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234A - 문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234A
KR20060103234A KR1020060026948A KR20060026948A KR20060103234A KR 20060103234 A KR20060103234 A KR 20060103234A KR 1020060026948 A KR1020060026948 A KR 1020060026948A KR 20060026948 A KR20060026948 A KR 20060026948A KR 20060103234 A KR20060103234 A KR 20060103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character
input information
con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2282B1 (ko
Inventor
레이꼬 야마시따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입력 문자와 조작과의 대응 관계가 이해하기 쉽고 조작성이 용이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는, 제1 방향으로 압하함으로써 제1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키(2)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압하함으로써 제2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키(3)와, 소정 기간 내에, 상기 제1 키 입력 정보 및 상기 제2 키 입력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제1 키 입력 정보와 상기 제2 키 입력 정보와의 조합에 기초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문자 결정부(13)를 구비한다.
키 입력 정보, 입력 장치, 문자 결정부, 제1 키, 제2 키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모음 키 또는 자음 키를 압하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키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입력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입력 동작에서의 「자음·위 누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입력 동작에서의「자음·아래 누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입력 동작에서의 「모음·위 누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입력 조작에서의 「모음·아래 누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자 입력 장치
2, 3 : 키
6, 7 : 스위치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등의 소형 기기에 대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 등의 소형 기기에 대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하나의 키에 복수의 자음 또는 모음을 할당하여, 동일한 키를 복수 회 압하할 때마다, 입력하는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변화시켜 가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문자 배열을 기억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지만, 동일한 키를 복수 회 압하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어, 조작성이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서는, 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회의 조작이 필요하여, 조작성이 그다지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입력 문자와 조작과의 대응 관계가 이해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입력 문자와 조작과의 대응 관계가 이해하기 쉽고 조작성이 용이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제1 방향으로 압하함으로써 제1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키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압하함으로써 제2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키와, 소정 기간 내에, 상기 제1 키 입력 정보 및 상기 제2 키 입력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제1 키 입력 정보와 상기 제2 키 입력 정보와의 조합에 기초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문자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발명에 따르면, 제1 키를 아래 방향(제1 방향)으로 압하함과 함께, 제2 키를 윗 방향(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압하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집게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 등에 의해 복수의 키를 동시에 압하할 수 있어, 1개의 문자를 한쪽 손의 1회의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서, 상기 문자 결정부가, 상기 제1 키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문자의 자음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키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문자의 모음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 (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는, 접속되어 있는 휴대 전화 등의 접속 기기에 대하여, 한글 문자 입력 모드의 상태에서 한글 문자를 입력하고, 숫자·기호 입력 모드의 상태에서 숫자 및 기호를 입력하고, 영문자 입력 모드의 상태에서 영문자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의 숫자·기호 입력 모드의 상태 및 영문자 입력 모드의 상태에서의 동작은, 종래의 문자 입력 장치의 동작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 특별히 언급이 없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의 한글 문자 입력 모드의 상태에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에는, 15개의 자음 키(2)와, 10개의 모음 키(3)와, 이중 자음 키(4)와, 입력 모드 절환 키(5)가 설치되어 있다.
자음 키(2) 및 모음 키(3)는, 도 2의 (a) 내지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판과 같은 산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부터 압하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윗 방향으로부터 키(2, 3)를 압하하는 조작(즉, 아래 방향으로 키(2, 3)를 압하하는 조작)을「위 누름 조작」이라고 부르고, 아래 방향으로부터 키(2, 3)를 압하하는 조작(즉, 윗 방향으로 키(2, 3)를 압하하는 조작)을 「아래 누름 조작」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조작자는, 주판을 튕기는 요령으로, 집게 손가락으로 키(2, 3)를 밀어 내림으로써 「위 누름 처리」를 행하고, 엄지 손가락으로 키(2, 3)를 밀어 올림으로써 「아래 누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키(2, 3)는,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 누름 조작」에 의해 하측 스위치(7)를 「ON」으로 하여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고,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 누름 조작」에 의해 상측 스위치(6)를 「ON」으로 하여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음 키(제1 키)(2)는, 아래 방향(제1 방향)으로 압하됨으로써, 입력 문자(접속 기기에 입력하는 문자)의 자음에 대응하는 제1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음 키(제1 키)(2)는, 윗 방향(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압하됨으로써, 입력 문자의 이중 모음(예를 들면, 「ㅐ」나 「ㅒ」 등)에 대응하는 제3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음 키(제1 키)(2)는, 이중 자음 키(4)가 압하된 후의 일정 기간 내에(또한, 이중 자음 키(4)가 압하된 상태에서), 아래 방향(제1 방향)으로 압하됨으로써, 입력 문자(접속 기기에 입력하는 문자)의 자음에 의해 구성되는 이중 자음(예를 들면, 「ㅐ」나 「ㅒ」 등)에 대응하는 제4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음 키(제2 키)(3)는, 윗 방향(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압하됨으로써, 입력 문자의 모음에 대응하는 제2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음 키(제2 키)(3)의 상측이나 자음 키(2)의 하측의 비어 있은 키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한글 문자(예를 들면, 「네」 등)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도 된다.
