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363B1 - 복합 나노섬유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나노섬유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363B1
KR101197363B1 KR1020077009949A KR20077009949A KR101197363B1 KR 101197363 B1 KR101197363 B1 KR 101197363B1 KR 1020077009949 A KR1020077009949 A KR 1020077009949A KR 20077009949 A KR20077009949 A KR 20077009949A KR 101197363 B1 KR101197363 B1 KR 10119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electrospun
coarse
composit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3851A (ko
Inventor
풍-조우 첸
레이 후앙
제프리 디. 린드세이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07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76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llecting device, e.g. drum, wheel, endless belt, plate or grid
    • D01D5/0084Coating by electro-spinning, i.e. the electro-spun fibres are not removed from the collecting device but remain integral with it, e.g. coating of prosthe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3Composite fibres sea-isla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8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10T442/615Strand or fiber material is blended with another chemically different microfiber in the sam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10T442/619Including other strand or fiber material in the same layer not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71Multiple nonwoven fabric layers composed of the same polymeric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2Needled nonwoven fabric
    • Y10T442/684Containin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strand or fibe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굵은 섬유와 교락되어 하나 이상의 층을 형성한 복수의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나노섬유는 전기방사 섬유를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나노섬유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굵은 섬유와 교락되어 단일 층을 형성한 복수의 전기방사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굵은 섬유와 조합되어 복수의 층을 형성한 복수의 전기방사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즉 다층 재료에 관한 것이다. 특정의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의 구배가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는 복합 나노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재료는 일회용 의복, 와이프, 병원용 의복, 안면 마스크, 살균 랩, 공기 필터, 물 필터 등의 임의의 유형에 대하여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재료는 강하며 다양한 표면 효과, 예컨대 심지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소수성 섬유는 로투스 효과를 생성하기에 충분히 작은 직경을 갖는다.
복합 나노섬유 재료, 교락, 심지 작용, 전기방사 섬유, 굵은 섬유

Description

복합 나노섬유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COMPOSITE NANOFIBER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본 발명은 나노섬유 재료 및, 특히 복합 나노섬유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상 재료로 제조된 제품은 다양한 적용예, 예컨대 개인 위생 제품 및 의복, 여과 장치 등에 유용하다. 이러한 제품은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일 수 있다. 이러한 섬유상 재료는 특이적 표면 화학 및 기타의 재료 성질을 지니며, 이는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흡수성 제품은 예를 들면 흡수성 의복으로부터 와이프 직물까지 다양한 적용예에 사용된다. 흡수성 제품을 사용하면, 적절한 흡수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큰 표면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특정의 경우에서, 이와 같은 흡수성 의복에서는 심지 작용(wicking)이 매우 중요한 특징이 된다. 이러한 다수의 제품에서는 재료가 이의 용도에 따라 소수성 또는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의 경우에서, 제품은 뚜렷한 물성을 갖는 분리된 부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당분야에서는 개선된 성질을 갖는 섬유상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개요
본 발명은 복수의 굵은(coarse) 섬유와 교락되어(intertwined) 하나 이상의 층을 형성한 복수의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제공한다. 상기 나노섬유는 다성분 재료중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물리적으로 교락, 즉 엉켜질 수 있다. 이러한 교락은 모든 크기의 섬유가 중첩된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시에 부착될 수 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나노섬유는 전기방사 섬유, 단백질 나노섬유, 셀룰로스 나노섬유, 중공 나노섬유, 박테리아 나노섬유, 무기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분할 가능한 나노섬유, 및 이들의 조합물을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나노섬유가 될 수 있다. 복합 재료는 두께 방향, 평면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구배를 지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굵은 섬유와 교락되어 단일 층을 형성한 복수의 전기방사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굵은 섬유로 조합되어 복수의 층을 형성한 복수의 전기방사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즉 다층 재료에 관한 것이다. 단일 층은 하나 이상의 평면 구배를 지닐 수 있으며, 복수의 층은 하나 이상의 두께 구배, 하나 이상의 평면 구배 또는 이의 조합, 즉 층의 평면내에서 및/또는 하나 이상의 복수의 층 사이에서의 구배를 지녀 하나 이상의 두께 방향 구배, 즉 z-방향 구배(z-방향은 층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임)를 지닐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복수의 전기방사 섬유는 단일 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 및 전기방사 방법의 2 이상의 유형으로부터 또는 2종 이상의 상이한 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 및 전기방사 방법의 하나 이상의 유형으로부터 제조된다.
임의의 적절한 재료는 전기방사 섬유에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중합체 및/또는 중합체 혼합물은, 존재하는 기타의 재료 없이 및/또는 존재하는 미량의 기타의 섬유, 예컨대 세라믹 및/또는 티타니아만으로, 전기방사 섬유로서 사용된다. 한 구체예에서, 중합체 및/또는 중합체 혼합물은 폴리락티드, 폴리락트산,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프롤락톤, 폴리비닐 알콜(PVA), 셀룰로스, 키토산 나일론 (예, 나일론 6, 나일론 46, 나일론 6,6 등), 폴리스티렌, 단백질 등, 또는 이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추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중합체 및 중합체 혼합물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각각의 중합체, 중합체 조합물 또는 중합체 혼합물에 적절한 용매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용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기타의 구체예에서, 전기방사 섬유는 중합체를 제외한 재료, 예컨대 세라믹으로부터 제조된다.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굵은 섬유에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굵은 섬유는 멜트블로운(MB) 섬유, 스펀본디드 섬유, 제지 섬유, 펄프 섬유, 플러프, 셀룰로스 섬유, 나일론 스테이플 섬유,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복합 전기방사 재료로부터 제조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갖는 제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하나 이상의 구배를 형성한 2종 이상의 전기방사 섬유를 갖는 복합 전기방사 재료로부터 제조된 흡수성 물품 또는 기타의 일회용 물품, 건강 관리 제품 또는 소비자 물품을 더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구배 중 적어도 하나는 표면 화학 구배, 예컨대 접촉각 구배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굵은 섬유를 생성하는 단계; 나노섬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굵은 섬유 및 나노섬유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복합 나노섬유 재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나노섬유 및 굵은 섬유를 이동 기재에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한 구체예에서, 나노섬유 및 굵은 섬유를 이동 기재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적용하며, 한 구체예에서, 생성된 복합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실질적으로 교락한다. 한 구체예에서, 나노섬유 및 굵은 섬유는, 나노섬유를 굵은 섬유와 혼합하여 교락된 복합 웹을 형성하는 코포밍 방법에 참여하게 된다. 기타의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구배는 두께 및/또는 평면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 구체예에서, 나노섬유는 니들 및/또는 슬롯의 사용, 또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복수의 니들 및/또는 슬롯 또는 오리피스를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전기방사 섬유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흡수성 물품, 예컨대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성인용 실금환자 제품, 여성용 케어 의복 등뿐 아니라, 일회용 물품, 예컨대 병원용 의복[본 명세서에서는 수술용 가운, 헤어 또는 헤드 커버링(예, 샤워 캡, 헤어네트, 수술용 캡 등), 슈즈 커버, 안면 마스크, 일회용 환자 가운, 실험실용 코트, 수술용 장갑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함], 살균 랩, 상처용 커버, 지혈 물품을 비롯하여 그리고 추가로 임의의 유형의 장갑, 장갑 라이너 등을 비롯한 기타 의료용 및 수술용 제품(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비롯한 임의의 유형의 일회용 의복에 유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는 와이프, 공기 필터, 물 필터, 흡수성 패드, 정전 웹, 컴퓨터 매체, 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및 하드 디스크 등을 위한 먼지 필터를 비롯한 다수의 기타 유형의 소비자 제품(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에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재료는 강하며 다양한 표면 효과, 예컨대 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소수성 섬유는 로투스(lotus) 효과를 생성하기에 충분히 작은 직경을 갖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의한 복합 전기방사 재료를 형성하는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 의한 복합 전기방사 재료를 형성하는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의한 비-구배 복합 전기방사 재료의 일부분의 단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B, 도 2C, 도 2D, 도 2E 및 도 2F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의한 하나 이상의 구배를 갖는 복합 전기방사 재료("구배 복합 전기방사 재료")의 일부분의 단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의한 복합 전기방사 재료를 형성하는 또다른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의한 복합 전기방사 재료를 형성하는 또다른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의한 복합 전기방사 재료를 형성하는 방법의 블록 도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의한 복합 전기방사 재료를 포함하는 예시의 제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평활한 표면 모폴로지를 갖는 멜트블로운(MB) 접착제 중합체 섬유의 605 배 확대 배율에서의 SEM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의한 교락된 폴리에틸렌 옥시드(PEO) 나노섬유/MB 복합 모폴로지의 1,500 배 확대 배율에서의 SEM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의한 여러 가지 샘플 부위에서의 도 8의 교락된 PEO 나노섬유/MB 복합 모폴로지의 2,000 배 확대 배율에서의 SEM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
도 10은 거친 표면 모폴로지를 갖는 셀룰로스 섬유의 2,000 배 확대 배율에서의 주사 전자 현미경(SEM)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의한, 교락된 PEO 나노섬유/셀룰로스 플러프 복합 모폴로지의 각각 1,OOO 배 확대 배율 및 2,000 배 확대 배율에서의 SEM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의한, 교락된 PEO 나노섬유/셀룰로스 플러프 복합 모폴로지의 각각 2,OOO 배 확대 배율 및 4,000 배 확대 배율에서의 SEM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다.
하기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루며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특정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예시하도록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였다. 이들 구체예는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기타의 구체예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만 하며, 전기, 화학, 기계, 절차 및 기타의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만 한다. 그러므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하는 의미로 해석하여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와 함께 이러한 청구의 범위가 부여하는 모든 범위의 균등 범위에 의하여서만 정의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나노섬유, 예컨대 복수의 전기방사 섬유, 및 복수의 굵은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구배가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노섬유, 예컨대 전기방사 섬유를 굵은 섬유와 조합하여 복합 재료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특정의 용어의 정의를 먼저 제시하며, 그후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 실시예 및 간단한 결론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일회용 흡수성 의복"은 통상적으로 체액 또는 분비물을 수용 및 유지하도록 하는 신체측 라이너 및 흡수성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의복을 지칭한다. 흡수성 엘리먼트는 통상적으로 흡수성 재료, 예컨대 셀룰로스 섬유, 티슈 층, 섬유상 부직 웹 및/또는 초흡수성 재료를 포함한다. 종종, 이러한 의복은 그 자체가 다수의 성분, 예컨대 흡수성 코어, 서지 층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흡수성 엘리먼트를 지지하기 위한 바디 섀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의복은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자동 지지 허리 밴드를 사용하여 배치된 실금용 내의 또는, 탭, 벨트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고정시킬 수 있는 기저귀 등이 있다. 바디 섀시는, 추가의 이면 시이트, 즉 차단체가 제공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투액성 또는 불투액성일 수 있는 외부 커버 또는 이면 시이트, 즉 라이너에 고정된 투액성 상부 시이트 또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흡수성 엘리먼트는 바디 섀시와 사용자의 사이에 배치된다. 바디 섀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동 지지 허리 밴드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팬티형 또는 속옷형 내의 등을 비롯한 다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바디 섀시는 예를 들면 탭, 벨트 등(이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비롯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체결 수단 또는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주위에 고정시키는 기저귀 또는 유사 의복이 될 수 있다. 섀시는, 사용자의 가랑이 및 다리와의 가스켓을 형성하도록 다리 개구부 주위에서 그리고 가랑이 영역의 엣지를 따라 형성된 탄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부직 웹"은 통상의 직조 웹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은 확인 가능한, 반복적 방법이 아닌 인터메쉬 처리한 각각의 섬유 또는 실의 구조를 생성하기 위하여, 통상의 직물 형성 방법, 예컨대 직조 또는 편성을 사용하지 않고 형성되는 재료의 구조 또는 웹을 지칭한다. 비-직조 웹은 통상의 공정, 예컨대 멜트블로운 공정, 스펀본딩 공정, 필름 어퍼쳐링 공정, 하이드로인탱글링, 코폼 생성, 공기내재, 및 스테이플 섬유 카딩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멜트블로운(MB) 웹 및 스펀본드(SB) 웹은 모두 "멜트스펀" 웹의 예가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코폼"은 MB 섬유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MB 섬유의 적어도 일부분을 고정시키면서 MB 섬유의 매트릭스를 통하여 배치된 목재 펄프 섬유와 같이 통상적으로 적어도 마이크로섬유 크기 또는 더 큰 다수의 개별화된 흡수성 섬유 및 열가소성 중합체 MB 섬유를 포함하는 공기-형성된 매트릭스 재료의 부직 재료를 지칭한다. 흡수성 섬유는 MB 섬유와 흡수성 섬유의 기계적으로 교락시켜 MB 섬유의 매트릭스에 의하여 상호연결시키고 매트릭스내에서 계류된 상태를 유지한다. MB 섬유 및 흡수성 섬유 단독의 기계적 교락 및 상호연결은 응집 통합된 섬유상 구조를 형성한다. 응집 통합된 섬유상 구조는 섬유의 2 가지의 상이한 유형 사이에서 임의의 접착제, 분자 또는 수소 결합 없이 MB 섬유 및 흡수성 섬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흡수성 섬유는 균질한 재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MB 섬유의 매트릭스를 통하여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모두 공동 양도되고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4,100,324호(Anderson et al.), 미국 특허 제5,508,102호(Georger et al.) 및 미국 특허 제5,385,775호(Wright)에서의 기재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중합체"는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예컨대, 블록, 그래프트, 랜덤 및 교호 공중합체, 삼원중합체 등 및 혼합물 및 이이 변형체를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이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락티드, 폴리락트산,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프롤락톤, 폴리비닐 알콜(PVA), 셀룰로스, 키토산 나일론(예, 나일론 6, 나일론 46, 나일론 6,6 등), 폴리스티렌, 단백질 등 또는 이의 조합물 등이 있다.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 한, 용어 "중합체"는 재료의 모든 가능한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의 예로는 이소택틱, 신디오택틱 및 랜덤 대칭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각의 중합체에 적절한 용매는 황산, 포름산, 클로로포름,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 포름아미드, 물, 아세톤, 및 이들의 조합물을 비롯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용매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중합체 혼합물"이라는 것은 다양한 유형 및 함량의 중합체 조합뿐 아니라 중합체와 기타의 재료, 예컨대 후술하는 것의 혼합물 등을 지칭한다.
