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022B1 -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022B1
KR102009022B1 KR1020180068181A KR20180068181A KR102009022B1 KR 102009022 B1 KR102009022 B1 KR 102009022B1 KR 1020180068181 A KR1020180068181 A KR 1020180068181A KR 20180068181 A KR20180068181 A KR 20180068181A KR 102009022 B1 KR102009022 B1 KR 10200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re
test
elevat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후
서고훈
Original Assignee
김재후
서고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후, 서고훈 filed Critical 김재후
Priority to KR102018006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9Compres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는 제1 및 제2 나사홀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고 제1 및 제2 하부홈을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제1-1, 제1-2, 제2-1, 제2-2 지지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제1 및 제2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제1 및 제2 승강봉과, 상기 지지대에 끼워지되 제1 및 제2 승강봉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하부홈과 대응되는 상부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봉은 상부 플레이트의 제1 및 제2 나사홀에서 동시에 승강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상부홈과 제1 하부홈에는 기준재료가 끼워지고, 제2 상부홈과 제2 하부홈에는 시험재료가 끼워진다.

Description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PORTABLE TESTING APPAPRTUS FOR COMPARING HARDNESS}
본 발명은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험재료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재료, 기계부품, 전기전자재료 등은 완성품을 만들기 이전에 압축강도, 인장강도 등과 같은 강성시험을 거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5014호의 태양전지모듈 수직 응력 및 파괴 특성 시험장치는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되기 이전에 강성특성 시험을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개시된 시험장치는 메인 프레임 하부에 위치하고 시험 대상인 태양전지모듈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단과, 태양전지모듈을 상방으로 당기도록 메인 프레임 내에서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와, 이 이동부의 상향에 위치하여 모듈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로드셀을 지지하는 로드셀 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시험장치는 하나의 시험재료를 시험할 수 있으나, 두 개의 시험재료를 서로 비교하려할 때에는 각각의 시험재료를 측정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5014호, 태양전지모듈 수직 응력 및 파괴 특성 시험장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7-024784, 재료시험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7570호, 압력용기 파괴 압력 시험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4714호, 파괴 강도 시험장치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시험재료의 상대적 특성을 비교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재료와 시험재료의 상대적 특성을 비교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재료가 기준재료에 비하여 충분한 특성을 갖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측정장치로 시험재료의 압축강도와 시험 와이어의 인장강도를 비교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는 제1 및 제2 나사홀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고 제1 및 제2 하부홈을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제1-1, 제1-2, 제2-1, 제2-2 지지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제1 및 제2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제1 및 제2 승강봉과, 상기 지지대에 끼워지되 제1 및 제2 승강봉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하부홈과 대응되는 상부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봉은 상부 플레이트의 제1 및 제2 나사홀에서 동시에 승강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상부홈과 제1 하부홈에는 기준재료가 끼워지고, 제2 상부홈과 제2 하부홈에는 시험재료가 끼워진다.
또한 제1 및 제2 승강붕의 상측 단부에는 제1 및 제2 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어의 사이에는 회전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기어가 회전하면 제1 및 제2 기어는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 승강봉 사이에는 룰러가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기 룰러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에는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지시바가 설치되되, 상기 제1 승강 플레이트의 지시바는 룰러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승강 플레이트의 지시바는 룰러의 타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와 승강 플레이트 사이에는 측정기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재료는 미리 설정된 압축강도 또는 파괴강도를 갖는 재료이고, 상기 시험재료는 테스트하기 위한 재료이며,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는 상기 시험재료의 압축강도 또는 파괴강도가 기준재료의 압축강도 또는 파괴강도 보다 높은지 아니면 낮은지를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는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제1-1, 및 제1-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 제1-1, 및 제1-2 걸이부를 구비하며, 승강 플레이트의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에 제1-1, 및 제1-2 체결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기준 와이어는 제1-1 고정부, 제1-1 걸이부, 제1-1 체결부에 걸어고정하고, 시험 와이어는 제1-2 고정부, 제1-2 걸이부, 제1-2 체결부에 걸어고정한다.
