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087A -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087A
KR20090066087A KR1020070133702A KR20070133702A KR20090066087A KR 20090066087 A KR20090066087 A KR 20090066087A KR 1020070133702 A KR1020070133702 A KR 1020070133702A KR 20070133702 A KR20070133702 A KR 20070133702A KR 20090066087 A KR20090066087 A KR 20090066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fire
wall
flame
cor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102007013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087A/ko
Publication of KR2009006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복합기능을 갖는 진공 내외장재를 생산하려면 대용량의 설비를 갖추어야 하므로 시설비가 과다하여 내ㆍ외장재 패널을 생산하는 많은 회사들은 복합기능 패널을 생산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글라스울ㆍ미네랄울과 같은 무기질의 난연불연재나 스티로폼ㆍ우레탄과 같은 보온단열재로 된 충진물(120)을 금속제 커버지로 내부가 진공으로 밀봉되는 다수의 격리된 진공포켓(110) 속에 충진시켜서 각 진공포켓(110)마다 채워진 충진물(120)이 서로 격리되는 진공방화벽체(100)로 구성하고, 그 진공방화벽체(100)의 외표면에 발포성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을 갖는 보온단열재로 이루어진 외피층(200)을 구비한 복합기능의 진공방화심재로서, 기존의 패널 생산공장에서 본 발명의 진공 방화심재를 공급받기만 하면 기존의 패널 생산설비로 복합기능의 진공형 내ㆍ외장재 패널을 손쉽게 만들 수 있으므로 별도의 생산라인을 추가할 필요가 없고, 작업성이 좋아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방화ㆍ단열보온 뿐만 아니라 습기, 분진, 소음 차단에 강한 복합기능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복합기능, 방화심재, 진공포켓, 방화벽체, 이격부,

Description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A vacuum prevention fire of hearlwood for architecture}
본 발명은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축용으로 만들어지는 각종 내외장 패널의 내부에 설치하면 그 내외장 패널이 우수한 방화벽 기능과 보온단열의 복합기능을 갖을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나 천정 조립용으로 사용되는 패널은 화재발생시 화염이 급속히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벽 기능이 있어야 하고, 건물로부터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냉난방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기 위해 보온단열 기능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되어온 일반 패널은 대부분 철판이나 합판 재질의 내ㆍ외측판 사이에 열과 불에 강한 글라스울ㆍ미네랄울과 같은 무기질의 난연불연재를 설치하여 방화벽 기능을 부여하기도 하고, 또는 스티로폼(EPS)이나 우레탄ㆍ하니컴과 같은 보온단열재 또는 난연성을 갖는 보온단열재를 설치하여 보온단열성을 부여하기 도 하며, 복합기능을 위해 위에 열거된 난연불연재와 보온단열재를 함께 설치하기도 한다.
그런데 위에 열거된 일반 패널은 내ㆍ외측판 사이에 난연불연재나 보온단열재를 단순 삽입하는 것이므로 난연불연성이나 보온단열성의 기능이 별로 뛰어나지 못하며, 이를 위해 불필요하게 난연불연재나 보온단열재의 내부 충진물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였는바 이는 생산원가가 상승되고 시공성이 떨어진다.
본원 출원인은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복합기능을 높힐 수 있는 진공포켓을 이용한 복합기능 패널을 개발하여 특허등록 제750090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이는 표ㆍ이면에 포켓요입부가 지그재그 구비되는 방화판과; 다수의 격리된 포켓이 반복 형성되고 각 포켓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며, 각 포켓요입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진공포켓유니트;로 방화벽체를 형성하고, 그 방화벽체를 보온단열재와 함께 내ㆍ외측판 사이에 접합하여 연속식 패널부재로 형성하며, 그 연속식 패널부재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된 것이다.
