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488B1 -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488B1
KR101196488B1 KR20100014803A KR20100014803A KR101196488B1 KR 101196488 B1 KR101196488 B1 KR 101196488B1 KR 20100014803 A KR20100014803 A KR 20100014803A KR 20100014803 A KR20100014803 A KR 20100014803A KR 101196488 B1 KR101196488 B1 KR 101196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crosslinked foam
air layer
aluminum layer
crosslin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1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018A (ko
Inventor
박영복
Original Assignee
(주)제일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제일하이테크
Priority to KR2010001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4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48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열반사 단열재는 표면에 상측 알루미늄층이 덮이고 웨이브 형태로 만곡된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와,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에서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이 덮인 표면의 다른 면의 꼭지점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 웨이브 연결체를 가지는 상측 가교 발포 부재; 및 표면에 하측 알루미늄층이 덮이고 웨이브 형태로 만곡된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에서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이 덮인 표면의 다른 면의 꼭지점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측 웨이브 연결체를 가지는 하측 가교 발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에서 각각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과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이 덮인 표면의 각 꼭지점들이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가 서로 접착되어 제조되고, 상기 상측 웨이브 연결체와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 사이 및 상기 하측 웨이브 연결체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 사이에도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과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기층과 별도로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의 각 표면에 알루미늄층이 덮인 상태여서, 알루미늄층이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서로 맞닿아 형성된 공기층을 직접적이면서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가교 발포 부재에 형성되므로, 공기층이 고반사성 및 저방사성의 알루미늄층에 의해 직접적이면서 전체적으로 단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층의 단열 성능이 향상되어 보온력이 향상될 수 있고, 열반사 단열재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Heat reflecting insul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열반사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반사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된 건축물의 외벽면에 부착 시공되어, 건축물의 외부에서 실내로의 냉기 또는 열기 유입을 차단하고, 건축물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열기 또는 냉기 유출을 차단하여 실내의 냉기 또는 온기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열반사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단열성을 가지는 부직포, 가교 발포 시트,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밀폐된 구조의 다수 개의 에어셀을 가지는 에어셀 형성 시트를 순차적으로 접착시키고, 상기와 같이 접착된 부직포, 가교 발포 시트 및 에어셀 형성 시트의 접착체의 양측 외면에 알루미늄 시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반사 단열재에 의하면, 알루미늄 시트가 알루미늄의 고유 특성 중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 등을 차단하는 성질인 고반사성과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열 등을 차단하는 저방사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알루미늄 시트와 에어셀 내부의 공기층이 별도로 분리된 구조를 이룸에 따라, 에어셀 내부의 공기층이 고반사성 및 저방사성의 알루미늄 시트에 의해 제대로 단열되지 못하여, 공기층의 단열 성능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열반사 단열재의 단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는 표면에 상측 알루미늄층이 덮이고 웨이브 형태로 만곡된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와,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에서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이 덮인 표면의 다른 면의 꼭지점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 웨이브 연결체를 가지는 상측 가교 발포 부재; 및 표면에 하측 알루미늄층이 덮이고 웨이브 형태로 만곡된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에서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이 덮인 표면의 다른 면의 꼭지점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측 웨이브 연결체를 가지는 하측 가교 발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에서 각각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과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이 덮인 표면의 각 꼭지점들이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가 서로 접착되어 제조되고,
상기 상측 웨이브 연결체와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 사이 및 상기 하측 웨이브 연결체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 사이에도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과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기층과 별도로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의 각 표면에 알루미늄층이 덮인 상태여서, 알루미늄층이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서로 맞닿아 형성된 공기층을 직접적이면서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가교 발포 부재에 형성되므로, 공기층이 고반사성 및 저방사성의 알루미늄층에 의해 직접적이면서 전체적으로 단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층의 단열 성능이 향상되어 보온력이 향상될 수 있고, 열반사 단열재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측 가교 발포 부재와 하측 가교 발포 부재가 서로 접착될 때,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상측 가교 발포 부재와 하측 가교 발포 부재의 접착체인 가교 발포 부재 내부에 그 외부에 대해 밀폐된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교 발포 부재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한 에어셀 형성 시트 등의 별도 부재가 요구되지 아니하고, 간단한 구조를 이루면서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열반사 단열재의 제조가 용이해지고, 그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를 구성하는 상측 단열 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를 구성하는 상측 단열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를 구성하는 상측 단열 부재 및 하측 단열 부재가 대면되도록 배치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측 단열 부재 및 하측 단열 부재가 서로 접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로 접합된 상측 단열 부재 및 하측 단열 부재의 각 외측에 부직포, 접착 테이프층 등의 마감 