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434U -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434U
KR20090008434U KR2020080002139U KR20080002139U KR20090008434U KR 20090008434 U KR20090008434 U KR 20090008434U KR 2020080002139 U KR2020080002139 U KR 2020080002139U KR 20080002139 U KR20080002139 U KR 20080002139U KR 20090008434 U KR20090008434 U KR 200900084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est
article
ribbo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전
Original Assignee
한경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전 filed Critical 한경전
Priority to KR2020080002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434U/ko
Publication of KR20090008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4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Abstract

본 고안은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는, 피시험 물품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장면의 마찰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피시험 물품이 놓여지는 물품지지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테스트 리본이 감겨 있는 공급롤; 상기 테스트리본을 상기 공급롤로부터 풀어내면서 상기 피시험 물품의 도장면 위로 주행시키는 리본 주행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리본 주행부에 의해 주행되는 테스트 리본이 상기 물품의 도장면과 마찰되면서 주행되도록, 상기 테스트 리본을 상기 물품의 도장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대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가로부재;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가로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되,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제1가로봉; 상기 제1가로봉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하중부; 상기 가로부재의 일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세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테스트 리본을 상기 물품의 도장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Painting surface persistance apparatus}
본 고안은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면의 내구성 시험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의 표면에는 도장이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휴대폰, 카세트, 유선전화기 등과 같은 전자제품이나, 수저, 시계, 자전거, 자동차와 같은 금속제품 그리고 목제로 만든 제품에도 표면에는 거의 예외 없이 각종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도장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제품의 도장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시험을 통하여 내구성을 시험하여 소정의 기준을 통과해야만 상품으로서 판매가 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시험에는 온도나 충격 또는 날카로운 물체와의 접촉 등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시험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도장면에 대한 내구성의 시험 방법의 하나로서, 소정의 표면 마찰계수를 가지고 있는 테스트 리본을 도장면에 접하게 하고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로 진행하도록 장치를 구성하여, 도장면과 테스트 리본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에 대해 도장면이 얼마나 견디는 지를 시험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상기 마찰계수나 가압력은 제품이나 상황에 따라 정해지게 되고, 통과 기준 역시 제품이나 여러 가지 규정에 의하여 정해지게 된다.
이러한 시험방법을 시행하기 위한 종래의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미도시)의 구성은, 도장면을 가지고 있는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물품지지대, 테스트 리본이 감겨져 있는 공급롤, 상기 테스트 리본을 제품의 도장면 위에 접한 상태로 진행하도록 하는 리본 주행부 및 상기 도장면의 상면을 주행하는 상기 테스트 리본을 가압하는 가압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는, 가압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테스트를 해야 할 물품의 도장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 원하는 정확한 하중을 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시험의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장면의 마찰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하는 데 있어, 시험 과정에서 원하는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시험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는, 피시험 물품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장면의 마찰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한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피시험 물품이 놓여지는 물품지지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테스트 리본이 감겨 있는 공급롤; 상기 테스트리본을 상기 공급롤로부터 풀어내면서 상기 피시험 물품의 도장면 위로 주행시키는 리본 주행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리본 주행부에 의해 주행되는 테스트 리본이 상기 물품의 도장면과 마찰되면서 주행되도록, 상기 테스트 리본을 상기 물품의 도장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대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가로부재;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가로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되,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제1가로봉; 상기 제1가로봉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하중부; 상기 가로부재의 일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세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테 스트 리본을 상기 물품의 도장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압부의 세로부재는 상기 가로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고정나사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세로부재의 상부는 세로봉으로 구비되고, 그 세로봉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하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압부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가로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되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제2가로봉과, 상기 