단일 중합체로부터 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중합체 혼합물 또는 시스템은 해당 용매가 전기방사에 사용되기 때문에 임의의 적절한 중합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전기방사에 적절한 수개의 대표적인 중합체 시스템의 예로는 문헌[H.J. Jin et al., "Electrospinning Bombyx Mori Silk with Poly(ethylene oxide)," Biomacromolecules, Vol. 3, No. 6, Nov.-Dec. 2002, pp. 1233-1239]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가공성 또는 기타의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첨가한 중합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옥시드)를 임의로 갖는 실크 피브로인; 문헌[M.J. Diaz-de Leon, "Electrospinning Nanofibers of Polyaniline and Polyaniline/(Polystyrene and Polyethylene Oxide) Blends", Proceeding of The National Conference on Undergraduate Research (NCUR) 2001, University of Kentucky, March 15-17, 2001, Lexington, Kentucky]에 개시된 바와 같은 용매, 예컨대 클로로포름에 용해된 폴리아닐린 및 폴리스티렌(PS) 및/또는 폴리에틸렌 옥시드(PEO)의 혼합물로 임의로 도핑된 황산 또는 기타의 용매중의 폴리아닐린; 문헌[A.V. Mironov, "Nanofibers based on associating polyacrylonitrile-acrylamide copolymers produced by electrospinning",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elf-Assembled Fibrillar Networks (in Chemistry, Physics and Biology), Poster Session, Autrans, France, November 24-28, 2001]에 기재된 유기 용매, 예컨대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에 용해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아미드(PAN-AA) 공중합체(보고된 중합체 농도는 DMF중에서 6.4 내지 14.9 중량%임; 포름산중의 나일론 6, 예 용매중의 약 10-20% 나일론); 0 내지 100%의 용매 범위의 1:1의 테트라히드로푸란(THF)과 디메틸 포름아미드(DMF)의 혼합물 또는 기타의 비율의 THF 및 DMF중의 폴리우레탄 등이 있다. 폴리우레탄 농도는 예를 들면 물중의 폴리비닐 알콜 및/또는 PEO; 및 아세톤 및 클로로포름의 혼합물중의 폴리락트산 및 비오틴 또는 기타의 단백질성 재료와 같은 용매중에서의 중량 기준으로 약 5% 내지 25%가 될 수 있다. 각각의 중합체 혼합물 또는 시스템에 적절한 용매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용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길이"라는 것은 길이 또는 세로 방향, 특히 사용자의 전면 및 후면 사이에서 이동하는 방향을 지칭하거나 또는 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용어 "측면"은 옆부분에서 옆부분에 위치하거나, 이를 향하거나 또는 이동하는 것, 특히 사용자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상부", "하부", "내부" 및 "외부"는 가랑이 영역에 걸쳐서 흡수성 의복을 착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방향을 나타내고자 한다. 예를 들면, 용어 "내부" 및 "상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가장 근접한 면을 의미하는 "신체측"을 의미하며, 용어 "외부" 및 "하부"는 "의복 면"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기계 방향" 또는 "MD"라는 것은 부직 섬유상 재료, 예컨대 본 발명의 복합 전기방사 재료의 형성중에 섬유를 부착한 형성 표면 또는 이동 기재의 이동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횡-기계 방향" 또는 "CD"라는 것은 전술한 기계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멜트블로운 섬유" 또는 "MB 섬유" 또는 문자 "M"은 마이크로섬유 직경이 될 수 있는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는 고속 가스(예, 공기) 흐름에 용융된 실 또는 필라멘트로서 복수의 미세한, 일반적으로 원형의 다이 모세관을 통하여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시켜 형성된 섬유를 지칭한다. 그후, MB 섬유는 고속 기체 흐름에 의하여 얻으며, 랜덤 분배된 MB 섬유의 웹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집 표면상에 부착시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멜트블로운 섬유를 "굵은" 섬유의 유형인 것으로 간주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스펀본디드 섬유" 또는 문자 "S"라는 것은 압출된 필라멘트의 직경을 갖는 스피너렛의 직경을 갖는 복수의 미세한, 일반적으로 원형인 모세관으로부터 필라멘트로서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시킨 후, 예를 들면 환원성 인출 또는 기타의 주지된 스펀본딩 메카니즘에 의하여서와 같이 신속하게 감소시켜 형성된 적어도 마이크로 크기의 섬유 또는 더 큰 섬유를 지칭한다. 스펀본디드 부직 웹의 생성은 특허, 예컨대 공동 양도되고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4,340,563호(Appel et al.)에 예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펀본디드 섬유는 "굵은" 섬유의 유형으로 간주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굵은 섬유"라는 것은 크기가 나노섬유보다 더 큰 섬유, 마이크로섬유뿐 아니라, 약 100 마이크로미터 초과, 예컨대 약 200 내지 약 5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 크기의 섬유보다 더 큰 섬유를 지칭하며, 예시의 직경 범위는 약 100 내지 약 2,000 마이크로미터 또는 약 200 내지 약 900 마이크로미터이다. 굵은 섬유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멜트블로운(MB) 섬유, 스펀본디드 섬유, 제지 섬유, 펄프 섬유, 플러프, 셀룰로스 섬유, 나일론 스테이플 섬유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마이크로섬유"라는 것은 평균 직경이 약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 약 0.5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직경이 작은 섬유를 지칭하며, 직경의 예시의 범위는 약 4 내지 약 50 마이크로미터이다. 마이크로섬유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이들 재료가 마이크로섬유 크기보다 더 클 수도 있으나, 멜트블로운(MB) 섬유, 스펀본디드 섬유, 제지 섬유, 펄프 섬유, 플러프, 셀룰로스 섬유, 나일론 스테이플 섬유 등이 있다. 마이크로섬유는 울트라 마이크로섬유, 즉 약 0.5 내지 약 1.5의 필라멘트당 데니어(dpf)를 갖는 합성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단 섬유 직경은 약 0.5 마이크로미터 이상이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나노 크기의 섬유" 또는 "나노섬유" 또는 문자 "N"이라는 것은 평균 직경이 약 1,500 ㎚ 이하인 직경이 매우 작은 섬유를 지칭한다. 나노섬유는 일반적으로 섬유 직경이 약 10 내지 약 1,500 ㎚,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500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0 ㎚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기타의 범위의 예로는 약 50 내지 약 500 ㎚, 약 100 내지 500 ㎚ 또는 약 40 내지 약 200 ㎚이다. 입자가 나노섬유상에 존재하고 불균일하게 분포된 경우,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공지의 기법(예, 전자현미경과 연결된 화상 분석 도구)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섬유의 무-입자 부분에 대한 첨가된 입자의 존재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확대되는 섬유의 부분은 제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전기방사"라는 것은 유체 역학과 하전된 표면상에서의 상호작용을 사용하여 용액으로부터 전기방사 섬유로서 지칭되는 나노크기의 섬유를 생성하는 기법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전기방사 섬유의 형성은 전압 공급원과 전기 소통하는 신체내의 오리피스에 용액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전기력은 접지될 수 있는 표면상에서 또는 신체 이외의 낮은 전압에서 부착되는 미세한 섬유를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전기방사에서, 니들, 슬롯 또는 기타의 오리피스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공된 중합체 용액 또는 용융물은 수집 그리드에 비하여 높은 전압으로 하전된다. 전기력은 표면 장력을 극복하며, 중합체 용액 또는 용융물의 미세한 분사가 접지되거나 또는 반대로 하전된 수집 그리드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분사는 표적에 도달하기 이전에 훨씬 더 미세한 섬유 흐름으로 퍼질 수 있으며, 작은 섬유의 상호연결된 웹으로서 수집된다. 건조 또는 고형화된 섬유는 100 내지 500 ㎚의 섬유가 통상적으로 관찰되기는 하나, 약 40 ㎚, 또는 약 10 내지 약 100 ㎚의 직경을 지닐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전기방사된 나노섬유의 예로는 분지된 나노섬유, 튜브, 리본 및 분할 나노섬유, 나노섬유 야안, 표면-코팅된 나노섬유(예, 탄소, 금속 등을 지님), 진공하에서 생성된 나노섬유 등이 있다. 전기방사 섬유의 생성은 예를 들면 문헌[P. W. Gibson et al., "Electrospun Fiber Mats: Transport Properties," AIChE Journal, 45(1): 190-195 (January 1999)]을 비롯한 다수의 문헌 및 특허에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예컨대 "상이한 유형의 섬유"를 지칭할 경우와 같은 용어 "유형"은 "평균 직경" 이외의 또는 기타의 "크기" 차이를 갖는 상이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 측정된 "실질적으로 상이한 전체 재료 조성물"을 지칭한다. 즉, 2 가지의 섬유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한 "유형"을 지닐 수 있으나, 상이한 "평균 직경" 또는 "평균 직경 범위"를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이한 "평균 직경" 또는 "평균 직경 범위"를 갖는 섬유, 즉 나노 크기의 섬유 및 굵은 크기의 섬유를 사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섬유는 동일한 "유형"을 지닐 수 있거나 또는 지니지 않을 수 있다). 섬유가 실질적으로 상이한 전체 재료 조성을 지닐 경우 섬유가 상이한 "유형"을 지닐 수 있기는 하나, 섬유는 여전히 하나 이상의 성분을 공통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이한 전체 재료 조성물"이라는 것은 제1의 섬유 유형에서의 1 중량% 이상(대표적인 샘플 크기, 예컨대 수집한 섬유 10 g 이상의 샘플을 기준으로 하여)의 제1의 중량%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이 제2의 섬유 유형에서의 실질적으로 상이한 제2의 중량%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제2의 중량%와 제1의 중량% 사이의 차이의 절대값은 적어도 5% 및 제1의 중량%의 절반보다 더 작다. 또한, 제2의 중량%와 제1의 중량% 차이의 절대값은 적어도 10% 및 제1의 중량%의 절반보다 더 작다. 제1의 섬유 유형에서의 재료의 접촉각은 제2의 섬유 유형에서의 재료의 접촉각과는 10°이상, 보다 상세하게는 20°이상으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자, 예컨대 실리카 콜로이드성 입자로 코팅되거나 또는 충전제를 포함하는 순수한 폴리에틸렌 옥시드 섬유 및 폴리에틸렌 옥시드 섬유(여기서 상기 충전제는 2 중량% 이상 정도로 존재함)는 본 명세서에서 섬유의 2 가지의 상이한 "유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0 중량% 이상의 수준으로 존재하는 제1의 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전기방사 섬유는 제1의 중합체 성분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중합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전기방사 섬유에 비하여 상이한 섬유 유형인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상이한 "유형"의 섬유는 완전 상이한 함량을 지닐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상이한 중합체로 생성되거나, 예를 들면 중합체 섬유로부터 제조된 것 그리고 티타니아 섬유, 또는 세라믹 섬유 및 티타니아 섬유 등으로부터 제조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복합" 또는 "복합 나노섬유 재료"는 2종 이상의 상이한 "평균 직경" 또는 "평균 직경 범위"의 섬유, 이른바 굵은 크기의 섬유 및 나노 크기의 섬유를 포함하는 다성분 재료를 지칭한다. (유사하게, "복합 전기방사 재료"는 2종 이상의 상이한 "평균 직경" 또는 "평균 직경 범위"의 섬유, 이른바 굵은 크기의 섬유 및 전기방사 섬유를 포함하는 다성분 재료를 지칭한다). 복합체는 이를 통한 섬유 크기 및 유형의 분포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비-구배(균일한) 복합체가 될 수 있거나 또는, 복합체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섬유 크기 및 유형의 다양한 함량 및/또는 배치를 갖는 구배 복합체가 될 수 있다. 나노 크기의 섬유의 평균 직경 크기에 대한 굵은 섬유의 평균 직경 크기의 비는 평균 직경 크기의 약 5 배 내지 10 배, 20 배, 50 배, 100 배 이상 더 크다. 또한, 굵은 섬유의 단위 중량당 표면적에 대한 나노 크기의 섬유의 단위 중량당 표면적의 비는 약 5 이상, 약 20 이상, 약 100 이상까지, 예컨대 약 5 내지 약 1,000m 또는 약 10 내지 약 200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복합체"라는 것은 동일한 평균 직경 또는 평균 직경 범위를 갖는 상이한 유형의 섬유만을 갖거나, 즉 나노 크기의 섬유 또는 굵은 크기의 섬유를 갖는 재료를 지칭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나, 동일한 유형일 수 있거나 또는 아닐 수 있는 상이한 평균 직경 또는 평균 직경 범위를 갖는 섬유를 포함하는 재료를 의미한다. 그래서, 나노 크기의 섬유를 갖는 2 가지 "유형"을 포함하는 재료는 예컨대 동일자로 출원되고 "구배 나노섬유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이하, "구배 적용예")라는 명칭의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979,71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비록 일부의 당업자가 "복합체"의 유형으로서 이를 지칭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복합" 재료로 간주하지는 않는다. 유사하게, 일부의 당업자가 복합체로서 동일한 섬유내에서의 2 개의 상이한 "상"(예, 섬유의 내부 영역에서의 이의 농도에 대한 하나의성분의 농도가 비교적 개선된 섬유에 대한 섬유 직경 또는 표면 구역보다 더 작은 단위로 제2의 매트릭스에서의 제1의 중합체의 아일랜드)을 지칭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섬유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용어 "복합체"에 포함되지는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섬유의 2 가지 상이한 "유형"으로 간주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구배 복합 재료"라는 것은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의 하나 이상의 구배 (불균질성), 즉 상이한 평균 직경 또는 평균 직경 범위를 갖는 섬유의 존재로부터 및/또는 상이한 유형의 섬유의 존재로부터 생성된 측정 가능한 차이를 갖는 불연속 부위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2종 이상의 상이한 평균 직경 또는 평균 직경 범위 및/또는 2종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섬유가 존재할 경우, 하나 이상은 다양한 함량으로 존재하여 구배를 생성할 수 있거나 및/또는 하나 이상은 다양한 함량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배열되어 구배를 생성할 수 있다. 구배는 재료가 다층 재료이거나 및/또는 평면에서 또는 x/y-방향(CD 또는 MD)으로 존재하도록 두께 또는 z-방향으로 존재할 수 있다. 구배에서 발견되는 측정 가능한 차이의 예로는 밀도, 공극 크기, 표면 하전, 제타 전위, 섬유 직경 등(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비롯한 표면 화학(예, 심지 작용, 접촉각 등) 또는 기타의 재료 성질에서의 차이(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있다. 섬유 분포에서는 적은 변형을 지니나 표면 화학 또는 기타의 재료 성질에서의 차이를 야기하지 않는 재료를 구배 복합 재료로 간주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기방사 섬유 및 굵은 섬유를 포함하는 "구배 복합 재료"의 경우, 전기방사 섬유 및/또는 굵은 섬유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의 효과로 인하여 섬유의 고유한 불균일한 분포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구배를 생성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가능하게는 섬유를 생성하는데 있어서의 엣지 효과(형성 영역의 엣지에서의 더 낮은 중량)로 인하여 단일 섬유 유형으로부터 소정의 재료의 밀도 또는 기본 중량에서의 차이를 구배로 간주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당업자에 의하여 "구배"로 지칭될 수 있는 섬유(예, 2성분 전기방사 섬유, 예 중합체/티타니아 섬유)에서의 다중 성분으로 인한 단일 섬유내에서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구배 복합 재료만을 생성하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의 단일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단일 전기방사 섬유에서의 차이는 예를 들면 전기방사 환경으로의 2 가지의 상이한 유체의 동축상 분사를 방출하기 위하여 2 개의 동심 니들을 사용하여 생성된다. 예를 들면, 문헌["Hollow Nanofiber in a Single Step," Chemical and Engineering News, Vol. 82, No. 17, April 26, 2004, p. 6(비-중공 2성분 섬유가 동일한 수단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음)]을 참조한다. 구배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복합 전기방사 재료"는 상기 구배 적용예에서 설명한 "구배 전기방사 재료"(구배를 포함하나,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복합 재료는 아님)와는 구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재료의 단일 층" 또는 "단일 층 재료"라는 것은 크기가 변동 가능할 수 있는 단일 두께로 이루어진 재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복수의 층" 또는 "복수 층의 재료"라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구배"로서 간주하지 않는 층 사이의 교락 또는 블렌딩의 작은 부위(예컨대, 도 2C에 도시함)를 지닐 수 있다.
구체예의 설명
도 1A는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의 제조 방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A에 제시한 구체예에서, 이러한 방법은 대기압보다 높도록 가압시킬 수 있는 3 개의 상이한 중합체 공급원 또는 유형(102A, 102B 및 102C) 각각으로부터의 용액 형태로 제공되는 3 가지의 중합체 용액(A, B 및 C)을 사용한 복합 전기방사 시스템(100A)를 사용한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각각의 중합체 공급원(102A, 102B 및 102C)은 이들 각각의 중합체 용액이 주입될 수 있는, 니들(104A, 104B, 104C) 각각과 유체 소통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기타의 구체예에서, 일부의 또는 전부의 니들을 기타의 분배 수단, 예컨대 슬롯로 교체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전압 공급원(106)은, 니들(104A, 104B, 104C)이 당업자가 이해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집 기재(108)보다 실질적으로 더 높은 전기 전위에 있도록 니들에 연결된다. 전압 공급원은 니들에 양의 또는 음의 하전을 인가한다. 또는, 2 이상의 전압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은 니들 또는 기타의 오리피스의 2 이상의 각각의 그룹 또는 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니들(104A, 104B, 104C)의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크기의 슬롯 또는 기타의 오리피스와 교체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도시하지 않음)에서, 상기 니들은 외부 절연 재료(예, 유전 코팅)로 차폐된 금속 바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팁은 유체가 통과되도록 노출되어 있다.
상기의 구체예에서, 3 가지의 상이한 중합체 공급원(102A, 102B 및 102C) 각각으로부터 3 가지 유형의 전기방사 섬유(114A, 114B 및 114C)가 이동 수집 기재(108)로 차례로 첨가하기는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갯수의 상이한 유형의 전기방사 섬유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이동 수집 기재(108)상에서 존재하는, 즉 동반되는 임의의 갯수의 굵은 섬유 유형과 조합하여 구배 또는 비-구배 복합 재료를 생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한 유형의 전기방사 섬유를 한 유형의 굵은 섬유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한 구체예에서, 단 하나의 유형의 전기방사 섬유는 2 이상의 유형의 굵은 섬유와 함께 사용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2 이상의 유형의 전기방사 섬유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굵은 섬유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3 초과의 유형의 전기방사 섬유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굵은 섬유와 함께 사용한다.
수집 기재(108)는 굵은 섬유(2O8)를 포함하는 직물(도 2에 도시함), 롤 또는 드럼의 표면, 엔드리스 벨트 등이 될 수 있으며, 금속, 예컨대 직조 금속 와이어 직물 또는 금속성 코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 전도성(예, 전기 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직조 또는 부직 웹)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기방사는 기재, 예컨대 종이 타월, 상처 드레싱, 일회용 의복, 수술용 가운, 장갑, 슈즈 라이너, 의료용 이식체, 사출 성형된 장치, 예컨대 카테터, 필터 재료(예, 공기 또는 물 여과용) 등의 한면 또는 양면에 균일하게 또는 불균일하게 적용된 낮은 기준 중량 작용성 코팅(예, 패턴내에서 또는 평면내에서 또는 화학에서의 z-방향의 구배)을 적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수집 기재(108)는 굵은 섬유(208)로부터 제조된 3차원 텍스쳐 직물(도 2A-도 2E에 도시함), 예컨대 코폼 재료이다. 도 1A에 도시한 구체예에서, 수집 기재(108)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의 기계 방향(MD)(110)으로 이동하며, MD에 대하여 수직인 횡-방향(CD)(112)은 종이의 평면으로 진행한다.
