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040A - 디프로스터 - Google Patents

디프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2040A
KR20090052040A KR1020070118551A KR20070118551A KR20090052040A KR 20090052040 A KR20090052040 A KR 20090052040A KR 1020070118551 A KR1020070118551 A KR 1020070118551A KR 20070118551 A KR20070118551 A KR 20070118551A KR 20090052040 A KR20090052040 A KR 20090052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defroster
grill
coupled
cras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8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2040A/ko
Publication of KR2009005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14Devices in front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디프로스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크래쉬 패드에 결합되며, 측부가 개방되는 제1덕트부; 측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측부가 제1덕트부의 측부에 결합되는 제2덕트부; 및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제1덕트부에 구비되는 그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릴부가 제2덕트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1덕트부와 결합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구조적으로 큰 강성을 갖게 되므로, 내열성 실험시 종래 디프로스터에 비해 변형이 크게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변형으로 인한 갭, 단차 발생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과정이 용이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디프로스터, 그릴, 성에

Description

디프로스터{DEFROSTER}
본 발명은 디프로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실내에 구비되는 디프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크래쉬 패드에는 내부에 외기나 내기를 실내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이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은 겨울철에는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게 되고, 여름철에는 시원한 찬공기를 제공해 주게 되는데, 이 뿐만 아니라 겨울철 성에 등을 녹여 주기 위해 디프로스터가 더 부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디프로스터의 설치 단면도이다.
종래 디프로스터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프로스터 덕트(10)와 그릴(미도시)이 형성된 디프로스터 커버(20)가 별도로 구비된다.
디프로스터 덕트(10)는, 크래쉬 패드(1)의 내측에 배치되며, 디프로스터 커버(20)는, 크래쉬 패드(1)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2)에 삽입된다.
이때, 디프로스터 커버(20)는, 크래쉬 패드(1)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2) 상에 장착되기 위하여, 걸림부(22)와, 지지부(24) 및 후크부(26)를 구비한다.
이중, 걸림부(22)는 디프로스터 커버(20)의 일측 끝단에 외측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설치홈(2)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것이고, 지지부(24)는 디프로스터 커버(2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후크부(26)는, 지지부(24)에 돌출 형성되어 설치홈(2)의 끝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디프로스트에 따르면, 디프로스터 덕트(10)는, 스크루(3)에 의해 크래쉬 패드(1) 내부에 결합되며, 디프로스터 커버(20)는 크래쉬 패드(1)의 외측에서 설치홈(2)으로 삽입된다.
이때, 후크부(26)는 지지부(2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설치홈(2) 주변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된다. 그리고, 걸림부(22)가 설치홈(2)에 걸려 삽입을 멈추게 함과 동시에 삽입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와 동시에, 후크부(26)가 설치홈(2) 끝단에 걸려 삽입 반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로써, 디프로스터 커버(20)는 설치홈(2)의 양끝단에 각각 걸림부(22)와 후크부(26)가 걸리게 됨으로써 크래쉬 패드(1)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디프로스터에 따르면, 내열성 실험시 걸림부와 지지부 및 후크부의 변형으로 인하여 갭, 단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프로스터 덕트와 디프로스터 커버가 별물로 구비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되고 조립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디프로스터 커버가 크래쉬 패드의 상부 방향에서 조립되므로, 갭, 단차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장착시 크래쉬 패드와의 갭, 단차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디프로스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는: 크래쉬 패드에 결합되며, 측부가 개방되는 제1덕트부; 측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측부가 상기 제1덕트부의 측부에 결합되는 제2덕트부; 및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덕트부에 구비되는 그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그릴부는, 상기 제1덕트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프로스터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그릴부가 제2덕트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1덕트부와 결합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구조적으로 큰 강성을 갖게 되므로, 내열성 실험시 종래 디프로스터에 비해 변형이 크게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변형으로 인한 갭, 단차 발생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과정이 용이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릴부는 제2덕트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덕트부 및 제2덕트부는 서로 측부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결합 부위에 가해지는 힘이 감소되어 갭, 단차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프로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프로스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디프로스터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프로스터(100)는, 제1덕트부(110)와, 제2덕트부(120) 및 그릴부(130)를 포함한다.
제1덕트부(110)는, 크래쉬 패드(1) 내부에 배치된다. 이 제1덕트부(110)는, 사출 성형된 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덕트부(110)는, 일측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타측부가 크래쉬 패드(1)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1덕트부(110)의 타측부에는 장착부(112)가 형성되며, 이 장착부(112)가 스크루(30)에 의해 크래쉬 패드(1)에 결합됨으로써, 제1덕트부(110)는 크래쉬 패드(1) 내측면에 고정된다.
제2덕트부(120)는, 제1덕트부(110)와 마찬가지로, 그 일측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사출 성형된 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제2덕트부(120)는, 제1덕트부(110)와 별도로 구비되어 제1덕트부(110)의 개방된 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2덕트부(120)는, 진동융착이나 핫 스테이킹(Hot staking) 등의 방법으로 제1덕트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진동융착, 핫 스테이킹(Hot staking)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별도로 구비된 제1덕트부(110)와 제2덕트부(120)가 결합됨으로써, 제1덕트부(110)와 제2덕트부(120)에 둘러싸인 내부에는 공간부(125)가 형성된다. 이 공간부(125)는, 차량 내부의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배출되는 차가운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가 흐르기 위한 유로가 된다.
한편, 그릴부(130)는, 공간부(125)와 연통되도록 제1덕트부(110)에 구비된 다. 이 그릴부(130)는, 제1덕트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1덕트부(110)와 함께 제2덕트부(120)와 결합된다. 이러한 그릴부(130)는, 크래쉬 패드(1) 상에 삽입되어 크래쉬 패드(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디프로스터(100)에 따르면, 그릴부(130)가 제1덕트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2덕트부(120)와 결합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구조적으로 큰 강성을 갖게 되므로, 내열성 실험시 종래 디프로스터에 비해 변형이 크게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변형으로 인한 갭, 단차 발생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과정이 용이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릴부(130)는 제1덕트부(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덕트부(110) 및 제2덕트부(120)는 서로 측부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결합 부위에 가해지는 힘이 감소되어 갭, 단차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디프로스터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프로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프로스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디프로스터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프로스터 110 : 제1덕트부
112 : 장착부 120 : 제2덕트부
130 : 그릴부