제2가로봉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하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면의 일부분이 제거된 원기둥 형상으로서, 상기 가로부재를 지지하다가, 회전하게 되면 그 가로부재의 지지가 해제되도록 하는 임시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물품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직각인 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 위에 위치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물품에 가해지는 압력을 표시하는 저울; 상기 저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고 그 상면에 물품이 놓여져 고정될 수 있는 제1받침부와, 상기 제1받침부에 인접 위치하고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되, 그 상면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고정되고, 그 상면에는 물품이 고정될 수 있는 제2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받침부는, 그 상면에 물품이 고정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 고정되며, 관통형성된 장공을 구비하는 하부블럭과, 그 상단부에 상기 하부플럭의 장공을 관통한 고정나사가 고정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에 의하면, 간편한 조작으로 정확한 하중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2받침부를 더 구비하는 경우 곡면의 도장면에 원하는 하중을 정확하게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10), 물품지지부(20), 공급롤(30), 리본 주행부(40), 지지대(50) 및 가압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1)의 구성부품이 고정되며 보통 강철판으로 만들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수평을 맞추기 위해 그 상면의 일측에는 수준기(미도시)와 그 하부의 각 모퉁이에는 높이가 조절되는 다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한 쌍의 고정블록(212)과 그 고정블록(212)사이에 일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고정된 한 쌍의 제1가이드봉(2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물품지지부(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며, 시험할 물품(100)이 놓여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지지플레이트(21)와 제2지지플레이트(22), 저울(23), 제1받침부(24) 및 제2받침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1)는, 한 쌍의 제1가이드봉(214)에 설치된다. 제1지지플레이트(21)는 제1가이드봉(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해 수평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1지지플레이트(21)에는 제1고정손잡이(216)가 구비되어 있다. 제1고정손잡이(216)를 좌측으로 회전시켜 풀고, 제1지지플레이트(21)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 제1고정손잡이(216)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제1지지플레이트(21)를 제1가이드봉(2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22)의 양단에는 측벽(220)이 하방으로 수직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측벽(220)의 사이에는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상부를 관통하는 2개의 제2가이드봉(224)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지지플레이트(22)는 제2가이드봉(224)에 그 제2가이드봉(224)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어서,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의 방향으로 그 제1지지플레이트(21)에 대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상부에는 제2고정손잡이(226)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1고정손잡이(216)의 동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고정손잡이(226)를 조작하면, 제2지지플레이트(22)를 슬라이딩 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저울(23)은, 제2지지플레이트(22) 위에 지지되어 있다. 가압부(60)에 의해 테스트 리본(32)을 통해 피시험물품의 도장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표시한다. 저울(23)이 제2지지플레이트(22)에 지지되는 방식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지지플레이트(22)가 돌출부를 구비하고, 저울(23)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부를 구비하여, 돌출부가 홈부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받침부(24)는, 저울(23)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고 그 상면에 물품이 놓여져 고정될 수 있다. 제1받침부(24)는, 판 형태이며 저울(23) 상면의 대략 반을 차지하는 크기이고, 중간부재(240)와 판부재(242)에 의해 저울에 지지된다.
상기 제2받침부(25)는, 제1받침부(24)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제2지지플레이트(22)에 고정된다. 제2받침부(25)는 그 상면이 수평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받침부(25)의 상면은 피시험물품이 놓여진다. 제2받침부(25)는 저울(23)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저울(23)의 상부의 제1받침부(24)가 차지하는 부분의 옆에 위치한다. 제2받침부(25)는, 제2지지플레이트(22)에 저울과는 무관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제2받침부(25) 위에 물품이 고정되어도 저울(23)에는 하중이 표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받침부(25)는, 받침판(26), 하부블럭(27) 및 고정부재(2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받침판(26)은, 판형태의 부재로서 그 상면에 물품이 고정된다.
상기 하부블럭(27)은, 받침판(26)의 하면에 고정되며, 관통형성된 장공(28)을 구비한다. 장공(28)은, 받침판(26)과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9)는, 상하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이다. 고정부재(29)의 상단부에는 하부플럭(27)의 장공(28)을 관통한 고정나사(290)가 고정되고, 그 하단부는 제2지지플레이트(22)에 고정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제2받침부(25)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수평에 대해 원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받침판(26)을 기울인 후 고정할 수 있다. 즉, 받침판(26)을 원하는 위치로 하기 위해서는, 고정나사(290)를 풀고, 받침판(26)을 수평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이동시키고, 또한 원하는 각도로 기울인 후 고정나사(290)를 조이면 된다.
한편, 제1받침부(24)와 제2받침부(25)에 피시험물품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고정을 위한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으나, 테이프를 사용하여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클립 등을 사용하여 피시험 물품과 받침부를 함께 집는 방식도 충분히 견고하고 간편하여 좋다.
상기 공급롤(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고정된 공급롤지지대(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테스트 리본(32)이 감겨진다. 상기 테스트 리본(32)은, 피시험 제품의 도장면과 마찰을 발생시키며 진행하는 것으로서, 제품에 따른 소정 의 규정에 따라 선택되어진다.
