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055Y1 -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 Google Patents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055Y1
KR200421055Y1 KR2020060009291U KR20060009291U KR200421055Y1 KR 200421055 Y1 KR200421055 Y1 KR 200421055Y1 KR 2020060009291 U KR2020060009291 U KR 2020060009291U KR 20060009291 U KR20060009291 U KR 20060009291U KR 200421055 Y1 KR200421055 Y1 KR 200421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foam
heat
sound absorbing
sound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성용
Original Assignee
차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성용 filed Critical 차성용
Priority to KR2020060009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0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 특히 복사열에 대한 반사율이 높아 단열성 및 보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흡음하거나 차음함으로써 실내의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발포체(10), 상기 폴리에틸렌 발포체(10)의 어느 한쪽 면에 접합된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 및 상기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의 다른 한쪽 면에 접합된 알루미늄 호일(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단열재보다 공기의 함유량이 많아 복사열에 대한 반사율 및 전도열 차단율을 높일 수 있어 단열성 및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외부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흡음하거나 차음함으로써 실내의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시공과정에 있어서 단열재 및 흡음재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고, 절차를 단순화 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단열재, 흡음재, 알루미늄, 폴리에틸렌 발포체, 흡음공

Description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Multi-functional material for adiabatic and sound absorption}
도 1은 종래의 단열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흡음공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의 사시도.
도 4는 도2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폴리에틸렌(PE) 발포체
20: 흡음공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
30: 알루미늄 호일
40: 흡음공
50: 공기주머니
본 고안은 열 특히 복사열에 대한 반사율이 높아 단열성 및 보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흡음하거나 차음함으로써 실내의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및 일반 산업시설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열을 차단하거나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구상의 모든 물체는 전자파 형태의 복사열을 방출하는데, 알루미늄은 이러한 복사열의 95%~97%를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열전도에 의한 전도열은 차단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또한 직접적인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호일의 앞뒤면에 공기층을 형성하고 있어야 하므로 건축물에 부착이 어려운 점이 있었기 때문에,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제품들은 알루미늄 호일의 한쪽 면에 공기를 함유한 폴리에틸렌 발포체, 스티로폼, 그라스울(glass wool) 등을 붙인 단열재 등을 건축물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는 공기의 함유량이 적어 효율적으로 복사열을 반사하거나 열전달을 차단시키는데 미흡하였다.
한편, 기존의 단열재만으로는 외부의 소음 등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별도로 흡음재나 차음재를 사용하여 시공을 해야 했으므로 비용적인 면에서의 부담증가와 시공절차의 지연, 번잡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기존의 단열재보다 많은 공기를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복사열에 대한 반사율과 전도열에 대한 차단율이 높아 단열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향상된 흡음기능을 구비하는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되었을 경우 여름철 외부의 뜨거운 복사열을 반사 및 차단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벽에 사용되었을 경우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우수한 단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를 2중으로 겹쳐서 사용하는 경우 향상된 단열 및 흡음효과를 발휘하여 건축내장재, 바닥재, 마감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폴리에틸렌 발포체(10), 상기 폴리에틸렌 발포체(10)의 어느 한쪽 면에 접합된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 및 상기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의 다른 한쪽 면에 접합된 알루미늄 호일(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재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재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흠음공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 흡음재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발포체(10)의 제1층과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의 제2층이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의 제2층의 상부를 덮어 씌우는 형태로 알루미늄 호일(30)이 접합된다.
상기 접합은 가열압착 방식에 의한 결합으로서, 이에 따르면 별도로 접착제 를 사용하지 않고 접합이 가능하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제조공정도 단순화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합은 상기 폴리에틸렌 발포체(10)의 제1층과 상기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의 제2층 및 상기 알루미늄 호일(30)을 동시에 구비한 상태에서 가열압착하는 방식으로도 이루어 질 수 있겠다.
한편, 상기 흡음공(40)의 형태는 사각형, 삼각형, 마름모, 육각형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폴리에틸렌 발포체(10)의 제1층과 상기 알루미늄 호일(30)의 중간에 상기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의 제2층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흡음공(40)에 의한 소정의 공기주머니(50)가 형성되게 된다.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되는 경우 보다 많은 공기주머니(50)가 형성되게 되어 기존의 단열재 보다 공기의 함유량이 높아 단열효과가 향상된다.
도 5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흡음재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30)의 양 측면에 상기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가 각각 접합되고, 상기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의 다른 한쪽 면에 상기 폴리에틸렌 발포체(10)가 각각 접합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열효과의 향상은 물론 외부의 소음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상기 폴리에틸 렌 발포체(10, 20) 및 상기 공기주머니(50)가 흡음하여 주고 상기 알루미늄 호일(30)이 차음하여 줌으로써 우수한 흡음재의 기능도 구비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를 상기 알루미늄 호일(30)과 상기 폴리에틸렌 발포체(10)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구비하여 다수의 공기주머니(50)를 형성함으로써, 열 특히 복사열에 대한 반사율과 전도열 차단율을 높여 단열성 및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외부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흡음하거나 차음함으로써 실내의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시공과정에 있어서 단열재와 흡음재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고, 절차를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폴리에틸렌 발포체(10);
    상기 폴리에틸렌 발포체(10)의 어느 한쪽 면에 접합된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 및
    상기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의 다른 한쪽 면에 접합된 알루미늄 호일(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2. 알루미늄 호일(30);
    상기 알루미늄 호일(30)의 양쪽 면에 각각 접합된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 및
    상기 다수의 흡음공(40)이 타공형성된 폴리에틸렌 발포체(20)의 반대쪽 면에 각각 접합된 폴리에틸렌 발포체(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은 가열압착 방식에 의한 접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공(40)은,
    상하 및 좌우로 정렬되도록 타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KR2020060009291U 2006-04-07 2006-04-07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KR200421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291U KR200421055Y1 (ko) 2006-04-07 2006-04-07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291U KR200421055Y1 (ko) 2006-04-07 2006-04-07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803A Division KR100690985B1 (ko) 2006-04-07 2006-04-07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055Y1 true KR200421055Y1 (ko) 2006-07-10