여기서 기준 와이어는 미리 설정된 인장강도를 갖는 재료이고, 상기 시험 와이어는 테스트하기 위한 와이어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는 시험 와이어의 인장강도가 기준 와이어 인장강도 보다 높은지 아니면 낮은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를 사용하면, 시험재료가 기준재료에 비하여 충분한 압축강도, 파괴강도를 갖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를 사용하면, 시험 와이어가 기준 와이어에 비하여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를 일측과 타측을 각각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의 승강봉과 승강 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의 승강봉과 승강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에 와이어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를 일측과 타측을 각각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의 승강봉과 승강 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는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대(311, 312, 321, 322)와,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승강하는 승강봉(410, 420)과, 상기 승강봉에 결합되고 승강봉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 플레이트(510, 520)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는 제1-1 지지대(311), 제1-2 지지대(312), 제2-1 지지대(321), 제2-2 지지대(322)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는 사각형상이며, 네 모서리에 제1-1, 제1-2, 제2-1, 제2-2 지지대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제1-1 지지대와 제1-2 지지대 사이에는 제1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 플레이트에는 제1 상부홈(210)과 제2 상부홈(220)이 구비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의 제2-1 지지대와 제2-2 지지대 사이에는 제2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나사부(110)에는 제1 승강봉(410)이 결합되고, 제2 나사부(120)에는 제2 승강봉(420)이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승강봉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승강봉의 상측 단부에는 제1 기어(AC-1)이 결합되어 있고, 제2 승강봉의 상측 단부에는 제2 기어(AC-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어 사이에는 구동기어(AC)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AC)를 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기어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승강봉이 상승 또는 하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승강봉은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이를 위해 제1 승강봉과 제2 승강봉의 나사홈은 나사형성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거나,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는 나사홈의 형성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되돌아가, 제1 승강봉의 하측 단부에는 제1 승강 플레이트(510)이 구비되어 있고, 제2 승강봉의 하측 단부에는 제2 승강 플레이트(5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제1 및 제2 가이드부(511, 5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수직하는 가이드 홀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 홈에는 지지대가 끼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는 승강봉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하부홈이 구비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대에는 제1 및 제2 스토퍼(312-P, 322-P)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 스토퍼의 상부와 제1 승강 플레이트의 하부 사이에는 제1 스프링(312-S)이 구비되어 있고, 제2 스토퍼의 상부와 제2 승강 플레이트의 하부 사이에는 제2 스프링(322-S)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스프링은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를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시킨다.
한편, 승강 플레이트의 하부홈(512, 522)과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홈(210, 220)은 서로 수직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승강 플레이트의 하부홈과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홈에 시험재료(TT)와 기준재료(SS)를 쉽게 끼울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의 승강봉과 승강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승강 플레이트와 제2 승강 플레이트 사이에는 룰러(ruler)가 설치된다. 상기 룰러(700)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중앙에 각각 상부와 하부가 고정된다.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에는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지시바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 지시바(513)는 룰러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2 지시바(523)는 룰러의 타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가 승강하면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지시바가 승강하게 되고, 제1 및 제2 지시바가 가르키는 룰러의 값을 얻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승강 플레이트 사이에는 기준재료와 시험재료의 정밀한 데이터 값을 얻기 위한 제1 및 제2 측정기(610, 620)가 더욱 설치될 수 있으며, 기준재료와 시험재료의 정밀한 데이터 값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재료와 시험재료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기둥 형태 또는 다각기둥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기준재료는 미리 설정된 압축강도 또는 시험강도를 갖는 재료이고, 상기 시험재료는 압축강도 또는 파괴강도가 기준재료의 강도보다 높은지 아니면 낮은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재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교강도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비교강도를 테스트하는 것을 설명한다.
우선 제1 상부홈과 제1 하부홈에 기준재료를 끼운 다음, 제2 상부홈과 제2 하부홈에 시험재료를 끼운다.
이어서, 구동기어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 승강봉을 하강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승강봉의 하강에 따라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하고 기준재료와 시험재료를 가압한다. 상기 가압에 의해 기준재료 및 시험재료는 손상되는데, 이때 시험재료가 기준재료보다 먼저 손상되면 불량재료로 판정하고 시험재료가 기준재료보다 나중에 손상되면 양품재료로 판정한다.
그리고 측정기와 룰러는 수치적인 판단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개별적인 강도값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와이어의 인장강도를 비교측정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에 와이어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제1 승강부, 제1 승강봉, 제1-1 지지대, 제1-2 지지대 등이 설치되어 있는 전측 시험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제2 승강부, 제2 승강봉, 제2-1 지지대, 제2-2 지지대 등이 설치되어 있는 후측 시험기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전측 시험기와 후측 시험기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측 시험기의 구조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강도 측정장치는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제1-1, 및 제1-2 고정부(251, 252)를 구비하고,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 제1-1, 및 제1-2 걸이부(151, 152)를 구비하며, 승강 플레이트의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에 제1-1, 및 제1-2 체결부(551, 552)를 구비한다.
기준 와이어는 제1-1 고정부, 제1-1 걸이부, 제1-1 체결부에 걸어고정하고, 시험 와이어는 제1-2 고정부, 제1-2 걸이부, 제1-2 체결부에 걸어고정한다.