상기 리본 주행부(40)는, 테스트 리본(32)을 공급롤(30)로부터 풀어내면서 피시험 물품의 도장면 위로 주행시키는 역할을 하며, 구동모터(42)와 구동롤러(44)와 아이들롤러(4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모터(42)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고정되며, 제어부(80)와 연결되어 동작을 제어받는다.
상기 구동롤러(44)는, 탄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벽체(52)의 뒤쪽에서 벨트와 풀리기구(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모터(4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아이들롤러(46)는, 보통 탄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롤러(44)가 회전함에 따라 그와 맞물려 함께 회전하면서, 그 구동롤러(44)와의 사이에 끼워진 테스트 리본(32)을 압송하여 테스트 리본(32)이 물품의 도장면 위로 주행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리본 주행부(40)의 구동롤러(44)와 아이들롤러(46)사이를 빠져나온 테스트 리본(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롤(34)에 감겨지게 되는데, 이러한 수용롤(34)은 구동모터(42)와 벽체(52)의 뒤쪽에서 풀리와 벨트기구로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모터(4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테스트 리본(32)을 감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50)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52)와, 이격벽체(5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벽체(52)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며, 이러한 벽체(5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이격벽체(54)는 그 사이에 4개의 이격봉(520)에 의해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벽체(52)와 이격벽체(54) 사이에는 상술한 구동롤러(44)와 아이들롤러(46)가 설치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부 우측에 구비된 이격봉(529)에는 가로부재(6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5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60)는, 가로부재(61), 제1가로봉(63), 제1하중부(64), 세로부재(65) 및 가압롤러(6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시험물품의 도장면 위로 주행하는 테스트 리본(32)을 가압한다.
상기 가로부재(61)는, 지지대(50)의 벽체(52)와 이격벽체(54)에 힌지축(62)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로부재(61)에는 힌지축(62)에 배치되는 부분에 소재절감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축(62)는 모두 두개 구비되고 각각이 가로부재(61)를 벽체(52)와 이격벽체(54)에 힌지결합시킨다.
가로부재(61)의 좌우 단부는, 도 2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면, 힌지축(62)을 중심으로, 마치 시소와 같이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제1가로봉(63)은, 힌지축(62)을 기준으로 가로부재(61)의 일측에 구비된다. 제1가로봉(63)은, 가로부재(61)에 제1지지블럭(630)을 매개로 하여 가로부재(61)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하중부(61)는, 제1가로봉(6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하중부(61)는 그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으로 제1가로봉(63) 을 관통시킨다. 제1하중부(61)는 제1가로봉(63)의 소정의 지점에 위치하여, 가압롤(66)을 물체로 가압하는데 있어서, 하중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가로봉(63)과 제1하중부(64)의 적절한 가공으로 인해, 별도의 위치 고정수단은 필요 없다.
상기 세로부재(65)는, 가로부재(61)의 일단부 구비되며, 상하의 세로 방향으로 고정된다. 세로부재(65)는 가로부재(61)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공(610)에 삽입되어 승강가능하며, 원하는 위치에 고정나사부(6120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세로부재(65)의 상부는 원기둥 형상의 세로봉(650)으로 구비된다. 세로봉(650)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하중부(67)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롤러(66)는, 세로부재(65)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주행하는 테스트 리본(32)을 피시험 물품의 도장면측으로 가압한다. 회전롤러(66)는 세로부재(65)가하강된 상태에서 주행하는 테스트 리본(32)의 상면을 눌러서 테스트 리본(32)을 도장면에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회전롤러(66)는, 회전롤러(66)와 테스트 리본(32)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행하는 테스트 리본(32)과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회전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회전롤러(66)의 외주면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가압롤러(66)의 좌우측에는 안내롤러(660)들이 구비되어 있다. 안내롤러(660)들은, 세로부재(65)의 하단부에 고정된 롤러블록(66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내롤러(820)는, 롤러블록(662)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행되는 테스트 리본(32)과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테스트 리본(32)이 시험할 물품의 도장면위를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것을 안내한다.
