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787B1 - 복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787B1
KR101196787B1 KR1020107003598A KR20107003598A KR101196787B1 KR 101196787 B1 KR101196787 B1 KR 101196787B1 KR 1020107003598 A KR1020107003598 A KR 1020107003598A KR 20107003598 A KR20107003598 A KR 20107003598A KR 101196787 B1 KR101196787 B1 KR 10119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olded article
composite molded
concave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562A (ko
Inventor
야스타카 오카노
야스노리 나가시마
히사시 테바카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1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811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1/003Thermoplastic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12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containing fluo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12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containing fluorine
    • B29K2027/18PTFE, i.e. polytetrafluorethene, e.g. ePTFE, i.e. expanded polytetrafluor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9/00Use of polyacetals, e.g. POM, i.e. polyoxymethylene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3/00Use of EP, i.e. epoxy resin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6PBT, i.e. polybut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1/00Use of polyethers, e.g. PEEK, i.e. polyether-etherketone or PEK, i.e. polyetherketone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9/00Use of polymers hav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061/00 - B29K2077/00, as moulding material
    • B29K2079/08PI, i.e. polyimides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9/00Use of polymers hav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061/00 - B29K2077/00, as moulding material
    • B29K2079/08PI, i.e. polyimides or derivatives thereof
    • B29K2079/085Thermoplastic polyimides, e.g. polyesterimides, PEI, i.e. polyetherimides, or polyamideimides;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1/00Use of polymers hav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29K2081/04Polysulfides, e.g. PPS, i.e. polyphenylene sulfide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1/00Use of polymers hav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29K2081/06PSU, i.e. polysulfones; PES, i.e. polyethersulfones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0Thermosetting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2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7/00Use of elements other than metals as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303/00 - B29K2307/00, as reinforcement
    • B29K2309/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1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15/003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31Telephones, Ear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46Acrylic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3Met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32B2307/7145Rot proof, resistant to bacteria, mildew, mould, fung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9Sheets or webs edge spliced or joined
    • Y10T428/192Sheets or webs coplan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9Sheets or webs edge spliced or joined
    • Y10T428/192Sheets or webs coplanar
    • Y10T428/195Beveled, stepped, or skived in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상면측과 하면측에 위치하는 표층 기재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코어층 기재가 일체화된 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상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는 서로 마주 향하는 측단면에 있어서 요철형상을 가지고 접합된 요철형상 접합면을 갖는 복합 성형품이며, 상기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요철을 따라 형성되는 실제의 접합선의 길이가 상기 표층 기재가 그리는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볼록부의 꼭대기를 연결하는 직선 선분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 통과선의 길이 1mm당 1.05mm 이상인 복합 성형품.

Description

복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COMPOSITE SHAPED ARTICL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은 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상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가 서로 마주 향하는 측단면에 있어서 접합 일체화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은 경량, 고강도, 고강성이며, 또한 박형인 것이 요구되는 휴대 PC, 휴대전화 등의 모바일형 전기?전자기기 부품의 형성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은 이들 기기의 케이스체의 형성 재료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PC, 전화 등의 전기?전자기기의 모바일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들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은 소형 경량, 또는 박형이며, 또한 고강도, 고강성 등의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이들 기기의 케이스체에 대해서는 외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 케이스체의 적어도 일부가 휘어서 내부 부품과 접촉되어 내부 부품이 파손되거나, 케이스체 자체가 파괴되는 일이 없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6-044259호 공보(특허문헌1)에 케이스체를 형성하는 성형품이 제안되어 있다. 이 성형품은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연속된 강화 섬유와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층 부재(판상 부재)가 케이스체의 천판으로서 이용되며, 상기 천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접착제)에 의해 케이스체의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수지 부재)로 형성된 측프레임의 상면에 접착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일체화 성형품이다. 이 일체화 성형품에서는 천판과 측프레임 사이의 충분한 접착이 얻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천판과 측프레임의 접합부는 측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하므로, 즉, 천판과 측프레임이 상하로 서로 겹쳐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합부에 있어서의 천판의 두께가 케이스체의 박형화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2007-038519호 공보(특허문헌2)에 케이스체를 형성하는 복합 성형품이 제안되어 있다. 이 복합 성형품은 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상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가 서로 마주 향하는 측단면에 있어서 접합 일체화되어 이루어진다. 이 판상 부재는 상층, 하층 및 상기 상층과 하층 사이에 위치하는 코어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를 갖는다. 즉, 이 복합 성형품은 코어층이 상층과 하층에 끼워진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다. 코어층은 연질 부재(예를 들면, 발포재)로 이루어지고, 상층 및 하층은 경질 부재(예를 들면,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 복합 성형품은 상기 판상 부재의 측단면에 대하여 상기 수지 부재를 형성하는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사출 성형에 의해 사출된 수지의 일부가 상기 코어층의 측단면으로부터 코어층 내에 볼록형상으로 침입한다. 코어층에 볼록형상으로 침입한 수지에 의해 상기 판상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의 접합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는 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가 상하로 서로 겹치는 접합부가 없고, 양자의 접합부는 양자의 측단면에 위치하므로 케이스체의 박형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사출 성형시의 수지의 유동성이 낮을 경우나, 사출 압력을 높게 할 수 없는 경우 등에는 수지 부재의 코어층으로의 볼록형상의 침입이 충분하지 않아 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의 충분한 접합 강도가 얻어지기 어렵다. 또한, 이 공지의 케이스체에 있어서는 판상 부재의 측단면과 수지 부재의 측단면의 접합선이 직선이기 때문에, 접합부에 응력집중이 발생되기 쉽고, 그 때문에 충분한 접합 강도가 얻어지기 어렵다.
이상과 같이, 케이스체의 박형화와 케이스체를 형성하는 부재간의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양립시킬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6-04425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038519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경량, 고강도, 고강성이며, 또한 박형화를 꾀할 수 있는 복합 성형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의 접합 강도가 우수한 복합 성형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이러한 복합 성형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은 다음과 같다.
