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606B1 -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606B1
KR101363606B1 KR1020120103496A KR20120103496A KR101363606B1 KR 101363606 B1 KR101363606 B1 KR 101363606B1 KR 1020120103496 A KR1020120103496 A KR 1020120103496A KR 20120103496 A KR20120103496 A KR 20120103496A KR 101363606 B1 KR101363606 B1 KR 101363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sheet
heating
metal layer
concrete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구
정상현
안동근
한천구
한민철
정은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2010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에어캡을 포함하는 2장의 버블시트부와, 2장의 버블시트부 내측면에 고정되는 메탈라스 형태의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 사이에 구비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에 의하면, 버블시트 내부에 발열이 가능한 열선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콘크리트 양생이 가능하고, 버블시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금속층에 의해 열이 골고루 분산되며 열의 직접적인 전달을 방지하여 버블시트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HEATING BUBLE SHEET FOR CURING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온이 낮은 동계에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발열 버블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동절기에는 수분이 얼어 시멘트의 수화작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실시할 수 없다. 영하의 날씨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게 되면 시멘트의 수화작용이 되지 않아 경화가 지연되고 양생 이후에도 콘크리트의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근래에는 공사기간의 단축 및 해외 건설 시장의 확대 등과 관련하여 동절기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풍기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열풍기를 이용한 양생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체 외부의 온도는 상승시킬 수 있으나 내부에 면한 콘크리트면은 경화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균일한 보온이 어렵기 때문에 내부면과 외부면 사이의 경화속도의 차이를 발생시켜 구조적인 강도 차이가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효과적인 대응책이 되지 못한다.
한편, 최근에는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버블시트가 제안된 바 있다. 버블시트는 일반적으로 운송 중의 제품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블시트의 보온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양생된 콘크리트에 버블시트를 덮어씌워 동절기에도 콘크리트의 양생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버블시트도 기존의 온도저하를 방지하는 것일 뿐, 양생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이를 위해 별도의 열선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도 버블시트가 열선의 온도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절기에 콘크리트 양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발열 버블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는 콘크리트 양생에 사용되는 버블시트에 있어서,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에어캡이 형성되는 2장의 버블시트부; 상기 2장의 버블시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금속층;및 상기 2장의 버블시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2장의 버블시트부의 가장자리는 실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층은 비전열 접착제에 의해 상기 버블시트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층은 상기 금속층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선을 구획하도록 열접착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층은 메탈라스(metal lath)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층은 구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에 의하면, 버블시트 내부에 발열이 가능한 열선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콘크리트 양생이 가능하고, 버블시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금속층에 의해 열의 골고루 분산되며 열의 직접적인 전달을 방지하여 버블시트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의 구획부 접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의 부분 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 또는 층들이 이들 사이에 게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인 단면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들은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영역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들은 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는 상면부터 하면 방향으로 제1 버블시트부(10); 제1 금속층(20): 열선(30): 제2 금속층(40); 및 제2 버블시트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열 버블시트의 외면을 형성하는 제1 버블시트부(10) 및 제2 버블시트부(50)는 PE 재질로 형성되는 버블시트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에어캡(13)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1 버블시트부(10) 및 제2 버블시트부(50)는 2장의 시트를 접합시키고 에어캡(13)을 형성하도록 2장의 시트를 열융착 시킨 후, 가장자리를 열처리 실링(Sealing)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캡(13)에 의해 밀폐된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시 보온 및 단열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제1 버블시트부(10) 및 제2 버블시트부(50)의 내측면에는 각각 제1 금속층(20) 및 제2 금속층(40)이 접합된다. 상기 금속층(20, 40)은 상기 제1 버블시트부(10) 및 제2 버블시트부(50)의 내측면에 도포되는 비전열 접착제(60)에 의해 상기 제1 버블시트부(10) 및 제2 버블시트부(50)에 고정된다.
상기 비전열 접착제(60)는 열전도율이 낮은 성질을 가지는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전열 접착제(60)는 상기 열선(30)에 의해 금속층(20, 40)에 전달되는 열이 버블시트부(10, 5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에어캡(1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금속층(20) 및 제2 금속층(40)은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메탈라스(metal lath)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층(20) 및 제2 금속층(40)은 상기 열선(3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버블시트 전체면으로 골고루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금속층(20) 및 제2 금속층(40)은 메쉬형태의 금속망으로 구성된다. 메쉬형태의 금속층(20, 40)에 의해 열선(30)과 버블시트부(10, 5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열선(30)에 의한 열이 버블시트부(10, 5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버블시트부(10, 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금속층(20) 및 제2 금속층(40)은 일정한 경도 및 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버블시트를 거푸집에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양생 위치 및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버블시트 내부에는 제1 금속층(20) 및 제2 금속층(40)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층(20) 및 제2 금속층(40) 사이에는 열선(30)이 구비된다. 상기 열선(30)은 외부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열선(30) 사이에는 구획부(70)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부(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식 가열접합이 가능한 일종의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선(30) 사이의 구획부(70)에 열을 가해 열선(30) 사이에 경계면을 형성함으로써 열선(30)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선(30)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제1 금속층(20) 및 제2 금속층(40)을 통해 전체면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1 금속층(20) 및 제2 금속층(40)은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열선(30)에서 전달되는 열이 상기 버블시트부(10, 5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열선(30)과 상기 버블시트부(10, 50)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열선(30)으로부터의 열에 의한 버블시트부(10, 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층(20, 40)과 상기 열선(30)과 상기 버블시트부(10, 50)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열선(30)에 의해 가열된 공기층이 버블시트부(10, 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층은 거푸집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차가운 공기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보온력을 더욱 증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버블시트는 일정한 길이만큼 절단되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롤형태로 구성되어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 버블시트부 13 : 에어캡
20 : 제1 금속층 30 : 열선
40 : 제2 금속층 60 : 비전열 접착제

