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706Y1 -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 Google Patents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706Y1
KR200364706Y1 KR20-2004-0015670U KR20040015670U KR200364706Y1 KR 200364706 Y1 KR200364706 Y1 KR 200364706Y1 KR 20040015670 U KR20040015670 U KR 20040015670U KR 200364706 Y1 KR200364706 Y1 KR 200364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insulation material
waterproof cover
interlayer sound
inter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영
Original Assignee
이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영 filed Critical 이근영
Priority to KR20-2004-0015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7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층간차음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차음재를 내부에 위치시키고 내부를 밀폐시킨 방수커버를 형성하여 기존에 층간차음재의 시공시 긁힘 및 파손 등으로 액체상태의 경량콘크리트액이 차음재에 흘러들어가 차음재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시공후 층간차음재 내부에 습기의 유입으로 제품의 물리적 성질이 떨어짐으로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천정이나 바닥면에 설치되어 층간소음을 흡수차는 층간차음재에 있어서, 일정 크기로 층간차음재를 재단하고, 상기 층간차음재를 하부에서 상부로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연질의 외피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의 외주연을 전열선을 이용하여 열융착시켜 접합부를 형성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방수커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수커버를 고온의 오븐 챔버를 통과시켜 외피가 수축하면서 층간차음재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하여 방수커버의 내부로 습기나 경량콘크리트액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Waterproof cover for material that intercept noise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층간차음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차음재를 내부에 위치시키고 내부를 밀폐시킨 방수커버를 형성하여 기존에 층간차음재의 시공시 긁힘 및 파손 등으로 액체상태의 경량콘크리트액이 차음재에 흘러들어가 차음재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시공후 층간차음재 내부에 습기의 유입으로 제품의 물리적 성질이 떨어짐으로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 건축물의 층간이나 벽면에 전달되는 소음은 충격이나 큰 소음으로 바닥이나 벽체가 진동하여 층간물체나 벽체를 타고 진동이 전해져 그 진동이 다시 소리로 재생되어 들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일부분에서 적은 부분의 소리음파가 새어나와 전달되는 소음도 이때 합쳐지게 되어 건축물에 전달되는 소음의 강도가 심해짐으로 주민의 생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초래하기 때문에 소음을 줄이거나 차단하기 위해서 층간 또는 벽면에 이어지는 접합부분에 각종 차음재를 삽입하는데, 이로써 상층 및 벽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공동 건축물의 층간 슬라브 상부에 층간차음재를 시공하고, 뜬바닥 구조로 시공시에 벽과 이격 및 차음을 위하여 별도의 벽간차음재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측벽에 부착하는데,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층간차음재는 여러 가지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층간차음재를 살펴보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발포제품의 경우 구조적으로 볼 때 크게 클로즈드 쎌(closed cell) 구조와 오픈쎌(open cell)구조로 나누어진다.클로즈드 쎌은 내부에 셀과 셀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구멍이 닫혀있는 구조이고, 오픈쎌은 내부에 공기구멍이 열려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오픈 쎌 구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오픈 쎌은 상/하부층이 PE(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고 중간층이 폴로 우레탄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픈 쎌 제품의 요구조건을 살펴보면, 층간차음재의 기본 성능인 층간차음재의 기온상승인 층간소음 흡수정도, 동탄성계수, 열전도율 및 열관류율 등의 기본조건이외에 제품자체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물성의 변화가 없을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오픈쎌 구조 제품으로 이루어진 층간차음재의 경우 시공시 접착면 부위의 부주의한 시공이나 긁힘 파손 등으로 액체상태인 경량콘크리트액이 공기구멍으로 흘러 들어가 소재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의 변화로 인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시공후에도 수분이나 습기가 제품으로 유입되어 동일현상이 발생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방수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하층에 타 방수성능을 갖는 방수층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보완하는데, 이때 형성되는 방수층은 추가적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측면 재단면의 보호를 위한 별도의 작업 및 추가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층간차음재는 이동시 외부의 충격이나 외부의 기온, 온도 및 수분 등의 접촉을 피해야되기 때문에 취급 및 사용에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결함도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층간차음재가 내부에 형성된 방수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방수커버의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층간차음재의 