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상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가 서로 마주 향하는 측단면에 있어서 접합된 접합면을 갖고, 상기 판상 부재는 상면측과 하면측에 위치하는 표층 기재와 상기 양 표층 기재 사이에 위치하는 코어층 기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표층 기재는 섬유 강화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층 기재는 상기 각 표층 기재를 형성하는 상기 섬유 강화 수지보다 연질의 연질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의 적어도 일부의 접합면은 상기 각 표층 기재의 측단면과 상기 수지 부재의 측단면이 요철형상을 갖고 접합된 요철형상 접합면이며, 상기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요철을 따라 형성되는 실제의 접합선의 길이가 상기 각 표층 기재가 그리는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볼록부의 꼭대기를 연결하는 직선 선분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 통과선의 길이 1mm당 1.05mm 이상이며, 또한 상기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양 표층 기재 사이에 감입되어 있는 수지 부재 감입 선단부를 갖는 복합 성형품.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 부재의 측단면은 상기 수지 부재 감입 선단부를 제외하고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의 두께와 상기 수지 부재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의 두께가 0.7~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 상기 각 표층 기재가 그리는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수가 상기 볼록부 통과선의 길이 100mm당 1~10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 상기 각 표층 기재가 그리는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오목부(Pn)의 상기 볼록부 통과선으로부터 오목부 곡저(谷底)까지의 거리를 오목부 깊이(Ln)로 하고, 상기 오목부(Pn)의 형상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통과선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개구변의 양단간의 거리를 오목부 개구폭(Fn)으로 하면, 상기 오목부 깊이(Ln)가 상기 오목부 개구폭(Fn)의 0.1~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Pn)가 오목부 형상의 윤곽선의 일부에 라운드를 갖는 선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Pn)가 상기 오목부 개구폭(Fn)보다 폭이 넓은 부분을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Pn)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각형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각 표층 기재를 형성하는 상기 섬유 강화 수지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가 탄소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각 표층 기재를 형성하는 상기 섬유 강화 수지에 있어서의 매트릭스 수지가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 기재를 형성하는 상기 연질재료가 발포재, 허니콤(honeycomb)재, 섬유 시트, 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가 섬유 강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를 형성하는 섬유 강화 수지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가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섬유 강화 수지로 형성된 상면측과 하면측에 위치하는 표층 기재와, 상기 양 표층 기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섬유 강화 수지보다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코어층 기재로 이루어지는 판상체의 한쪽 끝면에 있어서 상기 끝면으로부터 안쪽을 향하는 복수열의 홈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끝면에 요철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
(b) 준비된 판상 부재를 사출성형기의 금형에 수용하는 공정, 및
(c) 상기 판상 부재가 상기 금형에 수용된 상기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판상 부재의 요철형상을 갖는 상기 끝면에 대하여 수지를 사출하고, 상기 수지를 상기 판상 부재의 요철형상을 갖는 상기 끝면에 접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지가 상기 양 표층 기재 사이에 감입되도록 사출 성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성형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와 이것에 접합되는 수지의 적어도 상기 요철형상을 갖는 접합부에 있어서, 성형후의 상기 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수지가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은 그것을 형성하고 있는 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가 이들 접합면의 적어도 일부의 접합면에 있어서 요철형상을 갖고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박형화, 경량화, 고강성화, 고강도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복합 성형품은 휴대 PC,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화된 전기?전자기기의 케이스체의 형성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의 일형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판상부 기재의 일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복합 성형품의 일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복합 성형품의 다른 일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의 요철형상 접합면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의 요철형상 접합면의 다른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의 요철형상 접합면의 또 다른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의 요철형상 접합면의 또 다른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의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의 오목부 형상의 7개의 예가 나란히 나타내어지는 평면도이다.
이하에, 종래의 복합 성형품의 형태와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각각 다른 형태의 종래의 복합 성형품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들의 형태는 아주 비슷하므로 차이가 없는 요소에 대해서는 도 4와 도 5에 있어서 같은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복합 성형품(40,50)은 판상 부재(101)와 수지 부재(102)로 이루어진다. 판상 부재(101)와 수지 부재(102)는 서로 마주 향하는 판상 부재(101)의 측단면(101SF)과 수지 부재(102)의 측단면(102SF)에서 서로 접합되어 접합면(103JF)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합면(103JF)은 복합 성형품(40,50)의 표면에 있어서 접합선(103JL)으로서 나타내어진다. 접합선(103JL)은 직선이다. 이 직선의 방향은 통상 복합 성형품(40,50)의 일측변(104SE1)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기인해서 접합선(103JL) 상에 있어서의 길이를 표현할 경우, 평행 방향 길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판상 부재(101)는 상면측과 하면측에 위치하는 표층 기재(105a,105b)와, 이들 표층 기재(105a,105b) 사이에 위치하는 코어층 기재(106)로 이루어진다. 각 표층 기재(105a,105b)는 섬유 강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섬유 강화 수지는 일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된 연속 강화 섬유와 매트릭스 수지로 이루어진다. 코어층 기재(106)는 각 표층 기재(105a,105b)를 형성하는 섬유 강화 수지보다 연질의 연질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질재료로서 발포재가 사용되고 있다. 코어층 기재(106)가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해서 수지 부재(102)를 형성하는 수지를 판상 부재(101)에 대하여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수지 부재(102)를 형성하는 수지를, 코어층 기재(106)를 눌러 축소시켜 양 표층 기재(105a,105b) 사이에 감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복합 성형품(40)에 있어서는, 접합면(103JF)에 있어서 수지 부재(102)의 측단면(102SF)은 양 표층 기재(105a,105b) 사이에 감입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접합면(103JF)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101)와 수지 부재(102)의 접합 강도를 보강할 목적으로 판상 부재(101)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접합 돌기(107)가 접합면(103JF)의 부위에 있어서 수지 부재(102)의 측단면(102SF)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합 성형품(40)에 있어서는 수지 부재(102)의 두께(102T)가 판상 부재(101)의 두께(101T)보다 두꺼워진다. 그 결과, 복합 성형품(40)은 그 경량화에 있어서 불리하다고 할 수 있다.
도 5의 복합 성형품(50)에 있어서는 접합면(103JF)에 있어서 수지 부재(102)의 측단면(102SF)은 양 표층 기재(105a,105b) 사이에 감입되어 있다. 이 수지 부재(102)의 감입에 의해 감입 방향으로 코어층 기재(106)가 후퇴한 부위에 수지 부재(102)의 선단부(108)가 위치하고 있다. 즉, 수지 부재(102)의 선단부(108)가 양 표층 기재(105a,105b)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결과, 접합면(103JF)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101)와 수지 부재(102)의 어느 정도의 접합 강도가 확보된다. 그러나, 복합 성형품(50)에 있어서 접합선(103JL)은 직선을 이루어고 있기 때문에, 수지 부재(101)의 판상 부재(102)로의 감입은 코어층 기재(106)에 대한 것에 그쳐 판상 부재(101)와 수지 부재(102)의 접합 강도의 더 나은 향상은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은 도 5에 나타내는 종래의 복합 성형품(50)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의 일형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의 일형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성형품에 사용되고 있는 판상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10)은 판상 부재(11)와 수지 부재(12)로 이루어진다. 판상 부재(11)와 수지 부재(12)는 서로 마주 향하는 판상 부재(11)의 측단면(11SF)과 수지 부재(12)의 측단면(12SF)에 있어서 서로 요철형상을 갖고 접합되어 요철형상 접합면인 접합면(13JF)을 형성하고 있다. 접합면(13JF)은 복합 성형품(10)의 표면에 있어서 접합선(13JL)으로서 나타내어진다. 접합면(13JF)이 요철형상이기 때문에 접합선(13JL)은 요철형상을 갖는 곡선이다.
