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233B1 -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233B1
KR101195233B1 KR1020110047577A KR20110047577A KR101195233B1 KR 101195233 B1 KR101195233 B1 KR 101195233B1 KR 1020110047577 A KR1020110047577 A KR 1020110047577A KR 20110047577 A KR20110047577 A KR 20110047577A KR 101195233 B1 KR101195233 B1 KR 101195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resin
polymer
heat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재
신창교
이현옥
최진선
김진억
이섭주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233B1/ko
Priority to PCT/KR2011/004854 priority patent/WO201215780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1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11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16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5Thiol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56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 C07C2603/58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containing three rings
    • C07C2603/60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containing three rings containing at least one ring with less than six members
    • C07C2603/66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containing three rings containing at least one ring with less than six member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 C07C2603/68Dicyclopentadienes; Hydrogenated dicyclopentadi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고분자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구조의 티오화합물을 함유하는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내열첨가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다른 추가 내열 첨가제의 사용 없이도 200℃ 이상의 고온에서도 열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며, 상기 내열첨가제는 분자량이 높아 휘발성이 낮은 특성이 있어 친환경적인 고분자 수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Heat resistant dopes for polymer resin and polym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특정 티오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의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아민계, 포스파이트계, 티오에스터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산화방지제는 따로 사용하거나 적절히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산화방지제 각각은 그 나름대로의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열안정성이 초기에는 우수하나 산화 후에 색상을 띠는 경우가 많아서 용도가 제한되고 있으며,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산화방지제로서 성능은 우수하나 물질자체가 색상 문제를 안고 있다. 그리고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물에 인해 가수분해 현상이 생기고 고무합성 중 가류 공정에서 분해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으며,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는 단독으로 사용될 때는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기 어려우므로 다른 1차 산화방지제과 함께 사용될 때에 비로소 성능이 발휘한다.
일반적으로 고분자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2,6-디-t-부틸-4-메틸페놀(이하, ‘BHT’라 칭함.)은 1차 산화방지제로서 열안정성이 우수하지만, 분자량이 낮기 때문에 휘발성이 나타나 내열첨가제의 기능이 감소되며 변색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상기 BHT는 간에 지장을 주며 알러지 및 종양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고분자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상기 BHT는 휘발성으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최근 업체들이 프리(free) BHT 제품을 요구하는 추세이며, 따라서, 고분자의 산화를 방지할 성능과 고분자의 물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인체에 해롭지 않고 휘발성이 적은 산화방지제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현재, BHT 대체 물질로는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록시페닐) -프로피온네이트 (이하 ‘1076’라 칭함),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 히록시페닐)-프로피온네이트] (이하, ‘1010’라 칭함)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단지 1차 산화방지제로서 성능 및 물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2차 산화방지제를 별도로 첨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의 내열첨가제로 사용되고 있는 트리스(4-노닐페닐)포스파이트(이하, ‘TNPP’라 명한다.)