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308Y1 -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308Y1
KR200310308Y1 KR20-2003-0002341U KR20030002341U KR200310308Y1 KR 200310308 Y1 KR200310308 Y1 KR 200310308Y1 KR 20030002341 U KR20030002341 U KR 20030002341U KR 200310308 Y1 KR200310308 Y1 KR 200310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utput gear
case
door actuat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2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3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3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액츄에이터의 상하부 케이스와 출력기어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기어와 감속용 기어열로 연결되는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기어와 연결되며, 타단은 도어와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어는, 그 기어 대경부 일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이 형성된 대경부 일측면에 대향하는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미세한 치수불량 등이 발생하더라도, 출력기어가 케이스 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소음을 거의 일으키지 않으며, 설계치 대로의 토오크를 레버로 전달할 수 있어 작동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어축과 기어 대경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출력기어 조립에 따른 조립공수 증가, 기어 파손위험, 기어축 초기위치 불량 등의 문제점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AIR CONDITIONING DOOR ACTUATOR FOR CAR}
본 고안은, 도어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케이스와 출력기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 안정성을 개선한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및 흐름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된 시스템을 차량용 공조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Car)이라 한다. 상기 공조시스템은 크게 3가지, 즉 인테이크(intake), 모드(mode) 그리고 템프(temp)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첫번째, 인테이크 기능은 외부의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유입하거나 또는 차량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말하며,
두번째, 모드 기능은 공조시스템의 덕트로부터 벤트(vent), 플로어(floor) 또는 디프론트(defront) 출구로 나가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말하며,
세번째, 템프 기능은 냉기와 온기의 혼합량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온도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Electric Control Unit)에서 공급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덕트의 출구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행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출력기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는,
각종 부품이 장착되도록 소정의 형태로 몰드된 상하 한 쌍의 케이스(10a, 10b)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장착되어 제어장치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모터(11)와, 상기 모터(11)의 축기어(12)와 감속용 기어열(13,14,15)로 연결되는 출력기어(16)와, 상기 출력기어(16)의 기어축(16b)에 연결되며 타단은 도어와 연결되어 모터(11)로부터 전달되는 토오크에 의하여 도어를 이동시키는 레버(19)와, 출력기어(16) 상부에 장착되며 가변저항부가 내장된 피드백 센서(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출력기어(16)는 스틸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된 기어축(16b)이 플라스틱 수지제의 대경부 기어(16a)에 강제압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축(16b) 상부에는 피드백 센서(200)의 체결공에 끼워지는 끼움축(S)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상하부 케이스(10a,10b)와 출력기어(16)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도 1에서 다른 구성부품들을 제거하고, 출력기어(16)와 상하부 케이스(10a,10b)만을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도시된 바에 의하면, 종래의 출력기어(16)는 그 기어축(16b)이, 하부 케이스(10b) 내면에 형성된 홀(1)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기어축(16b) 상부에 형성된 끼움축(S)이 피드백 센서(20)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져 지지되고 있을 뿐이어서, 액츄에이터 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예컨대 치수불량 등으로 기어축(16b)과 하부케이스(10b)의 홀(1) 사이에 유격이 생기거나, 피드백 센서(20)의 위치가 미세하게 틀어질 경우에는, 출력기어(16)가 액츄에이터 작동과정에서 미세하게 흔들려 소음이나 이음(異音)이 발생하게 되고, 설계치 대로의 토오크를 레버(19)로 전달하지 못할 뿐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위치를 이탈하는 등 작동 안정성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출력기어(16)는, 기어축(16a)과 대경부 기어(16b)로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공수가 증가하고, 기어축을 대경부 기어에 강제압입시킬 때 대경부 기어가 파손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압입불량 시에는 기어축의 초기위치가 변동되어 이와 연결된 레버까지 위치가 변동되어 작동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출력기어의 구조를 개선하고, 출력기어를 별도로 지지하는 가이드를 케이스 내부면에 형성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작동안정성을 개선시킨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출력기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상하부 케이스와 출력기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개략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케이스와 출력기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개략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상부케이스, 100b...하부케이스,
110...가이드 120...지지리브,
150...홀, 151...지지가이드부,
200...출력기어, 210...대경부,
211...가이드 홈, 220...기어축.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기어와 감속용 기어열로 연결되는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기어와 연결되며, 타단은 도어와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어는, 그 기어 대경부 일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이 형성된 대경부 일측면에 대향하는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기어의 기어축은 상부폭이 하부폭보다 작은 2단형 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가 형성된 케이스와 대향하는 케이스 내면에는 상기 기어축 상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 주위에는 기어축를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부가 형성되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일부가 절개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내측의 케이스 내면에는, 피드백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출력기어의 기어 대경부와, 기어축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구비된케이스와 출력기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개략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출력기어(200)의 대경부(210) 일측면(도 5에서는, 출력기어 상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출력기어(200)의 기어축(200)은 상부(222) 폭이 하부(221) 폭보다 작은 2단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종래와 달리 본 고안의 출력기어의 기어축(220)과 기어 대경부(21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출력기어(200)의 가이드 홈(210)이 형성된 일측면을 덮으며 장착되는 케이스(100a)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210)에 삽입되는 가이드(11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110)는, 피드백 센서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예컨대, 연결단자)를 설치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있으며, 가이드 내측의 케이스 내면에는 피드백 센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리브(12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리브(120)의 형상은, 피드백 센서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는 조건을 만족한다면, 도 5와 같이 원주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a)의 가이드(110)와 대향하는 케이스(100b)의 내면에는, 출력기어(200)의 기어축 상부(222)가 삽입되는 홀(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150)의 테두리에는, 기어축(2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가이드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가이드부(151)는, 케이스(100b)의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어 기어축(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출력기어의 지지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출력기어(200)는, 가이드 홈(210)에 삽입된 케이스(10a)의 가이드(110) 및 기어축(220)이 삽입되는 홀(150)의 내주면과 그 테두리의 지지가이드부(151)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기어 대경부(210) 상부에 돌출형성된 끼움축에 끼워지는 피드백 센서와 상기 피드백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리브(120)에 의하여도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출력기어(200)는, 케이스의 가이드(110), 지지가이드부(150) 등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미세한 치수불량 등이 발생하더라도, 출력기어가 케이스 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소음 발생을 거의 일으키지 않으며, 설계치 대로의 토오크를 레버로 전달할 수 있어 작동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어축과 기어 대경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출력기어 조립에 따른 조립공수 증가, 기어 파손위험, 기어축 초기위치 불량 등의 문제점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기어와 감속용 기어열로 연결되는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기어와 연결되며, 타단은 도어와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어(200)는, 그 기어 대경부(210) 일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이 형성된 대경부 일측면에 대향하는 케이스(100a)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110)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어(200)의 기어축(220)은 상부(222) 폭이 하부(221) 폭보다 작은 2단형 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10)가 형성된 케이스(100a)와 대향하는 케이스(100b) 내면에는 상기 기어축 상부(222)가 삽입되는 홀(150)이 형성되며 상기 홀 주위에는 기어축를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부(1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10)는, 일부가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10) 내측의 케이스 내면에, 피드백 센서(20)를 지지하는 지지리브(120)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어(200)의 기어 대경부(210)와, 기어축(220)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2003-0002341U 2003-01-24 2003-01-24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0310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41U KR200310308Y1 (ko) 2003-01-24 2003-01-24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41U KR200310308Y1 (ko) 2003-01-24 2003-01-24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210A Division KR100603530B1 (ko) 2003-12-31 2003-12-31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308Y1 true KR200310308Y1 (ko) 2003-04-21