판상 부재(11)는 상면측에 위치하는 표층 기재(15a)와 하면측에 위치하는 표층 기재(15b)와, 이들 표층 기재(15a,15b) 사이에 위치하는 코어층 기재(16)로 이루어진다. 각 표층 기재(15a,15b)는 섬유 강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층 기재(16)는 각 표층 기재(15a,15b)를 형성하는 섬유 강화 수지보다 연질의 연질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층 기재(16)가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해서 수지 부재(12)를 형성하는 수지를 판상 부재(11)에 대하여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수지 부재(12)를 형성하는 수지를, 코어층 기재(16)를 밀어 축소시켜 양 표층 기재(15a,15b) 사이에 감입시킨다. 즉, 판상 부재(11)의 양 표층 기재(15a,15b) 사이에 수지 부재(12)의 선단부(18)를 위치시킨다.
복합 성형품(10)은 판상 부재(11)와 수지 부재(12) 사이에 상기 접합면(13JF)에 추가해서 접합면(13JF2,13JF3 및 13JF4)을 갖는다. 단, 접합면(13JF4)은 도 1이 단면도이기 때문에, 도 1에는 나타내어지지 않는다. 각 접합면은 복합 성형품(10)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접합선(13JL)에 추가해서 접합선(13JL2,13JL3 및 13JL4)으로서 나타내어진다. 단, 접합선(13JL4)은 도 1이 단면도이기 때문에, 도 1에는 나타내어지지 않는다. 복합 성형품(10)은 도 1에 있어서, 좌측 끝가장자리(10E), 우측 끝가장자리(10E2), 상측 끝가장자리(10E3) 및 하측 끝가장자리(10E4)를 갖는다. 단, 하측 끝가장자리(10E4)는 도 1이 단면도이기 때문에, 도 1에는 나타내어지지 않는다.
좌측 끝가장자리(10E)의 방향과 우측 끝가장자리(10E2)의 방향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상측 끝가장자리(10E3)의 방향과 하측 끝가장자리(10E4)의 방향은 서로 평행하다. 접합선(13JL2)의 방향은 우측 끝가장자리(10E2)의 방향과 평행하며, 접합선(13JL3)의 방향은 상측 끝가장자리(10E3)의 방향과 평행하며, 접합선(13JL4)의 방향은 하측 끝가장자리(10E4)의 방향과 평행하다. 요철형상을 갖는 접합선(13JL)은 요철을 그리면서 진전되고, 그 진전 방향은 좌측 끝가장자리(10E)의 방향과 평행하다. 이것에 기인해서 각각의 접합선 상에 있어서의 길이를 표현할 경우, 평행 방향 길이라는 용어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복합 성형품(10)에 있어서, 요철형상을 갖는 접합면(요철형상 접합면)(13JF)의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요철을 따라 형성되는 실제의 접합선의 길이(JL), 즉, 접합선(13JL)의 길이가 각 표층 기재(15a,15b)가 그리는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볼록부의 꼭대기를 연결하는 직선 선분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 통과선(13PL)의 길이 1mm당 1.05mm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 값은 요철의 정도를 나타낸다.
볼록부 통과선(13PL)은 통상 직선이다. 또한, 볼록부 통과선(13PL)이 직선인 경우, 볼록부 통과선(13PL)의 방향은 통상 좌측 끝가장자리(10E)의 방향과 동일하다. 즉, 볼록부 통과선(13PL)은 좌측 끝가장자리(10E)와 평행한 직선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복합 성형품(40),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복합 성형품(50)에 있어서의 접합선(103JL)은 요철형상의 곡선이 아니고 직선이기 때문에, 실제의 접합선의 길이와 접합선(103JL)의 길이는 일치하고 있다.
복합 성형품(10)은 그 접합면(13JF)이 이러한 요철형상을 가지므로, 접합면이 평탄한 면인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복합 성형품(40 또는 50)의 경우에 비해 접합면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현격히 향상된다. 복합 성형품(10)에 있어서, 다른 접합면(13JF2,13JF3,13JF4)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 접합면(13JF)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합면의 형상을 요철형상으로 해도 좋다.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코어층 기재(16)의 측단면의 위치가 각 표층 기재(15a,15b)의 측단면의 위치보다 약간 내측이 되도록 코어층 기재(16)의 크기를 조정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코어층 기재(16)의 연질의 정도, 사출 압력의 정도, 또는 수지 부재(12)를 형성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수지 부재(12)의 선단부(18)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복합 성형품(10)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11)를 제작하기 위한 원기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원기재(11A)는 연질재료인 발포재로 이루어지는 코어층 기재(16A), 코어층 기재(16A)의 상면에 배치되는 일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된 연속 강화 섬유 시트(11Aa), 코어층 기재(16A)의 하면에 배치되는 일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된 연속 강화 섬유 시트(11Ab), 또한, 연속 강화 섬유 시트(11Aa)의 상면에 배치되는 일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된 연속 강화 섬유 시트(11Ba), 연속 강화 섬유 시트(11Ab)의 하면에 배치되는 일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된 연속 강화 섬유 시트(11Bb)로 이루어진다.
연속 강화 섬유 시트(11Aa)에 있어서의 연속 강화 섬유(31Aa)의 배열 방향과 연속 강화 섬유 시트(11Ba)에 있어서의 연속 강화 섬유(31Ba)의 배열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들 연속 강화 섬유 시트에 의해 상면측의 표층 기재(15aA)가 형성된다. 또한, 연속 강화 섬유 시트(11Ab)에 있어서의 연속 강화 섬유(31Ab)의 배열 방향과 연속 강화 섬유 시트(11Bb)에 있어서의 연속 강화 섬유(31Bb)의 배열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들 연속 강화 섬유 시트에 의해 하면측의 표층 기재(15bA)가 형성된다.
양 표층 기재(15aA,15bA)와 코어층 기재(16A)를 접착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접착성의 부직포나 필름을 양 표층 기재(15aA,15bA)와 코어층 기재(16A) 사이에 끼워 프레스 성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외, 예를 들면, 양 표층 기재(15aA,15bA)와 코어층 기재(16A)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이 있다.
판상 부재의 원기재(11A)를 사용해서 판상 부재(11)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프레스 성형법, 핸드레이업 성형법, 스프레이업 성형법, 진공백 성형법, 가압 성형법, 오토클레이브 성형법, 트랜스퍼 성형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프레스 성형법, 스탬핑 성형법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스성, 역학특성의 관점에서 진공백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트랜스퍼 성형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판상 부재(11)에 수지 부재(12)를 접합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판상 부재(11)를 사출성형기의 금형에 셋팅하고, 몰드 클램핑(mold clamping)을 행한 후, 수지 부재(12)를 형성하는 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외, 예를 들면, 판상 부재(11)와 수지 부재(12)를 미리 따로따로 제작해 두고, 이들을 접착제로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
복합 성형품(10)에 있어서, 접합선(13JL)의 길이는 각 표층 기재(15a,15b)가 그리는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볼록부의 꼭대기를 연결하는 직선 선분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 통과선(13PL)의 길이 1mm당 1.05mm 이상으로 되어 있다. 접합면(13JF)에 있어서 볼록부 통과선(13PL)의 길이 1mm당 접합선(13JL)의 길이가 1.05mm 이상이면 접합선(13JL)의 길이가 1.05mm 미만인 경우에 비해 접합면(13JF)에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에 하중이 분산되므로 현격히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볼록부 통과선(13PL)의 길이 1mm당 접합선(13JL)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10mm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mm 이상이다. 또한, 접합선(13JL)의 길이는 긴 쪽이 접합 강도는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필요 이상으로 길게 해도 접합 강도의 향상이 한계점에 도달되어짐과 아울러 판상 부재 또는 각 표층 기재의 가공이 곤란하게 된다. 이들 점을 고려하면, 볼록부 통과선(13PL)의 길이 1mm당 접합선(13JL)의 길이는 5mm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mm 이하이다.
