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706B1 - 휴대 전자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706B1
KR101202706B1 KR1020110007442A KR20110007442A KR101202706B1 KR 101202706 B1 KR101202706 B1 KR 101202706B1 KR 1020110007442 A KR1020110007442 A KR 1020110007442A KR 20110007442 A KR20110007442 A KR 20110007442A KR 101202706 B1 KR101202706 B1 KR 101202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detected
letter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423A (ko
Inventor
마사토 하리카에
마사유키 다카야마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6061A external-priority patent/JP56607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6058A external-priority patent/JP5528831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8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상기 조작 검출부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함과 함께, 당해 입력된 문자에 관한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 외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에 의하여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함과 함께, 당해 입력된 문자에 관한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어방법{PORTABLE ELECTR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PORTABLE ELECTRIC APPARATUS}
본 발명은, 복수의 조작이 검출되는 휴대 전자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복수의 조작 검출부를 가지는 입력장치 등의 휴대 전자기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1-274888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복수의 조작 검출부를 가지는 휴대 전자기기에서는, 사용자가 하나의 조작 검출부를 조작하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잘못하여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를 조작하여, 휴대 전자기기의 조작성이 손상될 염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휴대 전자기기에서는,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이 기대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자기기는, 제 1 조작부와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상기 조작부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조작부에 대한 제 1 조작으로부터 상기 제 2 조작부에 대한 제 2 조작까지의 시간 간격을 계측하는 계시부(計 時部)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과 상기 제 2 조작의 상기 시간 간격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와,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복수의 문자에 대한 처리를 다르게 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복수의 문자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복수의 문자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처리로서, 상기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차례로 선택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선택하는 순서를 소정의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선택하는 속도를 소정의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부 중의 특정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특정 조작부가 조작된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문자를 소거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된 복수의 문자 중 선택되어 있던 문자 이외의 문자를 소거하여도 된다.
또, 상기 휴대 전자기기는, 통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이며, 또한 상기 제 1 조작이 검출된 시점에서 이미 입력되어 있던 기입력 문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처리로서,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상기 기입력 문자와 구별하여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하여도 된다.
또, 상기 휴대 전자기기는, 통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이며, 또한,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조작부 에 대한 조작에 따라 문자가 새롭게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처리로서,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상기 새롭게 입력된 문자와 구별하여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와,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복수의 문자의 입력 규칙을 다르게 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조작된 순서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조작된 상기 조작부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를 입력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조작된 순서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조작 전에 이미 입력된 문자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를 입력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복수의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당해 조작으로 동일한 조작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의 시간 간격으로 행하여졌다고 가정한 경우에 입력되는 문자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의 시간 간격으로 복수의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당해 조작과 동일한 조작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행하여졌다고 가정한 경우에 입력되는 문자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입력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한 복수의 문자를 입력함과 함께, 당해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차례로 선택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선택하는 순서를 상기 입력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선택하는 속도를 상기 입력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선택하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부 중의 특정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특정 조작부가 조작된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는 문자를 소거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된 복수의 문자 중 선택되어 있던 문자 이외의 문자를 소거하여도 된다.
또, 상기 휴대 전자기기는, 통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이며, 또한 상기 제 1 조작이 검출된 시점에서 이미 입력된 기입력 문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상기 기입력 문자와 구별하여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하여도 된다.
또, 상기 휴대 전자기기는, 문자와, 처리의 대상이 되는 문자를 특정하는 커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와,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에 대한 상기 커서의 배치 위치에 관한 조건을 다르게 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를 상기 커서에 의해 1문자씩 차례로 선택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와,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의 입력 규칙을 다르게 함으로써,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에 대한 상기 커서의 배치 위치에 관한 조건을 다르게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제 1 조작부와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상기 조작부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와, 제 1 조작과 제 2 조작의 시간 간격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행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소정의 문자를 1문자씩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제 1 조작부와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상기 조작부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와, 제 1 조작과 제 2 조작의 시간 간격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한 복수의 문자를 입력함과 함께, 당해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차례로 선택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문자의 입력 규칙을 다르게 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1)의 외관 사시도,
도 1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1)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2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a는 2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4b는 2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4c는 2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4d는 2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하는 도,
도 5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a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6b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6c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6d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6e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6f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7a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7b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7c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7d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7e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7f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7g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8은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표시되는 메시지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9는 제어부(35)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a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1b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2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a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3b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3c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4a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4b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5a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5b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5c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5d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5e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5f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도 16a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16b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16c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16d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16e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16f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16g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17은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표시되는 메시지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18은 제어부(35)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휴대 전자기기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1)의 기본 구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1)의 외관 사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1(a)는, 휴대전화기(1)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휴대전화기(1)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전화기(1)는, 제 1 박스체(10)와, 제 2 박스체(20)를 구비한다.
제 1 박스체(10)에는, 그 전면(11)에, 표시부(12)가 배치된다. 표시부(12)는, 소정의 내부처리가 실행되어, 후술하는 조작부(22)의 조작에 따라, 문자 및 숫자의 적어도 한쪽을 표시한다. 또, 표시부(12)는, 소정의 내부처리가 실행되어, 통화의 상대 측의 전화번호나 메일 어드레스 및 메일 내용 등의 각종 정보(문자정보나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또, 제 1 박스체(10)에는, 그 전면(11)에, 마이크(13) 및 리시버(14)가 배치된다. 마이크(13)는,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가 통화 시에 발한 음성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리시버(14)는, 통화의 상대 측의 음성을 출력한다.
또, 제 1 박스체(10)에는, 그 측면에 스피커(15)가 배치된다. 스피커(15)는, 휴대전화기(1)에 대한 착신을 알리는 음성 등을 출력한다.
제 2 박스체(20)에는, 그 전면(21)에, 조작부(22)가 배치된다. 전면(21)이란, 제 1 박스체(10)의 배면[제 1 박스체(10)의 전면(11)과는 반대측 면]과 마주보는 면이다.