중합체 공급원(102A, 102B 및 102C)으로부터의 중합체 용액이 높은 전기 전위에서 니들(104A, 104B, 104C)을 통하여 주입되면, 나노 크기의 전기방사 섬유(114A, 114B 및 114C)는 당업자에 의하여 숙지된 바와 같이 전기방사에 의하여 형성된다. 전기방사 섬유(114A, 114B 및 114C)를 수집 기재(108)에 성공적으로 부착시켜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를 형성한다. 이러한 부착의 유형 및 방법에 따라서, 생성된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는 비-구배 복합 재료, 즉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일 층의 매트가 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의 불균일성, 즉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의 하나 이상의 구배를 갖는 구배 복합 재료가 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1A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구배 복합 재료는 두께 방향(즉, z-방향) 및/또는 평면 방향(즉, x 및/또는 y-방향), 즉 CD 및/또는 MD에서 하나 이상의 구배를 지닐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전기방사 섬유(114A, 114B 및 114C)는 형성중에 또는 형성후 임의의 적절한 공기 흐름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제공되는 공기 흐름에 동반된다. 공기 흐름은, 한 구체예에서는 냉각되지 않았던 이동 기재(108)상에 배치된 굵은 섬유로의 형성중이거나 또는 형성된 전기방사 섬유(114A, 114B 및 114C)를 수반한다. 각각의 중합체를 갖는 용액중에서 전기방사 섬유(114A, 114B 및 114C)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용매는, 한 구체예에서 고온 굵은 섬유, 예컨대 임의의 유형의 멜트스펀 섬유와의 접촉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기화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용매는 증기 회수 시스템의 임의의 적절한 유형을 갖는 시스템에서 다시 사용하기 위하여 회수된다.
도 1B는 MD(110)가 종이면으로 진행하며, CD(112)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또다른 복합 전기방사 시스템(100B)을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수집 기재(108)는 종이로 이동한다. 나노 크기의 전기방사 섬유(114A, 114B 및 114C)는 수집 기재(108)상에서 부착되어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를 형성한다. 한 구체예에서, 섬유(114A, 114B 및 114C)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부착된다. 다시, 부착물의 유형 및 방식에 의하여, 생성된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는 비-구배 또는 구배 복합 재료가 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복합 전기방사 재료는 뚜렷한 불연속 부위가 없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구배 복합 전기방사 재료이다. 뚜렷한 불연속 부위의 존재는 중합체의 온도를 비롯한 다수의 요인에 의존하며, 다양한 중합체의 위치 및 각도는 나노 크기의 섬유 등으로서 부착된다.
도 1B에 도시한 구체예에서, 생성된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는 3 개의 측면이 이웃한 영역,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불연속 부위(115A, 115B 및 115C)가 존재하도록 재료(116)의 평면에서 변경되는 구배인 적어도 x 또는 y-방향에서 불균질한 구배 복합 재료이며, 이들 각각은 비교적 높은 농도의 3 개의 섬유 유형(114A, 114B 및 114C) 각각 중 하나를 갖는다(도 2B 참조). 한 구체예에서, 또한, 전기방사된 구배 복합 재료는 z-방향에서 불균질성을 갖는다(도 2C 참조). 한 구체예에서, 3 미만의 불연속 부위가 존재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3 초과의 불연속 부위가 존재한다.
도 1B에 도시한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가 확인 가능한 불연속 부위(115A, 115B 및 115C)를 갖는 구배 복합 재료이기는 하나, 실제로 구배가 여전히 존재하기는 하나, 불연속 부위 사이에서의 경계가 모호해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영역내에서 각종 섬유 유형의 상당한 중첩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존재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2E 참조). 하나의 부위로부터 다른 부위로의 중첩 양은 한 구체예에서는 서로에 대하여 중합체 공급원(102A, 102B 및 102C)의 배치에 의하여 조절된다. 상세하게는, 한 중합체 유형의 니들이 다른 유형에 대하여 각을 형성할 경우, 각각으로부터 생성된 부착물은 중첩될 수 있다. 기타의 구체예에서, 니들(104A, 104B, 104C)중 하나 이상 또는 중합체 공급원 및 니들 시스템(102A/104A, 102B/104B, 102C/104C)중 하나 이상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예컨대 전기방사 재료에 추가의 불균질성을 추가하는 생성중에 또는 다양한 실시 사이에서 전후로, 원형 운동으로, 상하 등으로 이동 또는 진동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도 1B에 도시한 구체예는 제시된 중합체 유형의 갯수 또는 위치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다른 구체예에서, 전기방사 섬유 유형 및 굵은 섬유 유형(비-중합체형 유형 포함)의 다양한 조합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바와 같은 비-구배 또는 구배 복합 전기방사 재료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한 구체예에서, 도 1A 또는 도 1B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복합 전기방사 재료는 단일 층(215)을 갖는 도 2A에 도시한 재료(116A)와 같은 비-구배 복합 전기방사 재료이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굵은 섬유가 (기타의 유형의 굵은 섬유보다는) 나노섬유와 혼합되어 교락된 복합 웹을 형성하는 거의 코포밍형 방법이다. 각종 섬유 유형을 함께 조합하여 복합 섬유의 독특한 혼합물을 형성하는 이러한 구체예, 즉 비-구배 복합 전기방사 재료는 임의의 유형의 접합 또는 적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그리하여 변경되는 성질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경우 중요하게 될 수도 있는 특수한 고려 사항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A는 재료(116A)내에서의 일반적인 경향의 개략도를 도시하고자 한다. 어떠한 방향에서도 불균질성을 갖지 않는 비-구배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A)는 임의의 갯수의 섬유 크기 및 유형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체적 성질이 재료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구배 재료내에서와 같은 특정의 영역 또는 부위에서의 체적 성질의 불연속 분포와는 반대로) 단일 층 또는 매트내에서 모든 섬유의 실질적으로 고른 분포가 가능하도록 조건을 조절하여야만 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체예에서는, 표면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층을 통하여 약간의 변형이 존재할 수 있기도 하나, 재료가 구배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도록, 다양한 섬유(114A, 114B, 114C 및 208)는 단일 층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구배 복합 재료를 생성하도록 변형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비롯한 도 1A 또는 도 1B의 방법 또는 이의 조합 및/또는 변형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는 예시의 구배 복합 재료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2E의 경우, 재료(116B, 116C, 116D 및 116E) 각각에서의 일반적인 경향의 단순한 예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재료는 z-방향 및/또는 x 및/또는 y-방향으로, 즉 재료의 평면으로 구배를 지닐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기계 방향, 횡방향 또는 기타의 평면내 방향에서의 측정 가능한 구배를 갖는다. 예를 들면, 이러한 구배 또는 영역은 독립적으로 소수성, 친수성, 엘라스토머, 비-엘라스토머, 높은 다공성, 더 낮은 다공성 등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중량, 섬유 직경 등은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방사 재료의 한면은 친수성 셀룰로스 굵은 섬유와 조합된 전기방사된 웹이 될 수 있으며, 생성된 복합 전기방사 재료가 표면 화학 또는 기타의 재료 성질에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상이하여 구배 재료를 산출하도록, 또다른 면 또는 구역은 상당량의 상이한 유형의 섬유 또는 섬유들, 예컨대 굵은 나일론 스테이플 섬유 또는 기타의 셀룰로스 섬유와 조합된다.
한 구체예에서, 경로의 개시에서의 평균 성질이 경로의 종반에서보다 소정의 값(예, 2 개의 값중 더 높은 것의 약 20% 또는 약 50% 정도)보다 더 크게 상이하도록, 평균 변수가 약 5 ㎝ 길이로 (또는 약 3 ㎝의 길이로 또는 약 10 ㎝의 길이로) 선형 경로를 따라 실질적으로 단조 변경되도록, 재료에서의 약 1 ㎝×1 ㎝ 평방 부위에 대한 평균의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의 재료 성질이 재료의 평면에서 변경된다. 예를 들면, 접촉각 구배는 접촉각에서의 측정 가능한 차이를 갖는 구배를 포함하며, 여기서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 예컨대 복합 전기방사된 웹에서의 약 1 cm 평방 부위에 대한 평균 접촉각은 웹의 일부분에서 약 20°이며, 그후, 비교적 더 소수성인 웹의 일부분에 도달하는 웹에서의 선형 경로를 따라 증가되어, 제1의 구역으로부터 약 5 ㎝ 떨어진 구역의 평균 접촉각이 약 60°가 될 수 있으며, 더욱 일반적으로는 약 20° 이상으로 상이할 수 있도록 한다. 기타의 구체예에서, 평균 섬유 크기는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의 평면에서의 약 5 ㎝ 경로를 따라 약 30% 이상, 또는 약 100% 이상 변경된다. z-방향 구배의 경우, 재료 두께의 약 20%를 나타내는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의 층에 대한 평균 섬유 성질은 물리적 성질, 예컨대 섬유 직경 또는 표면 에너지의 약 20% 이상 또는 약 50% 이상으로 또는, 접촉각에 대하여 약 20° 이상으로 이웃한 층으로부터 변경된다.
구배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예컨대 전기방사된 전달 수단, 예컨대 니들의 진동, 섬유의 생성 및/또는 분배 속도의 변경, 이동 수집 기재의 속도의 변경, 중합체 온도의 변경, 인가된 전압의 변경, 전기방사 섬유 특징(예, 니들 특징, 슬롯의 사용 등)의 변경을 비롯한 이동 기재에 첨가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섬유의 공급원 위치 및/또는 속도 및/또는 전달 각의 변경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임의의 이들 변수는 마찬가지로 시간에 따라 변경되어 MD 변형을 생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구배 복합 재료는 표면 화학 구배를 지니며, 여기서 재료에서의 표면 화학의 측정 가능한 차이와 결합된 전기방사 섬유의 높은 표면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로투스 효과"에 의하여 액체를 반발하는 임의의 구역을 비롯한 초-친수성 및/또는 초-소수성을 갖는 구역을 갖는 재료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도 1A 또는 도 1B의 방법을 도 2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일 층의 재료를 생성하도록 실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성분, 예컨대 전기방사 섬유(114C)가 특정의 부위에서 더 높은 농도를 갖도록 하는 방식으로 부착되는 경우, 이는 x 또는 y-방향으로, 즉 재료의 평면에서, 예컨대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구배, 즉 불균질성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여전히 단일 층(215)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나, 상기 층 내에서 구배를 지닐 수 있다. 임의의 수의 구배는 단일 층 재료의 평면내에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불균일 부위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구배"로서 간주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A 및 도 2C에서의 단일 층의 재료의 엣지 부근에서 그리고 도 2B, 도 2C 및 도 2D에서의 층의 상부 또는 하부 부근에서의 불균일 부위(240)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구배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불균일 부위(240)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임의의 유형의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중에 본질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특정의 경우에서, 도 2A에 나타난 불균일 부위(240)[그리고 도 2C에서 하나의 엣지 부근에 나타난 불균일 부위(AA)(240)]는 하나의 재료에서의 농도 또는 기본 중량이, 재료가 적용되는 구역의 엣지에서 점점 감소되는 "엣지 효과"로서 공지된 것을 비롯한 다수의 요인에 의하여 야기될 수 있다. 기타의 불균일 부위(240)는 도 2C에 나타낸 층 사이에서의 제한된 교락된 부분, 예컨대 "C" 및 "A/B" 불균일 부위(240)이다. 기타의 불균일 부위(240)는 층, 예컨대 도 2D의 "B" 불균일 부위의 두께에서 약간의 변화를 생성한다.
도 2B와는 반대로, 도 2C는 다층 재료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실시될 경우 도 1A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는 재료(116C), 즉 z-방향에서의 구배를 나타낸다. 이러한 재료(116C)에서, 굵은 섬유(208)로부터 제조된 하부 층(209) 및 전기방사 섬유(114C)로부터 제조된 상부 층(215C)이 존재한다. 하부 층(209)은 하부면(222)을 갖고, 상부 층(215C)은 상부면(220)을 갖는다. 이들 2 층의 사이에는 각각 전기방사 섬유(114A 및 114B)로 이루어진 2 개의 추가의 층(215A 및 215B)이 존재한다. 특정의 구체예에서, 예를 들면 상부 층이 전기방사 섬유의 2 이상의 유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층이 전기방사 섬유 및 굵은 섬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이들 층에서의 임의의 변형이 가능하다. 임의의 수의 기타의 조합뿐 아니라, 임의의 수의 층 및 층 형성 패턴은 재료의 소정의 성질에 의존하여 가능하다. 한 구체예에서, 도 2C의 재료(116C)는 재료의 길이 및 폭을 통한 적용을 야기하는 광범위한 방식으로 각종 전기방사 섬유(114A, 114B 및 114C)를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그리고 섬유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부착시키기 보다는 섬유를 연속적으로 부착시키도록 하는 섬유(114A, 114B 및 114C)의 부착물의 타이밍을 조절하여 도 1B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다.
도 2D는 도시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평면, 이른바 층(215A 및 215C)에서의 구배뿐 아니라 z-방향에서의 구배를 갖는 다층의 재료(116D)를 도시한다. 본 발명이 이러한 방법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나, 재료(116D)는 도 1A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이 가장 가능할 것이며, 또한 이러한 재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조절에 의하여 도 1B의 방법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층의 두께 및 기본 중량은 층(215C)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기타의 구체예에서는, 특정 성분, 예컨대 층(215A)에서의 성분(114A)의 더 높은 농도는 층의 두께에서의 임의의 실질적인 변경을 반드시 야기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재료(116D)에서, 굵은 섬유(208)로부터 제조된 하부 층(209) 및 전기방사 섬유(114C)로부터 제조된 상부 층(215C)이 존재한다. 하부 층(209)은 하부면(222)을 갖고, 상부 층(215C)은 상부면(220)을 갖는다. 이들 2 개의 층 사이에는 각각 전기방사 섬유(114A 및 114B)로 이루어진 2 개의 추가의 층(215A 및 215B)이 존재한다. 층의 갯수 및/또는 층 형성 패턴의 임의의 변형도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능하다.
도 2E는 두께 및 평면 방향 모두에서의 구배를 갖는 재료(116E)를 나타낸다. 재료(116E)는 도 1B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A의 방법에 적절한 변형을 실시하여 재료(116E)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E에 도시한 재료(116E)에서, 굵은 섬유(208)로부터 제조된 다중 분할된 하부 층(209) 및 이의 각각의 전기방사 섬유(114A, 114B 및 114C)을 포함하는 다중 분할된 상부 층(215A, 215B 및 215C)이 존재한다. 하부 층(209)은 하부면(222)을 갖고, 상부 층(215C)은 상부면(220)을 갖는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상부 층 및 하부 층을 통하여 연장되는 중첩의 2 개의 부위, 이른바 부위 A/B(230) 및 부위 B/C(232)가 존재하며, 이들 각각은 도시한 바와 같은 1 초과 유형의 전기방사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중첩 부위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구배로 간주되지는 않으나, 소정의 최종 성질에 따라 원하는 정도로 작거나 또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층의 갯수 및/또는 층 형성 패턴에서의 임의의 변형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공지의 재료, 예, "스펀본디드/멜트블로운/스펀본디드"(SMS) 재료의 복합 "유사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복합 유사체"라는 것은 나노섬유, 예컨대 전기방사 섬유로 치환된 하나 이상의 공지의 성분을 갖는 복합 재료를 지칭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코폼형"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코폼 유사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방사 섬유의 하나 이상의 층이 굵은 섬유의 2 개의 층 사이에 실질적으로 개재되도록 굵은 섬유의 차후의 층을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전기방사 섬유의 하나 이상의 층의 상부에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의 구체예에서, 재료(116F)는 한 유형의 굵은 섬유(208A)로부터 제조된 하부 층(209) 및 또다른 유형의 굵은 섬유(208B)로부터 제조된 상부 층(221)을 갖는다. 하부 층(209)은 하부면(222)을 갖고, 상부 층(221)은 상부면(220)을 갖는다. 이들 2 개의 층 사이에는 "A"형의 전기방사 섬유(114)로 이루어진 중간 층(215)이 존재한다.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층 갯수 및/또는 층 형성 패턴의 임의의 변형이 가능하다. 한 구체예에서, 하부 층 및 상부 층 모두는 동일한, 즉 스펀본드(S) 층이며, 중간 층은 통상의 멜트블로운(M) 층보다는 나노섬유(N)의 임의의 유형이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복합 유사체는 전기방사 섬유의 첨가 이전에 2 이상의 유형의 굵은 섬유를 이동 기재에 첨가하여 생성된다. 이러한 유사체는 한 구체예에서 SMN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나노섬유 층(N)은 통상의 스펀본드 층을 대신하며, 중간 멜트블로운 층(M)은 스펀본드 층(S) 및 나노섬유 층(N) 사이에서 가교 층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이러한 복합체는 SNS, SMNMS, NMN, NM, SN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필름 또는 티슈 층 또는 기타의 웹(예, 코폼)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체예에 의하면, 복합 유사체에 존재하는 전기방사 섬유는 재료의 평면에서 균일하게 또는 불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으며, 또한 목재 또는 기타의 입자로부터의 섬유와 조합될 수 있다.