판상 부재 또는 각 표층 기재의 측단면(11SF)이 갖는 요철형상의 제작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엔드밀, 프라이스 커터 등을 이용해서 NC 가공함으로써 복잡한 요철형상이어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합면(13JF)에 있어서 각 표층 기재(15a,15b)가 그리는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PAn)의 수는 볼록부 통과선(13PL)의 길이 100mm당 1~10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Pn)의 볼록부 통과선(13PL)으로부터 오목부 곡저까지의 거리를 오목부 깊이(Ln)로 하면 오목부 깊이(Ln)가 0.5~10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볼록부(PAn)의 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볼록부 통과선(13PL)의 길이 100mm당 3~80이다. 이 경우, 오목부 깊이(Ln)가 1~8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볼록부(PAn)의 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볼록부 통과선(13PL)의 길이100mm당 5~60이다. 이 경우, 오목부 깊이(Ln)가 2~6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볼록부(PAn)의 수가 볼록부 통과선(13PL)의 길이 100mm당 1미만이며, 또한 오목부 깊이(Ln)가 0.5mm 미만이면 접합 길이가 짧고, 접합면(13JF)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 하중이 분산되지 않으므로 접합 강도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볼록부(PAn)의 수가 볼록부 통과선(13PL)의 길이 100mm당 100을 초과하고, 또한, 오목부 깊이(Ln)가 100mm를 초과하면, 판상 부재(11) 또는 표층 기재(15a,15b)의 가공이 곤란하게 되거나, 가공 시간, 가공 비용이 증대된다.
도 6~도 9는 표층 기재의 측단면에 형성된 각각 다른 요철형상을 갖는 요철형상 접합면의 예의 평면도이다. 도 6~도 9에 있어서, 기호 JL은 수지 부재가 접합될 때의 접합선을 나타낸다. 기호 PAn과 기호 PAn+1은 인접하는 볼록부를 나타낸다. 기호 Pn은 인접하는 볼록부(PAn,PAn+1) 사이의 오목부를 나타낸다. 기호 PL은 인접하는 볼록부(PAn,PAn+1)의 꼭대기를 연결하는 직선 선분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 통과선을 나타낸다. 기호 Ln은, 오목부(Pn)의 볼록부 통과선(PL)으로부터 오목부 곡저 까지의 거리, 즉, 오목부 깊이를 나타낸다. 기호 Fn은 오목부(Pn)의 형상에 있어서 볼록부 통과선(PL)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개구변의 양단간의 거리, 즉, 오목부 개구폭을 나타낸다.
오목부 깊이(Ln)는 오목부 개구폭(Fn)의 0.1~1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0.5~8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오목부 깊이(Ln)가 오목부 개구폭(Fn)의 0.1배 미만이면, 특히, 접합면에 대하여 접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의 하중이 가해진 경우, 하중이 분산되기 어려우므로 접합 강도가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다. 또한, 오목부 깊이(Ln)와 오목부 개구폭(Fn)의 상기 배율관계는 볼록부의 전체수 N(n=1,2,3,…N)에 대해서 적어도 90% 이상이 상기 배율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오목부(Pn)가 오목부 형상의 윤곽선의 일부에 라운드를 갖는 선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Pn)가 라운드를 갖는 선분을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실제의 접합선(JL)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샤프한 부분이 존재할 경우에 발생되기 쉬운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다.
오목부(Pn)가 오목부 개구폭(Fn)보다 폭이 넓은 부분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9의 오목부(Pn)의 경우, 오목부(Pn)의 우측 접합선(JL)과 좌측 접합선(JL)은 오목부(Pn)의 곡저 방향을 향함에 따라 각각의 간격이 벌어져 있다. 즉, 도 9의 오목부(Pn)는 오목부 개구폭(Fn)보다 폭이 넓은 부분을 갖고 있다. 오목부(Pn)가 오목부 개구폭(Fn)보다 폭이 넓은 부분을 가짐으로써 접합면(JF)에 대해서 그 수직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앵커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오목부 개구폭(Fn)보다 폭이 넓은 부분을 갖고 있는 오목부(Pn)의 다른 7개의 예의 평면도가 도 10의 (a)~(g)에 나타내어진다. 도 10(a)의 오목부(Pn)의 형상은 액적형이다. 도 10(b)의 오목부(Pn)의 형상은 음부(音符)형이다. 도 10(c)의 오목부(Pn)의 형상은 진자형이다. 도 10(d)의 오목부(Pn)의 형상은 개미홈형 또는 T자형이다. 도 10(e)의 오목부(Pn)의 형상은 열쇠형 또는 L자형이다. 도 10(f)의 오목부(Pn)의 형상은 꼬리형 또는 J자형이다. 도 10(g)의 오목부(Pn)의 형상은 마름모형 또는 연형으로 대표되는 다각형이다.
판상 부재(11)의 표층 기재(15a,15b)는 섬유 강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것에 이용되는 수지, 즉, 매트릭스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등의 스티렌계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액정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페닐렌에테르(PPE), 변성 PPE, 열가소성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술폰(PSU), 변성 PSU,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케톤(PK), 폴리에테르케톤(PE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케톤케톤(PEKK),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니트릴(PEN), 열가소성 페놀계 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불소계 수지, 또한 폴리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부타디엔계, 폴리이소프렌계, 불소계 등의 열가소 엘라스토머 등이나, 이들의 공중합체, 변성체, 및 2종류 이상의 블렌드, 폴리머 얼로이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 에폭시, 페놀(레조르형), 유리아?멜라민, 폴리이미드 등이나, 이들 공중합체, 변성체 및 이들의 적어도 2종의 폴리머 얼로이를 들 수 있다.
매트릭스 수지는 강성, 강도가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가 성형품의 역학특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에는 보다 나은 내충격성 향상을 위해서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그 밖의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 성분이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강화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섬유, 황동 섬유, 스텐레스 섬유 등의 금속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레이온계, 리그닌계, 피치계 등의 탄소 섬유나 흑연 섬유, 유리 섬유, 실리콘 카바이트 섬유,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섬유 등의 무기 섬유나, 아라미드 섬유, 폴리파라페닐렌벤조비스옥사졸(PBO) 섬유, 폴리페닐렌술피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등의 유기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강화 섬유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또한 2종 이상 병용해도 좋다.