제 1 박스체(10)와 제 2 박스체(20)는, 연결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박스체(10)와 제 2 박스체(20)는, 연결부재에 의해 개폐 방향(D)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2 박스체(20)는, 제 1 박스체(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개방상태를 형성하고[도 1(a) 참조], 또는 제 1 박스체(10)와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폐쇄상태를 형성한다[도 1(b) 참조]. 즉, 휴대전화기(1)는, 제 1 박스체(10) 및 제 2 박스체(20)가 평면으로 보아 서로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폐쇄상태를 형성하고, 제 2 박스체(20)가 제 1 박스체(10)에 대하여 옆쪽으로 인출됨으로써[제 1 박스체(10)가 제 2 박스체(20)에 대하여 옆쪽으로 압출됨으로써] 개방상태를 형성한다.
조작부(22)는, 제 1 박스체(10)와 제 2 박스체(20)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개방상태가 되었을 때에 조작 가능하게 된다.
조작부(22)는, 이른바 QWERTY 배열의 키 배열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22)는, 조작키 부재(22a)와, 키 스위치(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작키 부재(22a)는, 문자나 기호, 숫자 등이 각각에 할당되는 제 1 키(221)[도 1(a)에서의 파선부로 둘러싸이는 키]와, 입력된 문자나 기호, 숫자 등을 삭제하는 삭제키[도 1(a)에서의 「del」키](222)와, Ctrl키나, Shift키 등의 문자나 기호, 숫자 등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제 2 키(223)와, 사이드키(224)를 가진다.
사이드키(224)는, 조작부(22)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제 2 박스체(20)의 좌측면에 배치되고,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의 어느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서, 휴대전화기(1)의 기능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휴대전화기(1)는, 조작부(22)와, 마이크(13)와, 표시부(12)와, 리시버(14)와, 스피커(15)와, 드라이버 IC(30)와, 통신부(31)와, 화상 처리부(32)와, 음성 처리부(33)와, 기억부(34)와, 제어부(35)와, 바이브레이터(38)를 구비한다.
조작키 부재(22a)는, 복수의 조작키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키 기판(22b)은, 복수의 키 스위치(도시 생략)를 가진다. 복수의 키 스위치 각각은, 각 조작키 부재(22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키 기판(22b)에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 각각은, 예를 들면, 그릇 모양으로 만곡하여 입체적으로 형성된 금속판의 메탈 돔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탈 돔은, 그 그릇 모양 형상의 정점이 가압되면, 키 기판(22b)의 표면에 인쇄된 전기회로(도시 생략)에 형성되는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31)는, 메인 안테나(311)와 RF 회로부(312)를 구비하고, 소정의 통신지와 통신을 행한다. 통신부(31)가 통신을 행하는 통신지로서는, 휴대전화기(1)와 전화나 메일의 송수신을 행하는 외부 단말장치나, 휴대전화기(1)가 인터넷 접속을 행하는 외부의 웹 서버 등의 외부 장치를 들 수 있다.
메인 안테나(311)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RF 회로부(312)는, 메인 안테나(311)에 의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 처리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제어부(35)에 공급한다. 또, RF 회로부(312)는, 제어부(35)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 처리하여, 메인 안테나(311)를 거쳐 외부 장치(기지국)에 송신한다.
화상 처리부(32)는, 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드라이버 IC(30)에 출력한다. 드라이버 IC(30)는, 화상 처리부(32)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도시 생략)에 축적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표시부(12)에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33)는, 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RF 회로부(312)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음성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리시버(14)나 스피커(15)에 출력한다. 리시버(14) 및 스피커(15)는, 음성 처리부(33)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또, 음성 처리부(33)는, 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1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RF 회로부(312)에 출력한다. RF 회로부(312)는, 음성 처리부(33)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메인 안테나(311)에 공급하여, 메인 안테나(311)에 의해 전파로서 외부로 출력시킨다.
기억부(34)는, 예를 들면, 워킹 메모리를 포함하고, 제어부(35)에 의한 연산 처리에 이용된다. 또, 기억부(34)에는, 휴대전화기(1) 위에서 동작하는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데이터나 테이블 등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기억부(34)에는, 어드레스 북, 전자 메일이 기억되는 메일 DB, 각종 사전 등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34)는,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이어도 된다.
제어부(35)는, 휴대전화기(1)의 전체를 제어하고 있고, 표시부(12), 통신부(31), 화상 처리부(32), 음성 처리부(33) 및 바이브레이터(38)에 대하여 소정의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부(35)는, 키 스위치(22b-1)가 가압되면, 가압된 키 스위치(22b-1)가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키 스위치(22b-1)가 가압된 것을 검출하는 키 검출부(351)를 가진다. 그리고, 키 스위치(22b-1)와, 키 검출부(351)는, 조작 검출부(23)를 구성한다.
바이브레이터(38)는, 제어부(35)를 따라 구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바이브레이터(38)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통지를 행한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특징적인 동작(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2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상태(도 3에서의 사선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a~도 4d는, 2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는, 조작 검출부(23)가 동시에 눌러진 경우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가 당해 기능을 발휘시키는 동작(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조작 검출부(23)가 동시에 눌러진다」란,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는 것을 말한다. 또, 「조작 검출부(23)가 동시에 눌러지지 않는다」란,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는 것을 말한다.
또, 소정의 시간 간격(T)은, 하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제일 먼저 조작이 검출된 때부터 기산(起算)하여 타이머(352)로 계수된다. 단,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 복수의 조작 검출부(23)의 조작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의 경과 후에, 소정의 시간 간격(T)의 기산을 리세트하는 것으로 한다.
즉, 「동시에 눌러지는 조작 검출부(23)」란, 제일 먼저 조작이 검출된 하나의 조작 검출부(23)를 포함하고 있고, 당해 하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 간격(T)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조작 검출부(23)를 포함한다. 또한, 소정의 시간 간격(T)은, 예를 들면, 0.1초 정도이다.