주로 두께 방향 및/또는 평면 방향에서의 비교적 단순한 구배가 논의 및 예시되기는 하였으나, 기타 유형의 더욱 복잡한 구배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고 도 1A, 도 1B,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임의의 방법의 적절한 변형을 비롯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임의의 기타 갯수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구체예에서, 제2의 화학 유형의 제2의 구역으로 교체되는, 방사상 구배 복합 전기방사 재료는 방사상 외부를 향하여 감소하는 하나의 화학 유형의 중앙 구역과 함께 사용되며, 또한, 두께 방향 구배는 특정의 구역에서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구배는 재료내에서 반복되거나 또는 반복되지 않는 패턴, 예컨대 다른 표면에 의하여 둘러싸인 하나의 표면 유형의 엇갈린 그리드 배열로 발생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직선 또는 육방정계 패턴을 사용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스트라이프, 점 또는 기타의 공지된 구조의 패턴을 사용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구배는 선형, 타원형이거나 또는, 표면 처리의 인쇄에 의하여 달성되는 디지탈 화상에 해당할 수 있다. 구배의 임의의 갯수 및 유형은 원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재료에 및/또는 상이한 유형의 재료를 사용하여 하나의 제품에 조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노섬유가 재료의 단일 면상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어떠한 방향에서도 구배를 포함하지 않는 균질한 복합 재료는 흡수성 코어, 신체측 라이너, 상처 드레싱, 안면 마스크, 일회용 의복 등에서의 층에 유용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및/또는 y-방향에서의 구배를 갖는 구배 복합 재료, 즉 하나 이상의 평면 구배를 갖는 단일 층의 재료는 하나의 구역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유체의 심지 작용을 조절하거나 또는, 물품의 기타의 구역에서 유체의 통과 또는 흡입을 가능케 하면서 물품의 특정 구역에서 차단체 성질(예, 유체, 예컨대 알콜, 혈액 또는 기타의 체액에 대하여 또는, 특히 미생물 및 바이러스에 대하여)을 제공하는 작용을 하는 제품, 예컨대 흡수성 물품 또는 의료용 물품에 유용할 수 있다.
도 2C 및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또는 z-방향에서의 구배를 갖는 구배 복합 재료는 유체 흡입 층, 차단체 층, 피부 접촉 재료 및, 공기, 물 또는 기타의 유체용 필터에 유용할 수 있다.
도 2D 및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z-방향 및 평면내 모두에서 하나 이상의 구배를 갖는 구배 복합 재료는 각종 의료용 물품 및 일회용 의복에 유용할 수 있다.
도 3은 전기방사 섬유가 부착될 때 섬유 형성중에 전기 그리드상에 굵은 섬유가 부착되는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를 형성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의 간단한 개략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중합체 용액(102)의 단일 공급원으로부터의 전기방사 섬유(114)(대기압 이상으로 가압시킬 수 있는)를 2 개의 별도의 굵은 섬유 전달 장치(304)에서 배출되는 굵은 섬유(308)와 조합되는 복합 전기방사 시스템(300)을 사용한다. 한 구체예에서, 전기방사 섬유(114)는 공기에 의하여 동반되며, 이들이 형성될 때 공기에 의하여 동반되는 굵은 섬유(308), 즉 불연속 냉각된 섬유와 조합된다. 그후, 교락된 섬유는 이동 기재(108)상에 부착되어 비-구배 복합 전기방사 재료를 형성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섬유 유형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의 형성은 하나의 섬유 유형이 우선 형성되고 이동 기재(108)에 부착되도록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2 개의 섬유 유형[전기방사 섬유(114) 및 굵은 섬유(308)]은 이동 기재(108)와 조합되며, 이는 특정의 구체예에서 구배 복합 재료(116)가 산출된다. 한 구체예에서, 굵은 섬유(308)의 적어도 일부는, 이들이 전기방사 섬유(114)와 조합될 때 용융된 상태로부터 냉각되도록 전기방사 섬유(114)의 형성 이전에 충분하게 형성된다.
실제로, 임의의 적절한 수의 중합체 용액(102) 및 임의의 수의 굵은 섬유 전달 장치(304)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중합체 용액(102)의 단일 공급원은 용액의 흐름을 전달하기 위한 단일 니들(104)과 유체 소통된다. 전압 공급원(106)을 사용하여 당업자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수집 기재(108)보다는 상이한 전기 전위에서 니들(104)을 배치하는데 사용된다. 도 3에 도시한 구체예에서, 수집 기재(108)를 분쇄하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집 기재(108)는 종이의 평면으로 또는 평면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으며, 공기-동반된 섬유를 수집하면서 공기가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다공성이 될 수 있다. 섬유 전달 장치(304)는 임의의 적절한 속도, 예컨대 약 1 내지 100 m/sec에서 이동하는 공기 분사에서 동반된 굵은 섬유(308)를 전달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섬유 전달 장치(304)는 노즐이다.
한 구체예에서, 표적 표면, 즉 이동 기재(108)의 전압 전위는 방사상으로 진동하여 접지된 표면을 향하여 초기에 끌어당기게 되는 전기방사 섬유(114)가 후에 밀리초로 반발하여 공기 또는 기타의 적절한 가스의 기체 흐름이 가능케 하여 이들이 형성될 때 전기방사 섬유(114)가 굵은 섬유(308)의 흐름으로 동반되는 것을 돕도록 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전기방사 섬유(114)는 접지된 표적 표면, 즉 이동 기재(108)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하나, 이웃한 섬유 전달 장치(304)로부터의 굵은 섬유(308)와 조합하여 인터메쉬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전기방사 섬유 및 굵은 섬유의 조합은, 전기방사 니들(104) 및 섬유 전달 장치(304)의 배치뿐 아니라 사용되는 정전 및 정전 및 공기력의 정도에 따라, 생성된 재료의 평면에서(CD 또는 MD) 또는 재료의 두께 방향으로 또는 모두에서 구배를 갖는 재료 또는 비-구배 재료(즉, 교락된 복합체)를 생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섬유 전달 장치(304)에 의하여 전달된 섬유(308)는 2 이상의 섬유 유형을 포함하며, 또한, 전기방사 섬유(114)보다 실질적으로 상이한 표면 화학 및 기타의 성질을 지닐 수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F에 기재된 임의의 재료는 도 3의 방법뿐 아니라, 이의 변형예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방법에서의 수집 기재(108)는 MD에서의 임의의 유용한 속도, 예컨대 약 0.1 내지 약 1 ㎝/초 이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MD 속도는 약 1 ㎝/초 초과 내지 약 400 ㎝/초까지 또는 그 이상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적절한 속도를 원하는 바에 따라 사용할 수 있기는 하나, 더 느린 속도는 생성중에 섬유 생성 조건을 역학적으로 변경시켜 조절된 기계 방향 구배를 갖는 구배 복합 재료를 생성하는데 유용하며, 더 빠른 속도는 일정한 상태의 조건하에서 z-방향 구배를 생성하기 위한 또는 횡방향에서 이격된 2 이상의 공급원으로부터 섬유(굵은 또는 전기방사된)를 생성하여 달성된 횡-기계 방향(CD)으로의 구배를 갖는 일정한 상태의 제품 또는 재료에 대하여 유용한다. 유사한 원리를 비-구배 복합 재료의 제조에 적용한다. 한 구체예에서, 속도는 약 5 내지 200 ㎝/초이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속도는 약 0.1 내지 약 50 ㎝/초이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속도는 약 0.5 내지 10 ㎝/초이다. 한 구체예에서, 속도는 작동중에, 즉 제시간에 변경되어 MD에서 부착시키고자 하는 섬유의 양을 변경시키도록 한다.
전기방사 섬유 자체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방법을 변경시켜 원하는 특이적 측정 가능한 성질을 변경시켜 생성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섬유의 상이한 "유형"을 생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복합 전극 시스템을 사용하여 고 전단 기체 흐름을 위한 슬롯 또는 개구(니들 대신에 또는 니들 이외에)를 포함하는 전기방사 섬유를 생성하여 전기방사 섬유를 동반한다. 그후, 유용한 기하, 예컨대 문헌[Li et al., in "Electrospinning of Polymeric and Ceramic Nanofibers as Uniaxially Aligned Arrays", Nano Letters, vol. 3, no. 8, July 8, 2003, pp. 1167-117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컨대 단축 정렬된 세라믹 전기방사 섬유를 변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기타의 구체예에서, 필요할 경우 정렬시킬 수 있는 티타니아 나노섬유 또는 알루미나-붕산염 산화물 섬유가 생성되었다. 또한, 티타니아/중합체 또는 아나타스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세라믹 나노섬유는 예컨대 문헌[Dan Li et al., in "Direct Fabrication of Composite and Ceramic Hollow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Nano Letters, vol. 4, no. 5, March 30, 2004, pp. 933-938]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도 4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예를 들면, 도 3의 니들(114)은 슬롯(405)으로 교체한다. 특정의 구체예에서, 생성된 전기방사 섬유(114)는 니들을 통하여 동일한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전기방사 섬유보다 상이한 성질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구체예에서, 2 개의 상이한 굵은 섬유 전달 장치(304A 및 304B)는 2 개의 상이한 유형의 굵은 섬유(308A 및 308B)를 생성한다. 그렇지 않다면, 도 4의 시스템(400)은 일반적으로 상기의 도 3과 동일하며, 작동되어 복합 전기방사 재료(116)를 생성한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도 1A 및 도 1B의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도 2E 및 도 2F에 도시한 임의의 재료뿐 아니라 이의 임의의 변형예는 도 4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접지 전극은 공기역학력이 접지면으로의 정전 인력을 극복하도록 슬롯을 갖는 회전, 병진 또는 정지 접지된 표면이어서 전기방사 섬유가 굵은 섬유의 흐름으로 혼합되도록 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전기방사 방법은 진공하에서 실시된다. 또다른 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분지 섬유, 튜브 섬유, 나노볼, 리본 섬유, 분할 섬유, 전기방사된 야안 및 표면 코팅된 섬유를 생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충전제 재료 및 기타의 고형물, 예컨대 임의의 유형의 입자 (예, 초흡수성 입자, 탈취 재료, 예컨대 탈크, 제올라이트 또는 활성탄 입자 또는 실리카, 유백제, 그라파이트, 그라파이트 나노입자, 카본 나노튜브, 실리카 나노입자, 콜로이드성 금속, 예컨대 은 또는 금 등)뿐 아니라, 카올린 또는 기타의 무기물 또는 충전제, 항균제, 엘라스토머 재료, 예컨대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등을 복합 전기방사 재료에 매립시켜 충전제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유사한 재료 조성물의 섬유와 비교하여 상이한 유형을 갖는 섬유(충전제 재료가 섬유 + 조합한 충전제 재료의 총 중량의 2 중량% 이상의 함량으로 존재할 경우)를 생성한다. 이러한 재료는 의복의 피부 접촉 층 또는 흡수성 물품에서의 피부 건강의 잇점을 제공하며 소비재에서의 기타의 다양한 잇점을 제공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결합제를 사용하여 섬유에 초흡수성 입자 또는 기타의 입자를 부착시키는 방법은 2003년 7월 22일자로 허여된 "결합제 처리한 입자를 섬유에 결합시키는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6,596,103호(Hansen et al.) 및, 2002년 7월 30일자로 허여된 "초흡수제 함유 기저귀의 제조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6,425,979호(Hansen et al.)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두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공기 동반을 통한 구조체에 초흡수성 입자를 전달하기 위한 기계적 수단은 2004년 3월 23일자로 허여된 "입상물 첨가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6,709,613호(Chambers et al.)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유용한 초흡수제는 화학적 구조뿐 아니라 물리적 형태에 기초한 유형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낮은 겔 강도를 갖는 초흡수제, 높은 겔 강도를 갖는 초흡수제, 표면 가교된 초흡수제, 균일하게 가교된 초흡수제 또는, 구조체를 통하여 변경된 가교 밀도를 갖는 초흡수제 등이 있다. 초흡수제는 화학을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이소부틸렌-co-말레산 무수물), 폴리(에틸렌 옥시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등이 있다. 흡수성 물품에 대한 초흡수성 입자의 사용과 관련한 기타의 세부 사항은 2000년 4월 4일자로 허여된 "초흡수성, 스테이플 섬유 및 결합제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성 구조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6,046,377호(Huntoon et al.) 및, 2002년 4월 23일자로 허여된 "초흡수제 함유 복합체의 제조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6,376,011호(Reeves et al.)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두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한 구체예에서, 엘라스토머 섬유, 예컨대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은 통기성 신축성 필름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한 구체예에서, 전기방사된 나노섬유의 층을 필름 또는 부직 웹, 예컨대 어퍼쳐링 처리한 필름 또는 탄성화 웹상에 부착되어 기타의 작용성, 예컨대 텍스쳐, 탄성, 일체성 또는 벌크를 제공하는 층에 부착된 통기성 습기 차단체 층을 제공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전기방사 섬유는 고무상 엘라스토머 웹에 부착되어 재료의 촉각 성질을 개선시킨다. 엘라스토머 함유 재료는 제품, 예컨대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여성용 생리대, 병원용 가운, 신체에 배치하기 위한 랩, 살균 랩, 상처 드레싱, 의복의 물품, 표면 세정을 위한 와이프, 운동 장비 등에 유용하다.
한 구체예에서, 소량의 전도성 중합체는 전기방사 섬유에 첨가되어 기체 또는 용융물 상에 이온을 제공한다. 또한, 전도성 중합체는 수집 기체상에서의 초기 층으로서 작용하여 전기 장의 변형 또는 조절을 돕거나 또는 전기방사 재료의 형성을 변형시킬 수 있다. 특정의 구체예에서, 약 1 내지 약 5 중량%의 전도성 중합체 재료를 전기방사 섬유에 첨가한다. 한 구체예에서, 전도성 중합체는 질소를 포함하는 5-원 환, 예컨대 폴리피롤리돈 등이다. 전도성 중합체의 사용은 바이오센서 적용예, 예컨대 습윤 센서 등에 유용하다.
한 구체예에서, 복합 전기방사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소수성에서의 로투스 효과 및 자동 세정 능력을 모사하기 위하여 충분히 작은 직경을 갖는 소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로투스 효과라는 것은 표면상의 미세한 소수성 돌기가 물 및 기타의 액체로 하여금 표면에서 굴러 떨어지게 하는 연꽃 잎의 극도의 소수성을 지칭한다. 로투스 효과를 모사한 공지된 상업적인 예는 표면상의 작은 돌기로서 배치된 나노입자에서, 예컨대 왁스의 작은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나노섬유는 소수성 섬유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6,660,363호(Barthlott) 및 미국 특허 출원 제2002/0150724호(Nun et al.)를 참조하며, 상기 두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생성된 복합 전기방사 재료는 대부분 웹이다. 이러한 웹은 텍스쳐 가공(예, 비크레이핑 통기 건조(UCTAD) 직물, 예컨대 당업계에서 공지된 "아이언맨" 디자인에 대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차후에 성형하여 3차원 형상으로 성형)되고, 어퍼쳐링, 슬릿, 엠보싱, 착색, 기타의 재료, 예컨대 층의 구조체에서의 기타의 흡수성 재료와 조합, 엘라스토머 웹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로, 전기방사 섬유의 적어도 일부를 부착시킨 후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화학 처리하여 표면 화학을 개질시키고, 웹에서의 표면 화학 구배를 임의로 생성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예를 들면 플루오로케미칼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재료는 약 1 내지 약 99 중량%의 전기방사 섬유, 0 내지 약 99 중량%의 제지 섬유 및 0 내지 99 중량% 멜트스펀 섬유, 예컨대 폴리올레핀, 굵은 2성분 섬유 등을 포함하는 복합 웹이다.
전기방사 섬유 이외에,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중 임의의 것에서 기타의 유형의 나노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구체예에서, 중공 나노섬유를 개선된 열 절연체, 음향 절연체, 투석 재료, 막 여과, 역삼투압 필터, 화학 분리 등에 사용된다. 중공 나노섬유의 형성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 문헌[I.G. Loscertales et al., in J. Am. Chem. Soc. 126, 5376 (2004)]에 기재된 기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단일 단계에서 나노미터 크기의 내부 직경을 갖는 중공 섬유를 산출한다. 이러한 방법은 현미경 크기를 갖는 액체의 동축상 분사를 형성하는 전기수력학적 힘을 이용한다. 높은 전압에서 한 쌍의 동심 니들을 통하여 2 개의 비혼화성이거나 또는 혼화성이 불량한 액체를 투입하여 액체의 동축상 분사를 형성한다. 외부 셸은 섬유가 형성된 후 증발시킬 수 있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내부 액체의 주위에서 고화되어 중공 섬유를 산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중공 실리카 섬유는 수 백 나노미터로 측정된 꽤 균일한 크기의 내부 직경으로 방사될 수 있다. 셸은 통상의 액체, 예컨대 올리브유 및 글리세린의 코어 주위에서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로부터 졸-겔 화학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기타 화합물, 예컨대 세라믹 재료 및 세라믹 중합체 조합물도 사용하여 중공 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셀룰로스 나노섬유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생성되며, 여기서 셀룰로스를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전기방사 처리한다. 적절한 용매의 예로는 N-메틸모르폴린-N-옥시드(NMMO), 염화아연 용액 등이 있다. 입자는 형성 공정중에 섬유를 생성하는데 사용하고 전기방사 섬유와 조합되는 용액중에서 현탁액 또는 분산액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입자 형성 전구체가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나노섬유가 생성됨에 따라 입자는 건조 분말로서 첨가되거나 또는 미스트 또는 분무 형태로 동반된다. 입자 또는 동반된 액적에서의 하전을 가하여 입자를 전기방사된 웹으로 전달하는 것을 개선시킨다. 적절한 입자의 예로는 은 (예, 은의 나노입자), 전기방사 섬유(통상적으로 전기방사 니들에 외부 첨가된)에 동반될 수 있거나 또는 동반된 초흡수성 입자, 무기물, 예컨대 이산화티탄 또는 카올린, 탈취제, 예컨대 제올라이트, 중탄산나트륨 또는 활성탄 입자 등이 있다.
