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050B1 -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050B1
KR102010050B1 KR1020170120576A KR20170120576A KR102010050B1 KR 102010050 B1 KR102010050 B1 KR 102010050B1 KR 1020170120576 A KR1020170120576 A KR 1020170120576A KR 20170120576 A KR20170120576 A KR 20170120576A KR 102010050 B1 KR102010050 B1 KR 102010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fixing
fixing
materials
support fram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085A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2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0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소재고정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소재고정수단; 및, 상기 소재고정수단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고정홈에 장착된 복수 개의 소재의 높이를 정렬하는 소재정렬수단;을 포함하는 소재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FIXING MATERIAL APPARATUS AND TEST APPARATUS FOR ADHENSION OF MATERIAL}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소재를 고정하여 신속하게 시험할 수 있는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금, 도장소재의 표면밀착성 평가 방법의 하나로 소재를 밴딩하며 밴딩표면의 도금, 도장 탈락여부를 측정한다.
소재의 적용과정에서 소재표면 도금, 도장층의 밀착성은 소재표면 부식이나 품질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소재의 밴딩을 통한 도금, 도장층 밀착성측정과 평가를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도금, 도장층의 밀착성은 소재부식에 따른 품질평가의 핵심인자이며 밀착성 기술의 향상만큼 도금, 도장용액을 절감할수 있어 생산원가 절감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가공소재의 반복적 굽힘을 통해 밴딩을 실시하며 밴딩소재 표면의 도금, 도장층에 대한 밀착성의 측정과 평가를 반복 진행한다.
문제는 반복적 굽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밴딩소재는 균일한 밴딩진행이 어려우며 밴딩부의 일부분이 길거나 짧고 기울기에 따라 밴딩소재의 길이 변동편차가 크게 발생된다.
밴딩소재의 두께가 얇아 소재의 독자적으로 수직유지가 곤란하며 직립과 레벨제어가 반복되면서 수행 형상의 재현성이 어렵다.
도금, 도장소재의 밴딩부 표면측정과 평가진행을 위해 소재를 손으로 잡거나, 블록, 클립 등으로 수직제어를 실시하고 있으나 밴딩부의 정확한 수평유지가 곤란하며 반복적 수행으로 많은 공정과 시간이 소요된다.
외부의 작은 간섭이나 진동에도 쉽게 틀어지거나 쓰러져 소재의 수직유지에 어려움이 가중되어 밴딩표면의 정확한 측정과 평가가 곤란하다.
반복적 굽힘을 통해 제작되는 밴딩소재는 제작과정에서 길이편차가 많고 다수의 소재를 상대로 직립과 랜즈조정을 통한 레벨제어로 도금, 도장층의 이미지가 가장 선명한 상태에서 측정과 평가가 진행되는데 소재마다 직립과 랜즈제어 레벨조정으로 많은 시간과 공정이 소요된다.