제어부(35)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입력되는 문자의 색, 크기, 폰트의 종류, 배경색 등의 입력되는 문자에 관한 각종 설정을 행하여, 표시부(12)에 문자를 입력(표시)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함과 함께, 당해 입력된 문자에 관한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함과 함께, 당해 입력된 문자에 관한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제 1 키(221)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문자 「F」키 및 문자 「G」키의 누름이,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검출되면(도 3참조), 당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인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함과 함께(도 4a 참조), 입력된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1) 및 영역(42)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제어부(35)는, 입력된 복수의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소정의 처리로서 행한다(도 4a 및 도 4b 참조).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 「문자를 선택한다」란, 문자 및 그 문자에 대응하는 영역이 선택되어 액티브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문자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커서(50)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35)는, 제 1 키(221)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문자 「F」키 및 문자 「G」키의 누름이,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검출되면(도 3 참조), 당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인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함과 함께(도 4a 참조), 입력된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1) 및 영역(42)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복수의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순서를 소정의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일 먼저 입력된 문자가 제일 먼저 선택되는」것을 소정의 규칙으로서 사용하여도 된다. 통상은, 제어부(35)는, 나중에 입력된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2)을 커서(50)에 의해 선택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제어부(35)는, 먼저 입력된 문자 「F」에 대응하는 영역(41)을 커서(50)에 의해 선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5)는, 나중에 입력된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2)을 커서(50)에 의해 선택한다.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복수의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속도를 소정의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일 먼저 입력된 문자가 선택되는 속도는, 그 나중에 입력된 문자가 선택되는 속도보다 긴」것을 소정의 규칙으로서 사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35)는, 제일 먼저 입력된 문자 「F」에 대응하는 영역(41)을, 커서(50)에 의해 시간 간격 T1 동안 선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5)는, 나중에 입력된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2)을, 커서(50)에 의해 시간 간격 T1 보다 짧은 시간 간격 T2(T1 >T2) 동안 선택한다.
제어부(35)는, 소정의 처리의 결과로서 선택된 문자 「F」 또는 문자 「G」 중 어느 한쪽을, 소정의 처리의 결과로서 선택되어 있지 않은 문자 「F」 또는 문자 「G」 중 어느 다른 쪽과 구별하여,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의해 통지한다.
즉, 제어부(35)는, 표시부(12)에서, 문자 「F」에 대응하는 영역(41) 또는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2)에 커서(50)를 표시함으로써, 선택된 문자 「F」 또는 문자 「G」 중 어느 한쪽을, 선택되어 있지 않은 문자 「F」 또는 문자 「G」 중 어느 다른쪽과 구별하여, 통지한다.
또한, 통지부로서는, 표시부(12)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제어부(35)는, 스피커(15)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음색을 다르게 함으로써, 선택된 문자 「F」또는 문자 「G」 중 어느 한쪽을, 선택되어 있지 않은 문자 「F」 또는 문자 「G」 중 어느 다른쪽과 구별하여, 통지하여도 된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 중의 특정한 조작 검출부(23)[예를 들면, 문자나 기호, 숫자 등이 각각에 할당되는 제 1 키(221)]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제어부(35)는, 입력된 복수의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한쪽을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소정의 처리로서 행하고 있을 때에, 조작 검출부(23) 중의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특정 조작 검출부)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시점에서, 소정 처리의 결과로서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던 영역의 문자를 소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던 영역의 문자를 소거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선택되어 있던 영역의 문자를 남기고, 그 밖의 동시 누름에 기인하는 문자를 소거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G」가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 (도 4a 참조),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42)의 문자인 문자 「G」를 소거한다(도 4c 참조).
한편,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F」가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41)의 문자인 문자 「F」를 소거한다(도 4d 참조).
상기한 도 3 및 도 4a~도 4d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2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1)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 3개 이상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이어도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상태(도 5에서의 사선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a~도 6f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어부(35)는, 제 1 키(221)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문자 「R」, 문자 「F」키 및 문자 「G」키의 누름이,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검출되면(도 5 참조), 당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인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함과 함께 (도 6a 참조), 입력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1), 영역(42) 및 영역(43)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제어부(35)는, 상기한 도 3, 도 4a 및 도 4b와 마찬가지로, 입력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소정의 처리로서 행한다(도 6a, 도 6b 및 도 6c 참조).
그리고,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R」이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도 6a 참조),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43)의 문자인 문자 「R」을 소거한다(도 6d 참조).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F」가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41)의 문자인 문자 「F」를 소거한다(도 6e 참조).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G」가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42)의 문자인 문자 「G」를 소거한다(도 6f 참조).
또한, 제어부(35)는, 통지부로서의 스피커(15)나 바이브레이터(38)에 의해 소정의 처리에 대응하는 통지를 행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스피커(15)로부터 소리를 출력시키거나, 바이브레이터(38)를 진동시킴으로써, 소정의 처리에 대응하는 통지를 행한다.
도 7a~도 7f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5)는, 당해 조작이 검출된 시점에서, 이미 입력된 기입력 문자 「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입력된 문자를 기입력 문자와 구별하여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의해 통지(표시)함으로써,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도 7a~도 7f 참조).
여기서, 표시부(12)에 의한 통지(표시)로서는,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한쪽의 색을 차례로 변화시키거나 (도 7a 및 도 7b 참조),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1) 및 영역(42) 중 어느 한쪽을 차례로 반전 표시시키거나(도 7c 및 도 7d 참조),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한쪽을 차례로 확대 표시시키거나(도 7e 및 도 7f 참조), 동시에 눌러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도 7G의 메시지 60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의 계수가 종료한 후에,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A」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에 할당된 문자 「A」가 새롭게 입력되면,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F」 및 문자 「G」를, 새롭게 입력된 문자 「A」와 구별하여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의해 통지하여도 된다.