Family

ID=4176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291U KR200421055Y1 (ko) 2006-04-07 2006-04-07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0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430B1 (ko) 2022-01-17 2022-04-14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건 건축용 단열흡음 적층패널
KR102558882B1 (ko) 2023-02-08 2023-07-24 주식회사 엠디에이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흡음 적층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430B1 (ko) 2022-01-17 2022-04-14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건 건축용 단열흡음 적층패널
KR102558882B1 (ko) 2023-02-08 2023-07-24 주식회사 엠디에이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흡음 적층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1212B2 (ja) 管継手構造、配管構造、建物
KR20180033675A (ko) 난연, 흡음 및 방습기능을 겸비한 복합기능성 단열재
KR102093562B1 (ko)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MX2014006503A (es) Panel de aislamiento de pared.
KR20090066087A (ko)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200421055Y1 (ko)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KR100750090B1 (ko) 진공포켓을 이용한 복합기능 패널
TWM578650U (zh) 一種近真空有拉鍊可快速包敷在管線外及應用在各種夾層內之消音保冷隔熱複合材
KR100690985B1 (ko) 다기능 보온 단열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US4902550A (en) Laminated insulating material
CA2629650A1 (en) Metallized polymeric film reflective insulation material
KR20180000916U (ko) 난연, 흡음 및 방습기능을 겸비한 복합기능성 단열재
CN206987169U (zh) 一种建筑用高强度节能保温砖
WO2015107371A1 (en) Fire resistant laminate with sound deadening properties
CN205382585U (zh) 一种防火保温板
KR101186356B1 (ko) 차음 및 단열성이 우수한 건축물 벽체용 패널
KR100750091B1 (ko) 진공코아를 이용한 패널
KR100539654B1 (ko) 소음, 진동 차단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1518026B1 (ko) 복층 건물의 방진 및 단열기능을 갖는 바닥 시공구조
CN207686212U (zh) 一种隔音地板
JP4162616B2 (ja) 不燃性パネル
JP3131958U (ja) 高機能型遮熱マット
JP2012012860A (ja) 断熱材付き内装建材
KR200364706Y1 (ko) 층간차음재용 방수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