는 2차 산화방지제로서 1차 산화방지제와 함께 사용되고 있으나 열분해시 4-노닐페놀이 방출되어 인체의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교란시키는 부작용을 줄 뿐만 아니라 유방암을 일으키는 환경호르몬 물질로 알려져 취급 제한 물질로 지정됨으로써 업계에서는 고분자의 산화를 방지할 성능과 고분자의 물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인체에 해롭지 않는 산화방지제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기존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노력, 연구하던 중, 특정한 올리고머 구조를 갖는 티오 화합물을 발명하게 되었고 (KR 10-2009-0085477) 수지의 첨가제로 사용해 본 결과, 상기 화합물이 1차 내열첨가제와 2차 내열첨가제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어, 1차와 2차 내열첨가제의 혼합 사용 없이도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기존 내열첨가제 보다 적은 양으로도 수지의 열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과 비숫한 정도의 물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지용 내열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755911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H2SR2이고, R2는 탄소수 5 ~ 16을 갖는 직쇄형, 분쇄형 또는 고리형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6을 갖는 방향족기이며, n은 1≤n≤20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열첨가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지용 내열첨가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1차, 2차 내열첨가제를 첨가한 효과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양을 사용해도 수지의 열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 내열첨가제 보다 휘발성이 낮기 때문에 매우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특정 구조를 갖는 티오화합물인 내열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티오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7559117-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H2SR2이고, R2는 탄소수 5 ~ 16을 갖는 직쇄형, 분쇄형 또는 고리형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6을 갖는 방향족기이며, n은 1≤n≤20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본 발명의 티오화합물은 수평균분자량이 400 ~ 5,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 3,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티오화합물의 수평균분자량이 400 미만이면 휘발되기 쉬우며, 5,000을 초과하면 합성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의 수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열첨가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상기 티오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R2가 탄소수 5 ~ 12을 갖는 티오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2의 탄소수가 8개인 티오화합물, R2의 탄소수가 10개인 티오화합물, R2의 탄소수가 12개인 티오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이 들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본 발명의 수지용 내열첨가제는 고분자 수지에 특정 함량으로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내열첨가제는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05 ~ 3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지용 내열첨가제를 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 시 내열첨가제로 인한 열안정성 효과를 볼 수 없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로는 에틸렌 중합체(polyethylene, PE), 프로필렌 중합체(polypropylene, PP), 스티렌 중합체 (polystyene, PS), 우레탄 중합체 (polyurethane, PU), 스티렌-아크릴니트릴 블록 공중합체(styene-acrylonitrile, SAN),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crylonitrile-butadiene-styene, ABS)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 티오화합물의 합성]
합성예 1: 알킬레이션 화합물의 제조
p-크레졸(324 g), BF3 에테르 용액(boron trifluoride etherate) (5.5 g)를 혼합한 후, 90℃까지 가열하고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132 g)을 1시간 동안 서서히 첨가한 다음, 3시간 반응을 더 시킨 후, 얻어진 반응용액을 190℃ 및 15 mmHg 압력 조건에서 농축시켜서 300 g의 알킬레이션 화합물(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11037559117-pat00003
제조예 1 :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티오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2]
Figure 112011037559117-pat00004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알킬레이션 화합물(1 당량)을 동일 양의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파라포름알데하이드(2 당량), 옥틸메르캅탄(2 당량), 50% 농도의 디메틸아민(0.2 당량) 수용액을 첨가한 후, 10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반응생성물로부터 분리된 유기층을 감압농축하여 농축된 연갈색 액체의 티오 화합물을 제조하여 그 전환율과 순도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2 :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티오화합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옥틸메르캅탄 대신 데칸메르캅탄을 사용하여 티오화합물을 제조하여 제조예 2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3]
Figure 112011037559117-pat00005