여기서, 표시부(12)에 의한 통지(표시)로서는,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한쪽의 색을 차례로 변화시키거나,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1) 및 영역(42) 중 어느 한쪽을 차례로 반전 표시시키거나,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한쪽을 차례로 확대 표시시키거나, 동시에 눌러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도 8은,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표시되는 메시지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이 경과한 후에,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기능(예를 들면,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메일 본문을 입력하는 기능)을 종료하는 조작이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을 통지하는 메시지(61)를 표시부(12)에 표시하여도 된다(도 8 참조).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함과 함께, 사이드키(224)의 누름 등의 소정의 조건에 따라, 당해 입력된 문자의 선택을, 소정의 처리로서 행하여도 된다.
즉, 제어부(35)는,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한다 (도 4a 참조). 그리고, 제어부(35)는, 사이드키(224)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것에 따라, 입력된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한다.
도 9는, 상기한 제어부(35)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처리에서는,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가 조작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에서, 조작 검출부(23)는,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제 1 키(221)의 조작을 검출한다(도 3 참조).
단계 S2에서, 제어부(35)는, 검출된 조작이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인 경우에는, 단계 S3으로 이행한다. 한편,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인 경우에는, 단계 S4로 이행한다.
단계 S3에서, 제어부(35)는,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인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함과 함께(도 4a 참조), 입력된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한쪽을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소정의 처리로서 행한다(도 4a 및 도 4b 참조).
단계 S4에서, 제어부(35)는,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인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한다.
단계 S5에서,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G」가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도 4a 참조),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42)의 문자인 문자 「G」를 소거한다 (도 4c 참조). 한편,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F」가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41)의 문자인 문자 「F」를 소거한다(도 4d 참조).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상기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함과 함께, 당해 입력된 문자에 관한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함과 함께, 당해 입력된 문자에 관한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와,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소정 영역에 대한 처리를 다르게 한다. 즉, 휴대전화기(1)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23)가 동시에 눌러진 경우와, 복수의 조작 검출부(23)가 동시에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 입력된 문자에 대한 처리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소정 영역에 대한 처리를 다르게 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1)는,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복수의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소정의 처리로서 행한다. 즉, 휴대전화기(1)는, 동시에 눌러진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단일의 조작 검출부(23)를 조작하려고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잘못하여 복수의 조작 검출부(23)를 조작한 경우에, 동시에 눌러진 문자가 차례로 선택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본래는 입력할 의도가 없는 문자를 삭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는,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복수의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순서를 소정의 입력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소정의 규칙을 파악하여 조작을 행함으로써, 잘못하여 동시에 눌러진 경우에, 잘못된 조작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더욱 신속하게 삭제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복수의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속도를 소정의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동시에 눌러진 문자의 어느 한쪽을 더욱 확실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조작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더욱 신속하게 삭제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소정의 처리로서 행하고 있을 때에, 조작 검출부(23) 중의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시점에서, 소정의 처리의 결과로서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던 영역의 문자를 소거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동시에 눌러진 문자의 어느 하나를 더욱 확실하게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는,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처리의 결과로서 선택된 문자 「F」 또는 문자 「G」 중 어느 한쪽을, 소정의 처리의 결과로서 선택되어 있지 않은 문자 「F」 또는 문자 「G」 중 어느 다른쪽과 구별하여 표시부(12)에 의해 통지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동시에 눌러진 문자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 중의 특정 조작 검출부(23)[예를 들면, 제 1 키(221)]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동시에 눌러지는 경우가 많은 Shift키나 Ctrl키 등의 제 2 키(223)가 조작된 경우에는, 소정의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고, 제 1 키(221)가 조작된 경우에는, 소정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1)는, 조작 검출부(23)의 조작에 따라,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통지부로서의 스피커(15)나 바이브레이터(38)에 의해 소정의 처리에 대응하는 통지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가 표시부(12)를 시인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에 대하여 동시에 눌러진 것을 통지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5)는, 당해 조작이 검출된 시점에서, 이미 입력된 기입력 문자 「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입력된 문자를 기입력 문자와 구별하여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의해 통지(표시)함으로써,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동시에 눌러진 문자와 기입력 문자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이 경과한 후에,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A」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에 할당된 문자 「A」가 새롭게 입력되면,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F」 및 문자 「G」를, 새롭게 입력된 문자 「A」와 구별하여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의해 통지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동시에 눌러진 문자의 다음에 새로운 문자가 입력된 경우에, 동시에 눌러진 문자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동시 누름이 의도하지 않게 행하여진 경우에, 동시 누름에 의해 입력된 불필요한 문자에 계속해서 새로운 문자가 입력된다는 사태를 미연에 억제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함과 함께, 사이드키(224)의 누름 등의 소정의 조건에 따라, 당해 입력된 문자의 선택을, 소정의 처리로서 행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사이드키(224) 누름 등의 소정의 조건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행할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서로 인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서로 인접하는 조작 검출부(23)는, 동시 누름이 되기 쉽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는,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의 특징적인 동작(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주로,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점을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이 적절하게 적용된다.
도 10은,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상태(도 3에서의 사선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는, 조작 검출부(23)가 동시에 눌러진 경우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하에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가 당해 기능을 발휘시키는 동작(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 「조작 검출부(23)가 동시에 눌러진다」란,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는 것을 말한다. 또, 「조작 검출부(23)가 동시에 눌러지지 않는다」란,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는 것을 말한다.
또, 소정의 시간 간격(T)은, 하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제일 먼저 조작이 검출된 때부터 기산하여 타이머(352)로 계수된다. 단,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 복수의 조작 검출부(23)의 조작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의 경과 후에, 소정의 시간 간격(T)의 기산을 리세트하는 것으로 한다.
즉, 「동시에 눌러지는 조작 검출부(23)」란, 제일 먼저 조작이 검출된 하나의 조작 검출부(23)를 포함하고 있고, 당해 하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 간격(T)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조작 검출부(23)를 포함한다. 또한, 소정의 시간 간격(T)은, 예를 들면, 0.1초 정도이다.
제어부(35)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입력되는 문자의 색, 크기, 폰트의 종류, 배경색 등의 입력되는 문자에 관한 각종 설정을 행하여, 표시부(12)에 문자를 입력(표시)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와,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의 입력 규칙을 다르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순서에 의거하여,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다.
