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659B1 -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용기의 충전 표시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용기의 충전 표시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659B1
KR101193659B1 KR1020077023961A KR20077023961A KR101193659B1 KR 101193659 B1 KR101193659 B1 KR 101193659B1 KR 1020077023961 A KR1020077023961 A KR 1020077023961A KR 20077023961 A KR20077023961 A KR 20077023961A KR 101193659 B1 KR101193659 B1 KR 101193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material
container
printing
reservoir
destruct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007A (ko
Inventor
존 티에지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070121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Ink Jet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장치(112)는 프린팅 장치(102)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장치(112)는, 내부에 프린팅 재료(110)를 보유하기에 적당한 저장소(204)를 형성하고, 상기 프린팅 재료(110)가 상기 저장소(204)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된 출구 특징부(206)와, 소정량의 상기 프린팅 재료(110)가 상기 저장소(204) 내에 증착되도록 구성된 입구 특징부(208)를 포함하는 하우징(202)과, 상기 하우징(202) 내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충전 표시기(212, 212', 212'', 212''')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표시기(212, 212', 212'', 212''')는, 상기 입구 특징부(208)가 상기 소정량의 프린팅 재료(110)가 상기 저장소(204) 내에 증착되는데 이용될 때 변경되어 검출가능하도록 구성된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 및 상기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특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216)를 포함한다.
충전 표시기, 프린팅 재료, 파괴 기구

Description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용기의 충전 표시 제공 방법{PRINTING CONTAINER FILL INDICATOR}
본 발명은 프린팅 장치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린트 용기 충전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프린팅 장치는 통상적으로, 프린팅 재료가 프린트 작업 중에 다 소모되었을 때 때때로 대체될 필요가 있는 소모성의 프린팅 재료 용기들을 가진다.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팅 장치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잉크 카트리지 또는 용기들을 대체할 필요가 있으며, 한편, 레이저 프린팅 장치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토너 카트리지 또는 용기들을 대체할 필요가 있다.
어떤 경우, 대체 용기가 프린팅 재료로 충전된 때가 언제인지 프린팅 장치의 사용자가 아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수반하는 도면을 인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표시기를 구비한 용기를 가지는 예시적인 프린트 환경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표시기를 가지는 예시적인 용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c)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표시기를 가지는 서로 다른 예시적인 용기들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a)-(e)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과정 전, 후의 예시적인 충전 표시기의 예시적 파괴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a)-(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과정 전, 후의 예시적인 충전 표시기의 또 다른 예시적 파괴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a)-(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과정 전, 후의 예시적인 충전 표시기의 또다른 예시적 파괴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a)-(d)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과정 전, 후의 예시적인 충전 표시기의 또다른 예시적 파괴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은 통신 링크(106)를 통하여 컴퓨터 장치에 결합된 프린팅 장치(102)를 가지는 예시적인 프린트 환경(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프린팅 장치(102)는, 소모성 프린팅 재료(110)를 사용하는 매체(108) 상에 정보를 프린트할 수 있는 어떤 장치를 나타낸다. 그러한 프린팅 장치의 예로는 잉크젯 프린트,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러 등이 있다. 매체(108)는, 프린트될 수 있는 어떤 물질을 나타낸다. 매체의 예로는 종이, 플라스틱, 피륙 등이 있다. 소모성 프린팅 재료(110)는, 매체(108) 상에 정보를 프린트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를 나타낸다. 실시예로서, 어떤 예시적 실시에 있어서, 프린팅 재료(110)는 잉크, 정착제 등과 같은 유체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 실시에 있어서, 프린팅 재료(110)는 토너 등과 같은 비-유체 재료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프린팅 재료(110)는 용기(112) 내에 설치되고, 그 내부로 삽입 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프린트 메커니즘(114)에 의해 사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용기(112)는 용기(1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저장소(120) 내에서 동작되도록 배치된다. 프린팅 장치(102)는 하나 이상의 용기(112)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프린트 메커니즘(114)을 가질 수 있다. 용기(112)는 충전 표시기(212)를 포함하고, 그것은 이하에 매우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용기(112)는 또한 메모리(128) 또는 용기(112)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어떤 다른 장치를 포함한다.