강화 섬유는 비강도, 비강성, 경량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탄소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고, 비강도, 비탄성율이 우수한 점에서 적어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표층 기재(15a,15b)의 강화 섬유는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강화 섬유 시트이어도 좋다. 강화 섬유는 연속 강화 섬유인 것이 보다 고강도, 고강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연속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강화 섬유 시트에 있어서의 연속 강화 섬유의 길이는 10mm 이상이면 좋다. 그러나, 반드시 강화 섬유 시트의 전체에 걸쳐 연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도중에 분단되어 있어도 좋다. 연속 강화 섬유의 형태로서는 크로스, 일방향 배열 시트, 블레이드를 예시할 수 있다. 프로세스면의 관점에서 크로스, 일방향 배열 시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형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의 형태를 병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멀티필라멘트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시트가 보다 효율 좋게 강도, 강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표층 기재로서 강화 섬유를 포함한 시트를 사용할 경우, 강화 섬유의 비율은 성형성, 역학특성의 관점에서 20~90체적%가 바람직하고, 30~80체적%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체적%의 측정은 매트릭스가 수지인 경우는 JIS K7075-1991(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섬유 함유율 및 공동률 시험 방법)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측정한다.
수지 부재(12)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사출 성형 등을 사용한 접합 형상 제작의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지 부재의 형성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판상 부재의 형성에 사용되는 상술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내열성, 내약품성의 관점에서는 폴리페닐렌술피드(PPS)가, 성형품 외관,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페닐렌에테르(PPE), 스티렌계 수지가, 성형품의 강도, 내충격성의 관점에서는 폴리아미드(PA)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복합 성형품의 고강도, 고강성화를 꾀하기 위해서 수지 부재(12)의 수지로서 강화 섬유가 함유된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강화 섬유로서는 상술의 강화 섬유가 예시된다. 수지 부재(12)가 전파 투과성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강화 섬유로서 비도전성의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판상 부재(11)에 있어서의 코어층 기재(16)를 형성하는 연질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발포재, 허니콤재 등의 유공재, 섬유 시트, 수지 시트가 있다. 발포재 및/또는 허니콤재를 사용하면 보다 경량의 판상 부재(11)가 얻어진다.
연질재료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연질재료가 열가소성 수지일 경우에는 판상 부재의 형성에 사용되는 상술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경량화의 관점에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각 표층 기재(15a,15b) 및 수지 부재(12)의 접착성의 관점에서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변성 폴리올레핀,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폴리머 얼로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코어층 기재(16)에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연질재료는 유리 섬유나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각 표층 기재(15a,15b)와 코어층 기재(16)의 접착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표층 기재와 코어층 기재 사이에 접착성 부직포, 필름 등을 배치시켜서 접착시켜도 좋고, 또는 한쪽 또는 양쪽의 기재에 접착제를 도포해서 접착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의 용도로서는, 예를 들면, PC, 디스플레이, OA 기기, 휴대전화, 휴대 정보 단말, 팩시밀리,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포터블 MD 플레이어, 휴대용 라디오 카세트, PDA(전자수첩 등의 휴대 정보 단말),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광학기기, 오디오, 에어컨, 조명기기, 오락용품, 완구용품, 기타 가전제품 등의 전기?전자기기의 케이스체의 구성 재료가 있다. 또한, 트레이, 섀시, 또는 케이스의 구성 재료가 있다. 또한, 여러가지 기구부품의 구성 재료가 있다. 또한, 자동차나 항공기의 전장부재나 내장부품의 구성 재료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은 그 우수한 경량성, 고강도, 고강성, 박형성을 살려서 전기?전자기기용 케이스체의 구성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박형이며 광폭의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하는 노트형 PC나 휴대 정보 단말 등의 케이스체의 구성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은 그 용도에 따라서는 난연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상 부재(11) 및 수지 부재(12)의 UL-94 규격에 의거한 수직 연소 시험에 있어서의 난연성이 0.1~3.0mm 중 어느 하나의 두께의 시험편이며, V-1 또는 V-0인 것이 바람직하다. 0.1~1.0mm 중 어느 하나의 두께의 시험편이며, V-1 또는 V-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판상 부재(11) 및 수지 부재(1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가 난연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겐 화합물, 안티몬 화합물, 인 화합물, 질소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 불소 화합물, 페놀 화합물, 또는 금속수산화물이 있다. 그 중에서도 환경부하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인계의 난연제가 바람직하다. 인계의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에스테르, 축합 인산 에스테르, 포스파페난트렌계 화합물 등의 인 함유 화합물이나 적린이 있다. 그 중에서도 적린은 난연제를 부여하는 작용을 하는 인원자 함유율이 크기 때문에, 충분한 난연효과를 얻기 위해서 첨가해야할 난연제의 첨가량이 소량이면 된다.
또한, 판상 부재(11) 및 수지 부재(12)에 사용되는 수지에는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충전재나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충전재나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충전재, 도전성 부여제, 결정핵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제진제, 항균제, 방충제, 방취제, 착색 방지제, 열안정제, 이형제, 대전 방지제, 친수성 부여제, 가소제, 활제, 착색제, 안료, 염료, 발포제, 제포제, 커플링제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성 평가 방법:
(1)인장 크랙 발생 하중
하기 시험 장치, 시험편, 시험 조건으로 시험을 행했다.
?시험 장치명:정밀 만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제:오토그래프)
?시험편:판상 부재(11)와 수지 부재(12)의 접합부로부터 폭 40mm×길이 50mm의 시험편을 잘라냈다.
?척간 거리:30mm
?크로스 헤드 스피드:1.6mm/min.
(2)접합부 휘어짐
수지 부재(12)에 있어서의 기립벽(19)(도 1 참조)으로부터 판상 부재(11)와의 접합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L형의 스텐레스제의 자를 세워서 대고, 상기 스텐레스제 자와 접합부의 표면 사이에 간극 게이지를 삽입해서 간극의 유무 및 그 크기, 즉, 접합부의 휘어짐을 측정해서 각 샘플의 가장 휘어짐이 큰 개소의 수치를 접합부 휘어짐으로 했다.
(3)볼록부 통과선 1mm당 실제의 접합선의 길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복합 성형품(10)의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의 요철의 반복단위의 길이를 자에 의한 측정 및 계산에 의해 구했다. 요철형상의 윤곽선의 일부에 라운드를 갖는 선분이 존재할 경우에는 그 라운드의 반경 또는 직경을 측정하고, 그 값으로부터 원주를 구하는 공식에 의해 실제의 접합선의 길이를 계산했다. 각 요철의 반복단위에 있어서의 접합선의 길이의 합계를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 통과선의 길이, 즉, 평행 방향 길이로 나누고, 볼록부 통과선의 길이, 즉, 평행 방향 길이 1mm당 실제의 접합선의 길이로 했다.