이는 화재 발생시 방화벽 기능과 보온단열 특성이 우수하고 패널의 강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며, 습기와 분진 및 소음을 이상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복합기능의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선 발명과 같은 복합기능을 갖는 진공 방화용 내외장재를 생산하려면 대용량의 설비를 갖추어야 하므로 시설비가 과다하여 내ㆍ외장재 패널을 생산하는 많은 회사들은 복합기능 패널을 생산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방화벽체와 보온단열재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패널부재를 만들때 사용되는 것이므로 패널부재 속에서 방화벽체와 보온단열재가 서로 따로 노는 경향이 있고, 이를 방지하려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미리 부착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나빠 생산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 생산공장에 공급하기만 하면 기존의 내ㆍ외장재 패널 생산설비로 방화 및 단열보온 기능이 뛰어나면서도 습기,분진,소음을 차단하는 복합기능의 진공 패널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를 단속식 또는 연속식으로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벽체와 보온단열재가 일체형을 이루도록 하여 건축용 판재의 진공심재로 사용할 때의 작업성을 높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위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글라스울ㆍ미네랄울과 같은 무기질의 난연불연재나 스티로폼ㆍ우레탄ㆍ하니컴과 같은 보온단열재로 된 충진물 외부를 금속제 커버지로 내부가 진공이 되게 밀봉하되 금속제 커버지를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다수의 격리된 진공포켓으로 구획시키고, 각 진공포켓마다 난연불연재나 보온단열재의 충진물을 서로 격리되게 채워 진공방화벽체로 구성하며, 그러한 진공방화벽체의 외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시켜 감싸게 하거나 난연성을 갖는 보온단열재로 이루어진 외피층을 구비한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를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진공방화벽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포켓은 이음부에 의해 한쪽면이 일체로 연결되고, 다른쪽은 서로 떨어져 분리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또한 그 진공방화벽체를 복수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그 외표면에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로 된 외피층을 구비하면 그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로 적층되는 진공방화벽체는, 위쪽과 아래쪽의 포켓이 서로 지그재그 엇갈린 상태로 중첩되도록 적층시키고, 그러한 외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시키거나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를 부착하여된 외피층으로 감싸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진공방화벽체를 일렬로 연속 공급하면서 그 외표면에 폴리우레탄을 계속 발포시켜 연속식의 진공방화심재로 형성하고, 그 연속식의 진공방화심재를 일정 길이로 연속 절단하되 그 절단된 양쪽 절단면에 가리개를 부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개로 분리된 포켓마다 난연불연재나 보온단열재의 충진물이 서로 격리되게 채워진 진공방화벽체 외표면을 발포성 폴리우레탄이나 난연 성의 보온단열재로된 외피층으로 감싸서 일체형의 건축용 방화심재로 만든 것이므로 패널 생산공장에 공급할 때의 운반과 보관 및 생산라인에서의 작업성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패널 생산공장에서는 일체형의 건축용 방화 심재를 공급받으면 기존의 내ㆍ외장재 패널 생산설비를 가지고 샌드위치패널을 포함한 내ㆍ외장재 패널을 손쉽게 만들 수 있으므로 설비의 가동율을 높히고 생산성을 높혀서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패널은 방화ㆍ단열보온 뿐만 아니라 습기, 분진, 소음 차단에 강한 복합기능을 갖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별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은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진공방화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 는 본 발명의 진공방화벽체 구조를 보이기 위해 일부를 확대한 횡단면도이며, 도3a 와 3b 는 본 발명에 의해 낱개의 진공방화벽체와 2개의 진공방화벽체 외표면을 발포성 폴리우레탄이나 난연성 보온단열재로 된 외피층으로 각각 감싼 상태를 일례로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 중 글라스울ㆍ미네랄울과 같은 무기질의 난연불연재나 스티로폼ㆍ우레탄ㆍ하니컴과 같은 보온단열재로 된 충진물(120) 외부를 금속제 커버지로 씌우고 그 커버지 내부를 진공으로 밀봉하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이 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충진물(120)을 감싸는 금속제 커버지를 주문 칫수에 따라 재단하여 도1 과 같이 다수의 진공포켓(110)으로 구획시키고, 그 구획된 각 진공포켓(110)마다 도2 와 같이 난연불연재나 보온단열재의 충진물(120)을 채우고 진공 상태로 만들어 각 진공포켓(110)의 충진물(120)이 진공상태속에서 서로 격리된 상태를 유지하는 진공방화벽체(100)로 구성하는데 있다.
