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613B1 -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613B1
KR101203613B1 KR1020100137206A KR20100137206A KR101203613B1 KR 101203613 B1 KR101203613 B1 KR 101203613B1 KR 1020100137206 A KR1020100137206 A KR 1020100137206A KR 20100137206 A KR20100137206 A KR 20100137206A KR 101203613 B1 KR101203613 B1 KR 101203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lower chuck
chuck
unit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159A (ko
Inventor
정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37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61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42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G01N2203/0048Hydraul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시편을 정확하게 센터링하고 일정압력을 가한 후 두께 측정과 무게 측정을 한번에 수행함으로써, 품질 편차를 줄여 신뢰성을 확보하고 작업 능율을 높일 수 있도록, 지지베이스 상부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시편이 놓여지는 하부척와, 상기 하부척에 설치되어 시편을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하부척에 놓여진 시편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시편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시편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측정부를 포함하는 점적율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SPACE FACTOR TEST DEVICE}
본 발명은 전기강판의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전기강판의 점적율을 시험하는 점적율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은 시편을 적층하여 센터링을 맞춘 상태에서 일정압력을 가한 후 그 두께를 측정하고, 무게를 측정하여 점적율 계산식을 이용하여 판정된다.
종래에는 점적율 측정을 위해 복수개의 시편을 적층하고 압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일정 시험 압력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유압잭을 이용하여 조정을 함으로써 정확한 시험압력 유지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피로도가 가중됨은 물론, 시편 정렬을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눈대중으로 함으로써, 정렬 불량으로 인한 시험 데이터 신뢰도 저하가 발생되었다.
더불어, 시편이 가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가압된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치수 측정이 곤란하며, 측정된 시편을 인출하여 별도로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시험 시간 과도 소요 및 시편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작업자가 찰과상을 입을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이에, 시편을 정확하게 센터링하고 일정압력을 가한 후 두께 측정과 무게 측정을 한번에 수행함으로써, 품질 편차를 줄여 신뢰성을 확보하고 작업 능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점적율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에 있어서, 지지베이스 상부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시편이 놓여지는 하부척과, 상기 하부척에 설치되어 시편을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하부척에 놓여진 시편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시편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시편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지지베이스 일측에 설치되어 전기강판에 대한 점적율 시험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하부척에 수직설치되는 가이드와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시편을 가압하는 상부척, 상기 상부척 위쪽의 고정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척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는 하부척 상에 설치되고 시편의 측면에 위치하는 정렬부재와 상기 정렬부재를 시편 측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측정부는 상기 상부척에 설치되어 상부척과 같이 이동하는 리니어스케일과, 상기 리니어스케일에서 수직으로 내려와 하부척 위로 연장되는 측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측정부는 상기 하부척의 하부에 위치하는 저울과, 지지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저울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업다운유니트, 상기 저울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척을 관통하여 시편을 들어올리기 위한 승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장치에 의하면, 두께 측정과 무게 측정을 한번에 수행하여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이 보다 간편하다.
또한, 종래 수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측정 오차를 줄여 시험의 신뢰성을 높이고, 작업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점적율 시험장치(10)는 복수개의 시편(P)을 정렬하여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한 후 그 높이와 무게를 측정하여 계산된다.
이를 위해 본 점적율 시험장치는 지지베이스(12) 상부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시편(P)이 놓여지는 하부척(14)와, 상기 하부척(14)에 설치되어 시편(P)을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하부척(14)에 놓여진 시편(P)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시편(P)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시편(P)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베이스(12)는 본 장치를 지지하는 하부 구조물로, 그 상부에 수직으로 가이드(1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6)에 지지베이스(12)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하부척(14)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하부척(14)은 상단에 시편(P)이 놓여져 가압부에 의한 압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가압부는 하부척(14)을 지나 위쪽으로 연장되는 가이드(16)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시편(P)을 가압하는 상부척(18)과, 상기 상부척(18) 위쪽의 고정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척(18)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2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척(18)은 가이드(16)에 관통되어 가이드(16)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상기 상부척(18)은 시편(P)을 가압하는 판구조물이다. 상기 상부척(18) 위쪽에서 가이드(16)에 고정대(20)가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20) 상단에 유압실린더(22)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유압실린더(22)의 피스톤로드는 고정대(20)를 지나 상부척(18)에 연결된다.
이에 유압실린더(22)가 신축구동되면 상부척(18)이 가이드(16)를 따라 승하강되어 하부척(14)에 놓여진 시편(P)을 설정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정렬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척(14) 상단에 설치되어 시편(P)의 양 측면쪽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정렬부재(24)와, 하부척(14)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각 정렬부재(24)에 연결되어 각 정렬부재(24)를 시편(P) 측면으로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26)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에어실린더(26)가 신장작동되면 정렬부재(24)가 이동되어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시편(P)을 가지런히 정렬시키게 된다.