시공시 긁힘 및 파손 등으로 액체상태의 경량콘크리트액이 차음재에 흘러들어가 차음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방수성능을 향상시켜 수분 및 습기의 유입을 미연에 차단시킴으로써, 제품 자체가 갖는 물리적 성질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방수커버가 층간소음재를 전체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감싸고 있기 때문에 제품의 물성보호와, 충격흡수음의 공기층을 통한 전달이 차단되어 뛰어난 차음효과를 갖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시공이 별도의 작업공정 없이 방수커버를 바로 시공하여 시공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천정이나 바닥면에 설치되어 층간소음을 흡수차는 층간차음재에 있어서, 일정 크기로 층간차음재를 재단하고, 상기 층간차음재를 하부에서 상부로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연질의 외피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의 외주연을 전열선을 이용하여 열융착시켜 접합부를 형성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방수커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수커버를 고온의 오븐 챔버를 통과시켜 외피가 수축하면서 층간차음재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하여 방수커버의 내부로 습기나 경량콘크리트액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커버는 폴리에틴린, 폴리프로필렌, PVC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공정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2는 본 고안 방수커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방수커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층간차음재 10 : 방수커버
11 : 외피 12 : 접합부
13 : 오븐 챔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방수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써, 본 고안 방수커버(10)는 층간소음재(1)를 일정 크기의 규격을 재단하고, 재단된 층간소음재(1)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외피(11)가 구비되며, 상기 외피(11)의 외주연을 밀폐시켜 방수커버(10)를 구성한다.
층간차음재(1)는 보통 정사각형을 이루면서 1M의 길이를 갖으며, 두께는 보통 2cm로 재단 한 다음 층간소음재(1)보다 조금 크게 외피(11)를 재단하여 외피(11)의 내측에 층간소음재(1)를 올려놓고 외피(11)의 일측을 절첩시켜 외피(11)가 전체적으로 층간소음재(1)를 감싸도록 한다.
상기 외피(11)는 폴리에틴린, 폴리프로필렌, PVC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무엇보다도 외피(11)는 투명하면서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층간차음재(1)를 감싸고 있는 외피(11)의 외주연을 전열선을 이용하여 열융착시켜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는데, 이때 전열선의 온도는 70~90°정도가 적당하고 외피(11)의 사이드부분을 순간적으로 압착하여 접합부(12)를 갖는 방수커버(10)를 형성한다.(도 2 및 도 3참조)
상기 방수커버(10)의 접합부(12)는 외곽과 30mm 정도의 여분을 두고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방수커버(10)는 외부와 공기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층간차음재(1)에 습기나 경량콘크리트액이 유입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내부가 밀폐된 방수커버(10)는 내부에 잔류공기에 의해서 층간차음재(1)와 외피(11)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방수커버(10)를 오븐 챔버(13)를 통과시켜 외피(11)와 층간차음재(1)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방수커버(10)는 100~130°의 오븐 챔버(13)를 5~10초 정도 통과하면서 열에 의한 외피의 수축현상이 일어나 층간차음재(1)의 표면과 외피(11)가 타이트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방수커버(10)의 외피(11)는 열에 의한 수축이 큰 성질을 갖는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커버(10)의 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층간차음재(1)를 일정크기로 재단하는 층간차음재 재단단계와,
상기 층간차음재(1)를 연질의 외피(11)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포장할 수 있도록 재단되는 외피 재단단계와,
상기 외피(11) 내측에 층간차음재(1)를 올려놓고 전열선으로 70~90°의 온도로 순간 압착하여 내부를 밀폐시켜 접찹부(12)를 갖는 방수커버(10)를 형성하는 열융착 단계와,
상기 방수커버(10)를 100~130°의 온도를 유지하는 오븐 챔버(13)에 5~10초 정도 통과시켜 외피(11)가 수축형상이 일어나면서 층간차음재(1)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방수커버 수축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서 층간차음재(1)를 내부에 갖는 방수커버(10)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층간차음재(1)를 시공시 방수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하층에 타 방수성능을 갖는 방수층을 형성하는 번거로운 작업과 측면재단면의 보호를 위한 작업 공정을 본 고안 방수커버(10)를 사용함으로써 형장에서 바로 시공이 가능하여 기존의 번거로운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른 과도한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 방수커버는 외부의 기온, 온도 및 수분이나 습기의 침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층간차음재의 물리적 성질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 방수커버는 클로즈드 쎌구조나 오픈 쎌구조 또는 여러 가지 층간차음재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층간차음재의 공기층을 통한 전달이 차단되어 뛰어난 차음효과를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 방수커버는 미려한 외관을 갖는 동시에 외부의 공기층에 노출된 층간차음재의 긁힘 및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층간차음재의 이동 및 취급이 간편한 장점이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 방수커버는 방수커버가 열전달을 차단하여 열전도율, 열관류율의 성능을 개선한 고안이다.