또한, 모음 키(제2 키)(3)의 상측이나 자음 키(2)의 하측의 비어 있은 키에「기호」를 할당하여, 이러한 모음 키(3)의 압하 시에는, 접속 기기의 화면 상에 기호의 일람을 표시시켜, 조작자에게 입력할 기호를 선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중 자음 키(4)는, 자음·이중 모음 키(제1 키)(2)의 압하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이 이중 자음인 것을 나타내는 이중 자음 입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자가 왼손으로 문자 입력 장치(1)를 유지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왼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이중 자음 키(4)를 압하할 수 있도록, 이중 자음 키(4)는, 문자 입력 장치(1)의 좌측면에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입력 모드 절환 키(5)는, 문자 입력 장치의 입력 모드를, 한글 문자 입력 모드와 숫자·기호 입력 모드와 영문자 입력 모드 사이에서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가, 입력 모드 절환 키(5)를 압하할 때마다, 문자 입력 장치의 입력 모드는, 한글 문자 입력 모드, 숫자·기호 입력 모드, 영문자 입력 모드의 순서로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숫자·기호 입력 모드에서는. 자음 키(2) 및 모음 키(3)의 상측에 대하여(즉, 「위 누름 조작」에 대하여), 일반적인 버튼식 전화와 마찬가지로 「1」∼「10」,「*」,「#」의 12개의 숫자 및 기호를 할당하고, 자음 키(2) 및 모 음 키(3)의 하측에 대하여(즉, 「아래 누름 조작」에 대하여), 또는, 「위 누름 조작」 및 「아래 누름 조작」의 조합에 대하여, 「:」,「-」,「+」 등의 숫자와 함께 자주 사용되는 기호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영문자 입력 모드에서는, 자음 키(2) 및 모음 키(3)의 상측 및 하측에 대하여(즉, 「위 누름 조작」 및 「아래 누름 조작」에 대하여), 「a」부터 순서대로 알파벳 24 문자를 할당하고, 「위 누름 조작」 및 「아래 누름 조작」의 조합에 대하여, 「y」,「z」, 「@」, 「.」, 「_」 등의 기호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의 내부 기능으로서, 키 입력 검지부(11)와, 동시 누름 판정 타이머(12)와, 문자 결정부(13)와, 입력부(14)와, 에러 처리부(15)가 설치되어 있다.
키 입력 검지부(11)는, 자음 키(2)의 「위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나, 자음 키(2)의 「아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제3 키 입력 정보나, 모음 키(3)의 「아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제2 키 입력 정보나, 모음 키(3)의 「위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키 입력 정보나, 이중 자음 키(4)의 압하에 의해 입력된 이중 자음 입력 정보 등의 유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시 누름 판정 타이머(12)는, 문자 결정부(13)에 의해 입력 문자를 결정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소정 기간을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시 누름 판정 타이머(12)는, 키 입력 검지부(11)에 의해 소정의 키 입력 정보가 검지된 경우에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문자 결정부(13)는, 키 입력 검지부(11)에 의해 검지된 키 입력 정보 및 동시 누름 판정 타이머(12)의 상태에 기초하여, 접속 기기에 입력할 문자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기간 내에, 「ㄱ」이 할당되어 있는 자음 키(2)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 및 「ㅏ」가 할당되어 있는 모음 키(3)에 의해 입력된 제2 키 입력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제1 키 입력 정보와 상기 제2 키 입력 정보와의 조합에 기초하여, 「가」를 입력 문자로 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결정부(13)는, 소정 기간 내에, 「ㄷ」이 할당되어 있는 자음 키(2)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 및 「ㅐ」가 할당되어 있는 자음 키(2)에 의해 입력된 제3 키 입력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제1 키 입력 정보와 상기 제3 키 입력 정보와의 조합에 기초하여, 「대」를 입력 문자로 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결정부(13)는, 소정 기간 내에, 이중 자음 키(4)에 의해 입력된 이중 자음 입력 정보와 「ㄱ」이 할당되어 있는 자음 키(2)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와 「ㅗ」가 할당되어 있는 자음 키(2)에 의해 입력된 제3 키 입력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이중 자음 입력 정보와 상기 제1 키 입력 정보와 상기 제3 키 입력 정보와의 조합에 기초하여, 「꼬」를 입력 문자로 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결정부(13)는, 소정 기간 내에, 「ㄱ」이 할당되어 있는 자음 키(2)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와, 「ㅓ」가 할당되어 있는 모음 키(3)에 의해 입력된 제2 키 입력 정보와, 「ㄹ」이 할당되어 있는 자음 키(2)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를, 이 순서로 검출한 경우, 상기 2개의 제1 키 입력 정보(최초의 제1 키 입력 정보는 「자음」에 대응하고, 최후의 제1 키 입력 정보는 「받침」에 대응함)와 상기 제2 키 입력 정보와의 조합에 기초하여, 「걸」을 입력 문자로 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결정부(13)는, 소정 기간 내에, 「ㅇ」이 할당되어 있는 자음 키(2)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와, 「ㅗ」가 할당되어 있는 모음 키(3)에 의해 입력된 제2 키 입력 정보와, 「ㄴ」이 할당되어 있는 자음 키(2)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를, 이 순서로 검출한 경우, 상기 2개의 제1 키 입력 정보(최초의 제1 키 입력 정보는 「자음 」에 대응하고, 최후의 제1 키 입력 정보는 「받침」에 대응함)와 상기 제2 키 입력 정보와의 조합에 기초하여, 「온」을 입력 문자로 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문자 결정부(13)는, 제1 키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문자의 자음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키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문자의 모음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문자 결정부(13)는, 모음 키의 상측을 압하함으로써 입력된 키 입력 정보만을 검지한 경우에는, 이러한 키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한글 문자(예를 들면, 「네」)를 입력 문자로 하도록 결정한다.