도금, 도장층 측정과 평가가 측정장치를 이용한 수작업 진행으로 작업부하의 원인이며 실험 물량 정체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측정과 평가과정에서 도금, 도장층의 이미지 선명도가 불량하면 정확한 품질평가가 곤란하며 소재직립과 렌즈의 레벨제어를 통해 재측정과 평가가 반복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5-0015843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복수 개의 소재에 대해 신속한 소재의 밀착성 시험이 가능한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복수 개의 소재의 높이를 정렬시켜 측정수단에 의한 소재의 밀착성 시험에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소재고정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소재고정수단; 및, 상기 소재고정수단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고정홈에 장착된 복수 개의 소재의 높이를 정렬하는 소재정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정렬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축을 따라 승강 가능한 판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소재고정홈에 고정된 복수 개의 소재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복수 개의 소재의 돌출된 상단의 높이를 같게하는 정렬프레임; 및, 상기 정렬프레임에 제공되고, 복수 개의 소재의 상단의 높이를 정렬시키는 중량체인 웨이트부재;를 구비하는 소재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소재고정수단과 상기 소재정렬수단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소재고정홈에 고정된 복수 개의 소재가 상기 소재고정수단에서 돌출된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설정수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소재고정수단은, 자기력에 의해 소재를 상기 소재고정홈에 고정하는 자력고정체 또는, 탄성력에 의해 소재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소재고정홈에 고정하는 가압고정체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재고정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는 소재고정홈; 및, 상기 소재고정홈 각각에 제공되어 자기력에 의해 소재를 고정하고, 소재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소재의 직립을 가이드하는 자력고정체;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재고정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고, 소재의 직립을 가이드하는 소재고정홈; 및, 상기 소재고정홈 각각에 제공되어 탄성부재를 매개로 소재의 표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체;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압고정체는, 상기 소재고정홈의 내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내입 형성되는 소재고정홀에 내입 설치되는 스프링타입의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소재고정홀에서 진퇴되면서 소재를 가압하는 가압고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프레임의 회전축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재고정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수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소재고정장치; 및, 상기 소재고정장치에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상기 소재고정수단이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복수 개의 소재의 밀착성을 측정하는 측정수단;를 포함하는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소재에 대해 신속한 소재의 밀착성 시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 소재의 높이를 정렬시켜 측정수단에 의한 소재의 밀착성 시험에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재고정장치에 복수 개의 소재가 고정된 상태롤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소재고정장치의 소재고정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소재고정장치의 소재고정수단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소재고정장치를 활용한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를 활용한 측정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에 의한 소재의 밀착성 측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고정장치(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고정장치(10)는 지지프레임(100), 소재고정수단(200) 및, 소재정렬수단(30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승강수단(500) 및, 높이설정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재고정장치(10)는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S)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소재고정홈(230)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소재고정수단(200) 및, 상기 소재고정수단(2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고정홈(230)에 장착된 복수 개의 소재(S)의 높이를 정렬하는 소재정렬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00)에는 소재고정수단(2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부분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130)과, 베이스프레임(130)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110)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30)의 하측에는 장치의 사용과정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보드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0)의 일부에는 외부나사산(11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0)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할 소재고정수단(200), 소재정렬수단(300), 높이설정수단(400), 승강수단(50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소재고정홈(230)은 소재(S)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소재(S)의 직립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소재고정수단(200)은 복수 개의 소재(S)를 고정하고, 고정된 소재(S)의 직립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소재고정수단(200)은 지지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S)가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는 복수 개의 소재고정홈(230)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소재고정홈(230)에는 소재(S)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소재정렬수단(300)은 소재고정홈(230)에 장착된 복수 개의 소재(S)의 높이를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소재고정장치(10)의 소재고정홈(230)에 복수 개의 소재(S)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소재고정홈(230)에 고정된 소재(S)의 상단의 높이는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재(S)의 밀착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20)은 본 발명의 소재고정장치(10)의 상측에 설치되는데, 고정된 소재(S)의 상단의 높이가 각각 상이할 경우 소재(S)의 밀착성의 측정에 있어서 정확한 시험이 힘들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재정렬수단(300)은 소재고정수단(200)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축(110)을 따라 낙하면서 소재정렬수단(300)의 중량에 의해 소재(S)의 상면을 가압하여 소재(S)정렬홈에 고정된 복수 개의 소재(S)의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재고정장치(10)는 소재정렬수단(300)에 의해 소재고정홈(230)에 장착된 복수 