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104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104B1
KR101198104B1 KR1020090089403A KR20090089403A KR101198104B1 KR 101198104 B1 KR101198104 B1 KR 101198104B1 KR 1020090089403 A KR1020090089403 A KR 1020090089403A KR 20090089403 A KR20090089403 A KR 20090089403A KR 101198104 B1 KR101198104 B1 KR 101198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air conditioning
auxiliary heater
auxiliary
conditio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083A (ko
Inventor
주영복
최태혁
김진국
임연우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1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2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eaters
    • B60H2001/2237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eaters supplementary heating, e.g. during stop and go of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8Connectors, water supply, housing, mounting bra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조히터의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보조히터를 오조립 없이 손쉽게 정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와,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에 설치되는 보조히터를 포함하며, 보조히터는 공조케이스에 형성된 개방부에 끼운 후 내부통로를 향해 밀어서 공조케이스의 히터 안착부에 안착시킴에 따라 조립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개방부로부터 히터 안착부로 삽입되는 보조히터를 히터 안착부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과; 히터 안착부에 안착된 보조히터의 정조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조립 확인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히터의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보조히터를 오조립 없이 손쉽게 정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를 냉, 난방하기 위한 공조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0a)에는 히터코어(20)가 설치된다.
히터코어(20)는 고온의 엔진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것으로, 튜브들의 사이로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한다.
그리고 공조장치는, 히터코어(20)의 후측에 설치되는 보조히터(30)를 구비한다.
보조히터(30)는,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히터로 구성되며, 엔진의 시동 초기시, 히터코어(20)를 통과하는 공기를 급속 가열한다. 따라서, 시동 초기시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히터코어(20)를 대 신하여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한다.
이러한 보조히터(30)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측면에 형성된 개방부(12)를 통해 조립된다. 특히, 개방부(12)에 일측부분을 끼운 다음, 내부통로(10a)를 향해 밀어서 삽입함에 따라 공조케이스(10)의 히터 안착부(14)에 조립된다.
여기서,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에는, 한 쌍의 조립돌기(32)들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공조케이스(10)의 히터 안착부(14)에는 한 쌍의 조립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돌기(32)들과 조립홈(16)들은, 보조히터(30)를 밀어서 조립함에 따라 서로 결합되며, 이렇게 결합된 조립돌기(32)들과 조립홈(16)들은 공조케이스(10)에 대한 보조히터(30)의 결합력을 높인다.
한편, 조립돌기(32)의 둘레에는 링(Ring)형 방진러버(34)가 끼워지는데, 이 방진러버(34)는 조립돌기(32)에 끼워진 채로 조립홈(16)에 결합된다.
이러한 방진러버(34)는 조립돌기(32)와 조립홈(16) 사이의 유격을 없앤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0)에 대한 보조히터(30)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로써, 보조히터(30)의 유동소음을 없앤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보조히터(3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보조히터(30)의 조립돌기(32)와 공조케이스(10)의 조립홈(16)이 정확하게 결합되는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에 따라, 보조히터(30)가 오조립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보조히터(30)는, 말단부분의 조립돌기(32)가 공조케이스(10)의 조립홈(16)에 정확하게 결합되어야만 정조립된다. 그러나, 보조히터(30)를 조립할 시에 조립돌기(32)와 조립홈(16)이 공조케이스(10)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조립돌기(32)와 조립홈(16)의 결합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도 어렵고, 조립돌기(32)와 조립홈(16)을 결합시키더라도 이들의 정조립 상태를 일일이 확인할 수도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보조히터(3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보조히터(30)의 조립돌기(32)가 공조케이스(10)의 조립홈(16)에 정확히 결합되는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로써, 보조히터(30)의 오조립현상이 발생되며, 그 결과, 불량제품이 양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밖에도, 종래의 공조장치는, 보조히터(30)의 조립돌기(32)와 공조케이스(10)의 조립홈(16)의 사이에 방진러버(34)가 설치되므로, 이들 방진러버(34)를 별도로 제작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승되고, 생산원가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조히터의 오조립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보조히터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히터의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보조히터를 손쉽게 정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히터를 손쉽게 정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방진러버 