프린트 메커니즘(114)은 프린팅 재료(110)를 사용하여 매체(108)에 정보를 선택적으로 프린트하는 임의의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이리하여, 예를 들면, 프린트 메커니즘(114)은, 프린트 데이터(116)에 응답하여 매체(108)로 유액 방울들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프린트헤드로서 구성되는 회로 및 다른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린트 메커니즘(114)은, 프린트 데이터(116)에 응답하여 매체(108)로 토너 입자 들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녹이도록 구성되는 회로 및 다른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프린트 데이터(116)는 프린팅 장치(102)에 의해 국부적으로 발생되거나 또는 컴퓨터 정치(104)에 의해 원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프린팅 장치(102)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8)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8)는, 예를 들면, 입력 키, 터치 스크린, 포인팅 장치, 또는 인터페이스 같은 다른 것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8)는, 예를 들면, 그래픽 디스플레이 메커니즘, 디스플레이 스크린, 조명된 구성, 오디오 메커니즘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하거나 피드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104)는, 프린트 과정 및/또는 서비스 과정을 지원함에 있어서 프린팅 장치(102)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나타낸다. 프린팅 장치를 지원할 때,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104)는, 프린트 데이터(116)를 통신 링크(106)를 통하여 프린팅 장치(102)로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104)는, 프린트 과정, 프린팅 장치(102), 등에 관하여, 프린트 과정을 지원하여 프린팅 장치(102)로부터, 정보를 수용할 수도 있다.
프린팅 장치 등에 관한 다른 정보가, 서비스 과정을 지원하여 컴퓨터 장치 및 프린팅 장치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예로서, 한 서비스 과정은 용기(112)의 대체일 수 있다. 여기서, 대체 용기의 조건 또는 상태에 관한 정보가 컴퓨터 장치(104)에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104)는 용기의 조건/상태에 관하여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 또는 피드백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어떤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104)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포켓용 컴퓨터, 퍼스널 디지털 보조 장치, 휴대용 전화 장치, 디지털 카메라, 서버 장치 또는 기타 다른 장치/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분리되어 설명되어 있기는 하나, 어떤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장치(104) 및 프린팅 장치(102)가 단일 장치로 병합될 수 있고, 그 단일 장치 내부에 있는 통신 링크(106)에 의하여 병합될 수 있다.
통신 링크(106)는 임의의 통신 매체를 나타내고 그리고/또는 컴퓨터 장치(104) 및 프린팅 장치(102) 사이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회로와 결합된다. 통신 링크(106)는, 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통신 링크(106)는, 지역 네트워크, 인트러넷,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회로"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된 명령의 임의의 형태 및/또는 그들의 혼합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바와 같은 디지털 로직 및/또는 아날로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회로"는, 함께 구동되도록 결합된 복수의 분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프린팅 장치(102)는, 용기(112), 특히 충전 표시기(212)와 인터페이스 접속되도록 구성된 회로(12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실시예에서, 회로(122)는 충전 표시기(212)와 함께 구동되도록 결합되고, 용기(112)가 프린팅 재료(110)로 충전되었는지 어떤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회로(122)는, 용기(112)가 충전되었다고 결정했다면, 회로(122)는 그러한 결정(또는 부족하다는 결정)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18), 예를 들면 표시기 등, 오디오 신호, 디스플레이 메시지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회로(122)는 또한 (또는 선택적으로) 그러한 결정을 표시하는 다른 회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104)는 회로(122)로부터 통신링크(106)를 통하여 정보를 수용하기 위하여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로(124)를 포함한다. 정보는 그러한 충전 결정을 표시할 수도 있고, 아니면 충전 표시기로부터 얻어진 미처리 및/또는 부분적으로 처리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정보와 함께, 회로(124)는 프린팅 재료(110)로 충전되었는 지 어떤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단 회로(124)가 그러한 충전 결정을 했다면 (또는 제공했다면), 회로(124)는, 그러한 결정 또는 결정 불비를, 디스플레이(126)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메시지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한 메시지는 용기(112)가 충전되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메시지는 용기(112)가 충전되지 않았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회로(112)는, 만약 존재한다면, 그러한 결정을 표시한 메모리(128)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회로(124)는, 회로(122)를 이용하여 충전 표시기(212)와 구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통신 링크(106)와 협력하여 필수적으로 통신 접속을 완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회로(122) 전체 또는 일부가 용기(112) 및/또는 충전 표시기(212)의 일부로서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충전 표시기(212)는 용기(112)의 일부이거나 또는 용기(112)의 내장 로직 및/또는 메모리 회로와 구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며,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 대표적 용기(112)의 어떤 예시적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2)는 프린팅 재료(110)를 보유하기 위하여 그 안에 저장소(204)를 형성한 하우징(202)를 포함한다. 저장소(204)는 필요한 대로 그 안에 다른 물질 또는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백, 기포, 거품 또는 다른 심지 물질이 잉크젯 프린트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유체 보유 및 다른 목적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구획부, 혼합 메커니즘 등이 레이저 프린트 작업시 토너 혼합 및 운동을 위해 제공된다.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어떤 실시예에서 용기(112)는 프린터헤드 메커니즘(미도시)에 병합될 수도 있고 아니면 그밖에 프린트헤드 메커니즘(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202)은, 프린트 과정을 지원하여 프린팅 재료(110)가 저장소(204) 내에서부터 배출되거나 아니면 그밖에 접근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출구 특징부(예를 들면, 출구 포트(206))를 포함한다. 하우징(202)은 또한 프린팅 재료(110)가 저장소(204) 내에 증착되거나 아니면 그밖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입구 특징부(예를 들면, 충전 포트(208))를 포함한다.