개의 소재(S)의 높이를 정렬시켜 측정수단(20)에 의해 소재(S)의 밀착성 시험에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재고정장치(10)는 소재고정수단(200)을 지지프레임(100) 상에서 회전시키면서 복수 개의 소재(S)의 밀착성을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측정하여 재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재고정장치(10)는 소재고정수단(200)과 상기 소재정렬수단(300)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소재고정홈(230)에 고정된 복수 개의 소재(S)가 상기 소재고정수단(200)에서 돌출된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설정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은 회전축(11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소재고정수단(20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소재(S)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설정수단(400)은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고, 소재고정수단(200)과 상기 소재정렬수단(300)의 사이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높이설정수단(400)은 회전축(110)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 개의 높이설정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례로, 높이설정블록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형의 보드 또는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높이설정수단(400)의 높이에 따라 소재고정수단(200)과 소재정렬수단(300) 사이의 간격이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재고정수단(200)에서 소재(S)가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높이설정수단(400)은 스틸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높이설정수단(400)을 중앙에 두고 복수 개의 소재(S)가 소재고정수단(2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소재정렬수단(300)은, 상기 회전축(1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고, 상기 소재고정홈(230)에 고정된 소재(S)의 상면과 접촉되는 정렬프레임(310) 및, 상기 정렬프레임(310)에 제공되고, 복수 개의 소재(S)의 상단의 높이를 정렬시키는 중량체인 웨이트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정렬프레임(310)은 회전축(1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고 소재(S)와 접촉되는 판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정렬프레임(310)은 스틸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정렬프레임(310)은 소재고정홈(230)에 고정된 복수 개의 소재(S)의 상단과 접촉되면서 복수 개의 소재(S)의 돌출된 상단의 높이를 같게 하여 소재고정홈(230)에 고정된 소재(S)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웨이트부재(330)는 정렬프레임(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소재(S)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중량체의 역할을 한다.
웨이트부재(330)는 정렬프레임(3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렬프레임(310)과 웨이트부재(330)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웨이트부재(330)를 교체하여 소재(S)의 상단을 정렬시키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웨이트부재(330)를 중첩적으로 배치하여 소재(S)의 상단을 정렬시키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소재고정수단(200)은, 자기력에 의해 소재(S)를 상기 소재고정홈(230)에 고정하는 자력고정체(250) 또는, 탄성력에 의해 소재(S)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소재고정홈(230)에 고정하는 가압고정체(270)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a를 참조하면, 소재고정수단(200)은, 상기 회전축(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본체(210)와, 상기 프레임본체(210)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는 소재고정홈(230) 및, 상기 소재고정홈(230) 각각에 제공되어 자기력에 의해 소재(S)를 고정하고, 소재(S)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소재(S)의 직립을 가이드하는 자력고정체(2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력고정체(250)는 전면과 상하가 개방된 'ㄷ' 자형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자력고정체(250)는 회전축(110) 방향이 소재(S)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소재(S)의 직립을 가이드하는 축방향부재(251) 및, 상기 축방향부재(251)의 양단부에서 연장되고, 소재(S)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어 소재(S)를 자기력에 의해 고정하는 횡방향부재(253)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축방향부재(251)도 소재(S)를 자기력에 의해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소재고정홈(230)이 소재(S)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소재(S)의 직립을 가이드하고, 자력고정체(250)는 소재(S)의 직립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자력고정체(250)는 대향되는 소재고정홈(230)의 고정면에만 각각 설치되고, 소재고정홈(230)의 회전축(110) 방향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도 4b를 참조하면, 소재고정수단(200)은, 상기 회전축(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본체(210)와, 상기 프레임본체(210)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고, 소재(S)의 직립을 가이드하는 소재고정홈(230) 및, 상기 소재고정홈(230) 각각에 제공되어 탄성부재(273)를 매개로 소재(S)의 표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체(27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고정체(270)는, 상기 소재고정홈(230)의 내면에 매립되고, 탄성부재(273)의 탄성력을 매개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고정홈(230)에 설치된 소재(S)가 외부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가압고정체(270)는, 가압고정체(270)는, 상기 소재고정홈(230)의 내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내입 형성되는 소재고정홀(271)에 내입 설치되는 스프링타입의 탄성부재(273) 및, 상기 탄성부재(273)에 설치되어, 상기 소재고정홀(271)에서 진퇴되면서 소재(S)를 가압하는 가압고정부재(275)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고정체(270)는 소재(S)의 양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소재고정홈(230)의 내면에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가압고정되는 소재고정홈(230)의 내면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소재고정홈(230)의 상단에 한 쌍이 설치되고, 소재고정홈(230)의 하단에 나머지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가압고정체(270)는 소재고정홈(230)의 외측 단부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소재(S)의 일측단부는 소재고정홈(230)의 내측단부에 접한 상태에서, 소재고정홈(230)의 외측 단부영역에 설치된 가압고정체(270)에 의해 소재(S)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일례로, 가압고정체(270)는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에 높이차를 두고 교번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가압고정체(270)는 소재고정홀(271)에서 탄성부재(273)에 연계되어 설치된 가압고정부재(27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재고정홀(271)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소재고정홈(230)에 내입 설치되는 스토퍼부재(277)을 구비할 수 있다.