부재들이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에 대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의 제조 방법을 보이는 도면들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를 구성하는 상측 단열 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를 구성하는 상측 단열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를 구성하는 상측 단열 부재 및 하측 단열 부재가 대면되도록 배치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측 단열 부재 및 하측 단열 부재가 서로 접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로 접합된 상측 단열 부재 및 하측 단열 부재의 각 외측에 부직포, 접착 테이프층 등의 마감 부재들이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100)는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 사이의 내부에는 외부와 밀폐된 공기층(101)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층(101)을 형성하는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의 접합체는 가교 발포 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는 상측 가교 발포체(115)와, 상측 알루미늄층(111)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는 하측 가교 발포체(125)와, 하측 알루미늄층(121)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가교 발포체(115)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체(125)로는 통상의 폴리에틸렌 가교 발포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가교 발포체(115)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체(125)에는 그 각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의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각각 복수 개 형성되는데,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가 서로 접합되기 위해 대면될 때,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은 상기 상측 가교 발포체(115)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체(125)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가 서로 접합될 때,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에 의해,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 사이의 내부에 외부와 밀폐된 상기 공기층(101)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층(101)은 대체적인 구형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층(101)끼리 서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여, 각 내부에 공기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그에 따라 상기 공기층(101)은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에 의해 상기 공기층(101)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는 서로 열융착 등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111)과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121)은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각각 형성된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의 각 표면이 알루미늄 재질로 덮인 것이다.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111)과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121)은 별도의 부착 시트 형태로 제작되어 각각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의 각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증착 등에 의해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의 각 표면에 층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111)과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121)은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의 각 표면을 각각 덮는 부분(112, 122)과,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을 제외한 상기 상측 가교 발포체(115)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체(125)의 각 표면을 각각 덮는 부분(113, 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 효율 증진을 위하여,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의 각 표면을 각각 덮는 부분(112, 122)과,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을 제외한 상기 상측 가교 발포체(115)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체(125)의 각 표면을 각각 덮는 부분(113, 123) 모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의 각 표면을 각각 덮는 부분(112, 122)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가 서로 접착될 때,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의 접착체인 상기 가교 발포 부재 내부에 그 외부에 대해 밀폐된 상기 공기층(10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교 발포 부재 내부에 상기 공기층(101)을 형성하기 위한 에어셀 형성 시트 등의 별도 부재가 요구되지 아니하고, 간단한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공기층(101)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열반사 단열재(100)의 제조가 용이해지고, 그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의 각 표면에 상기 알루미늄층(111, 121)이 덮인 상태여서, 상기 알루미늄층(111, 121)이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서로 맞닿아 형성된 상기 공기층(101)을 직접적이면서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가교 발포 부재에 형성되므로, 상기 공기층(101)이 고반사성 및 저방사성의 상기 알루미늄층(111, 121)에 의해 직접적이면서 전체적으로 단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공기층(101)의 단열 성능이 향상되어 보온력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열반사 단열재(1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의 외면에는 별도의 알루미늄층(130), 부직포(131), 별도의 알루미늄층(13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알루미늄층(130, 1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열반사 단열재(100)의 단열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부직포(13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열반사 단열재(100)를 건축물 외벽 등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못 등의 결합 수단이 상기 열반사 단열재(100)를 관통할 때에, 상기 열반사 단열재(100)가 찢어지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의 외면에는 별도의 알루미늄층(140), 접착 테이프층(14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알루미늄층(14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열반사 단열재(100)의 단열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접착 테이프층(141)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접착 테이프층(141)에 의해 상기 열반사 단열재(100)가 건축물의 외벽 등에 가고정될 수 있어서, 상기 열반사 단열재(100)의 시공이 편리해질 수 있고, 상기 접착 테이프층(141)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열반사 단열재(100)가 건축물의 외벽 등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별도의 알루미늄층(130, 132, 140), 상기 부직포(131), 상기 접착 테이프층(141) 등의 적용은 필수가 아닌 선택적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가교 발포체(115)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체(125)의 각 표면에 함몰된 형태의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을 각각 형성시킨다.