출구 포트(206)) 및 충전 포트(208)는, 프린팅 장치(102) 및/또는 프린팅 재료(110)의 형태에 따라 프린트, 서비스 및/또는 충전 공정을 실행하거나 또는 그밖에 지원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형상, 형태로 될 수 있고, 여러 가지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용의 충전 포트(208)는, 셀프-실링 메커니즘 (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니들 또는 다른 구성이 저장소(204) 내로 일시적으로 들어가서 그 내부로 추가의 (가능하게는 서로 다른) 프린팅 재료(110)를 도입할 수 있게 하는 격벽 또는 기타의 다른 특징부를 제공함으로써, 유체가 의도되지 않게 저장소(204)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막도록 기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 프린터용의 충전 포트(208)는, 토너가 의도되지 않게 저장소(204)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막도록 기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포트(208)는 실링가능 메커니즘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빗장을 걸거나 자동으로 폐쇄하는 작은 해치 또는 도어, 또는 그를 통하여 추가의 (가능하게는 서로 다른) 프린팅 재료(110)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타의 다른 구성이 그것이다.
단지 몇가지 실시예가 있고; 당업자는 잘 알려져 있는 여러 기계적 구성이 사용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충전 포트(208)에 사용된 메커니즘(들)에 관계없이, 충전 공정 동안 충전 포트(208) 내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개구(210)가 있을 것이다.
용기(112)는 충전 포트(208)를 이용하는 충전 공정의 결과로서 검출 가능하게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충전 표시기(212)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리하여, 예를 들면 어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전 표시기(212)의 파괴 기구(214)는, 개구(210)가 생성될 때 또는 그밖에 저장소(204)에 충전할 처음에 사용될 때 영구적으로 변경된다. 결과로 발생하는 파괴 기구(214)의 변경은, 어떤 방식으로, 파괴 기구(214)의 적어도 하나의 검출가능한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킨다. 예로서, 예를 들면 니들(미도시) 등과 같은 충전 장비 또는 기구는 개구(210)를 통과하기 전에 파괴 기구를 변경시킬 것이다.
예를 들면, 검출가능한 전기적 특성은, 파괴 기구(214)와 연관된, 저항 특성, 용량 특성, 유도 특성,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것으로서, 그 전기적 특성은 변경 전 초기 상태 및 변경 후 다른 상태를 나타내게 될 것이다. 따라서, 결정은 충전 포트(208)가 충전 공정 동안 사용되었는지 사용되지 않았는지에 관하여 전기적 특성의 검출에 대응하여 또는 다른 회로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충전 표시기(212)의 파괴 기구(214)의 전기적 특성을 검출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216)가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6)는 회로(122 및/또는 124)가 파괴 기구(214)의 전기적 특성을 전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경로, 접촉부, 단자, 안테나,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도성 구성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216)는 회로(122)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도 3(a)-(c)를 살펴보면, 용기(112)의 충전 표시기의 어떤 예시적인 선택적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에서, 충전 표시기(212')는 저장소(20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있는 충전 포트(208) 및 파괴 기구(214) 보다 용기(112)의 다른 측에 배치된 인터페이스(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충전 공정 중에, 니들(미도시)은 개구(210)를 통과한 후 파괴 기구를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3(b)에서 충전 표시기(212'')는 대응하는 무선부(302)와 통신하도록 배치된 무선 인터페이스(216)를 포함한다. 무선부(302)는 예를 들면 회로(122 또는 124)의 일부일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201)는 능동 또는 수동 무선 성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216)는 트랜스폰더, 라디오 주파수 식별 장치(RFID) 또는 유사 장치, 안테나, 또는 파괴 기구가 변경되었거나 변경되지 않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원격 검출가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저장소(204) 내에 있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으나, 무선 인터페이스(216)는 저장소(204) 외부에 전체 또는 일부가 배치된 것으로서 인식된다.