입력부(14)는, 문자 결정부(13)에 의해 결정된 입력 문자를 접속 기기에 대 하여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러 처리부(15)는, 문자 결정부(13)에 의한 입력 문자의 결정 처리가 실패한 경우, 예를 들면, 규정되어 있지 않은 키 입력 정보의 조합이 입력된 경우, 소정의 에러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에러 처리부(15)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키 입력 정보의 조합(예를 들면, 규정되어 있지 않은 이중 모음에 대응하는 조합이나, 규정되어 있지 않은 받침에 대응하는 조합 등)이 입력된 것을, 조작자에 대하여 음성 또는 화상으로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동작)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가, 한글 문자 입력 모드의 상태에서, 접속 기기에 대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01에서, 문자 결정부(13)가, 키 입력 검지부(11)에 의해 키 입력 정보가 검지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또한, 스텝 S101은, 키 입력 검지부(11)에 의해 키 입력 정보가 검지될 때까지 반복된다.
스텝 S102에서, 문자 결정부(13)가,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자음 키(2)의 위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103으로 진행하여, 문자 결정부(13)가「자음·위 누름 처리(후술)」를 행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스텝 S104에서, 문자 결정부(13)가,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자음 키(2)의 아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제3 키 입력 정보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105로 진행하여, 문자 결정부(13)가 「자음·아래 누름 처리(후술)」를 행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6에서, 문자 결정부(13)가,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모음 키(3)의 위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키 입력 정보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107로 진행하여, 문자 결정부(13)가 「모음·위 누름 처리(후술)」를 행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108로 진행한다.
스텝 S108에서, 문자 결정부(13)가,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모음 키(3)의 아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키 입력 정보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109로 진행하여, 문자 결정부(13)가 「모음·아래 누름 처리(후술)」를 행한다. 한편, 키 결정 결과가 「NO」인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101로 되돌아간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스텝 S103에서 문자 결정부(13)에 의해 행해지는 「자음·위 누름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201에서, 동시 누름 판정 타이머(12)가 작동한다. 스텝 S202에서, 문자 결정부(13)가, 동시 누름 판정 타이머(12)가 작동 중에(즉, 소정 기간 내에), 키 입력 검지부(11)에 의해 키 입력 정보가 검지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스텝 S204에서, 스텝 S202에서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적절한 입력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스텝 S202에서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2개째의 입력인 경우, 모음 키(3)의 아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제2 키 입력 정보(모음에 대응)인지, 혹은, 자음 키(2)의 아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제3 키 입력 정보(이중 모음에 대응)인지, 혹은, 스텝 S202에서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3개째 이상의 입력인 경우, 자음 키(2)의 위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로서, 2개째까지의 입력에 대하여 적절한 받침을 구성할지 등에 대하여 판정함으로써 적절한 입력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스텝 S204에서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스텝 S205에서, 스텝 S202에서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4개째의 입력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하여, 4개째의 입력인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20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202로 되돌아간다.