그런 다음, 적어도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의 표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 가교 발포체(115)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체(125)의 각 표면 전체에 상기 알루미늄층(111, 121)을 형성한다. 상기 알루미늄층(111, 121)은 별도의 시트 형태로 부착되거나, 증착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측 가교 발포체(115)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체(125)의 각 표면에 상기 알루미늄층(111, 121)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 후,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알루미늄층(111, 121)이 각각 덮인 상기 상측 가교 발포체(115)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체(125)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서로 대면시킨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융착 등에 의해 서로 접착시켜, 상기 공기층(101)을 형성시킨다.
그런 다음, 선택적으로 상기 공기층(101)이 형성된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1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120)의 접착체의 각 외면에, 상기 별도의 알루미늄층(130, 131, 140), 상기 부직포(131), 상기 접착 테이프층(141) 등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열반사 단열재(100)의 제조 방법이 함몰된 형태의 공기층 형성 홈을 한 쌍의 가교 발포체의 표면에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한 쌍의 상기 가교 발포체 각각의 상기 공기층 형성 홈을 서로 대면시키고, 한 쌍의 상기 가교 발포체를 서로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가교 발포 부재 내부에 상기 공기층(101)을 형성하기 위한 에어셀 형성 시트 등의 별도 부재가 요구되지 아니하고, 간단한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공기층(101)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열반사 단열재(100)의 제조가 용이해지고, 그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200)에서는 가교 발포 부재가 상측 가교 발포 부재(210)와, 하측 가교 발포 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번의 웨이브 형태로 만곡되고 그 표면에 상측 알루미늄층(211)이 덮인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212)와,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212)에서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211)이 덮인 표면의 다른 면의 웨이브 꼭지점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 웨이브 연결체(213)로 구성된다.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번의 웨이브 형태로 만곡되고 그 표면에 하측 알루미늄층(221)이 덮인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222)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222)에서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221)이 덮인 표면의 다른 면의 웨이브 꼭지점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측 웨이브 연결체(223)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 웨이브 연결체(213)와 상기 하측 웨이브 연결체(223)도 가교 발포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212)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222)에서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211)과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221)이 각각 덮인 표면의 각 웨이브 꼭지점들이 열융착 등의 접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그 사이에 외부에 대해 밀폐된 공기층(20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측 웨이브 연결체(213)와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212) 사이 및 상기 하측 웨이브 연결체(223)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222) 사이에도 공기층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열반사 단열재(200)가 간단한 구조를 이루면서 용이하게 제조되면서도, 그 내부에 복수 개의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열반사 단열재(2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2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211)과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221)이 각각 그 표면에 덮이고 웨이브 형태로 만곡된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212)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222)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웨이브 가교 발포체(212, 222)가 먼저 웨이브 형태로 만곡된 후 시트 부착, 증착 등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층(211, 221)이 그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웨이브 가교 발포체(212, 222)가 웨이브지기 전에 상기 알루미늄층(211, 221)이 그 표면에 먼저 형성된 후 상기 웨이브 가교 발포체(212, 222)가 웨이브 형태로 만곡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212)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222)에서 각각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211)과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221)이 덮인 표면의 다른 면의 웨이브 꼭지점들을 상기 상측 웨이브 연결체(213)와 상기 하측 웨이브 연결체(223)로 각각 서로 연결하여,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2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220)를 형성한다.
그 후, 상기 공기층(201)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2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220) 각각에서 상기 알루미늄층(211, 221)이 각각 덮인 표면의 웨이브 꼭지점들을 서로 대면시키고,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210)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220)를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상기 열반사 단열재(200)가 제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300)에서는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가져서, 상기 열반사 단열재(30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층(301)이 원형 단면을 이룰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기층(301)은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의 각 표면을 덮는 상측 알루미늄층(311)과 하측 알루미늄층(321)에 의해 전체적으로 감싸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400)에서는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의 각 단면의 각 측면이 오목하게 함몰된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즉,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은 상측 가교 발포체(415)와 하측 가교 발포체(425)의 각 표면에서 반원 단면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이웃하는 돌출부 사이에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이 형성된 모습을 이룰 수 있다.