한편,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도 10 참조), 당해 조작이 검출된 순서에 의거하여,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한다(도 11a 참조).
즉,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문자 「R」→ 문자 「F」→ 문자 「G」의 순서로 조작이 검출되면(도 10 참조), 입력 규칙으로서, 당해 조작이 검출된 순서를 따라,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한다(도 11a 참조).
한편,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도 10 참조), 당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한다(도 11b 참조).
여기서, 제 1 키(221)에서의 조작 검출부(23)에 대응하는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의 배치 위치는,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중앙에 배치되는 문자 「F」에 인접하여 문자 「R」 및 문자 「G」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35)는, 입력 규칙으로서,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조작이 검출되면, 조작 검출부(23)의 배치 위치가 중앙에 배치되는 문자를 제일 먼저 입력하고, 2번째 이후에 입력하는 문자를 입력된 순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을 적용한다.
즉,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 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문자 「R」→ 문자 「F」→ 문자 「G」의 순서로 조작이 검출되면(도 10 참조), 제 1 키(221)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문자 「F」를 제일 먼저 입력하고, 2번째 이후에 입력하는 문자를 입력된 순서인 문자 「R」→ 문자 「G」의 순으로 입력한다(도 11b 참조).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순서에 의거하여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다.
한편,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의 검출 전에 이미 입력된 문자에 의거하여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입력 규칙으로서, 이미 입력된 문자가 자음인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들 복수의 조작 검출부(23)에 대응하는 문자 중 모음(a, i, u, e, o)의 문자를 제일 먼저 입력하고, 2번째 이후에 입력하는 문자를 입력된 순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을 적용한다.
즉, 제어부(35)는, 이미 문자 「H」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도 13a 참조),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S」, 문자 「A」 및 문자 「Q」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도 12 참조), 입력 규칙으로서, 당해 조작이 검출된 순서에 따라,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S」, 문자 「A」 및 문자 「Q」를 입력한다(도 13b 참조).
한편, 제어부(35)는, 이미 문자 「H」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도 13a 참조),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S」, 문자 「A」 및 문자 「Q」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도 12 참조), 이미 입력된 문자 「H」가 자음이기 때문에, 모음인 문자 「A」를 제일 먼저 입력하고, 2번째 이후에 입력하는 문자를 입력된 순서인 문자 「R」→ 문자 「G」의 순으로 입력한다(도 13c 참조).
또, 제어부(35)는, 다른 입력 규칙으로서, 기호(예를 들면, 기호 「#」)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문자 및 기호(예를 들면, 문자 「M」, 문자 「J」, 기호 「!」)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기호 「!」를 제일 먼저 입력하고, 2번째 이후에 입력하는 문자를 입력된 순서인 문자 「M」→ 문자 「G」의 순으로 입력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35)는, 다른 입력 규칙으로서, 숫자(예를 들면, 숫자 「9」)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문자 및 숫자(예를 들면, 문자 「T」, 문자 「G」, 숫자 「0」)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숫자 「0」을 제일 먼저 입력하고, 2번째 이후에 입력하는 문자를 입력된 순서인 문자 「T」→ 문자 「G」의 순으로 입력하여도 된다.
또한, 기억부(34)(도 2 참조)는, 예측 변환 후보, 또는 과거에 입력된 문자로서 입력 빈도가 높은 문자를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제어부(35)는, 다른 입력 규칙으로서, 문자 「Z」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문자(예를 들면, 문자 「Q」, 문자 「A」, 문자 「S」)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기억부(34)에 기억되는 예측 변환 기능을 참조하여, 문자 「Z」의 예측 변환 후보로서의 문자 「A」를 제일 먼저 입력하고, 2번째 이후에 입력하는 문자를 입력된 순서인 문자 「Q」→ 문자 「S」의 순으로 입력하여도 된다.
동일하게 하여, 제어부(35)는, 다른 입력 규칙으로서, 문자 「Z」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문자(예를 들면, 문자 「Q」, 문자 「A」, 문자 「S」)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기억부(34)에 기억되는 입력 빈도가 높은 문자를 참조하여, 문자 「Z」의 입력 빈도가 높은 문자로서의 문자 「S」를 제일 먼저 입력하고, 2번째 이후에 입력하는 문자를 입력된 순서인 문자 「Q」→ 문자 「A」의 순으로 입력하여도 된다.
도 14a~도 14c는, 3개의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의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 당해 조작과 동일한 조작이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 서 행하여졌으면 입력되어야 할 문자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입력하여도 된다.
또는,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 당해 조작과 동일한 조작이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행하여졌으면 입력되어야 할 문자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입력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제 1 키(221)에 서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도 10 참조), 당해 조작이 검출된 순서에 의거하여,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함과 함께, 제 1 키(221)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문자 「F」를 제일 먼저 펌프업(60)으로 입력(표시)하고, 2번째 이후에 입력하는 문자를 입력된 순서인 문자 「R」→ 문자 「G」의 순으로, 펌프업(60)으로 입력(표시)한다(도 14A 참조).
그리고, 제어부(35)은, 소정의 조건으로서 사이드키(224)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 사이드키(224)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의 조작의 검출에 따라, 펌프업(60)에 입력된 순서인 문자 「F」→문자 「R」→문자 「G」의 순으로 문자를 입력한다(도 11B 참조).
또는,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도 10 참조), 제 1 키(221)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문자 「F」를 제일 먼저 입력하고, 2번째 이후에 입력하는 문자를 입력된 순서인 문자 「R」→ 문자 「G」의 순으로 입력함과 함께, 당해 조작이 검출된 순서에 의거하여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펌프업(60)으로 입력(표시)한다(도 14b 참조).
