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306Y1 -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306Y1
KR200310306Y1 KR20-2003-0002339U KR20030002339U KR200310306Y1 KR 200310306 Y1 KR200310306 Y1 KR 200310306Y1 KR 20030002339 U KR20030002339 U KR 20030002339U KR 200310306 Y1 KR200310306 Y1 KR 200310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upport shaft
case
door actuato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택진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2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3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3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감속용 기어의 지지부 구조를 개선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기어와 감속용 기어열로 연결되며, 타단은 도어와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감속용 기어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의 지지축은, 기어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그 기어의 전체 폭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 일측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일측 내면과 대향하는 케이스 내면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지지축의 성형이 용이할 뿐 아니라, 지지축 결합에 의한 오차나 기어와의 유격 또는 마찰이 없어, 소음이나 이음의 발생이 현저히 작아지고, 이로 인하여 토오크가 설계치대로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액츄에이터의 성능 및 작동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AIR CONDITIONING DOOR ACTUATOR FOR CAR}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감속용 기어의 지지부 구조를 개선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및 흐름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된 시스템을 차량용 공조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Car)이라 한다. 상기 공조시스템은 크게 3가지, 즉 인테이크(intake), 모드(mode) 그리고 템프(temp)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첫번째, 인테이크 기능은 외부의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유입하거나 또는 차량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말하며,
두번째, 모드 기능은 공조시스템의 덕트로부터 벤트(vent), 플로어(floor) 또는 디프론트(defront) 출구로 나가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말하며,
세번째, 템프 기능은 냉기와 온기의 혼합량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온도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Electric Control Unit)에서 공급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덕트의 출구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행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기어 지지부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는, 각종 부품이 장착되도록 소정의 형태로 몰드된 상하 한 쌍의 케이스(10a, 10b)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장착되어 외부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모터(11)와, 상기 모터(11)의 축기어(12)와 감속용 기어열(13,14,15,16)로 연결되며 타단은 도어와 연결되어 모터(11)로부터 전달되는 토오크에 의하여 도어를 이동시키는 레버(1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감속용 기어는 상부케이스(10a) 또는 하부케이스(10b)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하부 폭이 서로 다른 2단형 지지축(2)과, 반대측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2단형 지지축의 폭이 좁은 상부가 삽입되는 중공형 지지축(1)이 결합하여 이루는 지지축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지지축(1,2)의 결합에 의하여 지지되는 종래의 기어 지지부의 구조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2개의 지지축을 각각 사출성형하는 것은 복잡하고 어려울 뿐 아니라,
둘째, 2개의 지지축을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성형 불량이나 오차가 있을 경우에는, 주로 상기 지지축의 결합부위와 기어의 접촉면에서 마찰을 일으켜 소음이나 이음(異音)이 발생하거나, 기어와 지지축 사이에 유격이 생겨 기어가 공회전하거나 역회전할 위험성이 있었으며,
셋째, 이러한 지지축의 직진성(直進性) 불량으로 인하여, 설계치대로 토오크가 전달되지 못하여 액츄에이터의 성능 및 작동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액츄에이터에 설치되는 감속용 기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의 지지축을 그 기어폭보다 길게 연장시켜 형성한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기어 지지부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기어 지지부의 형성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단형 지지축, 2...중공형 지지축,
10a...상부케이스, 10b...하부케이스,
11...모터, 12...모터 축기어,
13,14,15,16...감속용기어열, 19...레버,
100...지지축 삽입홈, 110...테두리부,
200...지지축.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기어와 감속용 기어열로 연결되며, 타단은 도어와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감속용 기어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의 지지축은, 기어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그 기어의 전체 폭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 일측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일측 내면과 대향하는 케이스 내면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향하는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홈 주위에는,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는 테두리부가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어의 지지축을, 상하부 폭이 다른 2단형 지지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 때는 폭이 좁은 상부지지축이 기어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기어 전체 폭보다 길게 연장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기어 지지부의 형성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감속용 기어의 지지축(200)은 하부케이스(10b)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기어(G)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그 기어(G)의 전체 폭보다 길게 연장형성된다. 기어(G)의 전체 폭이란, 기어가 소경부 및 대경부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경부와 대경부의 폭을 합한 폭을, 기어가 소경부, 대경부 및 소경부와 대경부의 연결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경부, 대경부, 연결부를 합한 폭을 말한다.
상기 지지축(200)은, 본 실시예와 같이, 상하부 폭이 다른 2단형 지지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때는 폭이 좁은 상부의 지지축이 기어(G)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기어 전체 폭보다 길게 연장형성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지지축은 종래와 달리, 하나의 지지축만으로 감속용 기어(G)를 지지하는 것을 그 기술적사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축(200)은 상부케이스(10a)의 내면에 형성된 홈(100)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축(200)의 길이는 기어(G)의 전체 폭보다 길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한도에서, 액츄에이터 내부의 구성요소의 배치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홈(100)의 깊이는 상기 지지축(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0a)에 형성된 홈(100) 주위로 지지축(200)의 외주를 감싸며 지지축을 지지하는 테두리부(110)를 돌출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속용 기어(G)는, 기어축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테두리부(110)에 의하여 상부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상기 지지축(200)을 상부케이스(10a) 내면에 형성시키고, 상기 홈(100)을 하부케이스(10b)의 내면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지지축 만으로 감속용 기어를 지지하므로, 기어 지지축의 성형이 용이할 뿐 아니라, 지지축 결합에 의한 오차나 기어와의 유격 또는 마찰이 없어, 소음이나 이음의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토오크가 설계치대로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액츄에이터의 성능 및 작동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기어와 감속용 기어열로 연결되며, 타단은 도어와 연결된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감속용 기어열(13,14,15,16)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의 지지축(200)은, 기어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그 기어의 전체 폭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10b) 일측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일측 내면과 대향하는 케이스(10a) 내면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홈(1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케이스(10a) 내면에 형성된 홈(100) 주위에는, 상기 지지축(200)을 지지하는 테두리부(110)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의 지지축(200)은, 상하부 폭이 다른 2단형 지지축으로 형성되며, 폭이 좁은 상부지지축이 기어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기어 전체 폭보다 길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2003-0002339U 2003-01-24 2003-01-24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0310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39U KR200310306Y1 (ko) 2003-01-24 2003-01-24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39U KR200310306Y1 (ko) 2003-01-24 2003-01-24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306Y1 true KR200310306Y1 (ko) 2003-04-21

Family

ID=4933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339U KR200310306Y1 (ko) 2003-01-24 2003-01-24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3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9807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US6715814B1 (en) Vehicle center console with integrally molded HVAC air passage
KR100571755B1 (ko)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듀얼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액츄에이터
KR100828838B1 (ko)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도어 액추에이터
CN107650617B (zh) 车辆用空调装置
US20140342650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200310306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100736981B1 (ko) 4절 링크를 이용한 에어 벤트 댐퍼
KR100603530B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JP3781144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ドア構造
KR200310308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0397379Y1 (ko) 차량 공조용 액츄에이터
KR100725041B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JPS63188515A (ja) 車両用空調装置の送風機
US6726366B2 (en) Spindle bearing
JP4362816B2 (ja) 空調ユニット
KR200310309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0319298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101173747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액츄에이터의 접촉 소음 억제구조
KR200310307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0364903Y1 (ko) 차량 공조용 도어 액츄에이터
KR102116736B1 (ko) 피드백 센서 및 피드백 센서를 구비한 액츄에이터
JP4434072B2 (ja) リンク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200329730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200297983Y1 (ko) 자동차 공조기의 도어구동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