Claims (2)

  1. 크래쉬 패드에 결합되며, 측부가 개방되는 제1덕트부;
    측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측부가 상기 제1덕트부의 측부에 결합되는 제2덕트부; 및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덕트부에 구비되는 그릴부를 포함하는 디프로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는, 상기 제1덕트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프로스터.
KR1020070118551A 2007-11-20 2007-11-20 디프로스터 KR20090052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51A KR20090052040A (ko) 2007-11-20 2007-11-20 디프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51A KR20090052040A (ko) 2007-11-20 2007-11-20 디프로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040A true KR20090052040A (ko) 2009-05-25

Family

ID=4085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551A KR20090052040A (ko) 2007-11-20 2007-11-20 디프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20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557A (ko) * 2013-07-23 2015-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크래쉬 패드 어퍼 마운팅 브라켓
CN113353026A (zh) * 2021-07-19 2021-09-07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整体式成型管道除霜送风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557A (ko) * 2013-07-23 2015-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크래쉬 패드 어퍼 마운팅 브라켓
CN113353026A (zh) * 2021-07-19 2021-09-07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整体式成型管道除霜送风结构
CN113353026B (zh) * 2021-07-19 2022-03-22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整体式成型管道除霜送风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6209B1 (en) Seal and drain structure for a front and rear integrated HVAC system
US20040083747A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US7886860B2 (en) Assembly support system
US20060040605A1 (en) Instrument panel integrated defroster duct
JP5565321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900392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US20200223306A1 (en) Device for closing an air intake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closing device
KR20090052040A (ko) 디프로스터
JP2012025385A (ja) 電気暖房装置、特に自動車用補助暖房装置および自動車用空調装置
US20130008203A1 (en) Mix door and vehicl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US20070243818A1 (en) Air Guide for front end cooling
CN110023173A (zh) 用于机动车的方向盘
JP5517590B2 (ja) 電気接続箱の冷却構造
KR20060104124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JP409936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1981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0127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7147039B2 (en) Air rou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ir conditioning or heating system
KR20110072536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43824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027744B1 (ko) 듀얼 덕트 캐리어
JP4135492B2 (ja) 導風部材
KR20060039509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유닛 고정구조
JP4149721B2 (ja) 車両用熱交換器の取付構造
KR101898543B1 (ko) 차량용 공조기의 pcb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