본 고안 방수커버는 층간차음재를 시공시 1제곱미터 정도의 제품을 서로 잇대고 그 맞물린 면위에 접착테이프로 마감을 하는데, 이때 시공의 부주의로 테이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연결부위의 틈새가 발생하여 경량콘크리트액이 침투되어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켜 부실시공으로 인한 하자가 발생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건축물의 천정이나 바닥면에 설치되어 층간소음을 흡수차는 층간차음재에 있어서,
    일정 크기로 층간차음재(1)를 재단하고, 상기 층간차음재(1)를 하부에서 상부로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연질의 외피(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11)의 외주연을 전열선을 이용하여 열융착시켜 접합부(12)를 형성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방수커버(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수커버(10)를 고온의 오븐 챔버(13)를 통과시켜 외피(11)가 수축하면서 층간차음재(1)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하여 방수커버(10)의 내부로 습기나 경량콘크리트액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10)는 폴리에틴린, 폴리프로필렌, PVC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KR20-2004-0015670U 2004-06-04 2004-06-04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KR200364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670U KR200364706Y1 (ko) 2004-06-04 2004-06-04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670U KR200364706Y1 (ko) 2004-06-04 2004-06-04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706Y1 true KR200364706Y1 (ko) 2004-10-12

Family

ID=4943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670U KR200364706Y1 (ko) 2004-06-04 2004-06-04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7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869B1 (ko) * 2008-05-21 2013-07-08 (주)엘지하우시스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302270B1 (ko) * 2008-05-21 2013-09-02 (주)엘지하우시스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515755B1 (ko) * 2014-05-09 2015-04-28 최명옥 무접착식 거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869B1 (ko) * 2008-05-21 2013-07-08 (주)엘지하우시스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302270B1 (ko) * 2008-05-21 2013-09-02 (주)엘지하우시스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515755B1 (ko) * 2014-05-09 2015-04-28 최명옥 무접착식 거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1119C2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KR101238999B1 (ko) 진공단열패널
KR101288808B1 (ko) 진공단열재를 내장하는 단열블럭
RU2013117705A (ru) Непроницаемая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огнестойкая дверь
US5461840A (en) Cardboard spacer/seal as thermal insulator
WO2014089448A1 (en) Construction panels
KR20100119937A (ko) 진공 단열체 및 진공 단열체용 외피재
KR20160095128A (ko) 개선된 밀봉을 갖는 이중 글레이징
KR101645974B1 (ko) 진공단열재 내장 복합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MX2014006503A (es) Panel de aislamiento de pared.
KR101165245B1 (ko) 고기밀성 단열문의 단열패널
KR200364706Y1 (ko)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GB2428631A (en) Insulating foil
KR101379758B1 (ko) 단열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0364705Y1 (ko)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JP2003056090A (ja) 複合断熱材
JP6742090B2 (ja) 真空断熱材
JP5514015B2 (ja) 断熱材付き内装建材
JP5077081B2 (ja) 断熱壁とそれを適用した建物および住宅
JP2010013839A (ja) 断熱壁
KR200421055Y1 (ko)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KR101439167B1 (ko) 상변화물질을 구비하는 창호
KR101021849B1 (ko) 이중 간봉구조가 구비된 3중 복층 유리
KR101186356B1 (ko) 차음 및 단열성이 우수한 건축물 벽체용 패널
JP6843684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