없이도 공조케이스에 대한 보조히터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방진러버 없이도 보조히터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부품수의 절감에 따라 제조비용과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통로에 설치되는 보조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히터는 상기 공조케이스에 형성된 개방부에 끼운 후 상기 내부통로를 향해 밀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히터 안착부에 안착시킴에 따라 조립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로부터 상기 히터 안착부로 삽입되는 상기 보조히터를 상기 히터 안착부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히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보조히터의 정조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조립 확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히터 안착부 주변의 공조케이스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리브들은 상기 개방부로부터 상기 히터 안착부로 삽입되는 상기 보조히터의 말단부분을 상기 히터 안착부로 가이드 하여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조립 확인수단은, 상기 보조히터에 형성되는 위치 표시부와, 상기 보조히터가 상기 히터 안착부에 정조립될 시에는 상기 보조히터의 위치 표시부와 정렬되고, 상기 보조히터가 상기 히터 안착부에 오조립될 시에는 상기 위치 표시부와 어긋나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에 형성되는 정조립 확인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보조히터의 조립작업시, 보조히터를 정조립 위치에 가이드 하는 구조이므로, 보조히터를 손쉽고 간편하게 정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히터를 손쉽고 간편하게 정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이로써 생산효율이 대폭적으로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히터의 오조립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보조히터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불량제품이 양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히터의 말단부분을 공조케이스에 나사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보조히터의 말단부분을 공조케이스에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히터의 말단부분을 공조케이스에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보조히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방진러버가 필요 없다. 이로써,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수의 절감에 따라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0a)에는 히터코어(20)가 설치된다.
히터코어(20)는 고온의 엔진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튜브들의 사이로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한다.
그리고 공조장치는, 히터코어(20)의 후측에 설치되는 보조히터(30)를 구비한다.
보조히터(30)는,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히터로 구성되며, 엔진의 시동 초기시, 히터코어(20)를 통과하는 공기를 급속 가열한다. 따라서, 시동 초기시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히터코어(20)를 대신하여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한다.
이러한 보조히터(30)는, 공조케이스(10)의 개방부(12)에 말단부분을 끼운 다음, 내부통로(10a)를 향해 밀어서 삽입함에 따라 공조케이스(10)의 히터 안착부(14)에 조립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히터 안착부(14)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40, 42)들을 구비한다.
가이드 리브(40, 42)들은, 히터 안착부(14)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특히, 가이드 리브(40, 42)들은, 히터 안착부(14)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으로부터 개방부(12)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측 가이드 리브(40, 42)들은, 개방부(12)로부터 삽입되는 보조히터(30)를 가이드 한다. 특히,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을 히터 안착부(14)로 가이드 한다. 따라서,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이 히터 안착부(14)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보조히터(30)의 정조립을 유도한다.
한편, 상측의 가이드 리브(40)는, 상면 가이드부(40a)와 양쪽의 측면 가이드부(40b)들로 구성된다. 상면 가이드부(40a)는 보조히터(30)의 상면부분(30a)을 가이드하고, 양쪽의 측면 가이드부(40b)들은 보조히터(30)의 양쪽 측면부분(30b)을 가이드 한다.
그리고 하측의 가이드 리브(42)는, 하면 가이드부(42a)와, 양쪽의 측면 가이드부(42b)들로 구성된다. 하면 가이드부(42a)는 보조히터(30)의 하면부분(30c)을 가이드하고, 양쪽의 측면 가이드부(42b)들은 보조히터(30)의 양쪽 측면부분(30b)을 가이드 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히터 안착 부(14)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돌기(50)들을 구비한다.
지지돌기(50)들은 히터 안착부(1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특히, 히터 안착부(14)의 상측 가장자리부분과 측면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50)들은, 히터 안착부(14)에 안착된 보조히터(30)의 일측부분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보조히터(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히터 안착부(14)에 안착된 보조히터(30)의 유동을 방지한다. 그 결과, 보조히터(30)의 유동으로 인한 유동소음을 방지한다.
한편, 보조히터(30)에는, 지지돌기(50)들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지지홈(36)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히터 안착부(14)의 지지돌기(50)가 보조히터(30)의 지지홈(36)에 결합되면 보조히터(30)의 지지효율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이며, 이로써, 보조히터(30)의 유동을 더욱 효율좋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에 형성되는 위치 표시부(60)와,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되는 정조립 확인홀(62)을 구비한다.
