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705Y1 -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 Google Patents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705Y1
KR200364705Y1 KR20-2004-0015669U KR20040015669U KR200364705Y1 KR 200364705 Y1 KR200364705 Y1 KR 200364705Y1 KR 20040015669 U KR20040015669 U KR 20040015669U KR 200364705 Y1 KR200364705 Y1 KR 200364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cover
sound insulation
interlayer
insulation material
interlaye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영
Original Assignee
이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영 filed Critical 이근영
Priority to KR20-2004-0015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층간차음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차음재를 내부에 삽입한 다음 내부를 밀폐시킨 방수커버를 형성하여 기존에 층간차음재의 시공시 긁힘 및 파손 등으로 액체상태의 경량콘크리트액이 차음재에 흘러들어가 차음재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시공후 층간차음재 내부에 습기의 유입으로 제품의 물리적 성질이 떨어짐으로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천정이나 바닥면에 설치되어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층간차음재에 있어서,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어있고, 내부에 층간차음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갖는 방수커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커버의 개구부 양측에 보조날개부를 형성하여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날개부 사이에 상부로 절첩되어 수납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마감날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날개부의 내측 단부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층간차음재에 습기나 경량콘크리트액이 유입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Waterproof cover for material that intercept noise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층간차음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차음재를 내부에 삽입한 다음 내부를 밀폐시킨 방수커버를 형성하여 기존에 층간차음재의 시공시 긁힘 및 파손 등으로 액체상태의 경량콘크리트액이 차음재에 흘러들어가 차음재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시공후 층간차음재 내부에 습기의 유입으로 제품의 물리적 성질이 떨어짐으로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 건축물의 층간이나 벽면에 전달되는 소음은 충격이나 큰 소음으로 바닥이나 벽체가 진동하여 층간물체나 벽체를 타고 진동이 전해져 그 진동이 다시 소리로 재생되어 들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일부분에서 적은 부분의 소리음파가 새어나와 전달되는 소음도 이때 합쳐지게 되어 건축물에 전달되는 소음의 강도가 심해짐으로 주민의 생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초래하기 때문에 소음을 줄이거나 차단하기 위해서 층간 또는 벽면에 이어지는 접합부분에 각종 차음재를 삽입하는데, 이로써 상층 및 벽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공동 건축물의 층간 슬라브 상부에 층간차음재를 시공하고, 뜬바닥 구조로 시공시에 벽과 이격 및 차음을 위하여 별도의 벽간차음재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측벽에 부착하는데,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층간차음재는 여러 가지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층간차음재를 살펴보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발포제품의 경우 구조적으로 볼 때 크게 클로즈드 쎌(closed cell) 구조와 오픈쎌(open cell)구조로 나누어진다.클로즈드 쎌은 내부에 셀과 셀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구멍이 닫혀있는 구조이고, 오픈쎌은 내부에 공기구멍이 열려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오픈 쎌 구조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오픈 쎌은 상/하부층이 PE(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고 중간층이 폴로 우레탄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픈 쎌 제품의 요구조건을 살펴보면, 층간차음재의 기본 성능인 층간차음재의 기온상승인 층간소음 흡수정도, 동탄성계수, 열전도율 및 열관류율 등의 기본조건이외에 제품자체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물성의 변화가 없을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오픈쎌 구조 제품으로 이루어진 층간차음재의 경우 시공시 접착면 부위의 부주의한 시공이나 긁힘 파손 등으로 액체상태인 경량콘크리트액이 공기구멍으로 흘러 들어가 소재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의 변화로 인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시공후에도 수분이나 습기가 제품으로 유입되어 동일현상이 발생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방수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하층에 타 방수성능을 갖는 방수층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보완하는데, 이때 형성되는 방수층은 추가적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측면 재단면의 보호를 위한 별도의 작업 및 추가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층간차음재는 이동시 외부의 충격이나 외부의 기온, 온도 및 수분 등의 접촉을 피해야되기 때문에 취급 및 사용에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결함도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층간차음재가 내부에 형성된 방수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방수커버의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층간차음재의 시공시 긁힘 및 파손 등으로 액체상태의 경량콘크리트액이 차음재에 흘러들어가 차음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방수성능을 향상시켜 수분 및 습기의 유입을 미연에 차단시킴으로써, 제품 자체가 갖는 물리적 성질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층간차음재를 시공시 방수커버가 파손될 경우 현장에서 바로 방수커버에 층간차음재를 끼워 넣고 접착부재를 접착층에서 분리시킨 다음 내부를 밀폐시켜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과, 취급이 간편하며, 부실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커버가 층간소음재를 전체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감싸고 있기 때문에 제품의 물성보호와, 충격흡수음의 공기층을 통한 전달이 차단되어 뛰어난 차음효과를 갖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층간차음재가 내부에 형성된 방수커버를 하나 이상 형성하여 상호 절첩 및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여 취급 및 이동이 간편하고, 시공시 적층된 방수커버를 펼쳐서 간편하고 빠르게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천정이나 바닥면에 설치되어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층간차음재에 있어서,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어있고, 내부에 층간차음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갖는 방수커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커버의 개구부 양측에 보조날개부를 형성하여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날개부 사이에 상부로 절첩되어 수납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마감날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날개부의 내측 단부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층간차음재에 습기나 경량콘크리트액이 유입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방수커버는 폴리에틴린, 폴리프로필렌, PVC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수커버의 하나 이상 구비하여 후방 또는 일측면을 접착시켜 상호 절첩 및 적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취급 및 이동이 간편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접착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방수커버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방수커버가 적층된 상태를 보여 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방수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층간차음재 10,10' : 방수커버