테스트 리본(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내롤러(660)들을 아래에서 위로 다시 위에서 아래로 지나가도록 설치된다. 각 안내롤러(660)의 단부에는 플렌지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테스트 리본(32)이 주행할 때, 상기 플랜지부에 걸리게 되어 안내롤러(660)들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주행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가압부(60)는, 제2가로봉(68)과, 제3하중부(69)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가로봉(68)은, 가압부의 힌지축(62)을 기준으로 가로부재(61)의 타측에 구비된다. 제2가로봉(68)은, 중간지지봉(680)을 매개로 하여 가로부재(61)에 평행하게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중간지지봉(680)은 구동롤러(44)와의 간섭을 피하고자 채용되었다.
제3하중부(69)는, 제2가로봉(68)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2하중부(64, 67)에 대해 힌지축(62)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가압부(60)의 가압력을 원하는 정도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임시지지부재(70)를 더 구비한다.
임시지지부재(70)는, 지지대(50)의 이격벽체(54)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임시지지부재(70)는, 그 일측에 손잡이(72)가 구비되고, 손잡이(72)로부터 원기둥형상의 몸체(73)가 연장된다. 몸체(73)의 타측에는 단면의 일부분이 제거된 임시지 지부(74)를 구비한다.
임시지지부재(70)는, 임시지지부(74)의 직경이 제거되지 않은 부분으로 가로부재(61)를 지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손잡이(72)를 돌려 회전하게 되면 임시지지부(74)가 직경이 제거된 부분이 위를 향하게 되어 가로부재(61)의 지지가 해제되도록 한다. 임시지지부재(70)로 인해, 물품에 원하는 하중을 주는 준비작업을 하는 동안, 가로부재(61)의 적절한 수평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의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테스트 리본(32)을 공급롤(30)로부터 풀어서 리본안내부(660)의 복수의 안내롤러에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고, 그 안내롤러(660)들로부터 빠져나온 테스트 리본(32)을 두 개의 보조아이들롤러(320, 322)을 거쳐 구동롤러(44)와 아이들롤러(46)의 사이를 통과시켜 수용롤(34)에 감아둔다.
우선, 제1받침부(24)에 피시험물품(100)를 올려놓고 시험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저울(23)의 일측 상부에 위치한 제1받침부(24)의 상면에 시험할 물품(100)을 올려놓은 후, 시험할 도장면이 가려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투명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혹은 집게와 같은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런 후에, X-Y방향으로 수평 이동가능한 물품지지부(20)의 제1지지플레이트(21)와 제2지지플레이트(22)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가압부(60)의 가압롤(66)의 하부에 물품(100)의 시험할 도장면이 오도록 한 상태에서, 제1고정손잡이(216)와 제2고정손잡이(226)를 사용하여 제1지지플레이트(21)와 제2지지플레이 트(22)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물품(10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임시지지부재(70)가 가로부재(61)를 지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가압부(60)를 가압롤러(66)가 물품(100)의 상면에 위치한 테스트 리본(32)에 위치하도록 하고, 세로부재(65)를 적절한 지점에 위치시킨 후 고정나사부(612)를 죄어 그 위치에 고정한다. 그 후 임시지지부재(70)를 돌려 가로부재(61)와 이격시킨다. 이렇게 되면, 가압부(60)의 가압롤러(66)는 물품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그 후, 물품에 가해지는 하중을 원하는 크기가 되도록 조정하기 위해, 제1,2,3 하중부(64, 67, 69)의 위치를 조정한다. 주로 제1하중부(64)와 제3하중부(69)의 위치를 조절하면 저울(23)에 표시된 측정치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 수치가 물품(100)의 도장면이 받는 압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들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제1하중부(64)와 제3하중부(69)의 위치변동은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원하는 하중을 얻기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치 않도록 하중부들에 형성된 관통공이 그 크기와 접촉하는 내측면이 가공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위치한 제어부(90)를 조작하여 구동모터(42)를 구동시켜 테스트 리본(32)을 주행시키도록 한다. 제어부(90)는 통상적인 on/off 기능이외에도 카운터 센서(82)를 통해서 구동롤러(44)의 회전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원하는 회전수를 시험 전에 혹은 도중에 셋팅함으로써, 구동롤러(44)가 원하는 회전수에 이르면 자동적으로 동작을 멈추게 하는 할 수도 있고, 또한 테스트 리본(32)의 주행속도도 조절할 수 있다.