이어서, 구동기어를 회전시켜 제1 승강봉을 하강시킨다. 상기 제1 승강봉의 하강에 따라 제1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하고 기준 와이어와 시험 와이어를 당긴다. 상기 기준 와이어와 시험 와이어를 당기는 도중에 시험 와이어가 기준 와이어보다 먼저 손상되면 불량 와이어로 판정하고 시험 와이어가 기준 와이어 보다 나중에 손상되면 양품 와이어로 판정한다.
여기서, 기준 와이어는 미리 설정된 인장강도를 갖는 재료이고, 상기 시험 와이어는 인장강도가 기준 와이어 인장강도 보다 높은지 아니면 낮은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와이어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상부 플레이트
110. 120 : 제1 및 제2 나사부
151, 152 : 제1-1, 및 제1-2 걸이부
200 : 하부 플레이트
210, 220 : 제1 및 제2 상부홈
251, 252 : 제1-1, 및 제1-2 고정부
311, 312, 321, 322 : 제1-1, 제1-2, 제2-1, 제2-2 지지대
312-P, 322-P : 제1 및 제2 스토퍼
312-S, 322-S : 제1 및 제2 스프링
410, 420 : 제1 및 제2 승강봉
510, 520 :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
511. 512 : 제1 및 제2 가이드부
512, 522 : 제1 및 제2 하부홈
513, 523 : 제1 및 제2 지시바
551, 552 : 제1-1, 및 제1-2 체결부
610, 620 : 제1 및 제2 측정기
700 : 룰러(ruler)
TT : 시험재료
SS : 기준재료
TW : 시험 와이어
SW : 기준 와이어
AC : 구동기어
AC-1, AC-2 : 제1 및 제2 기어

Claims (7)

  1. 제1 및 제2 나사부(110, 120)를 갖는 상부 플레이트(10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고, 제1 및 제2 상부홈(210, 220)을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200)와,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제1-1, 제1-2, 제2-1, 제2-2 지지대(311, 312, 321, 322)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제1 및 제2 나사부(110, 120)에 나사결합되는 제1 및 제2 승강봉(410, 420)과,
    상기 지지대에 끼워지되 제1 및 제2 승강봉(410, 4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510, 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봉(410, 420)의 상측 단부에는 제1 및 제2 기어(AC-1, AC-2)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어(AC-1, AC-2)의 사이에는 구동기어(AC)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AC)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및 제2 기어(AC-1, AC-2)가 회전하고, 제1 및 제2 기어(AC-1, AC-2)가 결합된 제1 및 제2 승강봉(410, 420)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제1 및 제2 나사부(110, 120)에서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의 좌우측에는 가이드홀이 구비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홀에는 지지대가 끼워지며,
    상기 지지대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의 상부와 승강 플레이트의 하부 사이에는 승강 플레이트를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와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510, 520) 사이에는 측정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봉(410, 420) 사이에는 룰러(ruler)가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기 룰러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00, 200)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510, 520)에는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지시바(513, 523)가 설치되되, 상기 제1 승강 플레이트(510)의 제1 지시바(513)는 룰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승강 플레이트(520)의 제2 지시바(523)는 룰러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510, 52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제1 및 제2 상부홈(210, 220)과 대응되는, 제1 및 제2 하부홈(512, 522)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제1 상부홈(210)과 제1 승강 플레이트(510)의 제1 하부홈(512)에는 기준재료가 끼워지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제2 상부홈(220)과 제2 승강 플레이트(520)의 제2 하부홈(522)에는 시험재료가 끼워지고,
    상기 구동기어(AC)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 승강봉(410, 420)을 하강시키고, 제1 및 제2 승강봉(410, 420)이 하강함에 따라 제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510, 520)가 하강하여 기준재료와 시험재료를 가압하고, 상기 가압에 의해 시험재료가 기준재료보다 먼저 손상되면 불량재료로 판정하고 시험재료가 기준재료보다 나중에 손상되면 양품재료로 판정하며,
    상기 기준재료는 미리 설정된 압축강도 또는 시험강도를 갖는 재료이고, 상기 시험재료는 압축강도 또는 파괴강도가 기준재료의 강도보다 높은지 아니면 낮은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재료이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제1-1 및 제1-2 고정부(251, 252)를 구비하고, 상부 플레이트(100)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 제1-1 및 제1-2 걸이부(151, 152)를 구비하며, 승강 플레이트의 일측 측면과 타측 측면에 제1-1 및 제1-2 체결부(551, 552)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1-1 고정부(251), 제1-1 걸이부(151), 제1-1 체결부(551)에 기준 와이어를 걸어고정하며, 상기 제1-2 고정부(252), 제1-2 걸이부(152), 제1-2 체결부(552)에 시험 와이어를 걸어고정하고,