그리고 도3a 와 같이 그러한 진공방화벽체(100)의 외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시키거나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를 부착하여된 외피층(200)으로 진공방화벽체(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진공방화벽체(1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진공포켓(110)은 이음부(111)에 의해 한쪽면이 전체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다른쪽은 이격부(112)에 의해 서로 떨어져 분리된 상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0a)(400b)는 건축용 내외장판으로 만들때 사용하는 내측판과 외측판 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내부가 진공상태를 이루는 각 진공포켓(110)이 낱개로 분리되지 않고 이음부(111)에 의해 일정 길이만큼 연속 이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진공방화벽체(100)의 외표면에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로된 외피층(200)을 씌워서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로 만들 때의 작업성도 좋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는 외피층(200)과 진공방화벽체(100)가 서로 일체로 부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건축용의 각 종 내ㆍ외장재를 생산하는 공장에 공급할 때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본 발명의 진공 방화심재는 내ㆍ외장재 생산 공장에서의 주문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ㆍ외장재 생산 공장에서는 본 발명의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를 공급받은 후 기존의 패널 생산설비를 이용하여 도4 와 같이 내측판(400a)과 외측판(400b) 사이에 진공 방화심재를 설치하면 되므로 추가 설비를 갖추지 않더라도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을 손쉽게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패널은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진공방화벽체(100)와 그 외표면을 감싸고 있는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로된 외피층(200)에 의해 2중으로 단열보온이 되고, 얇은 금속제 커버지로 된 진공방화벽체(100)의 각 진공포켓(110)은 이격부(112)에 의해 서로 격리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화재 발생으로 어느 한쪽 진공포켓(110)의 충진물(120)이 발화되더라도 다른 진공포켓(110)의 충진물(120)에 쉽게 번지는 것을 지연시켜주어 그만큼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6 과 같이 진공 방화심재를 진공포켓(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횡방으로 절단하면 그 절단부위의 진공포켓(110)만이 진공상태가 해제될 뿐 나머지 진공포켓(110)은 진공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방화벽 기능 및 단열보온 기능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3b 와 같이 진공방화벽체(100)를 복수로 하여 상하로 적층시키되 위쪽과 아래쪽의 진공포켓(110)이 서로 지그재그 엇갈린 상태로 중첩되도 록 적층시키고, 그러한 외표면을 발포되는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로된 외피층(200)으로 감싸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하로 적층되는 진공방화벽체(100)는 서로 접면되는 이음부(111) 부위를 접착제로 접착한 후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로된 외피층(200)으로 씌워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향되는 진공방화벽체(100)의 이음부(111)가 서로 맞닿도록 하고 진공포켓(110)의 이격부(112)에 의해 분리된 부위가 외부로 표출되게 하면 외표면을 감싸면서 발포되는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로된 외피층(200)이 양쪽의 각 진공포켓(110) 이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켜 준다.