무선부(302)는 무선 인터페이스(216)가 파괴 기구(214)의 상태 또는 조건을 나타내는 어떤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하는 질문 신호 등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예를 들면, 어떤 실시예에서, 파괴 기구(214)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무선 인터페이스(216)는 복귀 신호를 전송 또는 반사함으로써 차례로 응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파괴 기구(214)가 변경되었다면, 무선 인터페이스(216)는 그러한 복귀 신호에 응답하지 않게 된다. 어떤 실시예에서 이 과정은, 파괴 기구(214)가 변경되기 전까지, 무선 인터페이스(216)가 복귀 신호를 전송 또는 반사함으로써 차례로 응답할 수 없도록 그렇게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전자기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어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무선 인터페이스(216) 및 무선부(302)가, 용기(112)가 프린팅 재료(110)로 충전된 결과로서 파괴 기구(214)가 변경되었는지 변경되지 않았는지를 회로(122 및/또는 124)에 표시하는 기능을 필수적으로 실행하는 자기, 유도성 및/또는 용량성 "무선" 커플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c)는, 어떤 실시예에서, 충전 표시기(21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202)의 구조 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파괴 기구(214)가 하우징(202)의 벽(218) 내에 배치되고 인터페이스(216)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202)의 외부로 접근 가능하다. 인터페이스(216)가 무선이라면, 그것은 또한 벽(218) 내에 배치될 것이다.
당업자들은 용기의 충전 표시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도 4(a)-(e)가 참조되고, 그것들은 충전 과정 동안 변경되기 전, 후의 예시적 파괴 기구(400)를 도시한다.
도 4(a)는, 니들이 일단 회수되어 상기 니들이 삽입 및 탄성적으로 폐쇄할 때 슬릿 개구(403)에서 개방에 의해 충전 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포트(402)를 도시한다. 충전 포트(402)는, 예를 들면, 유연한 고무, 플라스틱 또는 다른 유사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포트들 및 다른 것들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도 4(b)는 도 4(a)의 충전 포트를 이용하는 파괴 기구(400)를 도시한다. 여기서, 전기 전도성 부재(404)가 충전 포트(40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특히 슬릿 개구(403)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전기 전도성 부재(404)는 이 변경되지 않은 조건에서 전기 전도를 가능하게 하고,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와이어, 궤적, 물질층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리하여, 전기 전도성 부재(404)는 회로(122 및/또는 12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검출가능하고 결정가능한 초기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도 4(c)는 충전 포트(402)를 통한 니들의 삽입 중에 파괴 기구(40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개구(403)는 니들이 그를 통하여 힘을 받을 때 개방되기 시작하고, 부재(404)에 압박(stress) 또는 장력(tension)으로 압력을 추가한다. 도 4(c)에서 입증을 위하여, 부재(404)는 이 압력의 결과로서 당기거나/좁아지는 것으로서 설명된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설명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부재(404)가 그러한 압력에 더욱 쉽게 부서지거나 다른 응답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 져야 한다.
도 4(d)는 니들(406)이 충전 포트(402) 및 부재(404)를 관통한 후의 파괴 기구(400)를 도시한다. 여기서, 니들(406)은, 프린팅 재료(110)가 저장소(204) 내로 통과하여 도입될 수 있도록 하는 채널(408)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개구(403)는 니들(406)을 위하여 개방되었고 니들 삽입 중에 부재(404)는 두 부분, 즉 제 1 부재부(404a) 및 제 2 부재부(404b)로 분리되었다.
도 4(e)는 니들(406)이 충전 포트(402)로부터 후속하여 제거된 후의 파괴 기구(40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개구(403)가 폐쇄되고 밀폐된다. 부재(404)는 제 1 부재부(404a) 및 제 2 부재부(404b)로 분리된 상태로 남아 있다. 이 조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재부(404a)는 제 2 부재부(404b)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결과적으로, 이제 전기 전도성 부재(404)는 회로(122 및/또는 124)에 의해 전기적으로 검출가능 또는 결정가능한 변경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충전 포트(402) 및 부재(404)가 이들 실시예에서 분리된 것으로 설명되나, 어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 포트가 일단 사용되면 그것은 적어도 하나의 서 로 다른 검출가능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도록 그렇게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d)를 참조하면, 그것은 충전 과정 동안 변경되기 전후의 또 다른 예시적 파괴 기구(500)를 도시한다.