(4)볼록부 통과선의 길이 100mm당 볼록부의 수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복합 성형품(10)의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의 요철의 반복단위의 길이를 자에 의한 측정 및 계산에 의해 구했다. 요철형상의 윤곽선의 일부에 라운드를 갖는 선분이 존재할 경우에는 그 라운드의 반경 또는 직경을 측정하고, 그 값으로부터 원주를 구하는 공식에 의해 실제의 접합선의 길이를 계산했다. 요철의 반복단위 마다 볼록부가 1개 존재하므로 그 반복단위당 볼록부 통과선의 길이를 자로 측정하고, 100mm를 반복단위당 볼록부 통과선의 길이로 나누어서 볼록부 통과선의 길이 100mm당 볼록부의 수로 했다.
(5)오목부 깊이(Ln)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복합 성형품(10)의 오목부의 깊이를 자로 측정했다.
(6)오목부 개구폭(Fn)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복합 성형품(10)의 오목부의 개구폭을 자로 측정했다.
(7)Ln/Fn의 값
상기 (5)와 (6)의 측정값으로부터 계산에 의해 구했다.
실시예 1
판상 부재(11)의 표층 기재용으로서 탄소 섬유 일방향 프리프레그 시트(UD PP) P3052S-12(도레이(주)제, 탄소 섬유 T700S(강도 4900MPa, 탄성률 230GPa, 탄소 섬유 중량 함유율 67중량%, 베이스 레진:에폭시 수지)를 섬유배열 방향이 직교하도록 2층 적층한 적층체를 2장 제작하고, 그 중 1장의 적층체는 상면측의 표층 기재(15a)로 하고, 다른 1장의 적층체는 하면측의 표층 기재(15b)로 했다. 코어층 기재(16)로서 발포재(후루가와 덴키고교(주)제 에프셀(동사의 등록상표)의 제품번호 RC2010)(2배 발포 폴리프로필렌)를 준비했다.
준비한 코어층 기재(16)의 상하면에 접착성 폴리올레핀 부직포(니혼 바이린(주)제, 융점 150℃, 단위중량 15g/㎡)를 배치하고, 또한 그 상하면에 제작한 표층 기재(15a,15b)를 배치하고, 그 후, 이들을 프레스 성형(금형온도 160℃, 압력 6MPa, 예열시간 5분, 경화시간 30분)해서 판상체를 얻었다. 얻어진 판상체를 300mm×230mm의 사이즈로 가공후, NC 가공에 의해 표 1의 실시예 1 및 도 6에 나타내는 요철형상 접합면을 얻어진 판상체의 일측단부에 형성해서 판상 부재(11)를 제작했다.
판상 부재(11)를 사출 성형 금형 내에 셋팅하고, 몰드 클램핑을 행한 후, 수지 부재(12)를 형성하는 수지인 공중합 폴리아미드 섬유 강화 수지 CM3511-G60(도레이(주)제, 유리 섬유 함유량 60중량%)을 사출 성형하고, 도 1에 나타낸 기립벽(19)을 갖는 수지 부재(12)의 기립벽(19)과는 반대측의 일측단이 판상 부재(11)의 요철형상에 침입하고, 요철형상 접합면(13JF)을 갖고, 판상 부재(11)에 접합된 복합 성형품(10)을 제조했다. 복합 성형품(10)에 있어서 기립벽(19)으로부터 요철형상 접합면(13JF)까지의 수지 부재(12)의 두께는 1.5mm로 하고, 수지 부재(12)의 좌측 끝가장자리(10E)를 따르는 폭은 30mm로 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판상체에 NC 가공에 의해 표 1의 실시예 2 및 도 7에 나타내는 요철형상 접합면을 형성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성형품을 제작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판상체에 NC 가공에 의해 표 1의 실시예 3 및 도 7에 나타내는 요철형상 접합면을 형성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성형품을 제작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판상체에 NC 가공에 의해 표 2의 실시예 4 및 도 8에 나타내는 요철형상 접합면을 형성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성형품을 제작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판상체에 NC 가공에 의해 표 2의 실시예 5 및 도 9에 나타내는 요철형상 접합면을 형성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성형품을 제작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판상체에 NC 가공에 의해 표 3의 비교예 1에 나타내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접합면을 형성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복합 성형품(50)을 제작했다.
비교예 2
판상 부재(101)(도 4 참조)의 표층 기재용으로서 탄소 섬유 일방향 프리프레그 시트(UD PP) P3052S-12(도레이(주)제, 탄소 섬유 T700S(강도 4900MPa, 탄성률 230GPa, 탄소 섬유 중량 함유율 67중량%, 베이스 레진:에폭시 수지)를 섬유 배열 방향이 직교하도록 2층 적층한 적층체를 2장 제작하고, 그 중 1장의 적층체는 상면측의 표층 기재(105a)로 하고, 다른 1장의 적층체는 하면측의 표층 기재(105b)로 했다. 코어층 기재(106)로서 발포재(후루가와 덴키고교(주)제 에프셀(동사의 등록상표)의 제품번호 RC2010)(2배 발포 폴리프로필렌)를 준비했다.
준비한 코어층 기재(106)의 상하면에 접착성 폴리올레핀 부직포(니혼 바이린(주)제, 융점 150℃, 단위중량 15g/㎡)를 배치하고, 또한, 그 상하면에 제작한 표층 기재(105a,105b)를 배치해서 판상 부재(101)가 되는 판상 기재를 준비했다.
또한, 별도로 수지 부재(102)가 되는 수지 성형체를 준비했다. 이 수지 성형체는 판상 부재(101)의 단부가 적재되기 위한 오버랩부(접합 돌기(107))(폭 3mm, 두께 1mm)를 갖는다.
오버랩부의 상면에 접착성 공중합 나일론 부직포(니혼 바이린(주)제, 융점 150℃, 단위중량 40g/㎡)를 배치하고, 판상 기재와 수지 성형체를 프레스 성형(금형온도 160℃, 압력 6MPa, 예열시간 5분, 경화시간 30분)해서 복합 성형체를 제조했다. 복합 성형체를 300mm×230mm의 사이즈로 가공후, NC 가공에 의해 표 3의 비교예 2에 나타내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접합면을 형성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복합 성형품(40)을 제작했다.
실시예 1~5의 복합 성형품에 대해서 인장 크랙 발생 하중을 측정한 결과, 충분한 접합 강도가 얻어지고 있이 확인되었다. 이들 복합 성형품은 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가 상하로 서로 겹치는 상태에서의 접합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박형화가 꾀해지고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는 충분한 인장 크랙 발생 하중이 얻어지지 않아 접합부 휘어짐도 컸다. 비교예 2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는 인장 크랙 발생 하중은 충분했지만, 오버랩부의 존재에 의해 박형화를 달성할 수 없었다.