제조예 3 :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티오화합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옥틸메르캅탄 대신 도데칸메르캅탄을 사용하여 티오화합물을 제조하되 반응시간을 120℃에서 2시간으로 하여 반응시켜, 제조예 3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4]
Figure 112011037559117-pat00006

구 분 메르캅탄 반응조건 전환율 (%) 순도
(%)
제조예 1 옥틸메르캅탄 100 ℃, 3 시간 99 95
제조예 2 데칸메르캅탄 100 ℃, 3 시간 97 93
제조예 3 도데칸메르캅탄 120 ℃, 3 시간 95 92
상기 합성예 및 제조예에서 얻어진 각 화합물의 MS 및 GPC 스펙트럼 결과는 본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10-2009-0085477에 첨부되어 있으며, 본 출원에서는 중복하여 첨부하지 않으나, 상기 특허출원에 기재된 내용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참조될 수 있다.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제조]
[ 실시예 1]
그라프트 ABS(g-ABS) 분말 (금호석유화학, HR-181, 고무함량 60%)+ 고 AN SAN 수지(high AN SAN) (금호석유화학, SAN350HM, AN 33%, 스티렌모노머(SM) 67%, 분자량 150k) + 고분자량 SAN수지 (금호석유화학, SAN300H, AN 28%, SM 72%, 분자량 180k)의 중량 비율이 30, 20, 50 이 되도록 혼합하여 제조한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1를 통해 얻어진 내열첨가제(산화방지제)를 0.15 중량부 혼합하여 240℃ 트윈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그라프트 ABS(g-ABS) 분말 (금호석유화학, HR-181, 고무함량 60%)+ 고 AN SAN 수지(high AN SAN) (금호석유화학, SAN350HM, AN 33%, 스티렌모노머(SM) 67%, 분자량 150k) + 고분자량 SAN수지 (금호석유화학, SAN300H, AN 28%, SM 72%, 분자량 180k)의 중량 비율이 30, 20, 50 이 되도록 혼합하여 제조한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2를 통해 얻어진 내열첨가제(산화방지제)를 0.15 중량부 혼합하여 240℃ 트윈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그라프트 ABS(g-ABS) 분말 (금호석유화학, HR-181, 고무함량 60%)+ 고 AN SAN 수지(high AN SAN) (금호석유화학, SAN350HM, AN 33%, 스티렌모노머(SM) 67%, 분자량 150k) + 고분자량 SAN수지 (금호석유화학, SAN300H, AN 28%, SM 72%, 분자량 180k)의 중량 비율이 30, 20, 50 이 되도록 혼합하여 제조한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3을 통해 얻어진 내열첨가제(산화방지제)를 0.15 중량부 혼합하여 240℃ 트윈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그라프트 ABS(g-ABS) 분말 (금호석유화학, HR-181, 고무함량 60%)+ 고 AN SAN 수지(high AN SAN) (금호석유화학, SAN350HM, AN 33%, 스티렌모노머(SM) 67%, 분자량 150k) + 고분자량 SAN수지 (금호석유화학, SAN300H, AN 28%, SM 72%, 분자량 180k)의 중량 비율이 30, 20, 50 이 되도록 혼합하여 제조한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종래부터 사용되던 내열첨가제(산화방지제)인 AO 1076 및 PEP-8 각각을 0.15 중량부 혼합하여 240℃ 트윈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구분 ABS
수지
내열첨가제 (단위:중량부)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AO 1076(1) PEP-8(2)
실시예 1 100 0.15 - -
실시예 2 100 - 0.15 -
실시예 3 100 - - 0.15
비교예 1 100 0.15 0.15
(1) AO 1076 :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네이트 (octadecyl-3-(3,5-di-t-butyl-4-hydroxypheny)-propionate, Ciba사, 상품명 Irganox 1076)
(2) PEP-8 : 3,9- 비스(옥타데실옥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페스피로[5.5]언데칸 (3,9-bis(octadecyloxy)-2,4,8,10-tetraoxa-3,9-diphosphaspiro[5.5]undecane, Adeka사 상품명ADK PEP-8)
[ 실시예 4]
폴리프로필렌(평균분자량 250k)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1를 통해 얻어진 산화방지제를 0.15 중량부 혼합하여 240℃ 트윈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폴리에틸렌(평균분자량 250k)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1를 통해 얻어진 산화방지제를 0.15 중량부 혼합하여 240℃ 트윈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폴리스티렌(평균분자량 100k)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조예 1를 통해 얻어진 산화방지제를 0.15 중량부 혼합하여 150℃ 트윈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4]
종래의 내열첨가제를 사용하여 하기 표 3의 조성을 갖도록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PP
수지
PE
수지
PS
수지
내열첨가제 (단위:중량부)
제조예 1 AO 1010(3) BHT(4) TNPP(5)
실시예 4 100 0.15
실시예 5 100 0.15
실시예 6 100 0.15
비교예 2 100 0.15 0.15
비교예 3 100 0.15 0.15
비교예 4 100 0.15 0.15
(3) AO 1010 : 페타에트리틸-테트라키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네이트] (pentaerythrityl-tetrakis[3,5-di-t-butyl-4-hydroxypheny)-propionate], Ciba사, 상품명 Irganox 1010)
(4) BHT : 2,6-디-t-부틸-4-메틸페놀 (2,6-di-t-butyl-4-methylphenyl, Aldrich사)
(5) TNPP : 트리스(4-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4-nonylphenyl)phsophite, Chemtura사, 상품명 Weston 399)
[성능평가]
1. 열안정성 테스트 실험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펠렛을 7ⅹ5㎝ 컬러시편을 만들어 컬러를 측정하여 열안정성을 관찰하였다. 열안정성의 관찰은 수지를 240도 10분 체류 시킨 후 4회 연속 사출하여 초기와 나중의 컬러 L, a, b를 측정하여 열에 의한 변색 정도를 나타내는 E값을 계산하였다. E = (L2 + a2 +b2)1/2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E값이 작을수록 열안정성이 좋다.