시험도중 저울(23)에 표시되는 측정치는, 주행되고 있는 테스트 리본(32)을 통해 도장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것이므로 원하는 크기의 가압력이 유지되고 있는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100)의 도장면에 테스트 리본(32)이 정해진 가압력을 받으며 정해진 양만큼 진행되면 시험은 끝나게 된다. 이렇게 시험이 끝난 물품(100)의 도장면의 상태를 보고 도장면의 마찰에 대한 내구성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물품을 지지하는 물품지지부(20)의 위치저절과 가압부의 높이의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므로, 시험할 물품(100)의 크기나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고 폭넓게 이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며, 곡면의 도장면에 대한 시험을 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수평상태의 제2받침부(25)의 받침판(26)에 곡면의 도장면을 가지는 피시험 물품을 고정한다. 그리고, 곡면의 도장면에 가해져야 할 하중은, 상술한 제1받침부에 물품을 고정하고 하중을 조절하는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한다. 즉, 제2받침부(25)에 피시험 물품을 고정하기 전, 혹은 고정하고 난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하중부들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정도로 하중을 조정한다.
하지만, 저울은 제1받침부(24)에 가해지는 하중만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물품을 제2받침부(25)에 고정한 경우에도, 하중은 제1받침부(24)를 이용하여 조절한다. 이때 제1받침부(240의 위에는 아무런 물품을 올려놓지 않아도 무관하다. 하중 이 원하는 정도로 조절되었으며, 우선 임시지지부재(70)를 이용하여 가압부(60)의 위치를 임시로 고정하여 둔다.
다음으로, 고정된 물품의 시험하고자 하는 곡면의 도장면이 가압부(60)의 가압롤러(66)에 대해 직교하도록 제2받침부(25)를 조절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받침부(25)의 받침판(26)의 각도를 조절하여 도장면에 접하는 선이 수평이 되도록 한 후, 고정나사(290)를 죄어 받침판(26)을 고정한다. 그리고, 제1,2지지플레이트(21, 22)의 위치를 조정하여, 곡면의 도장면이 가압롤러(66)의 바로 아래에 오도록 한다. 제1,2지지플레이트(21,22)들이 상호 직각 방향으로 이동되고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중을 물품(100)의 정확히 원하는 위치에 가해지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임시지지부재(70)의 손잡이(72)를 회전시켜 임시지지부(74)의 제거된 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가압부(60)의 가로부재(61)의 지지를 해제하여, 가압롤러(66)가 곡면의 도장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이때, 가압부의 하중은 연직하방을 향하고 있고, 곡면의 도장면은 수평방향으로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전에 설정된 크기의 하중이 분산되는 것 없이 그대로 도장면에 작용하게 된다. 그 후 상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 리본(32)을 주행시켜 시험을 진행한다.
즉, 간단히 설명하면, 제받침부(24)에서 원하는 하중을 설정하고, 곡면을 가지는 제품은 제2받침부(25)에 그 곡면의 접하는 선이 수평을 이루도록 위치고정시킨후, 제2받침부(25)를 이동시켜 하중부(60) 아래로 이동시켜 시험을 하는 것이다.
종래의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의 경우, 고정된 수평의 물품 받침부만을 구 비하고 있기 때문에, 곡면을 이루는 도장면에 대한 내구성 시험에 있어서, 원하는 하중을 정확히 가할 수 없었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곡면의 도장면에 하중이 가해지고 그 하면에 위치한 저울에 하중이 표시되는 경우에도, 경사진 곡면에 가해지는 하중이 곡선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과 연직하방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실제 도장면에 가해지는 하중은, 저울에 그 표시된 만큼의 하중이 곡면의 도장면에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도장면에 수직한 하중의 성분 만큼이 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의 경우,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고정될 수 있는 제2받침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곡면의 고장면에 대한 내구성 시험도 신뢰성 있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주요부 측면의 개략적 부분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의 저울과 제1,2받침부 만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의 임시지지부재만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에 곡면의 도장면을 가진 피시험 물품이 장착되어 시험되고 있는 것을 간략하게 예시한 도면.