한 구체예에서, 단백질 나노섬유, 예컨대 피브리노겐 섬유, 엘라스틴-모방 섬유 등을 굵은 섬유와 조합한다. 한 구체예에서, 무기 및 하이브리드(유기/무기) 나노섬유를 사용한다. 한 구체예에서, 박테리아(예, 박테리아 셀룰로스)로부터 제조된 다당류 나노섬유를 사용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분할 가능한 섬유로서 공지된 나노섬유를 사용하며, 여기서 섬유, 예컨대 마이크로섬유를 팽윤제, 예컨대 수산화나트륨에 노출시켜 다수의 작은 필라멘트 또는 "아일랜드-인-더-씨(island-in-the-sea)" 섬유로 분할되도록 하며, 여기서 전구체 섬유는 통상적으로 용해되어 제거되는 제거 가능한 매트릭스(씨)중에서의 다수의 필라멘트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http://www.ifj.com/issue/october98/story8.html을 참조한다. 예를 들면 아일랜드-인-더-씨 나노섬유는 PVA 씨중의 폴리프로필렌 아일랜드, 폴리에틸렌 씨중의 폴리에스테르 아일랜드 등이 있다. 섬유 직경은 약 0.1 내지 약 4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나노공정 기법, 예컨대 프린팅, 원자력 현미경 어셈블리 또는, 2003년 12월 29일자로 "일회용 물품용 게코형 파스너"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747,9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게코형 접착제중에서의 강모(setae)를 생성하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기법에 의하여 생성된 섬유를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복합 나노섬유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500)의 블록 다이아그램을 도시한다. 이러한 공정은 굵은 섬유의 생성(502)에 의하여 개시된다. 이러한 공정은 나노섬유의 생성(504)을 더 포함한다. 그후, 굵은 섬유와 나노섬유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복합 나노섬유 재료 생성(506)한다. 한 구체예에서, 굵은 섬유 및 나노섬유는 이동 기재상에서 조합하며, 여기서 굵은 섬유는 나노섬유를 첨가하기 이전에 이동 기재상에 존재한다. 한 구체예에서, 굵은 섬유 및 나노섬유는 대략 동시에 이동 기재상에 부착된다. 한 구체예에서, 1 초과 유형의 굵은 섬유를 사용하였다. 한 구체예에서, 추가로 1 초과 유형의 나노섬유가 존재한다. 한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형의 나노섬유는 이동 기재에 순차적으로 적용된다. 한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형의 나노섬유는 이동 기재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적용된다. 한 구체예에서, 비-구배 복합 나노섬유 재료가 형성된다. 한 구체예에서, 구배 복합 나노섬유 재료가 형성된다. 구배 복합 나노섬유 재료는 두께 방향으로, 재료의 평면으로 또는 모두에서의 구배를 지닐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굵은 섬유는 임의의 조합을 비롯한 멜트블로운(MB) 섬유, 스펀본디드 섬유, 제지 섬유, 펄프 섬유, 플러프, 셀룰로스 섬유, 나일론 스테이플 섬유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한 구체예에서, 나노섬유는 니들 및/또는 슬롯의 사용을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전기방사 섬유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복합 나노섬유 웹은 다수의 변수, 예컨대 나노섬유의 비율, 나노섬유의 유형, 기체 또는 용융물 상에서의 이온의 존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타의 공정 변수 모두에 따라서 각종 성질을 지닐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복합 나노섬유 웹은 비교적 낮은 공극 크기(예, 약 5 마이크로미터 미만)를 갖는 높은 공극율(약 20% 이상)을 갖는 구배 복합 웹 및/또는 비-구배 복합 웹이다. 이러한 특징은 다수의 유형의 흡수성 제품, 각종 유형의 필터, 의료용 제품 등에서 중요하다. 한 구체예에서, 복합 전기방사 재료의 공극율은 약 10 내지 약 95%, 예컨대 약 50 내지 약 90% 또는 약 30 내지 약 80%이다. 한 구체예에서, 수은 공극율 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한 바와 같은 공극 크기는 약 0.1 내지 약 10 마이크로미터, 예컨대 약 0.5 내지 약 3 마이크로미터, 또는 약 0.1 내지 약 2 마이크로미터, 또는 약 0.2 내지 약 1.5 마이크로미터, 또는 약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다.
각종 제품에서의 복합 나노섬유 재료의 사용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되지만,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재료는 흡수성 물품, 예컨대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여성용 생리대, 성인용 실금환자 제품 의복 등을 비롯한 각종 제품에서 유용하다. 한 구체예에서, 재료는 액체를 유지 및/또는 이동시키는 분포 재료로서 사용된다. 한 구체예에서, 소수성이며 다공성인 재료,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전기방사 섬유 복합체는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돕는 흡수성 재료로서 사용될 뿐 아니라, 유체가 통과되도록 하는 커버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합 나노섬유 재료는 비-흡수성 물품(예, 장갑)에 또는 흡수성 물품의 비-흡수성 면, 예컨대 외부 커버 층에 사용된다.
상기의 재료는 각종 표면 성질을 필요로 하는 의복, 차단체 의복 등을 비롯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유형의 보호 의복에 유용하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합 나노섬유 재료는 병원용 의복, 예컨대 수술용 가운, 헤어 또는 헤드 커버링(예, 샤워 캡, 헤어네트, 수술용 캡 등), 슈즈 커버, 일회용 환자 가운, 실험실용 코트, 안면 마스크, 수술용 장갑(예, 손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거나 및/또는 차단 기능을 개선시킴)을 비롯한 임의의 유형의 일회용 의복(이에 한정되지 않음), 살균 랩, 상처용 커버, 지혈 물품 등을 비롯한 기타의 의료용 및 수술용 제품(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혼입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복합 나노섬유 재료는 유체, 예컨대 체액이 재료를 투과하여 사용자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차단체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통기성 차단체이다. 한 구체예에서, 복합 나노섬유 재료는 통기성 차단체로서 사용하기 위한 소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이러한 재료는 흡수성 물품에 존재하는 장갑, 라이너(예, 장갑의 외부 또는 내부 라이닝), 차단체 층, 외부 커버, 흡수성 코어 라이닝, 차단체 티슈, 커프스, 날개부, 허리밴드 등(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비롯한 임의의 목적을 위한 통기성 재료로서 유용한 것에 유의한다. 또한, 상기의 재료는 와이프 (양면 와이프 또는, 표면 화학 또는 기타의 성질의 구배를 갖는 와이프 포함), 안면 마스크, 공기 필터, 물 필터, 살균 랩 등에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복합 나노섬유 재료의 높은 표면적은 추가로 이러한 재료가 여과 적용예에서 유용하도록, 예컨대 악취, 입자 등을 흡수하도록 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재료는 물 또는 공기에 대하여 높은 효율의 여과 장치에 사용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재료는 통상의 여과 재료, 예컨대 활성탄 등과 조합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의 구배를 갖는 복합 나노섬유 재료는 흡입 구역내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어 단일 재료 또는 웹에서 각종 성질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이들 재료에 의하여 제공된 심지 성질은 유체 흐름 조절, 차단체 성질 등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구역은 소수성일 수 있어서 수분을 피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돕게 되며, 또다른 구역은 친수성이어서 유체 표적 부위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복합 나노섬유 재료중 하나 이상은 강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공지된 또다른 층(예, 멜트블로운 웹, 폴리올레핀 필름 또는 기타의 필름 층, 어퍼쳐링 처리한 필름, 스크림 층, 티슈 층, 예컨대 기본 중량이 1 ㎡당 약 20 g 이상인 셀룰로스 웹, 직조 층 등)에 적층되어 강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표면 성질(예, 물 편차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충분히 강한 적층물이 제공된다.
각종 의복 또는 전체 의복(유아용, 어린이용 또는 성인용)의 일부분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복합 나노섬유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한 방법으로부터 생성된 재료는 유체 불투과성 이면 시이트 또는 외부 커버, 유체 투과성 상면 시이트 또는 라이너, 흡수성 코어 및 흡입/분포 또는 서지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삽입물로서 유용하다.
한 구체예에서, 이러한 외부 커버는 유체 차단체로서 작용하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복합 나노섬유 재료를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불투액성 재료 또는 불투액성이 되도록 처리한 재료로 생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외부 커버는 내부 라이너 층 및 외부 필름 층, 예컨대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이다. 한 구체예에서, "통기성 신축 열 적층체"(BSTL)는 외부 커버에 사용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외부 커버는 약 1 밀 두께인 엠보싱 또는 매트 표면을 갖는 재료의 불투명 시이트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다른 구체에예서, 외부 표면은, 신장성 재료, 예컨대 넥크, 플리티드(또는 마이크로플리티드) 또는 크레이프 부직, 예컨대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본디드 카디드 웹 또는, 부직 및 필름의 적층체, 예컨대 외부 커버가 최소의 힘으로 신장되도록 네크, 플리티드 또는 크레이프 처리된 복합 나노섬유 재료, 추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복합 나노섬유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예를 들면, 적절한 신장성 재료는 기본 중량이 약 1.2 osy인 60% 넥크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이다. 한 구체예에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섬유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전기방사 섬유와 조합된다. 또한, 커버 시이트 및 외부 커버는 부직, 필름 또는, 필름 및 부직의 복합체 또는 복합 나노섬유 재료로 생성될 수 있다. 신장성 재료에 대한 추가의 설명의 경우, 2001년 5월 14일자로 "팽창형 흡수성 엘리먼트를 갖는 흡수성 의복"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9/855,182호를 참조하며, 이 문헌은 공동으로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라이너는 유체 차단체로서 작용하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합 나노섬유 재료를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 또는 재료들로 생성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라이너는 소수성 또는 친수성 부직 웹, 습윤 강도 종이, 스펀직조 필라멘트 시이트 등(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추가로 복합 나노섬유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임의의 부드러운 가요성 다공성 시이트로부터 제조된다. 한 구체예에서, 내부 신체측 표면은 유체의 전달을 돕도록 하는 천공된 표면 또는 적절한 계면활성제 처리를 더 포함하는, 스폿 엠보싱을 갖는 스펀직조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 또는 복합 나노섬유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한 구체예에서, 라이너는 내부 라이너 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이며, 한 구체예에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합 나노섬유 재료, 및 외부 필름 층, 예컨대 폴리에틸렌 필름으로부터 제조된다. 한 구체예에서, "통기성 신축 열 적층체"(BTSL)는 라이너에 사용된다.
외부 커버 및 라이너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코어 또는 흡수성 탄솜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액체를 흡수하는 작용을 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복합 나노섬유 재료를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생성될 수 있다. 흡수성 탄솜은 사용자에 의하여 분비 또는 삼출된 각종 액체 및/또는 유체를 비롯한 삼출물을 흡수할 때 팽윤 또는 팽창되는 경향을 갖는 임의의 재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성 재료는 섬유 및, 초흡수성으로 지칭되는 고 흡수성 재료의 공기형성, 공기내재 및/또는 습윤보유 복합체로 생성될 수 있다. 특정의 구체예에서, 각종 유형의 초흡수성 재료는 각종 유형의 제품, 예컨대 기저귀에 사용될 수 있다. 각종 초흡수성 재료의 전달은 파동 초흡수성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유형의 기저귀에서의 흡수성 구조체는 다수의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지만 특정의 사용 조건하에서 최적의 성능을 전달하지는 못하는 초흡수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초흡수성 재료는 천연, 합성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및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초흡수성 재료는 무기 재료, 예컨대 실리카 겔, 또는 유기 화합물, 예컨대 가교된 중합체 등이 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초흡수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복합 전기방사 재료이다. 섬유는 플러프 펄프 재료 또는, 가교된 펄프, 경목, 연목 및 합성 섬유의 임의의 조합 및 전기방사 섬유 또는 기타 유형의 나노섬유가 될 수 있다. 적절한 초흡수성 재료는 다양한 시판업자, 예컨대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에 소재하는 다우 케미칼 컴파니, 미국 버지니아주 포츠머쓰에 소재하는 바스프 및, 미국 노쓰 캐롤라이나주 그린스버로에 소재하는 데구싸 등으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초흡수성 재료는 물에서 이의 중량의 약 15 배 이상 흡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에서 이의 중량의 약 25 배 초과로 흡수할 수 있다.
공기내재 및 습윤보유 구조체는 통상적으로 구조체를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결합제를 포함한다. 기타의 흡수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그리고 카디드 또는 공기내재 직물 섬유의 웹, 다중 가닥의 크레이프 셀룰로스 워딩을 비롯하여 각종의 초흡수성 재료, 각종의 발포체, 예컨대 합성 발포 시이트, 흡수성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솜은 원하는 정도로 선택된 부위에서 약하게 압축 또는 엠보싱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허용 가능한 흡수성 재료는 "압력에 대하여 팽창 가능한 히드로겔을 함유하는 흡수성 제품"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5,147,343호, "흡수성 복합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5,601,542호 및 "습식 형성된 흡수성 복합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5,651,86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공동으로 양도되며,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또한, 고 흡수성 입자의 비율은 약 0 내지 약 100%이며, 섬유상 재료의 비율은 약 0 내지 약 100%이다.
한 구체예에서, 흡수성 탄솜은 예를 들면 공기내재 흡수체중의 열가소성 결합제 섬유로부터 제조된 것, 예컨대 펄프, 2성분 결합 섬유를 비롯한 비교적 높은 내부 강도를 갖는 섬유상 흡수성 재료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복합 나노섬유 재료를 비롯한 주름 구역에서의 밀도가 더 높은 초흡수체로부터 제조된 주름(folded) 흡수성 재료이다. 한 구체예에서, 복합 전기방사 재료를 사용한다. 이들 구역에서의 더 높은 밀도 및 생성된 더 작은 모세 크기는 액체의 더 우수한 심지 작용을 촉진한다. 더 우수한 심지 작용은 흡수성 재료의 더 높은 이용을 촉진하며, 액체를 흡수할수록, 흡수성 재료를 통하여 더 균일한 팽윤이 생성되는 경향을 갖는다. 흡입/분포층은 유체 흡입 보유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서지 층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복합 나노섬유 재료를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생성되며, 이는 유체 흡입 보유의 중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일회용 의복의 통상이 구조 및 재료의 기타의 세부사항은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하게 기재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437,860호(Sigl)를 참조하며, 이 문헌은 공동으로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한 구체예에서, 복합 나노섬유 재료, 예컨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복합 전기방사 재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흡수성 물품(602)에 사용된다. 한 구체예에서, 흡수성 물품(602)은 기저귀이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흡수성 물품(602)은 트레이닝 팬츠, 예컨대 미국 특허 제6,562,167호(Coenen et al.)에 기재된 트레이닝 팬츠이며, 이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흡수성 물품(602)은 흡수성 섀시(604) 및, 한쌍의 파스너(608A 및 608B)를 갖는 체결 시스템(606)을 포함하여 흡수성 섀시(604)의 앞길 및 뒷길을 함께 고정시킨다. 파스너(608A 및 608B)는 접착제 스트립, 미캐니컬 파스너 등이 될 수 있다. 흡수성 섀시(604)는 앞길 허리 구역(610), 뒷길 허리 구역(612), 앞길 및 뒷길 허리 구역(610 및 612)을 각각 상호연결하는 가랑이 영역(614), 착용자와 접촉하도록 하는 내부 표면(616) 및, 착용자의 의복에 접촉하도록 하는 내부 표면(616)의 반대면의 외부 표면(618)을 구획한다. 대부분의 구체예에서, 탄성부(619)는 도시한 바와 같이 앞길 허리 구역(610), 뒷길 허리 구역(612) 및 가랑이 구역(614)에 존재한다. 가랑이 영역(614)은 도시한 바와 같이 봉쇄 플랩(621)을 더 포함한다. 섀시(604)에서의 임의의 성분은 본 명세서에 기재한 나노섬유, 예컨대 복합 전기방사 재료를 포함한다. 또한, 흡수성 섀시(604)는 한쌍의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엣지(620) 및, 앞길 허리 엣지(622) 및 뒷길 허리 엣지(624)로 표시한 한쌍의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허리 엣지를 구획한다. 앞길 허리 구역(610)은 앞길 허리 엣지(622)와 인접하며, 뒷길 허리 구역(612)은 뒷길 허리 엣지(624)와 인접한다.
