍼부 300: 래치부
301: 선택래치부 31: 구동제어부

Claims (14)

  1.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퓨즈정보신호를 프리차지시키고, 선택신호 및 퓨즈의 커팅에 응답하여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구동하는 퓨즈정보신호생성부; 및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구동하여 상기 퓨즈의 양단 전위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출력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선택신호가 인에이블되는 시점에 동기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선택신호의 디스에이블 시점에 동기하여 디스에이블되는 퓨즈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정보신호생성부는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풀업구동하는 프리차지소자; 및
    상기 선택신호 및 상기 퓨즈의 커팅여부에 응답하여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풀다운 구동하는 풀다운부를 포함하는 퓨즈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소자는 전원전압과 상기 퓨즈정보신호가 출력되는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프리차지신호에 상기 제1 노드를 풀업구동하는 MOS 트랜지스터인 퓨즈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부는
    상기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상기 퓨즈; 및
    상기 제2 노드와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스위치소자를 포함하는 퓨즈회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구동부는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버퍼링하여 래치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퍼부; 및
    상기 제어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풀다운구동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퓨즈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래치하여 출력하는 래치부; 및
    상기 래치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래치출력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어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래치출력신호를 래치하는 선택래치부를 포함하는 퓨즈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래치부는
    상기 래치출력신호와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제1 논리소자; 및
    상기 제1 논리소자의 출력신호와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제2 논리소자를 포함하는 퓨즈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래치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전달하는 제1 전달소자;
    파워업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달소자의 출력신호를 풀다운신호로 전달하는 제2 전달소자; 및
    상기 풀다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풀다운구동하는 풀다운소자를 포함하는 퓨즈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달소자는 부정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소자로 구현되고, 상기 풀다운소자는 N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퓨즈회로.
  11. 프리차지신호에 응답하여 퓨즈정보신호를 프리차지시키는 프리차지부;
    상기 퓨즈정보신호가 출력되는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퓨즈;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상기 제2 노드를 풀다운구동하는 스위치소자; 및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노드를 풀다운구동하는 출력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선택신호가 인에이블되는 시점에 동기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선택신호의 디스에이블 시점에 동기하여 디스에이블되는 퓨즈회로.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구동부는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버퍼링하여 래치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퍼부;
    상기 제어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래치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전달하는 제1 전달소자;
    파워업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달소자의 출력신호를 풀다운신호로 전달하는 제2 전달소자; 및
    상기 풀다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퓨즈정보신호를 풀다운구동하는 풀다운소자를 포함하는 퓨즈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달소자는 부정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소자로 구현되고, 상기 풀다운소자는 N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퓨즈회로.
KR1020100029515A 2010-03-31 2010-03-31 퓨즈회로 KR10120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515A KR101204665B1 (ko) 2010-03-31 2010-03-31 퓨즈회로
US12/975,043 US8368456B2 (en) 2010-03-31 2010-12-21 Fuse circuit with ensured fuse cut st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515A KR101204665B1 (ko) 2010-03-31 2010-03-31 퓨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685A KR20110109685A (ko) 2011-10-06
KR101204665B1 true KR101204665B1 (ko) 2012-11-26

Family

ID=4470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515A KR101204665B1 (ko) 2010-03-31 2010-03-31 퓨즈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68456B2 (ko)
KR (1) KR101204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303B1 (ko) * 2011-07-26 2017-12-2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집적회로 및 그의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01B1 (ko) * 2001-03-30 2007-05-1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어드레스 발생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888B1 (ko) * 1994-04-11 1997-10-30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결함구제방법 및 그 회로
KR0145888B1 (ko) * 1995-04-13 1998-11-02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동작 모드 전환회로
KR0173946B1 (ko) * 1995-12-18 1999-04-01 김광호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컬럼 리던던시 회로
US6021078A (en) 1998-01-27 2000-02-01 Motorola, Inc. Fuse circuit and method therefor which minimizes fuse grow back effect
US6147546A (en) * 1998-03-11 2000-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Zero volt/zero current fuse arrangement
KR100317490B1 (ko) * 1999-12-29 2001-12-24 박종섭 안티퓨즈 회로
JP2002074979A (ja) * 2000-08-31 2002-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ム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記憶装置
JP3857573B2 (ja) * 2001-11-20 2006-12-13 富士通株式会社 ヒューズ回路
KR100481179B1 (ko) * 2002-09-10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퓨즈를 구비한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JP2006210670A (ja) * 2005-01-28 2006-08-10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
KR101332121B1 (ko) * 2006-01-27 2013-11-21 킬로패스 테크놀로지, 인크.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퓨즈 비트
JP5082334B2 (ja) * 2006-08-18 2012-11-28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電気ヒューズ回路、メモリ装置及び電子部品
KR20080099976A (ko) 2007-05-11 2008-11-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퓨즈 박스 및 그의 레이아웃 방법
US7902903B2 (en) * 2009-07-14 2011-03-08 Raytheon Company Programmable efuse and sense circuit
KR101050110B1 (ko) * 2009-12-28 2011-07-19 전자부품연구원 공정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퓨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01B1 (ko) * 2001-03-30 2007-05-1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어드레스 발생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685A (ko) 2011-10-06
US20110241761A1 (en) 2011-10-06
US8368456B2 (en)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1147B1 (en) Data storage circuits using a low threshold voltage output enable circuit
US7145363B2 (en) Level shifter
US9251889B2 (en) Area-efficient, high-speed, dynamic-circuit-based sensing scheme for dual-rail SRAM memories
KR100968156B1 (ko) 전원제어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TW201040975A (en) Fuse circuit and redundancy circuit
KR101204665B1 (ko) 퓨즈회로
JP2019512957A5 (ko)
US6215351B1 (en) Fuse-latch circuit
US9245594B2 (en) Switching circuit
JP2009081188A (ja) 半導体装置
US20060132183A1 (en) Semiconductor device
US8274321B2 (en) Fuse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753404B1 (ko) 데이타 출력 버퍼
KR101020297B1 (ko) 워드라인 구동회로
KR101143629B1 (ko) 퓨즈회로
US8610491B2 (en) Anti-fuse control circuit
US20070058316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use circuits
US20120126874A1 (en) Integrated circuit
KR100464945B1 (ko) 내부전압 레벨 트리밍 발생 장치의 퓨즈셋 박스
KR100604658B1 (ko) 전압레벨 쉬프터
KR100592777B1 (ko) 출력 버퍼 회로
KR100668747B1 (ko) 데이터 입출력 장치
KR100771533B1 (ko) 퓨즈 컷팅 회로
KR20120019965A (ko) 퓨즈회로
US717387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utputting data strobe signal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