물론, 상기 열반사 단열재(400)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401)은 상기 상측 공기층 형성 홈과 상기 하측 공기층 형성 홈의 각 표면을 덮는 상측 알루미늄층(411)과 하측 알루미늄층(421)에 의해 전체적으로 감싸진다.
상기된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공기층 형성 홈이 형성되고, 그러한 공기층 형성 홈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공기층이 열반사 단열재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6)

  1. 표면에 상측 알루미늄층이 덮이고 웨이브 형태로 만곡된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와,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에서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이 덮인 표면의 다른 면의 꼭지점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 웨이브 연결체를 가지는 상측 가교 발포 부재; 및
    표면에 하측 알루미늄층이 덮이고 웨이브 형태로 만곡된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에서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이 덮인 표면의 다른 면의 꼭지점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측 웨이브 연결체를 가지는 하측 가교 발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에서 각각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과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이 덮인 표면의 각 꼭지점들이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측 가교 발포 부재와 상기 하측 가교 발포 부재가 서로 접착되어 제조되고,
    상기 상측 웨이브 연결체와 상기 상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 사이 및 상기 하측 웨이브 연결체와 상기 하측 웨이브 가교 발포체 사이에도 상기 상측 알루미늄층과 상기 하측 알루미늄층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기층과 별도로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사 단열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00014803A 2010-02-18 2010-02-18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19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4803A KR101196488B1 (ko) 2010-02-18 2010-02-18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4803A KR101196488B1 (ko) 2010-02-18 2010-02-18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018A KR20110095018A (ko) 2011-08-24
KR101196488B1 true KR101196488B1 (ko) 2012-11-01

Family

ID=4493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14803A KR101196488B1 (ko) 2010-02-18 2010-02-18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764A (ko) 2018-07-09 2020-01-17 주식회사 이큐브 단열재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5854B (zh) * 2013-09-05 2019-04-30 努倍昆(株) 由隔热单位体组成的隔热结构体及其制造方法
KR20160109382A (ko) 2015-03-11 2016-09-21 이원자 적층 열반사 방염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54543B1 (ko) * 2015-03-20 2016-09-06 주식회사 주안 단열 향상 기능을 갖는 수도 계량기용 단열재
KR101868211B1 (ko) * 2015-11-18 2018-06-15 김학섭 건축용 판넬
WO2019045351A1 (ko) * 2017-09-01 2019-03-07 주식회사 일신산업 단열재
KR102321756B1 (ko) * 2019-10-21 2021-11-04 박기남 중공단열패널 및 이에 개재되는 에어포켓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84Y1 (ko) * 2004-06-25 2004-10-06 박용길 건축용 보온 단열재
KR200436555Y1 (ko) 2007-05-31 2007-09-04 손영숙 공기층이 형성된 단열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84Y1 (ko) * 2004-06-25 2004-10-06 박용길 건축용 보온 단열재
KR200436555Y1 (ko) 2007-05-31 2007-09-04 손영숙 공기층이 형성된 단열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764A (ko) 2018-07-09 2020-01-17 주식회사 이큐브 단열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018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488B1 (ko)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RU2441119C2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WO2018110055A1 (ja) 断熱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3875248B2 (ja) 建物
JP2013512404A (ja) グルーブタイプ真空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470825B2 (ja) 断熱パネル
JP4738512B2 (ja) 蓄熱パネル体
JP2010047902A (ja) 断熱壁とそれを適用した建物および住宅
JP6941438B2 (ja) 外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742090B2 (ja) 真空断熱材
KR101363606B1 (ko)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JP2008095423A (ja) 断熱パネル
JP2006292063A (ja) 真空断熱材構成
JP6928367B2 (ja) 外付け用遮熱パネルおよび遮熱パネルセット
CN217105536U (zh) 一种气膜建筑保温隔热结构
KR101313983B1 (ko) 건축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9317044A (ja) 複合断熱材
JP2009041648A (ja) 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を適用した建築部材
JP3690420B1 (ja) 高効率放熱パネルと高効率放熱パネルの敷設方法
JP2014009501A (ja) 保護シート
JP2009138918A (ja) 断熱部材
JP2007016928A (ja) 真空断熱材
KR200364706Y1 (ko)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JP6016435B2 (ja) 真空断熱材および被断熱装置
JP4475046B2 (ja) 真空断熱材と真空断熱材を設けた防寒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