흡수성 물품은 외부 커버(626)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외부 커버(626)는 외부로 향하는 표면상에서 나노섬유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나노섬유는 소수성이다. 예시한 흡수성 섀시(604)는 직사각형 또는 임의의 기타의 소정의 형상이 될 수 있는 구조체(628), 한쌍의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앞길 패널(630) 및, 한쌍의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뒷길 패널(632)을 포함한다. 구조체(628) 및 앞길 및 뒷길 패널(630 및 632) 각각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2 이상의 별도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 형성된 앞길 및 뒷길 패널(630 및 632) 각각 및 복합 구조체(628)는 적어도 통상의 재료, 예컨대 신체측 라이너, 플랩 성분, 외부 커버, 기타의 재료 및/또는 이의 조합물을 포함하며, 이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발포층(도시하지 않음)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원-피스 탄성, 연신성 또는 비연신성 흡수성 물품을 구획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602) 및, 특히 외부 커버(626)는 하나 이상의 외형 관련 성분, 예컨대 앞길면(636)상의 인쇄된 그래픽(634), 채색된 연신성 허리 밴드(63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형 관련 성분의 예로는 그래픽; 제품의 형상을 사용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또는 가시적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이라이트 또는 강조한 다리 개구부 및 허리 개구부[예, 인쇄한 다리 개구부 구역(640)]; 기능성 성분, 예컨대 탄성 다리 밴드, 탄성 허리밴드, 모의 남아용 "바지 지퍼가 열림", 여아용 주름 장식을 모사하기 위한 흡수성 물품(602)의 하이라이트 또는 강조한 부위; 흡수성 물품(602) 크기의 외관을 변경시키기 위한 흡수성 물품(602)의 하이라이트 부위; 흡수성 물품(602)에서의 등록중인 축축함 표시기, 온도 표시기 등; 흡수성 물품(602)에서의 등록중인 이면 라벨 또는 전면 라벨; 그리고 흡수성 물품(602)에서의 소정의 부위에서의 등록중인 서면의 지시 사항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를 들어 추가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를 추가로 예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수의 변형예 및 수정예는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유지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부직 및 종이 섬유를 사용한 전기방사된 나노섬유 복합체의 제조
재료 및 제조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에 사무소가 소재하는 시그마-알드리치로부터 입수 가능하며, 분자량(MW)이 100,000이고, Catalog No. 18, 198-6인 폴리에틸렌 옥시드(PEO)를 전기방사 섬유에 사용하였다. 추가로, 미국 위스컨신주 와우와토사에 사무소가 소재하는 보스틱 핀들리의 한 부문인 핀들리 애드시브 컴파니로부터의 열가소성 접착제 중합체 H2O25a를 멜트블로운 섬유로서 사용하였다. 연목 플러핑 CR-1654는 미국 앨라바마주 쿠사에 사무소가 소재하는 US 앨라이언스 펄프 밀즈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이를 플러프 섬유에 사용하였다.
15% PEO 용액은 저항률 판독치가 18 ㏁?㎝인 초여과 등급의 증류 탈이온수로 생성하였다. 미국 매사츄세츠주 홀리스턴에 사무소가 소재하는 하버드 애퍼레이터스,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의 Model '22' 주사기 펌프를 상온 및 주위 압력에서 약 100 ㎕/㎖의 유속으로, Tygon(등록상표) 튜빙(1.6 ㎜ 내경)의 1 ㎖ 주사기로부터 미국 뉴 저지주 프랭클린 레이크스에 사무소가 소재하는 벡턴-딕슨 앤 컴파니가 제조한 양으로 하전된 금속 끝이 무딘 니들[22 G×3.8 ㎝(1.5 인치)]에 압출시켰다. 미국 플로리다주 올만드 비치에 사무소가 소재하는 감마 하이 볼티지 리서치,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의 High Voltage Supply ES30P/DDPD(전류 전력 공급이 낮음)를 사용하여 18 ㎸ 전기 전위 구배를 설정하였다. PEO 섬유를 전기방사 처리하고, 멜트블로운 또는 플러프 섬유로 교락하고, 형성된 복합체를 니들의 끝에서 아래로 15 ㎝ 거리에 배치한 접지 알루미늄판에서 수집하였다.
미국 노쓰 캐롤라이나주 샬롯에 사무소가 소재하는 패스닝 테크놀로지, 인코 포레이티드로부터의 PAM 600 Spray Melt Gun에서 온도를 약 350℃로 설정하여 접착제 중합체 H2025a를 가열 및 용융시켰다. 건의 공기 압력은 약 4.2 ㎏/㎠(약 60 lb/in2)로 조절하여 용융된 중합체가 스프레이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스프레이 건을 샘플 수집기, 즉 전기방사 장치 부근의 알루미늄판에 조준하고, 활성화시켰다. 용융된 접착제 중합체에 의하여 형성된 스프레이 흐름을 전기방사된 PEO 섬유로 교락하였다. 샘플을 접지 알루미늄판에서 수집하였다. 대조용 테스트에서는, 열가소성 접착제 중합체 H2025 샘플을 PEO 나노섬유로 교락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집하였다. 생성된 물질은 두께가 약 50 내지 약 100 마이크로미터가었다.
주사 전자 현미경 화상
SEM 화상은 5 ㎸의 가속 전압에서 작동하는 S4500 장 방출 SEM을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상부 검출기는 약 9 ㎜의 작업 거리에서 사용하였다(순수한 SEI). 샘플을 약 20 ㎚ 크롬으로 코팅하고, 화상은 250 배 내지 15,00O 배 확대 배율로 촬영하였다.
도 7은 평활한 표면 모폴로지를 갖는 직경이 약 2.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인 MB 접착제 중합체 섬유의 605 배 확대 배율에서의 SEM 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교락된 폴리에틸렌 옥시드(PEO) 나노섬유/멜트블로운(MB) 복합 모폴로지의 1,500 배 확대 배율에서의 SEM 현미경 사진이다. PEO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는 약 100 내지 300 ㎚이고, 멜트블로운 접착제 중합체 섬유는 약 800 ㎚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이다.
도 9는 상이한 샘플 부위에서의 도 8의 교락된 PEO 나노섬유/MB 복합 모폴로지의 2,O00 배 확대 배율에서의 SEM 현미경 사진이다. PEO 전기방사된 나노섬유 크기는 약 100 내지 300 ㎚이고, 멜트블로운 접착제 중합체 섬유 크기는 약 800 ㎚ 내지 15 마이크로미터이다. 또한, 매우 작은 비율의 비이드 모폴로지가 PEO 나노섬유 네트워크에서 관찰되었다.
도 10은 거친 표면 모폴로지를 갖는 직경이 약 20 마이크로미터인 셀룰로스 섬유의 2,000 배 확대 배율에서의 주사 전자 현미경(SEM) 현미경 사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교락된 PEO 나노섬유/셀룰로스 플러프 복합 모폴로지의 각각 1,00O 배 및 2,000 배 확대 배율에서의 SEM 현미경 사진이다. PEO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는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에어블로운 플러프로 교락하여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PEO 나노섬유는 약 100 내지 300 ㎚이고, 커다란 셀룰로스 섬유는 약 20 내지 25 마이크로미터가었다. (전기방사 섬유가 주요한 성분이며, 섬유는 에어블로운 셀룰로스 섬유로 교락하였기 때문에 도 11 및 도 10에서는 외관상의 차이가 있는 것에 유의한다).
도 13 및 도 14는 교락된 PEO 나노섬유/셀룰로스 플러프 복합 모폴로지의 각각 2,000 배 및 4,000 배 확대 배율에서의 SEM 현미경 사진이다. 나노 크기의 PEO 전기방사 섬유(100 내지 300 ㎚)는 기재한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교락된 복합체에서 커다란 섬유 크기(직경이 약 20 마이크로미터임)를 갖는 단일 셀룰로스 섬유의 주위를 둘러싼 것으로 관찰되었다. PEO 나노섬유는 약 100 내지 300 ㎚이고, 커다란 셀룰로스 섬유는 약 20 내지 25 마이크로미터이다. (도 13은 전기방사된 나노섬유에 의하여 둘러싸인 단일 에어블로운 셀룰로스 섬유(주성분)를 나타내기 때문에 도 13 및 도 10에서는 외관상의 차이가 있는 것에 유의한다).
실시예 2
재료 및 제조
시그마-알드리치로부터 입수 가능하며, 분자량(MW)이 900,000이고, Catalog No. 18, 945-6인 폴리에틸렌 옥시드(PEO)를 사용하였다. 추가로, 약 70% 연목 및 마닐라삼(대마) 섬유 및 약 30% 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 섬유를 포함하는 약 17 g/㎡(gsm)의 습윤보유 부직 재료, 즉 셀룰로스-중합체 재료를 사용하였다. 습윤보유 재료는 미국 코네티컷주 윈저 록스에 사무소가 소재하는 덱스터 넌워븐 머티리얼즈에서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의 습윤보유 부직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의 일부로서, 재료의 시이트를 총 재료의 약 30 중량%를 포함하는 합성 아크릴 결합제로 포화시켰다. 2 개의 2×2 ㎝ 샘플을 제조하고, 각각을 3회 테스트하였다(하기 표 1 참조).
그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절차의 일부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2% PEO 용액을 초여과 등급의 증류 탈이온수(18 ㏁?㎝)중에서 생성하였다. 하버드 애퍼레이터스,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의 Model '22' 주사기 펌프를 상온 및 주위 압력에서 약 100 ㎕/㎖의 유속으로, 양으로 하전된 금속 끝이 무딘 니들[22 G×3.8 ㎝(1.5 인치)]에 압출시켰다. 감마 하이 볼티지 리서치,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의 High Voltage Supply ES30P/DDPD(전류 전력 공급이 낮음)를 사용하 여 18 ㎸ 전기 전위 구배를 설정하였다. 니들을 Tygon(등록상표) 튜빙(1.6 ㎜ 내경)의 1 ㎖ 주사기에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멜트블로운 또는 플러프 섬유로 교락하기 보다는 생성된 PEO 나노섬유를 전기방사 처리한 후, 이를 습윤보유 재료의 한면에서 수집하여 나노섬유 습윤보유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상세하게는, 상기에서 제조한 습윤보유 샘플중 하나를 니들의 끝으로부터 약 15 ㎝의 거리에 배치한 접지 알루미늄판의 상부에 두었다. 그후, PEO 나노섬유를 상부에서 수집하여 나노섬유 습윤보유 복합 재료를 생성하였다. (다른 습윤보유 샘플은 미처리 상태로 유지하였으며, 이를 대조예로 사용하였다). PEO 나노섬유 코팅은 습윤보유 재료에 약 5% 추가의 중량을 부가하였다. 코팅 두께는 실시예 1의 교락된 예를 사용하여 달성된 두께의 유형, 즉 약 50 내지 약 100 마이크로미터에 필적한다. 본 실험을 위하여, 본 실험에서 제조한 재료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교락된 재료에 필적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공기 투과도 (공극율) 테스트
공기 투과도 테스트는 ASTM D 737-75 (1980) 직물의 공기 투과도에 대한 표준 테스트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본 테스트에 사용한 기기는 스위스 취리히에 사무소가 소재하는 텍스테스트 아게로부터 공기 투과도 테스트기 모델 번호 TEXTEST FX 3300이었다. 본 테스트는 규정한 표면 압력 차이로 직물을 통한 공기 흐름의 속도 및 부피를 측정하였다. 결과 판독치가 높을 수록 재료는 더욱 개방되어 있어서, 더 많은 공기가 통과하게 된다. 공기 유속 및 부피는 직물의 통기성의 지표가 된다.
조절된 조건하에서, 흡입 팬은 약 38 ㎠(5.9 in2)의 공지의 직물 부위에 공기를 유인시킨다. 테스트 시험체를 통한 공기 흐름은 가변 오리피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테스트 시험체의 공기 투과도는 이러한 오리피스를 통한 압력 강하로부터 측정하며, 이는 직접적인 판독을 위하여 측정치의 선택한 단위로 디지탈로 나타냈다. 속도를 규정된 압력차로 조절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약 0.02 lb/in2(약 125 ㎩)이었다.
결과
그후, 나노섬유 습윤보유 복합 재료 샘플을 공기 투과도에 대하여 테스트하였으며(3회), 이를 미처리 습윤보유 부직 샘플(이 또한 3회 테스트함)과 비교하였다. 각각의 샘플은 약 5.1×5.1 ㎝(약 2×2 in)이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제시하였으며, 이를 공기 흐름으로 표시하였다:
미처리 및 처리한 습윤보유 복합 재료에 대한 공기 투과도 결과
공기 흐름
㎥/분(ft3/분)
평균 공기 흐름
㎥/분(ft3/분)

미처리 습윤보유
9.6(338) 9.5(337)
9.7(343)
9.4(331)

나노섬유 습윤보유 복합체
9.1(322) 9(318)
8.9(314)
9(318)
통상의 습윤보유 재료상에서의 전기방사된 PEO 나노섬유 코팅은 미처리 습윤보유 재료(약 9.5 ㎥/분)와 비교시 공기 투과도 강하(약 9 ㎥/분)에 대하여 효과가 아주 작았다(6%).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전기방사 재료가 통상의 재료의 공극율에 대하여서는 최소의 영향을 미치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한 바와 같은 잇점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명세서에 기재한 특정의 구체예에서, 각종 나노섬유의 혼합물은 각종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중 방출 튜브를 사용함을써 생성되며, 이들 각각은 수집 그리드상에서 부착되는 나노섬유를 생성하며, 굵은 섬유 또는, 굵은 섬유와 나노섬유의 조합과 혼합되거나 및/또는 층을 형성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소수성 및 친수성 나노섬유의 혼합물이 생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락티드 또는 폴리락트산 중합체의 복합체는 용액으로부터 방사되고 그리고, 용융물로부터 방사된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굵은 섬유와 또는,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사무소가 소재하는 크라톤 폴리머즈가 제조한 중합체인 Kraton(등록상표)과 결합되거나 또는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용액으로부터 전기방사 처리된 기타의 섬유와 결합된다. 생성된 복합 나노섬유 재료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서 유용한 웹을 제공한다. 이러한 웹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물품의 흡입 층, 보호 커버, 분포 재료 및 외부 커버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기타의 섬유상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비하여 상당한 잇점을 제공한다. 전기방사 또는 기타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나노섬유는 소정의 중량에 대하여 매우 큰 표면적을 갖는 재료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이들 나노섬유를 더 큰 섬유 크기를 갖는 통상의 부직과 조합할 경우, 생성된 복합 재료는 비교적 낮은 공극 크기 및 높은 표면적을 제공하면서 유사한 공극율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모든 공보, 특허 및 특허 문헌은 이들을 마치 개별적으로 인용하듯이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임의의 불일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의 임의의 정의를 비롯한 개시를 우선으로 한다.
특정의 구체예를 본 명세서에서 예시 및 기재하기는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산한 임의의 배치는 제시한 특정의 구체예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숙지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주로 전기방사 섬유에 관하여 설명하기는 하였으나, 임의의 유형의 나노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예 또는 수정예도 포함시키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및 이의 균등예에 의하여서만 명백하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

Claims (32)

  1. 복수의 굵은 섬유와 교락되어(intertwined) 단일 층을 형성한 복수의 전기방사(electrospun)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이며, 복수의 전기방사 섬유 및 복수의 굵은 섬유는 단일 층 내에서 평면 방향으로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하나 이상의 구배를 형성하고, 굵은 섬유 및 전기방사 섬유의 분포는 단일 층의 z 방향에서 일관되는 복합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방사 섬유가 전기방사 섬유 평균 직경을 갖고, 복수의 굵은 섬유가 굵은 섬유 평균 직경을 가지며, 전기방사 섬유 평균 직경에 대한 굵은 섬유 평균 직경의 비가 5 이상인 복합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굵은 섬유의 적어도 일부분이 마이크로섬유인 복합 재료.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굵은 섬유가 2종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굵은 섬유로부터 제조된 것인 복합 재료.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굵은 섬유가 멜트블로운(MB) 섬유, 스펀본디드 섬유, 제지 섬유, 펄프 섬유, 플러프, 셀룰로스 섬유, 나일론 스테이플 섬유,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복합 재료.
  6. 제5항에 있어서, 굵은 섬유가 멜트스펀 웹을 형성하는 복합 재료.
  7.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배 중 하나 이상이 평면 구배인 복합 재료.
  8. 제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평면 구배 중 하나 이상이 표면 화학 구배인 복합 재료.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기방사 섬유가 나일론 6, 나일론 46, 나일론 6,6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키토산 나일론으로부터 제조된 것인 복합 재료.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기방사 섬유가 2종 이상의 상이한 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2종 이상의 상이한 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는 각각 황산, 포름산, 클로로포름,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 포름아미드, 물, 아세톤,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 중에 존재하는 복합 재료.