위치 표시부(60)는,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60a)이며, 이 돌기(60a)는 공조케이스(10)의 히터 안착부(14)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정조립 확인홀(62)은, 보조히터(30)가 히터 안착부(14)에 정조립될 경우, 보조히터(30)의 위치 표시부(60)와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보조히터(30)가 히터 안착부(14)에 오조립될 경우, 위치 표시부(60)와 어긋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위치 표시부(60)와의 정렬 여부에 따라 보조히터(30)의 정조립 여부 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보조히터(30)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위치 표시부(60)의 돌기(60a)가 정조립 확인홀(62)에 끼워져 맞춰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보조히터(30)에 형성된 위치 표시부(60)가, 경우에 따라 구멍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정조립 확인홀(62)과 구멍의 정렬 여부에 따라 보조히터(30)의 정조립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과 공조케이스(10)의 히터 안착부(14)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체결수단은, 체결스크류(70)로 구성된다. 체결스크류(70)는 서로 정렬된 공조케이스(10)의 정조립 확인홀(62)과 보조히터(30)의 위치 표시부(60)를 나사 체결한다.
이러한 체결스크류는, 서로 정렬된 정조립 확인홀(62)과 위치 표시부(60)를 나사체결하므로, 정조립 확인홀(62)이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위치 표시부(60)가 형성된 보조히터(30)의 말단부를 체결한다.
그리고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과 공조케이스(10)를 체결하므로,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을 공조케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따라서, 히터 안착부(14)에 안착된 보조히터(30)의 유동을 방지한다. 그 결과, 보조히터(30)의 유동으로 인한 유동소음과 진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를 이용하여 보조히터 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공조케이스(10)의 개방부(12)에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을 정렬시킨 다음,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을 공조케이스(10)의 개방부(12)에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보조히터(30)를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0a)를 향해 계속해서 밀어서 가압한다. 그러면, 보조히터(30)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0a)를 가로지르면서 이동하고, 이렇게 이동한 보조히터(30)는 공조케이스(10)의 히터 안착부(14)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이 히터 안착부(14)에 도달하면,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은 상,하측 가이드 리브(40, 42)에 의해 히터 안착부(14)로 가이드 되고, 이렇게 가이드된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은 히터 안착부(14)에 정확하게 안착된다. 이로써, 보조히터(30)는 공조케이스(10)의 히터 안착부(14)에 정확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보조히터(30)의 안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된 정조립 확인홀(62)이 보조히터(30)의 위치 표시부(60)와 정렬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조립 확인홀(62)과 위치 표시부(60)가 정렬되지 않았으면, 보조히터(30)가 오조립된 것으로 판단하여 보조히터(30)를 재조립한다.
그리고 확인 결과, 조립 확인홀(62)과 위치 표시부(60)가 정렬되었으면, 보조히터(30)가 정조립된 것으로 판단하고, 서로 정렬된 조립 확인홀(62)과 위치 표시부(60)를 나사 체결한다.
그러면,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은 공조케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렇게 고정된 보조히터(30)는 공조케이스(10)에 정조립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히터(30)의 조립작업시, 보조히터(30)를 정조립 위치에 가이드 하는 구조이므로, 보조히터(30)를 손쉽고 간편하게 정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보조히터(30)를 손쉽고 간편하게 정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이로써 생산효율이 대폭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히터(30)의 오조립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보조히터(30)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불량제품이 양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을 공조케이스(10)에 나사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을 공조케이스(10)에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보조히터(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방진러버(도 1과 도 3참조)가 필요 없다. 이로써,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수의 절감에 따라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보조히터가 히터 안착부에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보조히터가 히터 안착부에 정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조케이스 10a: 내부통로
12: 개방부 14: 안착부
20: 히터코어(Heater Core) 30: 보조히터
30a: 보조히터의 상면부분 30b: 보조히터의 양쪽 측면부분
30c: 보조히터의 하면부분 36: 지지홈
40, 42: 가이드 리브(Guide Rib) 40a: 상면 가이드부
40b: 측면 가이드부 42a: 상면 가이드부
42b: 측면 가이드부 50: 지지돌기
60: 위치 표시부 62: 정조립 확인홀
70: 체결스크류(Screw)

Claims (8)

  1.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0a)에 설치되는 보조히터(30)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히터(3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된 개방부(12)에 끼운 후 상기 내부통로(10a)를 향해 밀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히터 안착부(14)에 안착시킴에 따라 조립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2)로부터 상기 히터 안착부(14)로 삽입되는 상기 보조히터(30)를 상기 히터 안착부(14)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히터 안착부(14)에 안착된 상기 보조히터(30)의 정조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조립 확인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히터 안착부(14) 주변의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40, 42)들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 리브(40, 42)들은 상기 개방부(12)로부터 상기 히터 안착부(14)로 삽입되는 상기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을 상기 히터 안착부(14)로 가이드 하여 안착시키며;