도 5(a)는, 니들이 일단 회수되어 상기 니들이 삽입 및 탄성적으로 폐쇄할 때 실링 홀 개구(502)에서 개방에 의해 충전 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포트(402)를 도시한다. 충전 포트(402)는, 예를 들면, 유연한 고무, 플라스틱 또는 다른 유사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의 충전 포트를 이용하는 파괴 기구(500)를 도시한다. 여기서, 전기 전도성 부재(504)가 충전 포트(40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고 특히 근처 홀 개구(50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기 전도성 부재(504)는 변경가능부(506)를 포함하며, 이 변경가능부(506)는 작동하여 충전 공정 중에 상기 부재(504)의 적어도 하나의 검출가능한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어떤 방식으로 변경되게 된다. 그리하여, 전기 전도성 부재(504)는 회로(122 및/또는 12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검출가능하고 결정가능한 초기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추가의 예로서, 어떤 실시예에서, 부재(504)는, 전기 접촉을 형성 또는 차단하는, 또는 어떤 다른 방식으로 충전 공정이 발생한 것을 기록하거나 확인하는, 스위칭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d)는 기계적 작동된 스위치를 도시하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스위칭 메카니즘이 스위치와 보통 연관되어 기계적으로 변화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거나 구비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체 상태 스위치 메카니즘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도성 물질(들)로 된 하나 이상의 층들 또는 다른 형태의 물질이 펑크나거나 그밖에 부재(504)의 검출가능한 전기적 특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형태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c)는, 충전 포트(402)를 통하여 니들(406)이 관통하여 변경가능부(506) 및 부재(504)에 영향을 끼친 후의 파괴 기구(50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홀 개구(502)는 니들(406)을 위해 개방되었고, 니들 삽입 중에 변경가능부(506)가 이동되었거나 아니면 그밖에 니들(406)과 접촉을 통하여 작동되었다.
도 5(d)는, 니들(406)이 충전 포트(402)로부터 후속하여 제거된 후의 파괴 기구(50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홀 개구(502)가 폐쇄되고 밀폐된다. 전기 전도성 부재(504)는, 도 5(b)에 도시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있는 변경가능부(50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이 결과적 위치/상태에서, 이제 전기 전도성 부재(504)는 회로(122 및/또는 124)에 의해 전기적으로 검출가능 또는 결정가능한 다른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도 6(a)-(d)는, 토너를 보유한 용기에 대해 실행되는 것으로서, 충전 과정 동안 변경되기 전, 후의 예시적 파괴 기구(600)를 도시한다.
도 6(a)는, 힌지부(603) 또는 다른 유사한 구성에서 이동 가능하게 개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202) 내에 형성된 충전 포트(602)를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의 충전 포트를 이용하는 파괴 기구(600)를 도시한다. 여기서, 전기 전도성 부재(604)가 충전 포트(60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전기 전도성 부재(604)는 이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 전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와이어, 궤적, 재료층들 등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전기 전도성 부재(604)는 회로(122 및/또는 12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검출가능하고 결정가능한 초기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도 6(c)는, 프린팅 재료(110)가 저장소(204)로 추가되도록 하기 위한 개방시의 파괴 기구(600)를 도시한다. 여기서, 충전 포트(602)는 저장소(204)를 드러나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부(603) 상에서 흔들려 개방되었다. 충전 포트(602)는 상방으로 흔들리는 도어 또는 해치로서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포트(602)의 개구는 부재(604)를 두 부분으로, 즉 제 1 부재부(604a) 및 제 2 부재부(604b)로 분리시켰다.
도 6(d)는 후속하여 폐쇄된 때 파괴 기구(400)를 도시한다. 부재(604)는 제 1 부재부(604a) 및 제 2 부재부(604b)로 분리된 상태로 남아 있다. 이 조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재부(604a)는 제 2 부재부(604b)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결과적으로, 이제 전기 전도성 부재(604)는 회로(122 및/또는 124)에 의해 전기적으로 검출가능 또는 결정가능한 변경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충전 포트(602) 및 부재(604)가 이들 실시예에서 분리된 것으로 설명되나, 어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 포트가 일단 사용되면 그것은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검출가능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도록 그렇게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a)-(d)는, 충전 과정 동안 변경되기 전, 후의 또 다른 예시적 파괴 기구(700)를 도시한다.
도 7(a)는, 힌지부(603) 또는 다른 유사한 구성에서 이동 가능하게 개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202) 내에 형성된 충전 포트(602)를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의 충전 포트를 이용하는 파괴 기구(700)를 도시한다. 여기서, 전기 전도성 부재(704)가 충전 포트(60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기 전도성 부재(704)는 변경가능부(706)를 포함하며, 그것이 작동함으로써 충전 공정 중에 상기 부재(704)의 적어도 하나의 검출가능한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어떤 방식으로 변경되게 된다. 그리하여, 전기 전도성 부재(704)는 회로(122 및/또는 12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검출가능하고 결정가능한 초기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추가의 예로서, 어떤 실시예에서, 부재(704)는, 전기 접촉을 형성 또는 차단하는, 또는 어떤 다른 방식으로 충전 공정이 발생한 것을 기록하거나 확인하는, 스위칭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c)는, 프린팅 재료(110)가 저장소(204)에 추가되도록 하기 위하여 충전 포트(602)가 개방된 때의 파괴 기구(700)를 도시한다. 여기서, 충전 포트(602)는 저장소(204)를 드러나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부(603) 상에서 흔들려서 개방되었다. 도 7(c)에서, 충전 포트(602)가 상방으로 흔들리는 도어 또는 해치로서 도시됨을 유의하라. 충전 포트(602)의 개방은 어떤 방식으로 변경가능부(706)의 원인이 되었다.