    상기 구동기어(AC)를 회전시켜 승강봉을 하강시키고, 승강봉의 하강함에 따라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기준 와이어와 시험 와이어를 당기게 되고, 상기 기준 와이어와 시험 와이어를 당기는 도중에 시험 와이어가 기준 와이어보다 먼저 손상되면 불량 와이어로 판정하고 시험 와이어가 기준 와이어 보다 나중에 손상되면 양품 와이어로 판정하고,
    상기 기준 와이어는 미리 설정된 인장강도를 갖는 재료이며, 상기 시험 와이어는 인장강도가 기준 와이어 인장강도 보다 높은지 아니면 낮은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강도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68181A 2018-06-14 2018-06-14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 KR10200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181A KR102009022B1 (ko) 2018-06-14 2018-06-14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181A KR102009022B1 (ko) 2018-06-14 2018-06-14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022B1 true KR102009022B1 (ko) 2019-10-21

Family

ID=6846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181A KR102009022B1 (ko) 2018-06-14 2018-06-14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02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516A (ko) * 2002-07-12 2004-01-24 주식회사 시몬스침대 진동전달확인장치
KR20060098066A (ko) * 2005-03-08 2006-09-18 대경테크 주식회사 인장시험기용 신장계 측정장치
JP2006337316A (ja) * 2005-06-06 2006-12-14 Hideo Misawa ゴム紐の狭持機構とその張掛計測方法
JP2007024784A (ja) 2005-07-20 2007-02-01 Shimadzu Corp 材料試験機
KR20100114714A (ko) 2009-04-16 2010-10-26 대일공업주식회사 파괴 강도 시험 장치
KR20110037570A (ko) 2009-10-07 2011-04-13 홍종승 압력용기 파괴 압력 시험장치
KR20120095014A (ko) 2011-02-18 2012-08-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모듈 수직 응력 및 파괴 특성 시험장치
KR101649451B1 (ko) * 2015-10-21 2016-08-18 정재성 복수의 축이 구비된 범용재료시험기
KR20170061414A (ko) * 2015-11-26 2017-06-05 (주)신우기전 인장력 시험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516A (ko) * 2002-07-12 2004-01-24 주식회사 시몬스침대 진동전달확인장치
KR20060098066A (ko) * 2005-03-08 2006-09-18 대경테크 주식회사 인장시험기용 신장계 측정장치
JP2006337316A (ja) * 2005-06-06 2006-12-14 Hideo Misawa ゴム紐の狭持機構とその張掛計測方法
JP2007024784A (ja) 2005-07-20 2007-02-01 Shimadzu Corp 材料試験機
KR20100114714A (ko) 2009-04-16 2010-10-26 대일공업주식회사 파괴 강도 시험 장치
KR20110037570A (ko) 2009-10-07 2011-04-13 홍종승 압력용기 파괴 압력 시험장치
KR20120095014A (ko) 2011-02-18 2012-08-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모듈 수직 응력 및 파괴 특성 시험장치
KR101649451B1 (ko) * 2015-10-21 2016-08-18 정재성 복수의 축이 구비된 범용재료시험기
KR20170061414A (ko) * 2015-11-26 2017-06-05 (주)신우기전 인장력 시험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uTube, MyungJi Tech Co., Lt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33046B (zh) 一种测定膜材料力学性能的装置及采用该装置进行测定的方法
CN203275108U (zh) 桥梁模型静力加载装置
KR101313181B1 (ko) 시험편 다축 시험장치
CN104390866A (zh) 一种电缆分线箱扭力试验机及其试验方法
CN105674932A (zh) 一种包装用塑料泡沫厚度及压缩蠕变测试仪
KR101176958B1 (ko) 3점 지지 굽힘 시험기
CN107589031B (zh) 一种校验拉压反力架
CN103592216B (zh) 一种密封条及弹簧的应力应变测试仪及其测试方法
CN110793716A (zh) 一种压力传感器校准用安装装置
KR102009022B1 (ko) 휴대용 비교강도 측정장치
KR101203613B1 (ko)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CN108645711B (zh) 一种用于金属橡胶材料的微位移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215953184U (zh) 一种家具承重测试设备
KR101100520B1 (ko) 만능시험기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강도 측정 장치
CN211784818U (zh) 单轴抗拉强度试验机
CN210180812U (zh) 一种防眩板力学性能试验装置
CN209857944U (zh) 一种薄膜用高精度测厚仪
CN202994600U (zh) 夹持不同规格试样的引伸计
CN205403747U (zh) 一种包装用塑料泡沫厚度及压缩蠕变测试仪
RU100255U1 (ru) Стенд для испыта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на поперечный изгиб при статическом нагружении
CN217586716U (zh) 一种车用橡胶用品可塑度试验机
CN206396815U (zh) 一种竖向位移检测装置
CN216484338U (zh) 一种拉伸测试仪
CN213275174U (zh) 混凝土抗压强度检测装置
CN216309368U (zh) 弹簧冲击试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