11 : 개구부 12 : 수납공간
13 : 보조날개부 14 : 마감날개부
20 : 접착층 21 : 접착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크게 건축물의 천정이나 바닥면에 설치되는 층간차음재(1)와, 상기 층간차음재(1)를 내부에 삽입한다음 내부를 밀폐시킨 방수커버(10)와, 상기 방수커버(1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방수커버(10)의 전면 보조날개부(13)에 접착층(20)과 접착부재(21)가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건축물의 천정이나 바닥면에 설치되는 층간차음재(1)는 클로즈드 쎌과 오픈 쎌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층간차음재(1)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사방 1M의 길이와 두께 2Cm의 규격으로 재단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층간차음재(1)는 공기층에 항상 노출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이나 시공시에 긁힘이나 파손등의 위험이 노출되어 있고, 기후 등의 조건에 따라 오염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수커버(10)의 내부에 층간차음재(1)를 위치시키고 방수커버(10)의 내부를 밀폐시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안할 수 있도록 한다.
방수커버(10)는 상기 층간차음재(1)가 내부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층간차음재(1)와 동일한 크기의 형성되면서 내부에 층간차음재(1)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되어 개구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방수커버(10)의 내부에 층간차음재(1)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2)을 갖는 방수커버(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커버(10)의 개구부(11) 양측에 보조날개부(13)를 형성하여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하여 양측면 모서리 부분으로 경량콘크리트액이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날개부(13) 사이에 상부로 절첩되어 수납공간(12)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마감날개부(14)가 형성하되, 상기 마감날개부(14)의 내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접착층(20)을 형성하여 마감날개부(14)를 상부로 절첩시켜 접착층(20)이 방수커버(10)의 상부면과 밀착되면서 내부가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방수커버(10)의 내부가 밀폐됨으로 층간차음재(1)에 습기나 경량콘크리트액이 유입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수커버(10)는 투명재질의 폴리에틴린, 폴리프로필렌, PVC 의 재질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이외의 재질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 접착층(20)의 표면에 접착부재(21)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써, 마감날개부(14)의 접착층(20) 표면에 부착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접착부재(21)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층간차음재(1)를 시공시 방수커버(10)에 긁힘이나 파손 등으로 인하여 현장에서 문제가 발생될 경우, 현장에서 직접 방수커버(10)에 층간차음재(1)를 삽입한 다음 접착부재(21)를 접착층(20)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마감날개부(14)를 상부로 절첩시키면 접착층(20)이 방수커버(10)의 상부면과 부착되면서 내부가 밀폐되어 현장에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방수커버(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하나 이상의 방수커버(10)를 구비하되, 상기 방수커버(10)(10')의 양측면이 밀착되도록 형성한 다음 방수커버(10)의 양측 상부면을 접착시켜 상부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에 시공하기 위해 이동시 방수커버(10)(10')를 상호 적층시켜 이동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특징과, 시공작업 시에는 절첩된 방수커버(10')를 펼치면 하나 이상의 방수커버(10)(10')가 나란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도 5참조)
또한, 상기 방수커버(10)(10')는 하나 이상의 방수커버(10)를 구비하여 양측면을 상부에서 하부로 서로 엇갈리면서 접착되도록 하여 여러개의 방수커버(10)가 절첩되면서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 방수커버(10)(1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써, 방수커버(10)(10')의 후방이 서로 대칭되도록 각각 밀착시킨 상태에서 후방 상부면이 접착되어 절첩 및 적층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방수커버(10)는 작업 공정을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방수커버(10)를 콘베이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방수커버(10)의 내부에 층간차음재(1)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면 양측의 보조날개부(13)가 절첩되면서 마감날개부(14)를 상부로 절첩시킨 상태에서 70~90°도 정도의 전열선으로 마감날개부(14)를 순간적으로 압착시켜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수커버(10)는 마감날개부(14)를 열융착시킨 상태에서 100~130°도 정도의 오븐 챔버를 약 5~10초 정도 통과시켜면 열에 의한 방수커버(10)의 수축현상이 일어나면서 방수커버(10)가 층간차음재(1)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긁힘이나 파손 등의 위험요소가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방수커버(10)는 작업장에서 미리 층간차음재(1)를 밀폐시킨 상태로 시공작업에 투입되거나, 또는 현장에서 바로 층간차음재(1)를 방수커버(1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고안이며, 본 고안의 방수커버(10)는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 방수커버는 외부의 기온, 온도 및 수분이나 습기의 침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층간차음재의 물리적 성질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 방수커버는 클로즈드 쎌구조나 오픈 쎌구조 또는 여러 가지 층간차음재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층간차음재의 공기층을 통한 전달이 차단되어 뛰어난 차음효과를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 방수커버는 미려한 외관을 갖는 동시에 외부의 공기층에 노출된 층간차음재의 긁힘 및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층간차음재의 이동 및 취급이 간편한 장점이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 방수커버는 방수커버가 열전달을 차단하여 열전도율, 열관류율의 성능을 개선한 고안이다.