도 7(d)는, 충전 포트가 후속하여 폐쇄된 후의 파괴 기구(700)를 도시한다. 부재(704)는, 도 7(b)에 도시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있는 변경가능부(70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이 결과적 위치/상태에서, 이제 전기 전도성 부재 (704)는 회로(122 및/또는 124)에 의해 전기적으로 검출가능 또는 결정가능한 다른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예시적 실시예와 관련한 방법은, 프린팅 재료(110)를 충전 포트(208)를 통하여 수용하고, 프린팅 재료(110)를 저장소(204) 내에 유지하고, 그리고 프린팅 재료(110)를 출구 포트(206)을 통하여 분배하도록 구성된 용기(112)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프린팅 재료(110)의 초기 양을 용기(112) 내에 제공하는 단계와, 그리고 용기(112)에 충전 표시기(212)를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충전 표시기(212)는 파괴 기구(214)를 포함하고, 그것은, 충전 포트(208)가 프린팅 재료(110)를 저장소(204) 내에 증착하는데 이용되는 경우에 변경되어 검출되도록 구성된다. 인터페이스(216)는 파괴 기구(21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파괴 기구(214)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특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상기 전기적 특성은 전기적 저항 특성, 전기적 용량 특성, 전기적 유도 특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 실시예와 관련된 또 다른 예시적 방법은, 충전 표시기(212)를 변경시켜 검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충전 포트(208)를 통하여 소정량의 프린팅 재료(110)를 용기(112)에 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용기(112)를 프린팅 장치(11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단계, 인터페이스(216)를 이용하여 파괴 기구(21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파괴 기구(214)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특성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용기(112)가 상기 검출된 전기적 특성을 기초로 하여 충전 포트(208)를 통하여 충전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용기(112)가 충전 포트(208)를 통하여 충전되었는지를 결정한 경우, 용기(112)가 충전되었는지를 결정했다는 것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8, 126)를 통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록 상기의 설명이 구조적/기능적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인 작용원리에 대데해 특별한 언어로 기술되었다 하더라도, 수반되는 청구범위는 기술된 특별한 특징 및 작용원리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오히려, 그 특별한 구성 및 작용원리는 이 명세서를 구현하는 예시적 형태이다.

Claims (10)

  1.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112)에 있어서,
    내부에 프린팅 재료(11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저장소(204)를 형성하고, 상기 프린팅 재료(110)가 상기 저장소(204)로부터 배출되게 하도록 구성된 출구 특징부(206) 및 소정량의 상기 프린팅 재료(110)가 상기 저장소(204) 안에 넣어지게 하도록 구성된 입구 특징부(208)를 갖는 하우징(202)과;
    상기 하우징(202)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충전 표시기(212, 212', 212'', 212''')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표시기(212, 212', 212'', 212''')는,
    상기 입구 특징부(208)가 상기 소정량의 상기 프린팅 재료(110)를 상기 저장소(204) 안에 넣기 위해 사용될 때 검출 가능하게 변경되도록 구성된 파괴 기구(breach mechanism)(214, 400, 500, 600, 700)와;
    상기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특성을 검출하게 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216)를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특성은, 상기 입구 특징부(208)가 상기 소정량의 상기 프린팅 재료(110)를 상기 저장소(204)에 넣기 위해 사용되기 전에 제 1 상태에 있고, 일단 상기 입구 특징부(208)가 상기 소정량의 상기 프린팅 재료(110)를 상기 저장소(204) 안에 넣기 위해 사용되면 상기 제 1 상태와는 다른 제 2 상태에 있는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216)는 상기 장치(112)의 외부에 있는 회로(122, 124, 302)에 의해 상기 전기적 특성을 검출하게 하도록 구성 가능한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216)는 상기 전기적 특성을 검출하게 하도록 구성된 상기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로(122, 302)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122, 302)는 상기 전기적 특성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입구 특징부(208)의 개구(210, 402, 502, 602)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상기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의 상기 일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부재(404, 504, 604, 704)를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부재(404, 604)는, 상기 입구 특징부(208)가 상기 소정량의 상기 프린팅 재료(110)를 상기 저장소(204) 안에 넣기 위해 사용될 때, 적어도 2개의 전기 절연된 부분(404a 및 404b, 604a 및 604b)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의 상기 일부분은, 상기 입구 특징부(208)가 상기 소정량의 상기 프린팅 재료(110)를 상기 저장소(204) 안에 넣기 위해 사용될 때, 상기 전기 전도성 부재(504, 704)와 전기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전기 전도성 부재(504, 704)를 더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8. 용기(112)의 충전 표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충전 포트(208)를 통해 프린팅 재료(110)를 수용하고, 상기 프린팅 재료(110)를 유지하며, 출구 포트(206)를 통해 상기 프린팅 재료(110)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용기(112)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112) 안에 상기 프린팅 재료(110)의 초기량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112)에 충전 표시기(212, 212', 212'', 212''')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표시기(212, 212', 212'', 212''')는,