  11.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기방사 섬유의 적어도 일부분이 소수성 섬유, 친수성 섬유,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복합 재료.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077009949A 2004-11-02 2005-07-27 복합 나노섬유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97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79,301 US7390760B1 (en) 2004-11-02 2004-11-02 Composite nanofiber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10/979,301 2004-11-02
PCT/US2005/026719 WO2006049664A1 (en) 2004-11-02 2005-07-27 Composite nanofiber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851A KR20070073851A (ko) 2007-07-10
KR101197363B1 true KR101197363B1 (ko) 2012-11-05

Family

ID=3551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949A KR101197363B1 (ko) 2004-11-02 2005-07-27 복합 나노섬유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90760B1 (ko)
EP (1) EP1834019B1 (ko)
KR (1) KR101197363B1 (ko)
DE (1) DE602005025252D1 (ko)
MX (1) MX272145B (ko)
WO (1) WO200604966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678B1 (ko) 2012-08-16 2014-01-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섬유시트 형태의 의료용 지지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93142B1 (ko) * 2018-07-09 2019-06-26 주식회사 허그몬 방수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위생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2102A (ko) 2021-11-17 2023-05-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노섬유 매트, 나노섬유 매트 제조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2993B2 (en) 2003-06-19 2011-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Water-dispersible and multicomponent fibers from sulfopolyesters
US20040260034A1 (en) 2003-06-19 2004-12-23 Haile William Alston Water-dispersible fibers and fibrous articles
US8513147B2 (en) 2003-06-19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Nonwovens produced from multicomponent fibers
US8395016B2 (en) 2003-06-30 2013-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ntaining nanofibers produced from low melt flow rate polymers
US8487156B2 (en) 2003-06-30 2013-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giene articles containing nanofibers
CA2561081C (en) * 2004-04-19 2009-10-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ntaining nanofibers for use as barriers
EP1740748B1 (en) 2004-04-19 2013-08-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ibers, nonwovens and articles containing nanofibers produced from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olymers
US7323033B2 (en) * 2004-04-30 2008-01-29 Lucent Technologies Inc. Nanostructured surfaces having variable permeability
US7390760B1 (en) 2004-11-02 2008-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nanofiber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WO2006106506A2 (en) * 2005-04-04 2006-10-12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td. Medical scaffold, methods of fabrication and using thereof
CA2621828C (en) * 2005-09-07 2014-05-27 The University Of Akron Flexible ceramic fibers and a process for making same
US7757811B2 (en) * 2005-10-19 2010-07-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articles having acoustical absorbance properti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618702B2 (en) * 2006-01-17 2009-11-17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Cellulosic/polyamide composite
US7981509B2 (en) 2006-02-13 2011-07-19 Donaldson Company, Inc. Polymer blend, polymer solution composition and fibers spun from the polymer blend and filtration applications thereof
JP5162476B2 (ja) 2006-02-13 2013-03-13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ファインファイバーおよび生物活性微粒子を含有するウェブならびにその使用
DE102006013170A1 (de) * 2006-03-22 2007-09-27 Irema-Filter Gmbh Plissierbares Vliesmaterial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rselben
DE102006014236A1 (de) 2006-03-28 2007-10-04 Irema-Filter Gmbh Plissierbares Vliesmaterial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rselben
WO2007140573A1 (en) * 2006-04-24 2007-12-13 Axcelon Biopolymers Corporation Nanosilver coated bacterial cellulose
US9072633B2 (en) * 2006-06-07 2015-07-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axially stretchable outer cover for an absorbent article
WO2008030457A2 (en) * 2006-09-06 2008-03-13 Corning Incorporated Nanofibers, nanofilms and methods of making/using thereof
US20080108263A1 (en) * 2006-11-03 2008-05-08 Conley Jill A Breathable waterproof fabrics with a dyed and welded microporous layer
ATE525996T1 (de) 2006-12-11 2011-10-15 Sca Hygiene Prod Ab Saugfähiger artikel mit stark hydrophober schicht
CZ200727A3 (cs) * 2007-01-11 2008-07-23 Elmarco, S. R. O. Zpusob výroby vrstvené zvukove pohltivé netkané textilie
EP1953286A1 (en) * 2007-02-01 2008-08-06 Nisshinbo Industries, Inc. Fabric and mask
US7988860B2 (en) 2007-03-15 2011-08-02 Donaldson Company Inc. Superabsorbent-containing web that can act as a filter, absorbent, reactive layer or fuel fuse
US20100211172A1 (en) * 2007-04-02 2010-08-19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Implantable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Biological Tissue
WO2008150970A2 (en) 2007-05-30 2008-12-1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High-output solvent-based electrospinning
US20100018641A1 (en) * 2007-06-08 2010-01-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of Applying Skin Wellness Agents to a Nonwoven Web Through Electrospinning Nanofibers
KR100931407B1 (ko) * 2007-07-12 2009-12-11 벤텍스 주식회사 항균마스크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9054953A2 (en) * 2007-10-23 2009-04-30 Cooper Christopher H A carbon nanotube containing material for the capture and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a surface
EP2227308A2 (en) * 2007-11-09 2010-09-15 Hollingsworth & Vose Company Meltblown filter medium
US8986432B2 (en) 2007-11-09 2015-03-24 Hollingsworth & Vose Company Meltblown filter medium, related applications and uses
JP5468548B2 (ja) * 2007-11-20 2014-04-09 クラーコア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濾過媒体、100ナノメートル未満の細繊維および方法
CN101883545B (zh) * 2007-12-06 2013-08-07 纳诺西斯有限公司 可再吸收的纳米增强型止血结构和绷带材料
US8906815B2 (en) * 2007-12-28 2014-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e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1157898B1 (ko) * 2008-01-03 2012-06-22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화학 방호복
DE102008007426A1 (de) * 2008-02-01 2009-08-06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Bonn Unbenetzbare Oberflächen
KR100973231B1 (ko) * 2008-02-05 2010-08-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불소 처리된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나노섬유 부직포 및그 제조방법
US8535632B2 (en) * 2008-03-20 2013-09-17 The University Of Akron Ceramic nanofibers containing nanosize metal catalyst particles and medium thereof
US20090266759A1 (en) * 2008-04-24 2009-10-29 Clarcor Inc. Integrated nanofiber filter media
CA2722552A1 (en) * 2008-04-25 2009-10-29 The University Of Akron Nanofiber enhanced functional film manufacturing method using melt film casting
CN102016150A (zh) * 2008-05-05 2011-04-13 艾维够产业1953有限公司 无纺材料
US8365925B2 (en) 2008-08-13 2013-02-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ilter medium
AU2009285774B2 (en) * 2008-08-28 2014-06-12 Kpr U.S., Llc Anti-microbial fibers and related articles and methods
US20110159109A1 (en) * 2008-09-02 2011-06-30 Drexel University Titania dispersion and method for making
WO2010028017A2 (en) * 2008-09-02 2010-03-11 Drexel University Metal or metal oxide deposited fibrous materials
EP2361144B1 (en) * 2008-10-07 2018-05-16 The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High flux high efficiency nanofiber membrane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US8357220B2 (en) 2008-11-07 2013-01-22 Hollingsworth & Vose Company Multi-phase filter medium
KR101063821B1 (ko) 2008-11-10 2011-09-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섬유 망상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2373352B1 (en) * 2008-12-19 2013-11-06 Sca Hygiene Products AB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e comprising a superabsorbent polymer and cellulosic nanofibrils
DE102009005387A1 (de) 2009-01-21 2010-07-22 Fleissner Gmbh Verbundvliesstoff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Verbundvliesstoffes
US8267681B2 (en) 2009-01-28 2012-09-18 Donaldson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fibrous media
KR101065255B1 (ko) * 2009-02-13 2011-09-16 김근형 생분해성 폴리머의 전기방사를 이용한 신규 약물 전달 시스템
EP2398633B1 (en) * 2009-02-17 2014-05-07 Essentra Porous Technologies Corp. Multi-layer, fluid transmissive fiber structures containing nanofiber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structures
US9630141B2 (en) * 2009-02-20 2017-04-25 Cameron Solutions, Inc. Membrane filter element with multiple fiber types
DE102009010935A1 (de) 2009-02-27 2010-10-14 Fleissner Gmbh Verbundvliesstoff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Verbundvliesstoffes
CN101837287B (zh) * 2009-03-21 2012-05-30 清华大学 碳纳米管纳米颗粒复合材料的制备方法
US9217211B2 (en) 2009-03-24 2015-12-22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Method for fabricating nanofibers
US9217210B2 (en) 2009-03-24 2015-12-22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Process of making composite inorganic/polymer nanofibers
US8950587B2 (en) 2009-04-03 2015-02-10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suitable for hydraulic applications
DE102010000081A1 (de) * 2009-04-06 2011-04-14 Mcairlaid's Vliesstoffe Gmbh & Co. Kg Materialbahn
US8512519B2 (en) 2009-04-24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Sulfopolyesters for paper strength and process
US20110206928A1 (en) * 2009-08-24 2011-08-25 Maranchi Jeffrey P Reinforced Fibers and Related Processes
US8636833B2 (en) * 2009-09-16 2014-01-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ir filtration medium with improved dust loading capacity and improved resistance to high humidity environment
US20110210061A1 (en) 2010-02-26 2011-09-01 Clarcor Inc. Compressed nanofiber composite media
JP5637208B2 (ja) * 2010-03-18 2014-12-10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ネットワーク状高分子ナノファイバー、その製造方法、ガス吸着剤、及びガス分離材
US8679218B2 (en) 2010-04-27 2014-03-25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with a multi-layer structure
WO2012021817A2 (en) 2010-08-12 2012-02-16 Unifrax I Llc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SG188273A1 (en) * 2010-08-30 2013-04-30 Harvard College A high strength chiti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US10668308B2 (en) 2010-08-31 2020-06-02 Crosstex International, Inc. Filter mask having one or more malleable stiffening members
US8337967B2 (en) 2010-09-22 2012-12-2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Can with bisphenol A capture system
US8795561B2 (en) * 2010-09-29 2014-08-05 Milliken & Company Process of forming a nanofiber non-woven containing particles
US8889572B2 (en) * 2010-09-29 2014-11-18 Milliken & Company Gradient nanofiber non-woven
US20120076972A1 (en) * 2010-09-29 2012-03-29 Hao Zhou Nanofiber Non-Woven Composite
US20120077406A1 (en) * 2010-09-29 2012-03-29 Scrivens Walter A Nanofiber Non-Wovens Containing Particles
US20120077405A1 (en) * 2010-09-29 2012-03-29 Hao Zhou Core/Shell Nanofiber Non-Woven
US20120177996A1 (en) * 2010-10-21 2012-07-12 Eastman Chemical Company Nonwoven article with ribbon fibers
US9273417B2 (en) 2010-10-21 2016-03-01 Eastman Chemical Company Wet-Laid process to produce a bound nonwoven article
US20120295097A1 (en) * 2010-11-15 2012-11-22 Lotus Adria F Apparatus, methods and fluid compositions for electrostatically-driven solvent ejection or particle formation, and absorbant products made using same
DE102010052155A1 (de) 2010-11-22 2012-05-24 Irema-Filter Gmbh Luftfiltermedium mit zwei Wirkmechanismen
EP2646237A2 (en) * 2010-12-01 2013-10-0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rticles and method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nanostructure reinforced structures
US10155186B2 (en) 2010-12-17 2018-12-18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ne fiber filter media and processes
US20120152821A1 (en) 2010-12-17 2012-06-21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ne fiber filter media and processes
CN103328720B (zh) 2011-01-28 2016-12-07 唐纳森公司 用于形成纤维介质的方法和设备
US9121118B2 (en) 2011-01-28 2015-09-01 Donaldson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fibrous media
US10932720B2 (en) 2011-03-08 2021-03-02 Nanowear Inc. Smart materials, dry textile sensors, and electronics integration in clothing, bed sheets, and pillow cases for neurological, cardiac and/or pulmonary monitoring
KR101345694B1 (ko) * 2011-03-11 2013-12-30 옵토팩 주식회사 파이버, 파이버 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DE202011000582U1 (de) * 2011-03-15 2012-06-21 Mcairlaid's Vliesstoffe Gmbh & Co. Kg Materialbahn
US10227568B2 (en) * 2011-03-22 2019-03-12 Nanofiber Solutions, Llc Fiber scaffolds for use in esophageal prostheses
US8987545B2 (en) * 2011-05-18 2015-03-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water-absorbing polymer particles
WO2012158606A1 (en) * 2011-05-19 2012-11-22 The University Of Akron Tubular surface coalescers
US8322487B1 (en) 2011-08-19 2012-12-04 Milliken & Company Acoustically coupled non-woven composite
US20130074272A1 (en) * 2011-09-23 2013-03-28 Charles A. Lachenbruch Moisture Management and Transport Cover
US8496088B2 (en) 2011-11-09 2013-07-30 Milliken & Company Acoustic composite
CN103998115B (zh) * 2011-11-17 2015-11-25 义安理工学院 用于膜蒸馏应用的三层疏水-亲水膜
US10239262B2 (en) 2011-11-21 2019-03-26 Nanofiber Solutions, Llc Fiber scaffolds for use in tracheal prostheses
WO2013106822A1 (en) 2012-01-12 2013-07-18 Johnson Jed K Nanofiber scaffolds for biological structures
US8840757B2 (en) 2012-01-31 2014-09-23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es to produce short cut microfibers
US20130233780A1 (en) * 2012-03-12 2013-09-12 Susan Olesik Ultrathin-layer chromatography plates comprising electrospun fib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932683B1 (en) 2012-06-15 2015-01-13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thod for coating a tow with an electrospun nanofiber
US9273415B2 (en) * 2012-09-07 2016-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for preparing carbon hybrid materials
DE102012215877B4 (de) * 2012-09-07 2022-01-13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element
US20150224739A1 (en) * 2012-09-17 2015-08-13 Cornell University High performance nanofibers and mats
US9186608B2 (en) 2012-09-26 2015-11-17 Milliken & Company Process for forming a high efficiency nanofiber filter
US9211491B2 (en) * 2012-11-06 2015-12-15 Lydall, Inc. Air filtration media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4126575A1 (en) 2013-02-14 2014-08-21 Nanofiber Separations, Llc Multi-chip module with a compressible structure for maintaining alignment between chips in the module
CN103088444B (zh) * 2013-02-26 2016-01-20 天津工业大学 一种提高静电纺丝多射流的方法及装置
US10195797B2 (en) 2013-02-28 2019-02-05 N12 Technologies, Inc. Cartridge-based dispensing of nanostructure films
EP2971318B1 (en) 2013-03-15 2021-07-21 Nanofiber Solutions, LLC Biocompatible fiber textiles for implantation
US9522357B2 (en) * 2013-03-15 2016-12-20 Products Unlimited, Inc. Filtration media fibe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14143039A1 (en) * 2013-03-15 2014-09-18 Crosstex International, Inc. A facemask having one or more nanofiber layers
US9993761B2 (en) * 2013-03-15 2018-06-12 LMS Technologies, Inc. Filtration media fibe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617685B2 (en) 2013-04-19 2017-04-11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paper and nonwoven articles comprising synthetic microfiber binders
DE102013008402A1 (de) 2013-05-16 2014-11-20 Irema-Filter Gmbh Faservlie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9694306B2 (en) 2013-05-24 2017-07-04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including polymer compositions and blends
JP5948370B2 (ja) * 2013-08-08 2016-07-06 花王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ナノファイバの製造方法及びナノファイバ成型体
US9174159B2 (en) 2013-08-16 2015-11-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ramed pleated air filter with upstream bridging filaments
US9278301B2 (en) 2013-08-16 2016-03-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estable framed pleated air filter and method of making
US9737632B2 (en) 2013-09-25 2017-08-22 Nanofiber Solutions, Inc. Fiber scaffolds for use creating implantable structures
US9598802B2 (en) 2013-12-17 2017-03-21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sulfopolyester concentrate
US9605126B2 (en) 2013-12-17 2017-03-28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oncentrated sulfopolyester dispersion
CN103966769B (zh) * 2014-05-07 2016-06-29 南通大学 一种光催化自洁净纳米纤维毡的制备方法
MY173739A (en) * 2014-06-10 2020-02-18 Afyx Therapeutics As Compositions comprising electrohydrodynamically obtained fibres for administration of specific dosages of an active substance to skin or mucosa
US10021930B2 (en) * 2014-10-10 2018-07-17 Deejayzoo, Llc Noise reducing water resistant headpiece
US20160138174A1 (en) * 2014-11-14 2016-05-1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chemically Responsive Composites of Redox Polymers and Conducting Fibers
US10343095B2 (en) 2014-12-19 2019-07-09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comprising a pre-filter layer
US11111593B2 (en) 2015-01-16 2021-09-07 Nanowear Inc. Large scale manufacturing of hybrid nanostructured textile sensors
US10131993B2 (en) 2015-01-16 2018-11-20 Nanowear, Inc. Large scale manufacturing of hybrid nanostructured textile sensors