본 고안 방수커버는 층간차음재를 시공시 1제곱미터 정도의 제품을 서로 잇대고 그 맞물린 면위에 접착테이프로 마감을 하는데, 이때 시공의 부주의로 테이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연결부위의 틈새가 발생하여 경량콘크리트액이 침투되어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켜 부실시공으로 인한 하자가 발생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 방수커버는 하나 이상의 방수커버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호 절첩 및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동 및 취급이 간편하고 시공시 간편하고 빠르게 시공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층간차음재에 별도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번거러움과 이로인한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을 보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고안이다.

Claims (6)

  1. 건축물의 천정이나 바닥면에 설치되어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층간차음재에 있어서,
    전방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있고, 내부에 층간차음재(1)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2)을 갖는 방수커버(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커버(10)의 개구부(11) 양측에 보조날개부(13)를 형성하여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날개부(13) 사이에 상부로 절첩되어 수납공간(12)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마감날개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날개부(14)의 내측 단부에 접착층(20)을 형성하여 층간차음재(1)에 습기나 경량콘크리트액이 유입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10)는 폴리에틴린, 폴리프로필렌, PVC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10)는 하나 이상의 방수커버(10)(10')를 양측면이 밀착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방수커버(10)(10')의 양측 상부면을 접착시켜상호 절첩 및 적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10)는 하나 이상의 방수커버(10)(10')를 후방이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방수커버(10)(10')의 후방 상부면을 상호 접착시켜 절첩 및 적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10)의 마감날개부(14)를 상부로 절첩시킨 상태에서 전열선을 이용하여 열융착시켜 방수커버(10)의 내부를 밀폐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6.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날개부(14)의 접착층(20) 표면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접착부재(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KR20-2004-0015669U 2004-06-04 2004-06-04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KR200364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669U KR200364705Y1 (ko) 2004-06-04 2004-06-04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669U KR200364705Y1 (ko) 2004-06-04 2004-06-04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705Y1 true KR200364705Y1 (ko) 2004-10-12

Family

ID=4935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669U KR200364705Y1 (ko) 2004-06-04 2004-06-04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7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9736B2 (ja) 複層ガラス、障子及びサッシ
KR20120129385A (ko) 진공단열재를 내장하는 단열블럭
JP2014126219A (ja) 冷蔵庫
KR20110103225A (ko) 고기밀성 단열문의 단열패널
KR200364705Y1 (ko)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KR200364706Y1 (ko)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JP6742090B2 (ja) 真空断熱材
JP6173685B2 (ja) 冷蔵庫
JP5077081B2 (ja) 断熱壁とそれを適用した建物および住宅
JP2003056090A (ja) 複合断熱材
JP4547611B2 (ja) 耐火目地構造
JP2016053257A (ja) 換気用通気部材
JP5157119B2 (ja) 建物の壁
JP6377802B2 (ja) 建具
JP6022332B2 (ja) 建具
KR200421055Y1 (ko)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JP6262280B2 (ja) 建具
KR101186356B1 (ko) 차음 및 단열성이 우수한 건축물 벽체용 패널
JP2008255733A (ja) 建造物の断熱構造及び断熱パネル
JP2007056635A (ja) 建物外壁
JP5217924B2 (ja) 断熱壁および断熱壁に用いられる真空断熱材
JP2005207219A (ja) ガラスパネルのサッシへの取付構造
JP5184254B2 (ja) 屋根パネル
JP6603353B2 (ja) 建具
JP6603354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