상기 정렬부재(24)는 대략 적층된 시편(P)의 높이보다 크거나 시편(P)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하여 적층된 시편(P) 모두 같이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렬부재(24)는 시편(P)의 양 측에 두 개씩 모두 4개가 구비되어 시편(P)을 정렬하게 된다. 상기 정렬부재(24)는 적층된 시편(P)을 가지런히 정렬시킬 수 있으면 그 개수나 설치 위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높이측정부는 상부척(18)에 의해 가압된 시편(P)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점적율 계산을 위해서는 가압된 시편(P)의 적층 두께, 즉 하부척(14)에서부터의 시편(P) 높이를 검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높이측정부는 상기 상부척(18)에 설치되어 상부척(18)과 같이 이동하는 리니어스케일(28)과, 상기 리니어스케일(28)에서 수직으로 내려와 하부척(14) 위로 연장되는 측정바(30)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바(30)는 하부척(14)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정확히 하부척(14)과 상부척(18)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이에 상부척(18)이 하강하여 설정된 압력으로 시편(P)을 가압하면, 상부척(18)과 하부척(14) 사이의 거리는 바로 가압된 시편(P)의 높이가 된다. 상부척(18)과 하부척(14) 사이의 거리는 하부척(14)에 접하여 이동되는 측정바(30)에 의해 리니어스케일(28)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부척(18)이 하부척(14)에 근접하면서 리니어스케일(28)의 측정바(30)는 하부척(14)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이에 상부척(18)과 하부척(14) 사이의 거리는 측정바(30)의 길이 또는 측정바(30)의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리니어스케일(28)을 통해 확인된다. 이와 같이 상부척(18)과 하부척(14) 사이의 거리를 확인함으로써, 가압된 시편(P)의 높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무게측정부는 점적율 계산에서 필요한 시편(P)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게측정부는 시편(P)을 이동시키지 않고 하부척(14) 상에서 바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게측정부는 상기 하부척(14)의 하부에 위치하는 저울(32)과, 지지베이스(12)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저울(32)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업다운유니트(34), 상기 저울(32)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척(14)을 관통하여 시편(P)을 들어올리기 위한 승강바(36)를 포함한다.
상기 업다운유니트(34)는 저울(32)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예를 들어, 에어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업다운유니트(34)는 저울(32)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조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저울(32)은 상단에 승강부가 설치되어 승강바(36)에 올려져 있는 시편(P)의 무게를 측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승강바(36)는 시편(P)을 수평상태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바(36)는 6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승강바(36)는 하부척(14)에 형성된 관통구(38)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다운유니트(34)가 구동되어 저울(32)을 승강시키게 되면 저울(32)에 설치된 승강바(36)가 위로 이동되어 하부척(14)에 놓여져 있는 시편(P)을 들어올리게 된다.
시편(P)은 승강바(36)에 받쳐진 상태로 시편(P)의 무게는 승강바(36)를 통해 저울(32)로 전달되어 정확히 측정된다.
또한, 본 장치는 상기 지지베이스(12) 일측에 설치되어 전기강판에 대한 점적율 시험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측정된 시편(P)의 무게와 높이 및 시편(P) 가압력을 점적율 계산식에 대입하여 구해진 시편(P)의 점적율을 표시하게 된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척(14) 상에 적층된 시편(P)을 놓고 먼저 적층된 시편(P)을 정렬시키는 작업을 한다. 하부척(14)에 설치된 에어실린더(26)가 신장작동되면 정렬부재(24)가 이동되어 적층된 시편(P)의 측면을 눌러주게 된다. 이에 적층된 시편(P)의 측면이 가지런히 맞춰지고 하부척(14) 중앙에 시편(P)이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유압실린더(22)가 작동되면 상부척(18)이 하강되어 하부척(14) 위에 놓여진 시편(P)을 눌러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척(18)의 하강에 따라 리니어스케일(28)이 상부척(18)과 같이 이동하여 측정바(30)가 정확하게 상부척(18)과 하부척(14) 사이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척(14)과 상부척(18) 사이의 높이는 바로 상부척(18)과 하부척(14) 사이에 위치하여 가압되는 시편(P)의 높이이므로, 상기 리니어스케일(28)을 통해 측정바(30) 높이를 검출함으로써, 시편(P)의 높이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편(P)을 가압한 후 상부척(18)은 유압실린더(22)의 수축작동에 따라 다시 위로 상승된다. 그리고 업다운유니트(34)가 작동하여 저울(32)을 위로 들어올려 시편(P)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저울(32)이 상부로 이동되면 저울(32)에 설치된 승강바(36)가 하부척(14)의 관통구(38)를 지나 위로 이동되어 시편(P)을 하부척(14)에서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시편(P)의 무게는 승강바(36)를 통해 저울(32)로 전달되어 저울(32)이 정확한 시편(P)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시편(P)의 정렬과 가압 후의 높이 및 무게 측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시험장치 12 : 지지베이스
14 : 하부척 16 : 가이드
18 : 상부척 20 : 고정대
22 : 유압실린더 24 : 정렬부재
26 : 에어실린더 28 : 리니어스케일
30 : 측정바 32 : 저울
34 : 업다운유니트 36 : 승강바
38 : 관통구 40 :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에 있어서,