US10166315B2 (en) 2015-05-04 2019-01-01 Nanofiber Solutions, Inc. Chitosan-enhanced electrospun fiber compositions
CN108136714B (zh) * 2015-09-18 2021-07-20 王子控股株式会社 积层体
EP3370788A4 (en) 2015-11-02 2019-07-31 Nanofiber Solutions, LLC ELECTRO-spun fibers with contrast ag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231623B2 (en) 2016-02-04 2019-03-19 Nanowear Inc. Roll-to-roll print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 wireless nanosensor
KR101802641B1 (ko) * 2016-03-29 2017-11-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친수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나노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926054B (zh) * 2016-06-15 2018-02-09 武汉纺织大学 以托网板引导静电纺丝的改善生条质量的设备及使用方法
US11020865B2 (en) 2016-06-30 2021-06-01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aid for razor cartridges comprising a nano-filament
US10773405B2 (en) 2016-06-30 2020-09-15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aid for razor cartridges comprising a nano-filament comprising a core and sheath
US10590577B2 (en) 2016-08-02 2020-03-17 Fitesa Germany Gmbh System and process for preparing polylactic acid nonwoven fabrics
US11441251B2 (en) 2016-08-16 2022-09-13 Fitesa Germany Gmbh Nonwoven fabrics comprising polylactic acid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toughness
CN106283396A (zh) * 2016-08-22 2017-01-04 王利萍 一种多孔壳聚糖纤维膜的制备方法
TWI684619B (zh) * 2017-01-03 2020-02-11 長豐紡織科技股份有限公司 熱塑性聚合物奈米纖維及其製造方法
WO2018133909A1 (en) * 2017-01-23 2018-07-26 Dermtreat Aps Method for fabrication of a two-layered product based on electrospun fibres
IL268185B2 (en) 2017-01-23 2024-01-01 Afyx Therapeutics As A method for preparing fibers produced by electrospinning with a high content of biological adhesive
US10898608B2 (en) 2017-02-02 2021-01-26 Nanofiber Solutions, Llc Methods of improving bone-soft tissue healing using electrospun fibers
US11547963B2 (en) 2017-03-29 2023-01-10 Knowlton Technologies, Llc High efficiency synthetic filter media
US10959634B2 (en) 2017-05-02 2021-03-30 Nanowear Inc. Wearable congestive heart failure management system
US10786016B2 (en) * 2017-05-03 2020-09-29 Proof Company, Llc Moisture absorbing anti-leak undergarments
WO2019005802A1 (en) * 2017-06-26 2019-01-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HERMALLY ROBUST DEVICES COMPRISING WITH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OR NON-INVASIVE AND INVASIVE SURGERY
WO2019006242A2 (en) * 2017-06-30 2019-0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COMPOSITE NONWOVEN STRIPS
DE102017006289A1 (de) * 2017-07-04 2019-01-10 Carl Freudenberg Kg Mikrofaser-Verbundvliesstoff
KR101866344B1 (ko) * 2017-07-12 2018-06-12 (주)에프티이앤이 나노섬유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881646A (zh) * 2017-09-30 2018-04-06 武汉每时工业发展有限公司 一种静电纺丝‑干法成网制备双组分吸音棉的方法及装置
CA3086035A1 (en) * 2017-12-19 2019-06-27 Lyv Life, Inc. Ultrathin absorbent hygienic pads
JP6488042B1 (ja) * 2018-03-29 2019-03-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102018108228A1 (de) * 2018-04-06 2019-10-10 Groz-Beckert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extilen Gebildes mit elektrostatisch geladenen Fasern und textiles Gebilde
JP6960381B2 (ja) * 2018-08-22 2021-11-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9325272A (zh) * 2018-09-05 2019-02-12 东华大学 一种静电纺丝纤网均匀性模拟及计算的方法
CN113163931A (zh) 2018-11-26 2021-07-23 花王株式会社 纳米纤维片材、其使用方法及其制造方法
WO2020123619A1 (en) 2018-12-11 2020-06-18 Nanofiber Solutions, Llc Methods of treating chronic wounds using electrospun fibers
KR101993143B1 (ko) * 2019-02-25 2019-09-30 주식회사 허그몬 방수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위생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D917044S1 (en) 2019-03-01 2021-04-20 Lyv Life, Inc. Ultrathin absorbent asymmetrical bladder liner with channels
USD926974S1 (en) 2019-03-01 2021-08-03 Lyv Life, Inc. Ultrathin absorbent bladder liner with absorbent pod
USD917043S1 (en) 2019-03-01 2021-04-20 Lyv Life, Inc. Ultrathin absorbent asymmetrical bladder liner
USD895799S1 (en) 2019-03-01 2020-09-08 Lyv Life, Inc. Menstrual cup with extended grip rings
USD895798S1 (en) 2019-03-01 2020-09-08 Lyv Life, Inc. Menstrual cup with grip rings
US11846042B2 (en) * 2019-06-28 2023-12-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carbon nanostructures and ultrathin aligned carbon wires with multilayer turbostratic graphene structure
EP4001487A4 (en) * 2019-07-16 2023-08-02 Kuraray Kuraflex Co., Ltd. FIBE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1054192A1 (ja) * 2019-09-20 2021-03-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不織布、不織布製造方法、及びフィルタ
CN114828979A (zh) * 2019-10-08 2022-07-29 唐纳森公司 包括细纤维层的过滤器介质
CN111058193B (zh) * 2019-12-30 2022-04-08 天津捷盛东辉保鲜科技有限公司 条带状电纺膜
DE102020106532A1 (de) 2020-03-10 2021-09-16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erschwenkbare Siebbandeinrichtung
WO2021256445A1 (ja) * 2020-06-19 2021-12-23 花王株式会社 繊維シート、電界紡糸装置及び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
CN111676542A (zh) * 2020-07-07 2020-09-18 西安工程大学 一种聚乳酸/苯胺低聚体纳米纤维的制备方法
CN111821520B (zh) * 2020-07-08 2021-07-13 李丹荣 一种负载活性生物玻璃的皮肤再生材料及其制备方法
IT202000019468A1 (it) * 2020-08-06 2022-02-06 Sinergy Pharma S R L Mascherina respiratoria multistrato
CN111979625A (zh) * 2020-08-25 2020-11-24 湖南尚珂伊针纺有限公司 一种化纤复合纤维及其加工方法
JP2023551364A (ja) * 2020-10-30 2023-12-08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非対称面複合不織テキス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088041A1 (en) * 2020-10-30 2022-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and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the same
CN112962216B (zh) * 2021-02-07 2022-02-01 宁波工程学院 尼龙6/壳聚糖/贵金属纳米纤维的制备方法
US20220333274A1 (en) * 2021-04-20 2022-10-20 Jack L. Skinner Precisely controlled fiber deposition by electrostatic fields
WO2022257716A1 (en) * 2021-06-09 2022-12-15 Nanoshields Technology Limited Protective masks made with polymer-based materials
WO2023196626A1 (en) * 2022-04-08 2023-10-12 Delstar Technologies, Inc. Nonwoven materials and products containing nonwoven materials
US20230323062A1 (en) * 2022-04-08 2023-10-12 Delstar Technologies, Inc. Apertured polymer sheets incorporating nanoparticles
CN114917765B (zh) * 2022-05-20 2023-05-02 厦门大学 一种绒毛纳米纤维抗菌高效低阻空气过滤膜的制备方法
CN117230572A (zh) * 2023-09-18 2023-12-15 浙江杰上杰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端装备用中低频段吸音功能性纳米纤维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7311A2 (en) 2000-06-13 2001-12-20 Hydrogenics Corporation Water recovery on the anode side of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O2002020668A2 (en) 2000-09-05 2002-03-14 Donaldson Company, Inc. Polymer compositions, polymer microfibers, polymer nanofibers and applications including filter structure
WO2003062510A1 (en) 2002-01-22 2003-07-31 The University Of Akro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nanofibers
US20040116028A1 (en) 2002-09-17 2004-06-17 Bryner Michael Allen Extremely high liquid barrier fabrics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5093A (en) * 1964-03-17 Surgical bandage
US808433A (en) * 1904-10-18 1905-12-26 Walter F Ware Abdominal supporter or bandage.
US3490115A (en) * 1967-04-06 1970-01-20 Du Pont Apparatus for collecting charged fibrous material in sheet form
DE2139497C3 (de) * 1971-08-06 1975-02-13 Franz Morat Gmbh, Kaiseraugst (Schweiz) Emulgier- und Dispergiervorrichtung
CH570493A5 (ko) * 1973-08-16 1975-12-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GB1527592A (en) * 1974-08-05 1978-10-04 Ici Ltd Wound dressing
DE2912129C2 (de) * 1979-03-28 1986-06-12 Karl Otto Braun Kg, 6759 Wolfst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häsiven, starren oder elastischen Binde für Fixierverbände, Kompressions- und Stützverbände und dauerelastische Kompressions- und Stützverbände für medizinische Zwecke
US4820296A (en) * 1985-04-15 1989-04-11 Masliyah Carol A Post-operative garment
JPH02127033A (ja) 1988-09-26 1990-05-15 Arco Chem Technol Inc 多層吸収材粒子及びその製法
US5151092A (en) * 1991-06-13 1992-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having a predisposed resilient flexural hinge
US5238733A (en) * 1991-09-30 1993-08-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etchable nonwoven web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US5981038A (en) * 1991-10-18 1999-1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Laminate preventing transmissions of viral pathogens
DE69328691T2 (de) * 1992-02-26 2000-08-31 Univ Tennessee Res Corp Neue verbundbahn
US5300192A (en) * 1992-08-17 1994-04-05 Weyerhaeuser Company Wet laid fiber sheet manufacturing with reactivatable binders for binding particles to fibers
WO1994011556A1 (en) * 1992-11-18 1994-05-26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Fibrous structure containing immobilized particulate matter and process therefor
CA2114290C (en) * 1993-01-27 2006-01-10 Nagabushanam Totakura Post-surgical anti-adhesion device
PL178053B1 (pl) * 1994-07-29 2000-02-29 Wilhelm Barthlott Samooczyszczająca się powierzchnia elementów
US5624423A (en) * 1994-11-30 1997-04-2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barrier means and medial bulge
US6114024A (en) * 1995-08-01 2000-09-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layer breathable film
ATE263629T1 (de) 1996-07-23 2004-04-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Vorrichtung zum spenden und verfahren zur formung eines materials
US6033684A (en) * 1996-08-28 2000-03-07 Jonor,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ound management
US6315806B1 (en) * 1997-09-23 2001-11-13 Leonard Torobi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igh efficiency fibrous media incorporating discontinuous sub-micron diameter fibers, and web media formed thereby
US6106913A (en) * 1997-10-10 2000-08-22 Quantum Group, Inc Fibrous structures containing nanofibrils and other textile fibers
AU2705600A (en) * 1998-10-01 2000-05-01 University Of Akron, The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nanofibers
DE19919809C2 (de) * 1999-04-30 2003-02-06 Fibermark Gessner Gmbh & Co Staubfilterbeutel, enthaltend Nanofaservlies
US6492574B1 (en) * 1999-10-01 2002-12-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enter-fill absorbent article with a wicking barrier and central rising member
US6753454B1 (en) * 1999-10-08 2004-06-22 The University Of Akron Electrospun fibers and an apparatus therefor
US6617490B1 (en) * 1999-10-14 2003-09-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molded cellulosic webs
US6800155B2 (en) * 2000-02-24 2004-10-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onductive (electrical, ionic and photoelectric) membrane articler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10013315C2 (de) * 2000-03-17 2002-06-06 Freudenberg Carl Kg Plissiertes Filter aus einem mehrlagigen Filtermedium
CA2672562C (en) 2000-06-21 2013-08-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an improved ventilation
IL138099A0 (en) * 2000-08-25 2001-10-31 Naimer Richard Bandage
US6673136B2 (en) * 2000-09-05 2004-01-06 Donaldson Company, Inc. Air filtration arrangements having fluted media constructions and methods
DE10051186B4 (de) * 2000-10-16 2005-04-07 Fibermark Gessner Gmbh & Co. Ohg Staubfilterbeutel mit hochporöser Trägermateriallage
US20020084178A1 (en) * 2000-12-19 2002-07-04 Nicast Corporat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lymer fiber shells via electrospinning
US20040158214A1 (en) * 2003-02-10 2004-08-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durable hydrophilic topsheet
BR0206737A (pt) * 2001-01-30 2004-02-03 Procter & Gamble Composições de revestimento para modificar superfìcies
DE10118352A1 (de) * 2001-04-12 2002-10-17 Creavis Tech & Innovation Gmbh Selbstreinigende Oberflächen durch hydrophobe Struktur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6713011B2 (en) * 2001-05-16 2004-03-30 The Research Foundation A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pparatus and methods for electrospinning polymeric fibers and membranes
US6685956B2 (en) * 2001-05-16 2004-02-03 The Research Foundation A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Biodegradable and/or bioabsorbable fibrous articles and methods for using the articles for medical applications
DE10133393B4 (de) * 2001-07-13 2007-08-30 TransMIT Gesellschaft für Technologietransfer mbH Röhrchen mit Innendurchmessern im Nanometerbereich
DE10137153A1 (de) 2001-07-30 2003-02-27 Sandler Helmut Helsa Werk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produkts
US6520425B1 (en) * 2001-08-21 2003-02-18 The University Of Akro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nanofibers
US7309498B2 (en) * 2001-10-10 2007-12-18 Belenkaya Bronislava G Biodegradable absorbents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20030100944A1 (en) * 2001-11-28 2003-05-29 Olga Laksin Vascular graft having a chemicaly bonded electrospun fibrous lay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837956B2 (en) * 2001-11-30 2005-01-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for aperturing and coaperturing webs and web assemblies
ES2374287T3 (es) 2002-04-04 2012-02-15 The University Of Akron, Akron Ohio Ensamblajes de fibras no tejidas.
DE60211902T2 (de) * 2002-09-30 2007-0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Hydrophile Vliese enthaltende absorbierende Artikel
US20040092185A1 (en) * 2002-11-13 2004-05-13 Grafe Timothy H. Wipe material with nanofiber layer
KR100491228B1 (ko) * 2003-02-24 2005-05-24 김학용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US7018188B2 (en) * 2003-04-08 2006-03-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forming fibers
US20040266300A1 (en) * 2003-06-30 2004-12-30 Isele Olaf Erik Alexander Articles containing nanofibers produced from a low energy process
US20050026526A1 (en) * 2003-07-30 2005-02-03 Verdegan Barry M. High performance filter media with internal nanofibe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ology
EP1504739B1 (en) * 2003-08-07 2013-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tex bonded acquisition layer for absorbent articles
US20050048274A1 (en) * 2003-08-26 2005-03-03 Rabolt John F. Production of nanowebs by an electrostatic spinning apparatus and method
US7470464B2 (en) * 2003-09-05 2008-12-30 Cellresin Technologies, Llc Fiber material having improved malodor scavenger properties
US8415262B2 (en) 2003-10-22 2013-04-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rous fibrous sheets of nanofibers
US20050164584A1 (en) * 2003-12-31 2005-07-28 Baratian Stephen A. Retractable nonwoven layers having minimal application of coalesced elastomers
JP4402695B2 (ja) 2004-01-30 2010-01-20 キム,ハグ−ヨン 上向式エレクトロスピ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ナノ繊維
US7134857B2 (en) * 2004-04-08 2006-11-14 Research Triangle Institute Electrospinning of fibers using a rotatable spray head
CA2561081C (en) 2004-04-19 2009-10-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ntaining nanofibers for use as barriers
US7326043B2 (en) * 2004-06-29 2008-02-05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levated temperature electrospinning
US7390760B1 (en) 2004-11-02 2008-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nanofiber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20060094320A1 (en) 2004-11-02 2006-05-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radient nanofiber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7311A2 (en) 2000-06-13 2001-12-20 Hydrogenics Corporation Water recovery on the anode side of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O2002020668A2 (en) 2000-09-05 2002-03-14 Donaldson Company, Inc. Polymer compositions, polymer microfibers, polymer nanofibers and applications including filter structure
WO2003062510A1 (en) 2002-01-22 2003-07-31 The University Of Akro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nanofibers
US20040116028A1 (en) 2002-09-17 2004-06-17 Bryner Michael Allen Extremely high liquid barrier fabric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678B1 (ko) 2012-08-16 2014-01-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섬유시트 형태의 의료용 지지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93142B1 (ko) * 2018-07-09 2019-06-26 주식회사 허그몬 방수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위생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2102A (ko) 2021-11-17 2023-05-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노섬유 매트, 나노섬유 매트 제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72145B (es) 2009-11-26
WO2006049664A1 (en) 2006-05-11
US7390760B1 (en) 2008-06-24
MX2007005264A (es) 2007-07-09
US20080160856A1 (en) 2008-07-03
EP1834019B1 (en) 2010-12-08
DE602005025252D1 (de) 2011-01-20
KR20070073851A (ko) 2007-07-10
EP1834019A1 (en)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363B1 (ko) 복합 나노섬유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73850A (ko) 구배 나노섬유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US7291300B2 (en) Coated nanofiber webs
US7267789B2 (en) Particulates in nanofiber webs
CN110582601B (zh) 具有不同孔组的纤维素纤维非织造织物
KR102240780B1 (ko) 섬유 직경 분포를 갖는 부직포 셀룰로오스 섬유 직물
MXPA06000046A (es) Articulos que contienen nanofibras producidos mediante un proceso de baja energia.
MXPA06012055A (es) Fibras, telas no tejidas y articulos que contienen nanofibras producidas a partir de polimeros que tienen una distribucion amplia del peso molecular.
KR102240699B1 (ko) 균질하게 병합된 섬유를 갖는 부직포 셀룰로오스 섬유 직물
TW201900963A (zh) 包含具有非圓形截面之纖維的非織纖維素纖維織物
JP2004510895A (ja) 細いデニールの繊維のスパンボンド法およびその製品
KR102533129B1 (ko) 투습방수 나노섬유 멤브레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