표 1~3중의 각 항목의 설명:
항목1:섬유의 종류,
항목2:베이스 레진
항목3:발포재의 재질
항목4:섬유의 종류
항목5:베이스 레진
항목6:오목부(Pn)의 형상
항목7:오목부(Pn)의 오목부 형상의 윤곽선에 있어서의 라운드를 갖는 선분의 유무
항목8:볼록부 통과선(PL)의 길이 1mm당 실제의 접합선의 길이(단위:mm)
항목9:볼록부 통과선(PL)의 길이 100mm당 볼록부의 수
항목10:오목부 깊이(Ln)(단위:mm)
항목11:오목부 개구폭(Fn)(단위:mm)
항목12:Ln/Fn의 값
항목13: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오버랩부의 유무
항목14:인장 크랙 발생 하중(단위:N)
항목15:접합부 휘어짐의 값(단위:mm)
Figure 112010010758882-pct00001
Figure 112010010758882-pct00002
Figure 112010010758882-pct00003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은 노트형 PC나 휴대 단말 등의 전기?전자기기 케이스체의 구성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경량성, 고강도, 고강성, 박형성을 살려 자동차부품의 구성 부재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복합 성형품 10E: 좌측 끝가장자리
10E2: 우측 끝가장자리 10E3: 상측 끝가장자리
11: 판상 부재 11SF: 판상 부재의 측단면
11A: 판상 부재의 원기재
11Aa, 11Ab, 11Ba, 11Bb: 연속 강화 섬유 시트
12: 수지 부재 12SF: 수지 부재의 측단면
13JF, 13JF2, 13JF3: 접합 끝면 13JL, 13JL2, 13JL3: 접합선
13PL: 볼록부 통과선 15a, 15b: 표층 기재
15aA: 상면측 표층 기재 15bA: 하면측 표층 기재
16: 코어층 기재 16A: 코어층 기재
18: 수지 부재의 선단부 19: 수지 부재의 기립벽
31Aa, 31Ab, 31Ba, 31Bb:연속 강화 섬유 40: 종래의 복합 성형품
50: 종래의 복합 성형품 101: 판상 부재
101SF: 판상 부재의 측단면 101T: 판상 부재의 두께
102: 수지 부재 102SF: 수지 부재의 측단면
102T: 수지 부재의 두께 103JF: 접합면
103JL: 접합선 104SE1: 복합 성형품의 일측변
105a, 105b: 표층 기재 106: 코어층 기재
107: 접합 돌기 108: 수지 부재의 선단부
Fn: 오목부 개구폭 JL: 접합선
Ln: 오목부 깊이 PAn: 표층 기재의 볼록부
PL: 볼록부 통과선 Pn: 표층 기재의 오목부

Claims (16)

  1. 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상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가 서로 마주 향하는 측단면에 있어서 접합된 접합면을 갖고, 상기 판상 부재는 상면측과 하면측에 위치하는 표층 기재와 상기 양 표층 기재 사이에 위치하는 코어층 기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표층 기재는 섬유 강화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층 기재는 상기 각 표층 기재를 형성하는 상기 섬유 강화 수지보다 연질의 연질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의 적어도 일부의 접합면은 상기 각 표층 기재의 측단면과 상기 수지 부재의 측단면이 요철형상을 갖고 접합된 요철형상 접합면이며, 상기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요철을 따라 형성되는 실제의 접합선의 길이는 상기 각 표층 기재가 그리는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볼록부의 꼭대기를 연결하는 직선 선분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 통과선의 길이 1mm당 1.05mm 이상이며, 또한 상기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양 표층 기재 사이에 감입되어 있는 수지 부재 감입 선단부를 갖고, 상기 접합면에 있어서, 상기 양 표층 기재의 상기 요철형상의 측단면과 상기 수지 부재의 요철형상의 측단면이 서로 일체화되어 상기 판형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복합 성형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 부재의 측단면은 상기 수지 부재 감입 선단부를 제외하고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의 두께와 상기 수지 부재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의 두께는 0.7~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 상기 각 표층 기재가 그리는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수는 상기 볼록부 통과선의 길이 100mm당 1~1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형상 접합면에 있어서 상기 각 표층 기재가 그리는 요철형상에 있어서의 오목부(Pn)의 상기 볼록부 통과선으로부터 오목부 곡저까지의 거리를 오목부 깊이(Ln)로 하고, 상기 오목부(Pn)의 형상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통과선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개구변의 양단간의 거리를 오목부 개구폭(Fn)으로 하면, 상기 오목부 깊이(Ln)는 상기 오목부 개구폭(Fn)의 0.1~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Pn)는 오목부 형상의 윤곽선의 일부에 라운드를 갖는 선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Pn)는 상기 오목부 개구폭(Fn)보다 폭이 넓은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Pn)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층 기재를 형성하는 상기 섬유 강화 수지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는 탄소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층 기재를 형성하는 상기 섬유 강화 수지에 있어서의 매트릭스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 기재를 형성하는 상기 연질재료는 발포재, 허니콤재, 섬유 시트, 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섬유 강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를 형성하는 섬유 강화 수지에 있어서의 강화 섬유는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
  15. 제 1 항에 기재된 복합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섬유 강화 수지로 형성된 상면측과 하면측에 위치하는 표층 기재와, 상기 양 표층 기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섬유 강화 수지보다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코어층 기재로 이루어지는 판상체의 한쪽 끝면에 있어서 상기 끝면으로부터 안쪽을 향하는 복수열의 홈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끝면에 요철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
    (b) 준비된 판상 부재를 사출성형기의 금형에 수용하는 공정, 및
    (c) 상기 판상 부재가 상기 금형에 수용된 상기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판상 부재의 요철형상을 갖는 상기 끝면에 대하여 수지를 사출하고, 상기 수지를 상기 판상 부재의 요철형상을 갖는 상기 끝면에 접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지는 상기 양 표층 기재 사이에 감입되도록 사출 성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와 이것에 접합되는 수지의 적어도 상기 요철형상을 갖는 접합부에 있어서 성형후의 상기 판상 부재와 수지 부재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수지가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1020107003598A 2007-09-11 2008-09-04 복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96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35036 2007-09-11
JP2007235036 2007-09-11
PCT/JP2008/065939 WO2009034906A1 (ja) 2007-09-11 2008-09-04 複合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562A KR20100053562A (ko) 2010-05-20
KR101196787B1 true KR101196787B1 (ko) 2012-11-05

Family

ID=4045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598A KR101196787B1 (ko) 2007-09-11 2008-09-04 복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73238B2 (ko)
EP (1) EP2199064B1 (ko)
JP (1) JP4858544B2 (ko)
KR (1) KR101196787B1 (ko)
CN (1) CN101835596B (ko)
ES (1) ES2397240T3 (ko)
TW (1) TWI378027B (ko)
WO (1) WO2009034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4398B2 (ja) * 2008-05-14 2014-09-03 三菱電機株式会社 筐体用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この筐体用パネルを備えた電子機器
JP5458529B2 (ja) * 2008-08-22 2014-04-02 東レ株式会社 接合方法および一体化成形品
JP5648270B2 (ja) * 2009-04-24 2015-01-0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材料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KR101261206B1 (ko) * 2010-01-13 2013-05-10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사출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1166124A (ja) * 2010-01-14 2011-08-25 Toray Ind Inc 電気・電子機器筐体
TWI383883B (zh) * 2010-11-04 2013-02-01 Advanced Int Multitech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Workpiece with Embedded Magnetic Element
EP2686158A1 (en) * 2012-03-23 2014-01-22 Cutting Dynamics, Inc. Moulded fibre reinforced composite blank with guide hole
US9393745B2 (en) * 2012-05-15 2016-07-19 Hexcel Corporation Over-molding of load-bearing composite structures
US10265928B2 (en) 2012-07-18 2019-04-2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structure, composite material molded body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9801294B2 (en) * 2012-11-29 2017-10-24 Sunteng New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device casing including coupl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FR2998826B1 (fr) * 2012-12-03 2015-05-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Insert pourvu d'un dissipateur de contraintes dentele pour liaison bi-matiere