    상기 정조립 확인수단은, 상기 보조히터(30)에 형성되는 위치 표시부(60)와, 상기 보조히터(30)가 상기 히터 안착부(14)에 정조립될 시에는 상기 보조히터(30)의 위치 표시부(60)와 정렬되고, 상기 보조히터(30)가 상기 히터 안착부(14)에 오조립될 시에는 상기 위치 표시부(60)와 어긋나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되는 정조립 확인홀(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40, 42)는,
    상기 히터 안착부(14)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측의 가이드 리브(40)는, 상기 보조히터(30)의 상면부분(30a)을 가이드하는 상면 가이드부(40a)와, 상기 보조히터(30)의 양쪽 측면부분(30b)을 가이드 하는 양쪽의 측면 가이드부(40b)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의 가이드 리브(42)는, 상기 보조히터(30)의 하면부분(30c)을 가이드하는 하면 가이드부(42a)와, 상기 보조히터(30)의 양쪽 측면부분(30b)을 가이드 하는 양쪽의 측면 가이드부(42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표시부(60)는, 상기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으로부터 상기 히터 안착부(14)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60a)이고,
    상기 정조립 확인홀(62)은, 상기 돌기(60a)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 안착부(14)의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표시부(60)는, 상기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으로부터 상기 히터 안착부(14)를 향해 형성되는 구멍이고,
    상기 정조립 확인홀(62)은, 상기 구멍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 안착부(14)의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1항, 제 3항, 제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히터 안착부(14)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보조히터(30)의 말단부분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1항, 제 3항, 제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안착부(14)에 안착된 상기 보조히터(30)의 일측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히터 안착부(14)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돌기(50)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히터(30)는, 상기 지지돌기(50)들 각각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지지홈(36)들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90089403A 2009-09-22 2009-09-22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98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403A KR101198104B1 (ko) 2009-09-22 2009-09-22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403A KR101198104B1 (ko) 2009-09-22 2009-09-22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083A KR20110032083A (ko) 2011-03-30
KR101198104B1 true KR101198104B1 (ko) 2012-11-09

Family

ID=4393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403A KR101198104B1 (ko) 2009-09-22 2009-09-22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226A (ko)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15B1 (ko) * 2013-07-23 2019-08-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WO2018207759A1 (ja) * 2017-05-12 2018-11-15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車両用空調装置及びそれに適用される枠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333A (ja) 1999-03-29 2000-10-03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0338931Y1 (ko) * 2003-10-17 2004-01-16 한라공조주식회사 송풍 유니트 케이스의 레지스터 안착부 구조
JP2007276546A (ja) * 2006-04-03 2007-10-25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カ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333A (ja) 1999-03-29 2000-10-03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0338931Y1 (ko) * 2003-10-17 2004-01-16 한라공조주식회사 송풍 유니트 케이스의 레지스터 안착부 구조
JP2007276546A (ja) * 2006-04-03 2007-10-25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カ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226A (ko)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083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1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9536896A (ja) ワイパモータをワイパリンク機構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070087680A1 (en) Air duct structure for vehicle
JP2005306367A (ja) Hvacユニット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
AU762662B2 (en) Case connection structure
US9616732B2 (en) Air outlet for ventilating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KR20100086766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0310310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의 피드백센서 조립체
KR101151947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0603530B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WO2018020893A1 (ja) ヒータパイプクランプ
KR200310308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090052040A (ko) 디프로스터
KR0130570Y1 (ko) 자동차액튜에이터의 취부장치
KR1013855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케이스 형합구조
KR100550614B1 (ko) 자동차 에어덕트 조립구조
KR101765632B1 (ko) 차량용 쿨링모듈 및 인터쿨러 일체형 연결장치
KR101628408B1 (ko)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결합 구조체
JP2006273275A (ja) 筒状体組付構造
JP200714507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5183841A (ja) 部品固定構造
KR10201103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321794Y1 (ko) 차량용 에어콘 케이스
KR0116641Y1 (ko) 공기조화장치
JP2006027469A (ja) 車両用ダクト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