한편, 소정 기간 내에, 또한 키 입력 정보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스텝 S203에서의 「YES」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20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202로 되돌아간다.
스텝 S206에서, 문자 결정부(13)가, 이중 자음 키(4)의 압하 상태를 고려한 후에, 전술한 키 입력 정보의 조합에 기초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고, 입력부(14)가, 문자 결정부(13)에 의해 결정된 입력 문자를 접속 기기에 대하여 입력한다.
또한, 스텝 S204에서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스텝 S208에서, 에러 처리 부(15)가, 조작자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이 잘못되었다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에러 처리를 행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스텝 S105에서 문자 결정부(13)에 의해 행해지는 「자음·아래 누름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301에서, 동시 누름 판정 타이머(12)가 작동한다. 스텝 S302에서, 문자 결정부(13)가, 동시 누름 판정 타이머(12)가 작동 중에(즉, 소정 기간 내에), 키 입력 검지부(11)에 의해 키 입력 정보가 검지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스텝 S304에서, 스텝 S302에서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적절한 입력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스텝 S302에서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2개째의 입력인 경우, 자음 키(2)의 위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자음에 대응)인지, 혹은, 스텝 S302에서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3개째 이상의 입력인 경우, 자음 키(2)의 위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로서, 2개째까지의 입력에 대하여 적절한 받침을 구성할지 등에 대하여 판정함으로써 적절한 입력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스텝 S304에서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스텝 S305에서, 스텝 S302에서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4개째의 입력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하여, 4개째의 입력인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30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302로 되돌아간다.
한편, 소정 기간 내에, 또한 키 입력 정보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스텝 S303에서의 「YES」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30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S302로 되돌아간다.
스텝 S306에서, 문자 결정부(13)가, 이중 자음 키(4)의 압하 상태를 고려한 후에, 전술한 키 입력 정보의 조합에 기초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고, 입력부(14)가, 문자 결정부(13)에 의해 결정된 입력 문자를 접속 기기에 대하여 입력한다.
또한, 스텝 S304에서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스텝 S308에서, 에러 처리부(15)가, 조작자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이 잘못되었다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에러 처리를 행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스텝 S107에서 문자 결정부(13)에 의해 행해지는 「모음·위 누름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401에서, 문자 결정부(13)가, 모음 키(3)의 상측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를 입력 문자로 하는 것을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 문자 결정부(13)는, 동시 누름 판정 타이머(12)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입력 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스텝 S402에서, 입력부(14)가, 문자 결정부(13)에 의해 결정된 입력 문자를 접속 기기에 대하여 입력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스텝 S109에서 문자 결정부(13)에 의해 행해지는 「모음·아래 누름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501에서, 동시 누름 판정 타이머(12)가 작동한다. 스텝 S502에서, 문자 결정부(13)가, 동시 누름 판정 타이머(12)가 작동 중에(즉, 소정 기간 내에), 키 입력 검지부(11)에 의해 키 입력 정보가 검지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스텝 S504에서, 스텝 S502에서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적절한 입력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스텝 S502에서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2개째의 입력인 경우, 자음 키(2)의 위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자음에 대응)인지, 혹은, 스텝 S502에서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3개째 이상의 입력인 경우, 자음 키(2)의 위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제1 키 입력 정보로서, 2개째까지의 입력에 대하여 적절한 받침을 구성할지 등에 대하여 판정함으로써 적절한 입력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스텝 S504에서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스텝 S505에서, 스텝 S502에서 검지된 키 입력 정보가, 4개째의 입력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하여, 4개째의 입력인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50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502로 되돌아간다.
한편, 소정 기간 내에, 또한 키 입력 정보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스텝 S503에서의 「YES」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50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 본 동작은, 스텝 S502로 되돌아간다.
스텝 S506에서, 문자 결정부(13)가, 이중 자음 키(4)의 압하 상태를 고려한 후에, 전술한 키 입력 정보의 조합에 기초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고, 입력부(14)가, 문자 결정부(13)에 의해 결정된 입력 문자를 접속 기기에 대하여 입력한다.