JP5972854B2 (ja) * 2013-12-17 2016-08-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部材の接合方法及び接合体、並びに風車翼の製造方法
TWI562895B (en) * 2014-06-11 2016-12-21 Compal Electronics Inc Composite plat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504788B (zh) * 2014-09-30 2016-09-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不同种类树脂的注塑成型品及其制备方法和由该方法制备的注塑成型品及其应用
US10500814B2 (en) * 2014-12-08 2019-12-10 Dell Products L.P.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s for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enclosures
CN105372823B (zh) * 2015-12-08 2017-10-2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
JP2017136740A (ja) * 2016-02-03 2017-08-1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積層板、筐体用部材、電子機器及び筐体用部材の製造方法
CN108602299B (zh) * 2016-04-05 2020-06-26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电子设备外壳的多层结构
WO2017191668A1 (ja) * 2016-05-02 2017-1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繊維強化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668674B2 (en) * 2016-05-18 2020-06-02 Dell Products L.P. Apparatus and method for a high performance carbon fiber laminate enclosure part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KR101806707B1 (ko) * 2016-06-09 201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니 볼스터 장치
BE1024734B1 (nl) * 2016-11-10 2018-06-19 Ivc Bvba Vloer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vloerpaneel
CN106696312A (zh) * 2017-01-25 2017-05-24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复合板材埋入成型工艺、复合板材及成型铣刀
JP6823519B2 (ja) * 2017-03-24 2021-02-03 日鉄ケミカル&マテリアル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材料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859822B2 (ja) 2017-04-14 2021-04-1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270992A (zh) * 2017-07-17 2019-01-25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板状构件、包含板状构件的壳体及其制作方法
JP6491720B1 (ja) * 2017-09-26 2019-03-2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筐体用部材の製造方法、積層板、筐体用部材及び電子機器
CN109076713A (zh) * 2018-07-20 2018-12-21 五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板状构件、复合成型构件及复合成型构件的制造方法
EP3650191A1 (en) 2018-11-06 2020-05-13 Covestro Deutschland AG Molded composite article,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EP3846993B1 (en) 2018-09-06 2022-11-09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molded composite article
CN109551833A (zh) * 2018-11-23 2019-04-02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的结构及加工方法
CN109677028A (zh) * 2018-12-29 2019-04-26 上海超惠通风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轻质高强先进复合材料结构
JP7226127B2 (ja) * 2019-06-20 2023-02-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内装材の製造方法
CN112824099A (zh) * 2019-11-20 2021-05-21 虞霞 复合板、具有该复合板的壳体以及该复合板的制造方法
CN111267452B (zh) * 2020-01-21 2021-02-09 江苏奇一科技有限公司 连续蜂窝芯材、蜂窝芯三明治复合板及其制备方法和设备
CN113799316A (zh) * 2020-06-17 2021-12-17 五行科技股份有限公司 复合板材的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1847A1 (en) * 2003-02-24 2006-11-09 Hethcock James D Interlocking tooth bond for assembly of fiber composite laminates
JP2007038519A (ja) * 2005-08-03 2007-02-15 Toray Ind Inc 複合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5017Y1 (ko) * 1970-04-14 1973-04-25
DE2111257B2 (de) * 1971-03-09 1974-02-07 Fleuchaus, Leo, Dipl.-Ing., 8000 Muenchen Nut-Feder-Verbindung zwischen dem Deck und der Bootskörperschale eines Kunststoff-Bootskörpers
JPS62159619A (ja) * 1986-01-09 1987-07-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炊飯器
JPS62159619U (ko) * 1986-03-31 1987-10-09
JPH0694166B2 (ja) * 1991-04-03 1994-11-24 ニッタ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帯の端部相互を融着する為の金型
US5616396A (en) * 1991-11-25 1997-04-01 Kasai Kogyo Co., Ltd. Automotive door trim with attachment joined during molding
JPH05329880A (ja) * 1992-06-03 1993-12-14 Fujitsu Ltd 複合筐体の製造方法
DE19842725A1 (de) * 1998-09-18 2000-03-23 Micafil Ag Zuerich Formschlüssige Einbettung
JP2004001424A (ja) 2002-04-04 2004-01-08 Canon Inc 射出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用金型及び樹脂成形品及びインサート樹脂部品
JP2006044259A (ja) 2004-07-07 2006-02-16 Toray Ind Inc 一体化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353303B (en) * 2004-09-07 2011-12-01 Toray Industries Sandwich structure and integrated molding using th
JP5051648B2 (ja) 2008-01-11 2012-10-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の筐体構造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1847A1 (en) * 2003-02-24 2006-11-09 Hethcock James D Interlocking tooth bond for assembly of fiber composite laminates
JP2007038519A (ja) * 2005-08-03 2007-02-15 Toray Ind Inc 複合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58544B2 (ja) 2012-01-18
US8173238B2 (en) 2012-05-08
KR20100053562A (ko) 2010-05-20
CN101835596A (zh) 2010-09-15
JPWO2009034906A1 (ja) 2010-12-24
US20110008566A1 (en) 2011-01-13
WO2009034906A1 (ja) 2009-03-19
CN101835596B (zh) 2012-08-29
TWI378027B (en) 2012-12-01
EP2199064B1 (en) 2012-11-28
ES2397240T3 (es) 2013-03-05
EP2199064A1 (en) 2010-06-23
TW200924956A (en) 2009-06-16
EP2199064A4 (en)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787B1 (ko) 복합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US11110685B2 (en) Integrally molded bod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4774839B2 (ja) 繊維強化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6617557B2 (ja) 積層体および一体化成形品
JP5344032B2 (ja) 射出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10162638A1 (en) Integrated molded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6044262A (ja) 中空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75447A (ja) 複合積層板および複合積層板を用いた一体成形品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5178241A (ja) 繊維強化樹脂材の製造方法
JP2011166124A (ja) 電気・電子機器筐体
JP2004209717A (ja) 繊維強化成形品
JP2006044260A (ja) 一体化構造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20478A (ja) 繊維強化サンドイッチ構造複合体、複合成形体
JP2021142671A (ja) 一体化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30862A (ja) 複合成形品および複合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0131804A (ja) 複合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14525A (ja) 複合成形品
JP2009173027A (ja) 複合成形品の製造方法
CN110877477A (zh) 复合成型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50001481U (ko) 섬유 강화 시트
JP2010046938A (ja) 複合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846993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molded composite article
EP3650191A1 (en) Molded composite article,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EP382511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s having laminate plates and sidewal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469061B1 (ko) 딤플을 포함하는 물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