소재고정홈(230)에 소재(S)가 삽입 설치시, 삽입 고정되는 소재(S)가 가압고정부재(275)의 가압하면서 가압고정부재(275)가 소재고정홀(271)로 내입되고, 소재(S)가 통과하여 고정된 후 가압고정부재(275)가 탄성부재(273)의 탄성력을 매개로 다시 돌출되면서 소재(S)가 소재고정홈(23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소재고정장치(10)는 상기 회전축(1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재고정수단(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수단(500)은 회전축(110)에 설치되고, 소재고정수단(200)의 하측에 설치되어 회전축(110)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측에 설치된 소재고정수단(2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회전축(110)에는 외부나사산(111)이 형성되고, 승강수단(500)에는 외부나사산(111)에 결합되는 내부나사산(510)이 형성되어 승강수단(500)이 회전시 회전축(110)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회전축(110)의 일부에는 외부나사산(111)이 형성될 수 있고, 내부나사산(510)이 형성된 승강수단(500)이 회전축(110)의 외부나사산(111)과 결합되면서 승강수단(500)의 상측에 형성된 소재고정수단(2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수단(500)과 소재고정수단(200)의 사이에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와샤부재(W)가 설치될 수 있다.
와샤부재(W)는 소재고정수단(200)을 회전축(110) 상에서 회전시켜 승강수단(500)을 회전시켜 소재고정수단(200)을 승강시 승강수단(500)과 소재고정수단(200)의 사이의 마찰력의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와샤부재(W)는 마찰력이 적은 PC(Polycarbonate) 소재(S)로 구성될 수 있다.
와샤부재(W)는 소재고정수단(200)을 회전시키면서 복수 개의 소재고정홈(230)에 고정된 소재(S)를 시험시 승강수단(50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승강수단(500) 자체의 승강이 아닌 높이가 상이한 승강수단(500)을 교체하여 설치함으로써, 소재고정수단(2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소재(S)의 밀착성 측정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S)의 밀착성 측정장치는 소재고정장치(10) 및, 측정수단(20)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는 소재고정장치(10) 및, 상기 소재고정장치(10)에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0) 상에서 상기 소재고정수단(200)이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복수 개의 소재(S)의 밀착성을 측정하는 측정수단(2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에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소재고정장치(10)가 적용될 수 있다.
소재고정장치(10)의 세부구성은 이미 설명하였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본 발명의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에 사용되는 소재(S)는 벤딩소재(S)(일례로, 벤딩된 금속판, 벤딩된 도금강판)로 구비될 수 있다.
측정수단(20)은 소재고정장치(10)에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0) 상에서 상기 소재고정수단(200)이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복수 개의 소재(S)의 밀착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측정수단(20)은 금속판의 벤딩부분(T)의 이미지를 측정하여 벤딩부분(T)의 밀착성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수단(20)은 벤딩부분(T)의 표면을 형상을 측정하는 화상측정수단(20)으로 구비될 수 있다.