    상기 충전 포트(208)가 상기 프린팅 재료(110)의 추가량을 상기 용기(112) 안에 넣기 위해 사용될 때 검출 가능하게 변경되도록 구성된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와;
    상기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특성을 검출하게 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216)를 포함하는
    용기의 충전 표시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12)에 상기 충전 표시기(212, 212', 212'', 212''')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충전 포트(208)의 개구(210, 402, 502, 602)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용기의 충전 표시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12)에 상기 충전 표시기(212, 212', 212'', 212''')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파괴 기구(214, 400, 500, 600, 700)의 상기 일부분을 상기 충전 포트(208)의 상기 개구(210, 402, 502, 602)를 덮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용기의 충전 표시 제공 방법.
KR1020077023961A 2005-04-20 2006-04-05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용기의 충전 표시 제공 방법 KR101193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11,108 US7350895B2 (en) 2005-04-20 2005-04-20 Printing container fill indicator
US11/111,108 2005-04-20
PCT/US2006/012923 WO2006115728A1 (en) 2005-04-20 2006-04-05 Printing container fill indic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007A KR20070121007A (ko) 2007-12-26
KR101193659B1 true KR101193659B1 (ko) 2012-10-22

Family

ID=3676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961A KR101193659B1 (ko) 2005-04-20 2006-04-05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용기의 충전 표시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350895B2 (ko)
EP (1) EP1893411B1 (ko)
JP (1) JP4786706B2 (ko)
KR (1) KR101193659B1 (ko)
CN (1) CN101163594B (ko)
AT (1) ATE442259T1 (ko)
AU (1) AU2006240406B2 (ko)
BR (1) BRPI0612470B1 (ko)
CA (1) CA2604753C (ko)
DE (1) DE602006009106D1 (ko)
MX (1) MX2007013041A (ko)
RU (1) RU2397873C2 (ko)
WO (1) WO2006115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6187A1 (en) * 2007-02-06 2008-08-07 Christopher Alan Adkins Ink tank having integrated rfid tag
JP5633257B2 (ja) * 2010-09-03 2014-1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システム、および液体供給システムを備える液体消費装置
CN102331694B (zh) * 2011-07-18 2014-08-27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电子照相成像设备
CN102314131A (zh) * 2011-08-05 2012-01-11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碳粉盒粉仓
WO2017095446A1 (en) * 2015-12-04 2017-06-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dicators
WO2020013846A1 (en) 2018-07-13 2020-0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nattended reservoir refillings
KR102469581B1 (ko) 2018-08-30 2022-11-2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인쇄 물질 보충
MX2020013449A (es) 2018-08-30 2021-02-2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Mecanismos de autenticac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7803B1 (en) * 1983-10-13 2001-06-19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enishing ink in the tank cartridge
US5510820A (en) * 1992-04-22 1996-04-23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ink refill of a reservoir in a print cartridge
JPH06191055A (ja) * 1992-12-25 1994-07-12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インク再充填装置
US5369429A (en) * 1993-10-20 1994-11-29 Lasermaster Corporation Continuous ink refill system for disposable ink jet cartridges having a predetermined ink capacity
US5526099A (en) * 1993-12-02 1996-06-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veloping device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482669A (en) * 1994-05-23 1996-01-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Pulsating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DE69512578T2 (de) 1994-07-28 2000-05-04 Canon Kk Tintenstahlaufzeichnungsgerät, Reinigungsverfahren und Informationsverarbeitungssystem dafür
JPH09190136A (ja) * 1996-01-10 1997-07-2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US5847735A (en) * 1996-04-26 1998-12-08 Pelikan Produktions Ag Ink cartridge for a printer
US6007173A (en) * 1996-09-26 1999-12-28 Xerox Corporation Ink status system for a liquid ink printer