구분 산화방지제 함량 (phr) E
실시예 1 0.15 0.525
실시예 2 0.15 0.557
실시예 3 0.15 0.573
실시예 4 0.15 0.502
실시예 5 0.15 0.485
실시예 6 0.15 0.473
비교예 1 0.3 0.741
비교예 2 0.3 0.513
비교예 3 0.3 0.492
비교예 4 0.3 0.567
표 4를 보면, 실시예 1~6은 비교예 1~4의 산화방지제 사용량의 절반만 사용하고 종류를 1종류만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E값이 작게 나타남으로써 수지의 변색이 적게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특정 티오 화합물을 산화방지제로 사용한 경우가 종래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한 경우 보다 효과가 우수하며, 그 사용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티오 화합물은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을 사용하여 분자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휘발성 문제를 해결하고 1차 산화방지제와 2차 산화방지제의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는 산화방지제로서 기존 내열첨가제인 BHT 및 AO 1076 등과 비교하여 적은 양으로도 열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일반 물성 평가
구분 인장강도 (kg/cm3) 신율 (%)
실시예 1 526 21.3
실시예 2 520 22.8
실시예 3 511 21.8
실시예 4 381 645
실시예 5 438 665
실시예 6 471 1.9
비교예 1 508 23.8
비교예 2 370 660
비교예 3 421 680
비교예 4 460 2.0
표 5를 보면, 실시예 1~6은 비교예 1~4의 산화방지제 사용량의 절반만 사용하고 종류를 1종류만 사용하여 제조된 샘플을 이용하여 일반물성을 평가한 결과, 인장강도 및 신율 등 전체적인 수지 물성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오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화학식 1]
    Figure 112011037559117-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CH2SR2이고, R2는 탄소수 5 ~ 16을 갖는 직쇄형, 분쇄형 또는 고리형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6을 갖는 방향족기이며, n은 1≤n≤20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티오화합물의 R2가 탄소수 5~12인 직쇄형, 분쇄형 또는 고리형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티오화합물은 수평균분자량이 400~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4.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 및
    청구항 1 내지 3 중 하나의 내열첨가제 0.01 ~ 5 중량부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에틸렌 중합체, 프로필렌 중합체, 스티렌 중합체, 우레탄 중합체, 스티렌-아크릴니트릴 블록 공중합체,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20110047577A 2011-05-19 2011-05-19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1195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577A KR101195233B1 (ko) 2011-05-19 2011-05-19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PCT/KR2011/004854 WO2012157808A1 (ko) 2011-05-19 2011-07-01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577A KR101195233B1 (ko) 2011-05-19 2011-05-19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233B1 true KR101195233B1 (ko) 2012-10-29

Family

ID=4717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577A KR101195233B1 (ko) 2011-05-19 2011-05-19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5233B1 (ko)
WO (1) WO2012157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9699B2 (en) * 2015-10-30 2017-11-07 Fina Technology, Inc. Alternative methods to control crosslinking in high impact polystyre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4518A1 (en) 1997-09-29 2001-11-22 Kurt Hoffmann Dust-free, epoxy-containing stabilizer granules and the preparation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29708C (en) * 1989-11-14 2003-07-29 Paul Dubs Stabilizer mixtures for elastomers
KR100221924B1 (ko) * 1996-12-23 1999-09-15 유현식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96934B1 (ko) * 2003-12-09 2006-07-04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4518A1 (en) 1997-09-29 2001-11-22 Kurt Hoffmann Dust-free, epoxy-containing stabilizer granules and the preparat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7808A1 (ko)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173B1 (ko) Pbat 수지 조성물
KR101173215B1 (ko) 신규한 티오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02130A1 (en) Polyurethane foam or polyether polyol stabilized with a benzofuranone-phosphite derivative
KR101195233B1 (ko) 고분자 수지용 내열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CN105367984A (zh) 一种tpe拉力带料及其制备方法
KR20230167119A (ko) 분자내 복합형 힌더드 페놀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CN103328556B (zh) 用于树脂组合物的增塑剂及含有该增塑剂的树脂组合物
TWI398457B (zh) 聚醚多元醇,聚酯多元醇及聚氨基甲酸酯的穩定
KR101537860B1 (ko) 내감마선 성능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397655B1 (ko)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 또는 가소제로 유용한 스티렌네이티드 페놀
KR101146246B1 (ko) 고무용 산화방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고무
CN107903186B (zh) 一种酰胺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1537172B1 (de) Stabilisierte blockcopolymere aus styrolmonomer und dienmonomer
CN104327384A (zh) 一种聚丙烯组合物和聚丙烯粒料
WO2012138001A1 (ko) 고무용 산화방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합성고무
KR101445350B1 (ko) 내열성 고무의 제조방법
EP2909213A2 (en) Tetraoxa diphosphaspiro compounds
CN107459809A (zh) 一种磷氮协同阻燃的热塑性聚氨酯
US3361729A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KR20020044387A (ko) 열안정성 및 광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690423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用着色防止剤
CN107602411B (zh) 酰胺类化合物及其制备和应用方法
CN111320851B (zh) 稳定聚碳酸酯的抗氧化剂
CN109294071B (zh) 低voc聚丙烯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32842B1 (ko) 컬러 회복 성능이 향상된 내감마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