또한 위쪽과 아래쪽 진공방화벽체(100)의 각 진공포켓(110)이 서로 지그재그로 엇갈려 있으면 패널에 사용되는 방화심재의 표면과 이면 어느쪽에서도 방화벽 기능과 단열보온 효과가 균등하게 작용되므로 방화심재의 표면과 이면을 별도로 확인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7 은 본 발명의 복합기능 진공방화심재를 연속식으로 만드는 과정을 보인 다른 실시예이고, 도8 은 본 발명의 연속식 진공방화심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9 는 본 발명의 연속식 진공방화심재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방화벽체(100)를 우레탄발포장치(500)을 향하여 일렬로 연속 공급하면서 그 외표면을 발포된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로된 외피층(200)이 감싸도록 하여 연속식의 진공방화심재로 형성하고, 이를 절단기(600)로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본 발명의 진공방화심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다수의 진공포켓(110)이 횡방향으로 연속 반복되는 것이므로 연속식의 진공 방화심재를 횡방향으로 절단하면 그 절단면(210) 부위의 진공포켓(110)만이 진공상태가 해제될 뿐 나머지 진공포켓(110)은 진공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도8 과 같이 절단된 양쪽 절단면(210)에 가리개(300)를 부착하면 절단면(210) 부위의 진공포켓(110)속에 채워진 충진물(120)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진공방화심재를 이용하여 건축용 내ㆍ외장재로 만들면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발포성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로된 외피층(200) 및 내부의 진공방화벽체(100)가 방화ㆍ단열보온 뿐만 아니라 습기, 분진의 침투를 방지하고 소음도 매우 이상적으로 흡차음하여 차단하므로 보다 다양한 복합기능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다수의 진공포켓(110)을 구성하는 금속제 커버지는 성형성이 좋고 내부의 진공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대기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고 내파손성이 양호한 다층의 적층 필름 또는 알루미늄이 증착된 다층의 적층필름도 무방하다고 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진공방화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2 는 본 발명의 진공방화벽체 구조를 보이기 위해 일부를 확대한 횡단면도
도3a 와 3b 는 본 발명에 의해 낱개의 진공방화벽체와 2개의 진공방화벽체 외표면을 폴리우레탄으로 각각 감싼 상태를 일례로 보인 측단면도
도4 는 본 발명의 진공방화심재로 샌드위치 패널을 만드는 상태의 사시도
도5 는 도4 의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도6 은 본 발명의 진공방화심재 일 부위를 절단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7 은 본 발명의 연속식 진공방화심재를 만드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
도8 은 본 발명의 연속식 진공방화심재를 보인 사시도
도9 는 본 발명의 연속식 진공방화심재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진공방화벽체 110 : 포켓
120 : 충진물 111 : 이음부
112 : 이격부 200 : 외피층
210 : 절단면 300 : 가리개

Claims (5)

  1. 글라스울ㆍ미네랄울과 같은 무기질의 난연불연재나 스티로폼ㆍ우레탄ㆍ하니컴과 같은 보온단열재로 된 충진물(120) 외부를 금속제 커버지로 내부가 진공이 되게 밀봉함에 있어서,
    금속제 커버지를 진공상태가 각각 유지되는 다수의 진공포켓(110)으로 구획시켜서 각 진공포켓(110)마다 채워진 난연불연재나 보온단열재의 충진물(120)이 서로 격리되는 진공방화벽체(100)로 구성하고,
    그러한 진공방화벽체(100)의 외표면을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로된 외피층(200)이 감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방화심재.
  2. 제1항에 있어서,
    진공방화벽체(100)을 구성하는 다수의 진공포켓(110)은 이음부(111)에 의해 한쪽면은 일체로 연결되고, 다른쪽은 서로 떨어져 분리된 상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방화심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진공방화벽체(100)를 복수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그 외표면에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로된 외피층(200)을 감싸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방화심재.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로 적층되는 진공방화벽체(100)는,
    위쪽과 아래쪽의 진공포켓(110)이 서로 지그재그 엇갈린 상태로 중첩되도록 적층시키고, 그러한 외표면에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로된 외피층(200)을 감싸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방화심재.
  5. 제3항에 있어서,
    진공방화벽체(100)를 일렬로 연속 공급하면서 그 외표면에 발포된 폴리우레탄 또는 난연성의 보온단열재로된 외피층(200)을 계속 감싸서 연속식의 진공방화심재로 형성하고,
    그 연속식의 진공방화심재를 일정 길이로 연속 절단하되 그 절단된 양쪽 절단면(210)에 가리개(300)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방화심재.