화상측정수단(20)에 의해 벤딩된 금속판의 표면의 형상을 선명하게 측정하여 밀착성을 판단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재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여 추가측정 및, 추가실험으로 인한 소재(S)가공과 처리과정을 방지하여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측정수단(20)은 소재고정장치(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고정장치(10)에 설치된 소재(S)와의 측정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측정수단(20)의 승강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승강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모터 등의 구동에 의한 승강방식과 작업자의 수동조작에 의한 승강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측정수단(20)은 승강프레임(21)에 설치될 수 있고, 작업자가 조절나사(23)를 돌리고, 조절나사(23)에 연결되고 승강프레임(21) 내부에 설치된 기어조립체(미도시)에 의해 승강프레임(21) 상에서 측정수단(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소재(S)와의 측정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소재(S)의 밀착성 측정장치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00)의 회전축(110)에 승강수단(500), 소재고정수단(200), 높이설정수단(400)이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소재(S)가 고정되는 소재고정수단(200)의 높이가 승강수단(500)에 의해 설정되고, 소재고정수단(200)의 상측에 설치되는 높이설정수단(400)에 의해 복수 개의 소재(S)가 소재고정장치(10)의 상단에서 돌출된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소재고정수단(200)의 복수 개의 소재고정홈(230)에 복수 개의 소재(S)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재고정장치의 소재고정홈(230)에 복수 개의 소재(S)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소재고정홈(230)에 고정된 소재(S)의 상단의 높이는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회전축(110)을 통해 소재고정수단(200)의 상측에 소재정렬수단(300)을 삽입하여 복수 개의 소재(S)의 높이를 정렬할 수 있다.
소재정렬수단(300)이 회전축(110)을 따라 낙하하면서 소재정렬수단(300)의 중량에 의해 소재(S)의 상면을 가압하여 소재(S)정렬홈에 고정된 복수 개의 소재(S)의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소재정렬수단(300)에 의해 복수 개의 소재(S)의 높이가 정렬되면 소재정렬수단(300)은 회전축(110)에서 제거한다.
소재정렬수단(300)이 제거된 후, 상단의 높이가 정렬된 복수 개의 소재(S)의 벤딩부분(T)을 소재고정수단(200)의 상측에 배치된 측정수단(20)을 활용하여 벤딩소재(S)의 밀착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소재고정수단(200)을 회전시키면서 복수 개의 소재(S)의 벤딩부분(T)의 밀착성을 연속적이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소재고정장치 20: 측정수단
21: 승강프레임 23: 조절나사
100: 지지프레임 110: 회전축
111: 외부나사산 130: 베이스프레임
200: 소재고정수단 210: 프레임본체
230: 소재고정홈 250: 자력고정체
251: 축방향부재 253: 횡방향부재
270: 가압고정체 271: 소재고정홀
273: 탄성부재 275: 가압고정부재
277: 스토퍼부재 300: 소재정렬수단
310: 정렬프레임 330: 웨이트부재
400: 높이설정수단 500: 승강수단
510: 내부나사산 S: 소재
T: 벤딩부분 W: 와샤부재

Claims (9)

  1.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소재고정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소재고정수단; 및,
    상기 소재고정수단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고정홈에 장착된 복수 개의 소재의 높이를 정렬하는 소재정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소재정렬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축을 따라 승강 가능한 판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소재고정홈에 고정된 복수 개의 소재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복수 개의 소재의 돌출된 상단의 높이를 같게하는 정렬프레임; 및,
    상기 정렬프레임에 제공되고, 복수 개의 소재의 상단의 높이를 정렬시키는 중량체인 웨이트부재;를 구비하는 소재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고정수단과 상기 소재정렬수단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소재고정홈에 고정된 복수 개의 소재가 상기 소재고정수단에서 돌출된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설정수단;를 더 포함하는 소재고정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고정수단은,
    자기력에 의해 소재를 상기 소재고정홈에 고정하는 자력고정체 또는, 탄성력에 의해 소재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소재고정홈에 고정하는 가압고정체로 구비되는 소재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고정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는 소재고정홈; 및,
    상기 소재고정홈 각각에 제공되어 자기력에 의해 소재를 고정하고, 소재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소재의 직립을 가이드하는 자력고정체;를 구비하는 소재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고정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고, 소재의 직립을 가이드하는 소재고정홈; 및,
    상기 소재고정홈 각각에 제공되어 탄성부재를 매개로 소재의 표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고정체;를 구비하는 소재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체는,
    상기 소재고정홈의 내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내입 형성되는 소재고정홀에 내입 설치되는 스프링타입의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소재고정홀에서 진퇴되면서 소재를 가압하는 가압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소재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축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재고정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수단;를 더 포함하는 소재고정장치.