Claims (6)

  1. 피시험 물품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장면의 마찰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한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피시험 물품이 놓여지는 물품지지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테스트 리본이 감겨 있는 공급롤;
    상기 테스트리본을 상기 공급롤로부터 풀어내면서 상기 피시험 물품의 도장면 위로 주행시키는 리본 주행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리본 주행부에 의해 주행되는 테스트 리본이 상기 물품의 도장면과 마찰되면서 주행되도록, 상기 테스트 리본을 상기 물품의 도장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대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가로부재;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가로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되,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제1가로봉;
    상기 제1가로봉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하중부;
    상기 가로부재의 일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세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테스트 리본을 상기 물품의 도장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세로부재는 상기 가로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고정나사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세로부재의 상부는 세로봉으로 구비되고, 그 세로봉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하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가로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되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제2가로봉과, 상기 제2가로봉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하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면의 일부분이 제거된 원기둥 형상으로서, 상기 가로부재를 지지하다가, 회전하게 되면 그 가로부재의 지지가 해제되도록 하는 임시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 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직각인 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 위에 위치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물품에 가해지는 압력을 표시하는 저울;
    상기 저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고 그 상면에 물품이 놓여져 고정될 수 있는 제1받침부와,
    상기 제1받침부에 인접 위치하고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되, 그 상면이 수평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고정되고, 그 상면에는 물품이 고정될 수 있는 제2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부는,
    그 상면에 물품이 고정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 고정되며, 관통형성된 장공을 구비하는 하부블럭과,
    그 상단부에 상기 하부플럭의 장공을 관통한 고정나사가 고정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KR2020080002139U 2008-02-18 2008-02-18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KR200900084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139U KR20090008434U (ko) 2008-02-18 2008-02-18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139U KR20090008434U (ko) 2008-02-18 2008-02-18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434U true KR20090008434U (ko) 2009-08-21

Family

ID=4129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139U KR20090008434U (ko) 2008-02-18 2008-02-18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43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1947A (zh) * 2013-09-16 2013-12-25 轻工业钟表研究所 利用织物带测试镀层耐磨性能的方法
KR101349789B1 (ko) * 2012-08-17 2014-01-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필름굽힘 시험장치
CN104142232A (zh) * 2014-06-13 2014-11-12 广州南洋电器有限公司 一种滚轮寿命试验机
KR101465345B1 (ko) * 2013-06-25 2014-1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곡면을 갖는 시편의 시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789B1 (ko) * 2012-08-17 2014-01-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필름굽힘 시험장치
KR101465345B1 (ko) * 2013-06-25 2014-1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곡면을 갖는 시편의 시험 장치
CN103471947A (zh) * 2013-09-16 2013-12-25 轻工业钟表研究所 利用织物带测试镀层耐磨性能的方法
CN104142232A (zh) * 2014-06-13 2014-11-12 广州南洋电器有限公司 一种滚轮寿命试验机
CN104142232B (zh) * 2014-06-13 2016-08-17 广州南洋电器有限公司 一种滚轮寿命试验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0903B1 (en) Abrasive wear test device and method
JP5963094B2 (ja) 車両の車輪のバランスを調整するバランス調整機
KR20090008434U (ko)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CN210090188U (zh) 一种夹持牢固的纸尿裤拉力测试仪
CN104165764B (zh) 汽车内嵌旋钮开关耐久试验装置
CN212180521U (zh) 一种用于树脂表面耐磨测试的纸带测试仪
KR200302285Y1 (ko) 도장면 내구성 시험장치
CN101957305A (zh) 漆包线模拟绕线预拉伸装置
KR102010050B1 (ko) 소재고정장치 및, 소재의 밀착성 시험장치
JPH1040749A (ja) 電線マーキング用押えローラの偏心測定装置
CN116793844A (zh) 一种建筑材料强度检测设备及检测方法
CN113281073B (zh) 修正带综合测试仪
KR20200034461A (ko) 롤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측정방법
RU220157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толщины стенки пустотелой цилиндрической детали
CN114571389A (zh) 一种电气检测装置用夹具及其使用方法
RU2476851C1 (ru) Стенд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параметров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линейного привода ленточного конвейера
JP3662450B2 (ja) ベルト組立体の検査方法
CN220508608U (zh) 一种适配各种邵氏橡胶硬度计的手动测试支架
JP3097479U (ja) 摩擦試験機
JP2002255128A (ja) 缶の巻締め部寸法測定装置
CN220472464U (zh) 一种方便操作的钢卷尺检定装置
CN219223920U (zh) 一种用于砝码计量检定中的缓降装置
CN209802879U (zh) 一种扣件试验机
KR200450888Y1 (ko) 표면조도측정기의 고무롤러 지지장치
CN211291918U (zh) 弹簧测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