Family

ID=4933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341U KR200310308Y1 (ko) 2003-01-24 2003-01-24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3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755B1 (ko)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듀얼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액츄에이터
US20150044959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CN107650617B (zh) 车辆用空调装置
KR200310308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100603530B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US20060286919A1 (en) Door actuator having dual output shaft for air conditioner of automotive vehicles
US20060042281A1 (en) Feedback apparatus for air-conditioning actuator for vehicle
KR200310310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의 피드백센서 조립체
KR1011981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725041B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0310306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0397379Y1 (ko) 차량 공조용 액츄에이터
KR102116736B1 (ko) 피드백 센서 및 피드백 센서를 구비한 액츄에이터
KR101030501B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액츄에이터의 모터 결합구조 및 체결 방법
KR200310307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102069620B1 (ko) 커넥터 분리형 액추에이터
KR200265779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0310309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100880121B1 (ko)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액츄에이터
KR100531638B1 (ko)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듀얼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액츄에이터
KR100589596B1 (ko)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멀티 액츄에이터 장치
US6726366B2 (en) Spindle bearing
KR200329730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200005979A (ko) 모듈형 기어 박스가 장착된 액추에이터
JP4305134B2 (ja) 内外気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173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720

Effective date: 20060426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720

Effective date: 20060426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