그리고, 제어부(35)는, 소정의 조건으로서 사이드키(224)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 사이드키(224)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의 조작의 검출에 따라, 펌프업(60)으로 입력된 순서인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의 순으로 문자를 입력한다(도 11a 참조).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 「문자를 선택한다」란, 문자 및 그 문자에 대응하는 영역이 선택되어 액티브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문자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커서(50)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 제어부(35)는, 제 1 키(221)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문자 「R」, 문자 「F」키 및 문자 「G」키의 누름이,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검출되면(도 10 참조),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함과 함께(도 15a 참조), 입력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1) 및 영역(42)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소정의 처리로서 행한다(도 15a, 도 15b 및 도 15c 참조).
한편, 제어부(35)는, 제 1 키(221)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문자 「R」, 문자 「F」키 및 문자 「G」키의 누름이,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검출되면(도 10 참조),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함과 함께(도 15a 참조), 입력된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1) 및 영역(42)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순서를 소정의 입력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일 먼저 입력된 문자가 제일 먼저 선택되는」것을 입력 규칙으로서 사용하여도 된다. 통상은, 제어부(35)는, 나중에 입력된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2)을 커서(50)에 의해 선택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제어부(35)는, 먼저 입력된 문자 「R」에 대응하는 영역(141)을 커서(50)에 의해 선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5)는, 나중에 입력된 문자 「F」에 대응하는 영역(142)을 커서(50)에 의해 선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5)는, 나중에 입력된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143)을 커서(50)에 의해 선택한다.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속도를 소정의 입력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일 먼저 입력된 문자가 선택되는 속도는, 그 후에 입력된 문자가 선택되는 속도보다 긴」것을 입력 규칙으로서 사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35)는, 제일 먼저 입력된 문자 「R」에 대응하는 영역(141)을, 커서(50)에 의해 시간 간격 T1 동안 선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5)는, 나중에 입력된 문자 「F」에 대응하는 영역(142)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143)을, 커서(50)에 의해 시간 간격 T1보다 짧은 시간 간격 T2(T1>T2) 동안 선택한다.
제어부(35)는, 소정의 처리 결과로서 선택된 문자 「R」, 문자 「F」또는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처리 결과로서 선택되어 있지 않은 문자 「R」, 문자 「F」또는 문자 「G」 중 어느 하나와 구별하여,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의해 통지한다.
즉, 제어부(35)는, 표시부(12)에서, 문자 「R」에 대응하는 영역(141), 문자 「F」에 대응하는 영역(142) 또는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143)에 커서(50)를 표시함으로써, 선택된 문자 「R」, 문자 「F」또는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선택되어 있지 않은 문자 「R」, 문자 「F」또는 문자 「G」 중 어느 하나와 구별하여, 통지한다.
또한, 통지부로서는, 표시부(12)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제어부(35)는, 스피커(15)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음색을 다르게 함으로써, 선택된 문자 「R」, 문자 「F」또는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선택되어 있지 않은 문자 「R」, 문자 「F」또는 문자 「G」 중 어느 하나와 구별하여, 통지하여도 된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특정한 키[예를 들면, 문자나 기호, 숫자 등이 할당되는 제 1 키(221)]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소정의 처리로서 행하고 있을 때에, 조작 검출부(23) 중의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특정 조작 검출부)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시점에서, 소정의 처리 결과로서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던 영역의 문자를 소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던 영역의 문자를 소거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선택되어 있던 영역의 문자를 남기고, 그 밖의 동시 누름에 기인하는 문자를 소거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G」가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도 15a 참조),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143)의 문자인 문자 「G」를 소거한다 (도 15d 참조).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R」이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도 15b 참조),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141)의 문자인 문자 「R」을 소거한다(도 15e참조).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F」가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도 15c 참조),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142)의 문자인 문자 「F」를 소거한다(도 15f참조).
또한, 제어부(35)는, 통지부로서의 스피커(15)나 바이브레이터(38)에 의해 소정의 처리에 대응하는 통지를 행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5)는, 스피커(15)로부터 소리를 출력시키거나, 바이브레이터(38)를 진동시킴으로써, 소정의 처리에 대응하는 통지를 행한다.
도 16a~도 16f는, 제어부(35)에 의한 소정의 처리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5)는, 당해 조작이 검출된 시점에서, 이미 입력된 문자 「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입력된 문자를 이미 입력된 문자와 구별하여,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의해 통지(표시)함으로써,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도 16a~도 16f 참조).
여기서, 표시부(12)에 의한 통지(표시)로서는,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의 색을 차례로 변화시키거나(도 16a 및 도 16b 참조),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1), 영역(42) 및 영역(43)의 어느 하나를 차례로 반전 표시시키거나(도 16c 및 도 16d 참조),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차례로 확대 표시시키거나(도 16e 및 도 16f 참조), 동시에 눌러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시키는 것[도 16g의 메시지(170)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의 계수가 종료한 후에,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A」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에 할당된 문자 「A」가 새롭게 입력되면,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를, 새롭게 입력된 문자 「A」와 구별하여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의해 통지하여도 된다.
여기서, 표시부(12)에 의한 통지(표시)로서는,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의 색을 차례로 변화시키거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영역(41) 및 영역(42)의 어느 하나를 차례로 반전 표시시키거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차례로 확대 표시시키거나, 동시에 눌러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도 17은,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표시되는 메시지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를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이 경과한 후에,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기능(예를 들면, 전자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메일 본문을 입력하는 기능)을 종료하는 조작이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을 통지하는 메시지(71)를 표시부(12)에 표시하여도 된다(도 17 참조).
도 18은, 상기한 제어부(35)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처리에서는,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가 조작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1에서, 조작 검출부(23)는,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에 대응하는 제 1 키(221)의 조작을 검출한다(도 10 참조).
단계 S12에서, 제어부(35)는, 검출된 조작이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인 경우에는,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한편,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인 경우에는,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서, 제어부(35)는, 제 1 키(221)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문자 「F」를 제일 먼저 입력하고, 2번째 이후에 입력하는 문자를 입력된 순서인 문자 「R」→ 문자 「G」의 순으로 입력한다(도 11b 참조).