    지지베이스 상부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시편이 놓여지는 하부척과, 상기 하부척에 설치되어 시편을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하부척에 놓여진 시편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시편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시편의 무게를 검출하는 무게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측정부는 상기 하부척의 하부에 위치하는 저울과, 상기 저울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업다운유니트, 상기 저울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척을 관통하여 하부척에 대해 시편을 들어올리기 위한 승강바를 포함하는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부척에 수직설치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시편을 가압하는 상부척, 상기 상부척 위쪽의 고정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척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하부척 상에 설치되고 시편의 측면에 위치하는 정렬부재와, 상기 정렬부재를 시편 측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측정부는 상기 상부척에 설치되어 상부척과 같이 이동하는 리니어스케일과, 상기 리니어스케일에서 수직으로 내려와 하부척 위로 연장되는 측정바를 포함하는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5. 삭제
KR1020100137206A 2010-12-28 2010-12-28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KR101203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206A KR101203613B1 (ko) 2010-12-28 2010-12-28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206A KR101203613B1 (ko) 2010-12-28 2010-12-28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159A KR20120075159A (ko) 2012-07-06
KR101203613B1 true KR101203613B1 (ko) 2012-11-21

Family

ID=4670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206A KR101203613B1 (ko) 2010-12-28 2010-12-28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6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2158A (zh) * 2014-06-16 2014-09-24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无取向电工钢自动检测方法
KR20140112625A (ko) * 2013-03-12 2014-09-2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 기계용 클램핑 장치
KR102239372B1 (ko) * 2020-08-28 2021-04-09 이채현 팔레트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050B1 (ko) * 2017-09-19 2019-08-12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
CN108225927A (zh) * 2017-12-14 2018-06-29 武汉科技大学 一种用于拉拔试验的智能反力架及测试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047Y1 (ko) 1995-07-31 1999-10-15 이구택 방사선 두께계 표준시편 측정장치
JP2003139672A (ja) 2001-11-06 2003-05-14 Tomoyoshi Nishimura 変位制御型空気圧載荷可能一面せん断試験機
KR100907509B1 (ko) * 2007-12-28 2009-07-14 주식회사 포스코 교질층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047Y1 (ko) 1995-07-31 1999-10-15 이구택 방사선 두께계 표준시편 측정장치
JP2003139672A (ja) 2001-11-06 2003-05-14 Tomoyoshi Nishimura 変位制御型空気圧載荷可能一面せん断試験機
KR100907509B1 (ko) * 2007-12-28 2009-07-14 주식회사 포스코 교질층 측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2625A (ko) * 2013-03-12 2014-09-2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 기계용 클램핑 장치
KR102072246B1 (ko) * 2013-03-12 2020-02-03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 기계용 클램핑 장치
CN104062158A (zh) * 2014-06-16 2014-09-24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无取向电工钢自动检测方法
KR102239372B1 (ko) * 2020-08-28 2021-04-09 이채현 팔레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159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613B1 (ko)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CN105258834B (zh) 键帽拉拔力测试用按压模组及键帽拉拔力测试机
KR101214185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외경 측정장치
CN109030219B (zh) 一种纸箱强度检测装置的检测方法
CN106198237B (zh) 一种混凝土砌块压力试验机
CN208921060U (zh) 一种印铁涂层用激光测厚装置
CN206876098U (zh) 一种曲面玻璃的检测装置
CN103954260A (zh) 汽车散热器检测装置
CN105674932A (zh) 一种包装用塑料泡沫厚度及压缩蠕变测试仪
CN203364806U (zh) 载盘检测装置
KR101562310B1 (ko) 유리 커팅장치
CN205483243U (zh) 在力标准机上一次测量两只柱式称重传感器的气动测试装置
CN202485653U (zh) 厚度检测机
CN108007408A (zh) 一种自动调整的喷油器高度测量装置
CN207570516U (zh) 一种自动调整的喷油器高度测量装置
CN114993192B (zh) 一种锂电行业自动测量厚度的设备
KR101100520B1 (ko) 만능시험기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강도 측정 장치
CN210166157U (zh) 一种千斤顶用下降跟随测试装置
CN104819901B (zh) 刮板弯曲试验组合测试装置及使用方法
CN210180467U (zh) 一种新型印刷成品检测装置
KR101328267B1 (ko) 로드셀 검사장치
CN212030377U (zh) 一种检测位置度和中心高的检具
CN107834789B (zh) 一种转子自动叠压设备
CN220982921U (zh) 高架地板压力检测装置
KR102009022B1 (ko)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