JPH1191134A (ja) * 1997-09-22 1999-04-06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ヂ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1109865A (ja) * 1997-10-01 1999-04-23 Sanki System Engineering Kk 封止シール
US6099101A (en) * 1998-04-06 2000-08-08 Lexmark International, Inc. Disabling refill and reuse of an ink jet print head
EP0963847B1 (en) * 1998-05-13 2005-08-17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for ink-jet printing apparatus
JP2000029390A (ja) * 1998-07-14 2000-01-28 Hisashi Sasaki 封印破棄検知シール
US6172695B1 (en) * 1999-01-25 2001-01-09 Win-Yin Liu Ink replenishing device for link cartridge of a jet printer
US6260942B1 (en) * 1999-10-22 2001-07-17 Lexmark International, Inc.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protective tape on a printer cartridge
US6390614B2 (en) * 2000-01-06 2002-05-21 Hewlett-Packard Company Fluid-jet print cartridge and method
JP2001255724A (ja) * 2000-01-07 2001-09-21 Canon Inc 使用履歴解析方法、カートリッジ、現像剤供給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02028647A1 (en) * 2000-10-06 2002-04-11 Nu-Kote International, Inc. Septum seal plug used in inkjet cartridge
US6705711B1 (en) * 2002-06-06 2004-03-16 Oće Display Graphics System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ink delivery to one or more print heads
US7040729B2 (en) * 2002-06-06 2006-05-09 Oce Display Graphics System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ink delivery to print heads
JP2004050471A (ja) * 2002-07-17 2004-02-19 Canon Inc ディスポbjプリンタ
US6685290B1 (en) * 2003-01-30 2004-0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 consumable having data storage for static and dynamic calibration data, and methods
JP4356335B2 (ja) * 2003-03-11 2009-11-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3411B1 (en) 2009-09-09
MX2007013041A (es) 2008-01-16
AU2006240406A1 (en) 2006-11-02
US7350895B2 (en) 2008-04-01
KR20070121007A (ko) 2007-12-26
US20060238580A1 (en) 2006-10-26
AU2006240406B2 (en) 2011-10-20
CN101163594B (zh) 2010-08-18
ATE442259T1 (de) 2009-09-15
RU2007142667A (ru) 2009-05-27
EP1893411A1 (en) 2008-03-05
RU2397873C2 (ru) 2010-08-27
DE602006009106D1 (de) 2009-10-22
WO2006115728A1 (en) 2006-11-02
CN101163594A (zh) 2008-04-16
JP2008536728A (ja) 2008-09-11
JP4786706B2 (ja) 2011-10-05
BRPI0612470A2 (pt) 2010-11-23
BRPI0612470B1 (pt) 2022-07-19
CA2604753C (en) 2013-08-13
CA2604753A1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659B1 (ko) 프린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용기의 충전 표시 제공 방법
JP3755755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並びに同装置への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装着可否判定方法。
KR100906292B1 (ko) 데이터의 에러 검출 방법, 교체가능 프린터 구성 요소, 프린팅 시스템 및 교체가능 프린터 구성 요소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RU97088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ечата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варианты) и плата, устанавливаемая на контейнере для печата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варианты)
KR100702101B1 (ko) 잉크 제트 장치용 잉크 잔류량 검출 모듈, 잉크 잔류량검출 모듈을 구비한 잉크 용기 및 잉크 제트 장치
CN100540316C (zh) 液体消耗装置和液体消耗量管理装置及其方法
EP3413201B1 (en) Short-circuit detection method of ink cartridge chip, chip, ink cartridge and recording device
JP2006035867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CN101627344A (zh) 用于通用成像构件的系统和方法
JP2003516556A (ja) 保持用カートリッジの無許可使用の防止
DE602008033715C5 (de) Auswechselbare druckerkomponente mit einem speicher, der eine tag-verschlüsselungsmaske speichert
CN107284056B (zh) 耗材芯片监控电路及其监控方法、监控电路板以及打印机
JP2007168078A (ja) 印刷記録材収容体
US200701093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inter Cartridge Tester
US20140253615A1 (en) Addressing for a Memory Device Used in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MXPA05001040A (es) Dispositivo de memoria reemplazable para un recipiente de sustancia consumible, y metodos.
JP201909852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ボトル
JP471512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CA2601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inter cartridge tester
CN114072287B (zh) 图像记录装置
CN101254700B (zh) 用以让墨水匣重复使用的识别码电路
JP706291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392634A (zh) 耗材储存
JP4470525B2 (ja) 容器識別装置及び容器識別機能を有する液体吐出装置
KR101714419B1 (ko) 문자 경보 가능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