단계 S14에서, 제어부(35)는, 입력 규칙으로서, 조작이 검출된 순서에 따라,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를, 문자 「R」→ 문자 「F」→ 문자 「G」의 순으로 입력한다 (도 11a 참조).
단계 S15에서,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소정의 처리로서 행한다(도 11a 및 도 11b 참조).
단계 S16에서,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G」가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도 15a 참조),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42)의 문자인 문자 「G」를 소거한다(도 15d 참조).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F」가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41)의 문자인 문자 「F」를 소거한다(도 15e 참조).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R」이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을 때에,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영역(41)의 문자인 문자 「R」을 소거한다(도 15f 참조).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와,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의 입력 규칙을 다르게 한다.
즉, 제어부(35)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23)가 동시에 눌러진 경우와, 복수의 조작 검출부(23)가 동시에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 입력된 문자의 입력 규칙을 다르게 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1)는,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순서에 의거하여,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다.
한편,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23)가 동시에 눌러진 경우에, 동시에 눌러진 조작 검출부(23)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문자를 입력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단일의 조작 검출부(23)를 조작하려고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잘못하여 복수의 조작 검출부(23)를 조작한 경우에, 동시에 눌러진 문자가 조작 검출부(23)의 배치 위치에 의거하여 입력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래는 입력할 의도가 없는 문자를 삭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는,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순서에 의거하여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다.
한편,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의 검출 전에 이미 입력된 문자에 의거하여, 당해 조작이 검출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는, 조작 검출부(23)를 동시에 누르기 전에, 이미 입력된 문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미 입력된 문자에 의거하여 문자를 입력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1)는, 예를 들면, 본래 입력되어야 할 문자가 먼저 입력되고, 입력되지 않아야 할 문자가 나중에 입력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는,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 당해 조작과 동일한 조작이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행하여졌으면 입력되어야 할 문자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입력하여도 된다. 또는,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 당해 조작과 동일한 조작이 소정의 시간 간격(T) 외에서 행하여졌으면 입력되어야 할 문자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입력하여도 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는, 동시에 눌러진 경우와 동시에 눌러지지 않은 경우의 양쪽의 상태에서의 입력 규칙을 소정의 조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소정의 처리로서 행한다. 즉, 휴대전화기(1)는, 동시에 눌러진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단일의 조작 검출부(23)를 조작하려고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잘못하여 복수의 조작 검출부(23)를 조작한 경우에, 동시에 눌러진 문자가 차례로 선택된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본래는 입력할 의도가 없는 문자를 삭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는,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순서를 소정의 입력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소정의 입력 규칙을 파악하여 조작을 행함으로써, 잘못하여 동시 누름을 한 경우에, 잘못된 조작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더욱 신속하게 삭제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속도를 소정의 입력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동시에 눌러진 문자의 어느 하나를 더욱 확실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조작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더욱 신속하게 삭제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입력된 문자 「R」, 문자 「F」 및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커서(50)에 의해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소정의 처리로서 행하고 있을 때에, 조작 검출부(23) 중의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삭제키(222)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시점에서, 소정의 처리 결과로서 커서(50)에 의해 선택되어 있던 영역의 문자를 소거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동시에 눌러진 문자 중 어느 하나를 더욱 확실하게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는,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처리 결과로서 선택된 문자 「R」, 문자 「F」 또는 문자 「G」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처리 결과로서 선택되어 있지 않은 문자 「R」, 문자 「F」 또는 문자 「G」와 구별하여 표시부(12)에 의해 통지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동시에 눌러진 문자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 내에서,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 중의 특정한 조작 검출부(23)[예를 들면, 제 1 키(221)]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동시에 눌러지는 경우가 많은 Shift키나 Ctrl키 등의 제 2 키(223)가 조작된 경우에는, 소정의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고, 제 1 키(221)가 조작된 경우에는, 소정의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휴대전화기(1)는, 조작 검출부(23)의 조작에 따라,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통지부로서의 스피커(15)나 바이브레이터(38)에 의해 소정의 처리에 대응하는 통지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가 표시부(12)를 시인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에 대하여 동시에 눌러진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소정의 시간 간격(T)이 경과한 후에, 제 1 키(221)에서의 문자 「A」에 대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조작 검출부(23)에 할당된 문자 「A」가 새롭게 입력되면, 복수의 다른 조작 검출부(23)의 각각에 할당된 문자 「F」 및 문자 「G」를, 새롭게 입력된 문자 「A」와 구별하여 통지부로서의 표시부(12)에 의해 통지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전화기(1)의 사용자는, 동시에 눌러진 문자의 다음에 새로운 문자가 입력된 경우에, 동시에 눌러진 문자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제어부(35)는, 서로 인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서로 인접하는 조작 검출부(23)는, 동시 누름이 되기 쉽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조작 검출부(23)에 의해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소정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휴대전화기(1)는,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전화기(1)는, 제 1 박스체(10)와 제 2 박스체(20)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개폐방향(D)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1)는, 스트레이트 타입의 박스체에 QWERTY 배열의 키 배열의 조작부(22)를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또, 키 배열은, QWERTY 배열에 한정하지 않고, JIS 배열 등의 다른 키 배열이어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전화기(1)의 조작부(22)는, 물리적인 부재[조작키 부재(22a)와, 키 기판(22b)]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부(12)가 터치패널로 구성되고, 조작부(22)는, 이 터치패널 상에 표시되는 가상적인 키보드이어도 된다. 가상적인 키보드는 표시부(12)에 표시되기 때문에, 특히 키의 표시 사이즈가 작아, 키와 키가 간극없이 표시된다. 따라서, 동시 누름이 되기 쉽기 때문에, 조작부(22)가 터치패널 상에 표시되는 휴대전화기(1)는,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조작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del(delete)키를, 문자를 삭제하는 삭제키(222)로서 사용하였으나, 다른 키의 조작에 의하여 문자를 삭제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휴대 전자기기로서의 휴대전화기(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PHS(등록상표 ; 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네비게이션장치, 퍼스널컴퓨터, 노트 퍼스널컴퓨터, 휴대 게임장치 등이어도 된다.