KR1020070133702A 2007-12-18 2007-12-18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KR20090066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702A KR20090066087A (ko) 2007-12-18 2007-12-18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702A KR20090066087A (ko) 2007-12-18 2007-12-18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087A true KR20090066087A (ko) 2009-06-23

Family

ID=4099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702A KR20090066087A (ko) 2007-12-18 2007-12-18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087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939A3 (ko) * 2010-03-09 2012-01-12 ㈜엘지하우시스 진공 단열 패널용 심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2535662A (zh) * 2012-03-20 2012-07-04 张国祥 一种用作防火隔离带的防脱落防火保温板
CN102767243A (zh) * 2012-07-13 2012-11-07 张玉洪 一种防火外墙保温板的制作工艺
CN103588436A (zh) * 2013-11-27 2014-02-19 重庆民生建材厂 一种高分子保温隔热板及其制备方法
CN103741825A (zh) * 2014-01-26 2014-04-23 武汉沃尔浦科技有限公司 一种高楼外墙保温系统用防火隔离系统
CN104120800A (zh) * 2013-04-25 2014-10-29 江苏省苏安能节能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渗透式防火保温板及其生产方法
CN106703236A (zh) * 2015-07-28 2017-05-24 天津佳华炜业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a级阻燃效果的聚苯板及其制备方法
GB2548887A (en) * 2016-03-31 2017-10-04 Radmat Building Products Ltd A panel for thermal insulation
CN108978907A (zh) * 2018-09-21 2018-12-11 天津禹神节能保温材料有限公司 一种防火性能好的保温板
KR20190000662U (ko) * 2017-09-06 2019-03-14 김수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가열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939A3 (ko) * 2010-03-09 2012-01-12 ㈜엘지하우시스 진공 단열 패널용 심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8961843B2 (en) 2010-03-09 2015-02-24 Lg Hausys, Ltd. Core material for vacuum insulatio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535662A (zh) * 2012-03-20 2012-07-04 张国祥 一种用作防火隔离带的防脱落防火保温板
CN102767243B (zh) * 2012-07-13 2015-01-21 张玉洪 一种防火外墙保温板的制作工艺
CN102767243A (zh) * 2012-07-13 2012-11-07 张玉洪 一种防火外墙保温板的制作工艺
CN104120800A (zh) * 2013-04-25 2014-10-29 江苏省苏安能节能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渗透式防火保温板及其生产方法
CN103588436A (zh) * 2013-11-27 2014-02-19 重庆民生建材厂 一种高分子保温隔热板及其制备方法
CN103741825A (zh) * 2014-01-26 2014-04-23 武汉沃尔浦科技有限公司 一种高楼外墙保温系统用防火隔离系统
CN106703236A (zh) * 2015-07-28 2017-05-24 天津佳华炜业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a级阻燃效果的聚苯板及其制备方法
GB2548887A (en) * 2016-03-31 2017-10-04 Radmat Building Products Ltd A panel for thermal insulation
GB2548887B (en) * 2016-03-31 2019-03-20 Radmat Building Products Ltd A method of forming a panel for thermal insulation
KR20190000662U (ko) * 2017-09-06 2019-03-14 김수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가열장치
CN108978907A (zh) * 2018-09-21 2018-12-11 天津禹神节能保温材料有限公司 一种防火性能好的保温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6087A (ko)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US9163397B2 (en) Foil-backed wallboard and insulation system
KR100750090B1 (ko) 진공포켓을 이용한 복합기능 패널
KR20200023125A (ko)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MX2014006503A (es) Panel de aislamiento de pared.
JP6193249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6063990B2 (ja) 耐火パネル及び外壁の耐火構造
KR102064271B1 (ko)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
JP2017101402A (ja)
GB2367839A (en) Insulating membrane and building construction
JP2019218853A (ja) 耐火構造
KR100750091B1 (ko) 진공코아를 이용한 패널
KR20190136376A (ko) 불연성 복합 단열판
CN210216987U (zh) 一种新型防火隔音式环保装饰用复合板
KR200332657Y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RU2015115686A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зданий
JP4162616B2 (ja) 不燃性パネル
TWI458878B (zh) 複合鋼板(二)
KR100671259B1 (ko)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41392B1 (ko) 난연 및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KR200359035Y1 (ko)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패널
KR200417934Y1 (ko)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과 그 제조장치
JP6138418B2 (ja) 鉄骨の耐火被覆構造
JP2013213329A (ja) 鉄骨柱の耐火被覆構造
KR101057741B1 (ko) 단열 및 흡음기능을 갖는 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