  9.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재고정장치; 및,
    상기 소재고정장치에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상기 소재고정수단이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복수 개의 소재의 밀착성을 측정하는 측정수단;를 포함하는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
KR1020170120576A 2017-09-19 2017-09-19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 KR102010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576A KR102010050B1 (ko) 2017-09-19 2017-09-19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576A KR102010050B1 (ko) 2017-09-19 2017-09-19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85A KR20190032085A (ko) 2019-03-27
KR102010050B1 true KR102010050B1 (ko) 2019-08-12

Family

ID=6590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576A KR102010050B1 (ko) 2017-09-19 2017-09-19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0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2301A (ja) * 2016-07-08 2018-01-11 コリア コンテナー プー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スライディングパーティション付き運搬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7353B (zh) * 2019-12-04 2021-10-19 河海大学 用于多层粘结材料间粘结强度的试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55B1 (ko) * 2015-03-23 2016-07-14 주식회사 포스코 피처리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953B1 (ko) 2003-08-08 200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금강판의 도금박리성 평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평가방법
KR101203613B1 (ko) * 2010-12-28 2012-11-2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강판의 점적율 시험장치
KR20150124545A (ko) * 2014-04-28 2015-1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편 고정장치
KR101633999B1 (ko) * 2014-10-23 2016-06-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시편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55B1 (ko) * 2015-03-23 2016-07-14 주식회사 포스코 피처리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2301A (ja) * 2016-07-08 2018-01-11 コリア コンテナー プー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スライディングパーティション付き運搬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85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050B1 (ko)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
US11371829B2 (en) Wafer carrier thickness measuring device
KR101267711B1 (ko) 인장 시편 정렬용 지그 및 이를 갖는 인장 시험 장치
CN107219118B (zh) 一种柔性显示材料在特定弯曲条件下的性能测试夹具
CN106226508A (zh) 一种用于橡胶溶胀特性测试的拉伸装置及测试方法
CN212180521U (zh) 一种用于树脂表面耐磨测试的纸带测试仪
US9816796B2 (en) Guide rail straightness tester
CN114252327A (zh) 一种冲压试验机的压力检测装置
CN111272034A (zh) 切片调整装置及其调整方法
JP4417130B2 (ja) ガラス基板の垂直保持装置
KR20090008434U (ko)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KR102109268B1 (ko) 롤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측정방법
CN110672321A (zh) 一种轴承径载变形量的测量装置
CN214224513U (zh) 一种铝塑窗角强度测试仪
KR20170079036A (ko) 모형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시험 방법
CN206504937U (zh) 衬套动刚度性能试验机
KR20100133584A (ko) 접착강도 시험용 지그 장치
KR200464420Y1 (ko) 디지털 필름 코팅기
CN209326592U (zh) 轴承外圈自动检测装置
KR101790057B1 (ko) 모형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시험 장치
KR100528824B1 (ko) 프로브핀의 벤딩방법 및 장치
US9891033B2 (en) Tilt angle adjuster for form measuring device
KR200302285Y1 (ko)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JPH11271005A (ja) 厚みおよび/または反り測定装置とその使用方法
JP3662450B2 (ja) ベルト組立体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