1 : 휴대전화기(휴대 전자기기) 12 : 표시부(통지부)
15 : 스피커(통지부) 23 : 조작 검출부
35 : 제어부 38 : 바이브레이터(통지부)

Claims (20)

  1. 제 1 조작부와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상기 조작부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조작과 제 2 조작의 시간 간격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행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는 휴대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선택하는 순서를 소정의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휴대 전자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선택하는 속도를 소정의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휴대 전자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를 행하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부 중의 특정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특정 조작부가 조작된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던 문자를 소거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된 복수의 문자 중 선택되어 있던 문자 이외의 문자를 소거하는 휴대 전자기기.
  5. 제 1 조작부와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상기 조작부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조작과 제 2 조작의 시간 간격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한 복수의 문자를 입력함과 함께, 당해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차례로 선택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문자의 입력 규칙을 다르게 하는 휴대 전자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선택하는 순서를 상기 입력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휴대 전자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선택하는 속도를 상기 입력 규칙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휴대 전자기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선택하고 있는 때에, 상기 조작부 중의 특정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특정 조작부가 조작된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는 문자를 소거하거나, 또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문자 중 선택되어 있던 문자 이외의 문자를 소거하는, 휴대 전자기기.
  9. 제 1 조작부와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상기 조작부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복수의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당해 조작과 동일한 조작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의 시간 간격으로 행하여졌다고 가정한 경우에 입력되는 문자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의 시간 간격으로 복수의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당해 조작과 동일한 조작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행하여졌다고 가정한 경우에 입력되는 문자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입력하는 휴대 전자기기.
  10. 제 1 조작부와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상기 조작부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와,
    제 1 조작과 제 2 조작의 시간 간격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행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차례로 선택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는 단계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1. 제 1 조작부와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조작이 검출된 상기 조작부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와,
    제 1 조작과 제 2 조작의 시간 간격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조작 및 상기 제 2 조작에 대응한 복수의 문자를 입력함과 함께, 당해 입력된 복수의 문자를 1문자씩 차례로 선택하고, 상기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문자의 입력 규칙을 다르게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10007442A 2010-01-27 2011-01-25 휴대 전자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1202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16061A JP5660785B2 (ja) 2010-01-27 2010-01-27 携帯電子機器
JPJP-P-2010-016058 2010-01-27
JPJP-P-2010-016061 2010-01-27
JP2010016058A JP5528831B2 (ja) 2010-01-27 2010-01-27 携帯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423A KR20110088423A (ko) 2011-08-03
KR101202706B1 true KR101202706B1 (ko) 2012-11-19

Family

ID=4430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442A KR101202706B1 (ko) 2010-01-27 2011-01-25 휴대 전자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36550B2 (ko)
KR (1) KR101202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700B1 (ko) * 2022-05-10 2022-10-25 (주)에어패스 키보드 자판 제어를 이용한 콘텐츠 동작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0621A (ja) 2004-03-02 2005-09-15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入力方法
KR100647547B1 (ko) * 2005-10-24 200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317A (ja) 1988-06-29 1990-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キーボード
JPH04163612A (ja) 1990-10-29 1992-06-09 Oki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
JPH0713666A (ja) 1993-06-24 1995-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処理装置
JPH08241155A (ja) 1995-03-02 1996-09-17 Misawa Homes Co Ltd 複数キーの同時入力判定方法およびキー入力装置
JPH10240416A (ja) 1997-02-24 1998-09-11 Oki Electric Ind Co Ltd キーボード装置
US7030863B2 (en) * 2000-05-26 2006-04-18 America Online, Incorporated Virtual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JP2001274888A (ja) 2000-03-27 2001-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
JP4158195B2 (ja) 2003-05-28 2008-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学習型入力判定回路を有する携帯電話機
JP4213570B2 (ja) * 2003-11-20 2009-01-21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84585A (ja) 2004-03-29 2005-10-13 Yamaha Corp 文字入力検知方法
JP2006005823A (ja) 2004-06-21 2006-01-05 Kyowa Metal Work Co Ltd 文字入力装置
KR20060057935A (ko) * 2004-11-24 2006-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선된 다이얼링 번호 디스플레이를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26532B1 (ko) * 2006-03-28 2008-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검출 방법
JP2008217643A (ja) 2007-03-07 2008-09-18 Nec Corp 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JP2009015391A (ja) * 2007-06-29 2009-01-2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038043B2 (ja) * 2007-07-17 2012-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投射装置
US8446368B2 (en) * 2007-08-23 2013-05-21 Kyocera Corporation Input apparatus
TWI375162B (en) * 2008-05-02 2012-10-21 Hon Hai Prec Ind Co Ltd Character input method and electronic system utilizing the same
WO2009139075A1 (ja) 2008-05-14 2009-11-19 Kubo Masaharu 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0621A (ja) 2004-03-02 2005-09-15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入力方法
KR100647547B1 (ko) * 2005-10-24 200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81512A1 (en) 2011-07-28
KR20110088423A (ko) 2011-08-03
US8736550B2 (en)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1918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nput control method, storing character input program
KR101115467B1 (ko) 가상 키보드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US20110037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using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EP1980953B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10088410A (ko) 휴대전자기기
US897731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931627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入力訂正方法
KR101354820B1 (ko) 전자장치와 전자장치의 동작모드 제어방법 및이동통신단말기
JP201320061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1202706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076842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5660785B2 (ja) 携帯電子機器
KR20050121608A (ko) 키 입력이 용이한 키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것이 적용된전자기기
JP5528831B2 (ja) 携帯電子機器
JP2012048589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JP5330934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携帯電子機器の表示方法
CN102597917B (zh) 电子设备
KR20060103234A (ko) 문자 입력 장치
KR100807125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JP2005130180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キー入力表示プログラム
JP5692155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2012079198A (ja) 文字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49194A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H11161406A (ja) 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