Claims (5)

  1. 콘크리트 양생에 사용되는 버블시트에 있어서,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에어캡이 형성되는 2장의 버블시트부;
    상기 2장의 버블시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금속층;및
    상기 2장의 버블시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2장의 버블시트부의 가장자리는 실링되는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비전열 접착제에 의해 상기 버블시트부에 고정되는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금속층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선을 구획하도록 열접착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메탈라스(metal lath)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구리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KR1020120103496A 2012-09-18 2012-09-18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KR101363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96A KR101363606B1 (ko) 2012-09-18 2012-09-18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96A KR101363606B1 (ko) 2012-09-18 2012-09-18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606B1 true KR101363606B1 (ko) 2014-02-19

Family

ID=5027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496A KR101363606B1 (ko) 2012-09-18 2012-09-18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6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93A1 (ko) * 2015-10-20 2017-04-2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장치 및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거푸집
KR101843510B1 (ko) * 2015-10-20 2018-03-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장치 및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거푸집
KR102040135B1 (ko) * 2018-06-12 2019-11-0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기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323A (ja) * 1995-08-04 1997-02-18 Hazama Gumi Ltd 三層養生マット
JPH10220005A (ja) * 1997-02-13 1998-08-18 Sekisui House Ltd 基礎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
JP2001317204A (ja) 2000-05-10 2001-11-16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コンクリートの断熱養生シート
JP2003268976A (ja) 2002-03-18 2003-09-25 Kumagai Gumi Co Ltd コンクリート養生用ネットヒーター及び該ネットヒーター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養生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323A (ja) * 1995-08-04 1997-02-18 Hazama Gumi Ltd 三層養生マット
JPH10220005A (ja) * 1997-02-13 1998-08-18 Sekisui House Ltd 基礎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
JP2001317204A (ja) 2000-05-10 2001-11-16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コンクリートの断熱養生シート
JP2003268976A (ja) 2002-03-18 2003-09-25 Kumagai Gumi Co Ltd コンクリート養生用ネットヒーター及び該ネットヒーター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養生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493A1 (ko) * 2015-10-20 2017-04-2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장치 및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거푸집
KR101843510B1 (ko) * 2015-10-20 2018-03-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장치 및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거푸집
KR102040135B1 (ko) * 2018-06-12 2019-11-0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기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52835B (zh) 一种组合梁湿接缝冬季施工电伴热保温方法
JP4602357B2 (ja) 冷蔵庫断熱箱体及びその製造方法
RU2441119C2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WO2013023117A3 (en) Thermal energy venting system
KR101363606B1 (ko) 콘크리트 양생용 발열 버블시트
KR101042015B1 (ko) 발열거푸집
KR20110095018A (ko) 열반사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31780A (ko) 발열골판지 및 이를 이용한 한중콘크리트 양생공법
JP5300351B2 (ja) 建築用真空断熱ボード
CN204475554U (zh) 一种可单向导热的保温板
JP2011111754A (ja) 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41438B2 (ja) 外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03977590U (zh) 内置保温混凝土结构变形缝构造
JP4685592B2 (ja) 防水構造
KR20140071401A (ko) 외단열 외장 패널
KR101400059B1 (ko) 외단열 외방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N204826270U (zh) 复合保温板
KR101804190B1 (ko) 내화성 단열패널
KR20150002707U (ko) 열차단성능이 우수한 외장마감재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외장마감재 결합구조
US20120244299A1 (en) Insulation apparatus
JP5308101B2 (ja) 断熱パネル
CN204781535U (zh) 架空遮阳防水屋面
CN204983195U (zh) 一种带控温功能的发泡保温板
KR101274768B1 (ko) 잠열재를 포함한 콘크리트 양생시트,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양생시스템, 및 콘크리트 양생시스템의 제어방법
CN202208991U (zh) 一种高效保温隔热空心砌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