또한, 스텝 S504에서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스텝 S508에서, 에러 처리부(15)가, 조작자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이 잘못되었다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에러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작용·효과)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에 따르면, 자음 키(제1 키)(2)를 아래 방향(제1 방향)으로 압하함과 함께, 모음 키(제2 키)(3)를 윗 방향(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압하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집게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 등에 의해 복수의 키를 동시에 압하할 수 있어, 1개의 문자를 한쪽 손의 1회의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에 따르면, 자음 키(2) 및 모음 키(3)를 상하 양 방향으로부터 압하할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통상의 접속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와 비교하면,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의 키 면적에서, 입력 가능한 문자 수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에 따르면, 한글 문자 입력 모드의 상태에서 압하할 키를, 자음과 모음으로 나눠 배열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있어서, 키의 배치가 이해하기 쉬워, 키 입력 조작의 숙련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에 따르면, 집게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을 이용한 1회의 조작으로 하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판 경험자이면, 친숙한 조작으로 고속의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에 의하면, 펜을 쥔 상태에서도 조작하기 쉽기 때문에, 메모를 하기 위해 펜을 들고 키 입력 조작을 행하는 경우나, 터치 패널의 스타일러스에 의한 수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 등의 접속 기기에의 키 입력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사용 빈도 등을 고려하여, 자음 키(2) 및 모음 키(3)에 대한 문자의 할당 방법을 변경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 모음 키(3)에의 문자의 할당 방법의 변화에 대응하여, 자음 키(2)에의 문자의 할당 방법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또한,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압하할 수 있는 자음 키(2) 및 모음 키(3)의 방향은, 상하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좌우 방향이나 경사 방향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소정 기간 내의 자음 키(2)끼리의 압하에 의한 키 입력 정보의 조합이나, 존재하지 않은 키 입력 정보의 조합에 대하여, 사용 빈도가 높은 기호(구독점 「,」 「。」이나 장음이나 키 괄호 등)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국어의 한글 문자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문자 입력 장치(1)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문자 입력 장치(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개의 키 입력 정보에 의해 1개의 문자를 결정하는 언어(예를 들면, 일본어 등)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1)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문자와 조작과의 대응 관계가 이해하기 쉽고 조작성이 용이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제1 방향으로 압하함으로써 제1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키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압하함으로써 제2 키 입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키와,
    소정 기간 내에, 상기 제1 키 입력 정보 및 상기 제2 키 입력 정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제1 키 입력 정보와 상기 제2 키 입력 정보와의 조합에 기초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문자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결정부는, 상기 제1 키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문자의 자음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키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문자의 모음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KR1020060026948A 2005-03-25 2006-03-24 문자 입력 장치 KR100772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0220 2005-03-25
JP2005090220A JP2006279103A (ja) 2005-03-25 2005-03-25 文字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234A true KR20060103234A (ko) 2006-09-28
KR100772282B1 KR100772282B1 (ko) 2007-11-01

Family

ID=3721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948A KR100772282B1 (ko) 2005-03-25 2006-03-24 문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279103A (ko)
KR (1) KR100772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9941B2 (ja) * 2007-05-11 2012-04-04 信行 五十嵐 仮名入力装置
JP6686188B2 (ja) * 2019-01-18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7685B1 (en) 1999-04-23 2002-04-23 Ravi C. Krishnan Cluster key arrangement
JP2003005895A (ja) * 2001-06-19 2003-01-08 Seiko Epson Corp 携帯端末装置
AU2003235965A1 (en) * 2002-06-14 2003-12-31 Mitoku Yamane Electronic apparatus
KR20030040187A (ko) * 2002-11-25 2003-05-22 성동욱 키패드 변형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630116B1 (ko) * 2004-09-09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의 데이터 입력 키 및 그의 키 어레이
KR20060075989A (ko) * 2004-12-29 2006-07-04 (주) 지.티 텔레콤 휴대단말기의 문자입력부의 구성과 그 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282B1 (ko) 2007-11-01
JP2006279103A (ja)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69456A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KR201100180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03067417A1 (en) Input device, mobile telephone, and mobile information device
JP5372605B2 (ja) 入力装置
KR10143449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100772282B1 (ko) 문자 입력 장치
KR101744124B1 (ko) 문자 출력 영역에서 입력과 출력의 듀얼 기능을 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JP4907296B2 (ja) 入力装置
JP2010165146A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の表示方法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JP7056686B2 (ja) 情報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JP6090289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7211481B2 (ja) 情報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6025386A (ja) 省スペースの文字入力装置
JP6311807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6525082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2016218890A (ja) 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JP2014086936A (ja) 電子機器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2016218889A (ja) 電子機器および情報の入力方法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JP5692155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5403103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5687320B2 (ja) 携帯端末
JP5733270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2019149194A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