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735B1 -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 Google Patents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735B1
KR101192735B1 KR20100054427A KR20100054427A KR101192735B1 KR 101192735 B1 KR101192735 B1 KR 101192735B1 KR 20100054427 A KR20100054427 A KR 20100054427A KR 20100054427 A KR20100054427 A KR 20100054427A KR 101192735 B1 KR101192735 B1 KR 101192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bracket
pipe
module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5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702A (ko
Inventor
소원섭
김재용
박성욱
공태윤
권용성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5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73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735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조립이 용이하고 내부 부식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은, 전면 중앙부에 후드 래치(170)가 구비되는 상측 수평지지부(121)와,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21)의 아래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하측 수평지지부(122), 및 상기 상ㆍ하측 수평지지부(121, 122)를 연결하는 좌ㆍ우측 수직지지부(123, 124)로 이루어져 중앙부에 쿨링모듈 장착부(125)가 구비된 사각 형태의 전면 패널(120); 상기 전면 패널(120)의 좌우측에 연장 형성되어 헤드램프 장착부(131)가 구비된 서포트 패널(130); 상기 전면 패널(120)의 전면 측에 장착되는 범퍼 빔(160) 및 범퍼(165); 상기 범퍼 빔(160)의 하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브라켓(165)에 양단이 결합되는 스티프너(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티프너(1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범퍼 빔(160)의 전방에 대하여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티프너(10)의 양측 단부(11)가 평면을 이루도록 축소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165)에 상기 평면 부분이 면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Front End Module with Pipe Type Stiffener}
본 발명은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FEM)이란, 자동차의 전방을 구성하는 장치들을 모듈화함으로써, 한 번의 공정으로 자동차의 골조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차량의 양측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에 결합되어 자동차의 전면부를 구성하고 있는 캐리어(Carrier)와,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는 라디에이터(Radiator), 응축기(Condensor), 팬(Fan) 등의 냉각 장치 및 주변 장치를 포함한다. 즉, 상기 캐리어의 전면에 응축기 및 라디에이터 등의 쿨링 모듈을 고정시키고, 차체의 전방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차체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범퍼 커버가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자동차의 차체 구조는, 정면 및 측면 충돌 시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와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그 강성을 점진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차체의 강성이 점차적으로 강화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운전자 및 탑승객의 안전성은 높아지나, 반면 보행자가 주행 중인 차량과의 충돌 시 보행자가 입는 피해의 정도가 차체의 강성이 증가된 만큼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근래에 들어 유럽에서는 주행 중인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 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법규를 제정한 바 있다. 기존의 충돌 시험은 주로 운전자보호를 위한 시험이었으나, 최근에는 보행자 보호를 위한 시험, 즉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 시 범퍼 쪽에서 보행자 다리의 무릎 관절이 꺾이게 됨으로써 후드(Hood)의 윗부분으로 머리가 가격당하는 형태의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한 시험을 법규화 함으로써, 운전자의 보호와 더불어 보행자의 보호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가 차량과 충돌 시 다리 하단부가 꺾이거나 과도한 충격량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캐리어의 하부 위치에 충격 흡수를 위한 프로텍터 역할을 하는 스티프너가 설치되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티프너의 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종래의 스티프너 및 캐리어의 분해 사시도를, 도 1(B)는 스티프너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캐리어(11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상부프레임(111a)과 하부프레임(111b) 및 좌ㆍ우 수직지지대(112a, 112b)로 이루어진 전면프레임(113)과, 상기 상부프레임(111a)의 좌ㆍ우측으로 연장된 헤드램프 서포트 프레임(Head Lamp Support Frame, 114)과, 상기 헤드램프 서포트 프레임(114)과 좌ㆍ우 수직지지대(112a, 112b)에 결합된 차체결합부(115)와, 상기 캐리어(110)의 전면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센터 서포트(Center Support, 116)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캐리어(110)의 하부프레임(111b)에 결합되는 종래의 스티프너(140aa)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판상의 플라스틱 부재로서 전방을 향하여 양측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고, 보행자와의 충돌 시 외부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다수의 통공(142a)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티프너(140a)가 결합되는 일측면에 대략 'ㄴ'자 형상을 갖는 결합부재(143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티프너(140a)는, 결합부재(143a)의 상ㆍ하 및 좌ㆍ우 소정위치에 형성된 체결공(144a)을 통해 하부프레임(111b)의 전면부 및 하단부에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티프너(140a)는, 범퍼 커버(도시 생략)의 하부에 대향되게 위치됨으로써 전방 충돌 시 범퍼 커버의 변형과 함께 하중이 전달되어 손상되기 쉽고, 그 형상이 전방으로 범퍼 커버까지 연장 형성되어 중량의 증가로 인한 차량 연비 저하 및 원가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약한 충격에도 직접 충격을 받게 되어,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내측에 장착되는 쿨링부품 등에 크랙(Crack)을 발생시켜 차량 내부 부품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티프너(140a)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부족하고, 이를 캐리어(110)의 하부프레임(111b)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볼트 등과 같은 다수의 고정 수단이 필요함에 따라, 부품 원가 및 조립 공수가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형 스티프너가 제안된 바 있다.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스티프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형태의 스티프너(140b)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만곡부(120b)와 한 쌍의 연장 브래킷(13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만곡부(120b)는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하부프레임(111b)의 전방에 대하여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120b)의 후면 양측 소정 위치에는 한 쌍의 연장 브래킷(130b)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연장 브래킷(130b)은,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만곡부(120b)의 후면 양측 소정 위치에 연결되어 후방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31b)와, 상기 수평 연장부(131b)의 타단으로서 하부프레임(111b)과 고정되는 수직 고정부(133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고정부(133b)는, 사각 형상체로서 소정 크기를 갖고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11bb)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34b)을 통해 볼트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스티프너(140b)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스티프너(140a)에 비하여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한 조립 공수가 크게 절감될 수 있으며, 또한 스틸(Steel)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강성이 강화됨으로써 차량의 전방 충돌시 발생하는 감가속도, 굽힘각 및 전단 변형량을 최소화하여 내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 및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티프너(140b)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첫째, 파이프가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만곡부(120b) 부분을 상기 캐리어(110)의 하부프레임(111b)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만곡부(120b)의 몸체 부분이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 안정적으로 고정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상기 연장 브래킷(130b)와 같은 부품 내지는 구조물이 더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기 만곡부(120b)와 상기 연장 브래킷(130b)을 접합하기 위한 공정 역시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캐리어 및 스티프너 등의 조립이 완료된 후 일반적으로 부식 방지를 위하여 도장을 하게 되는데, 상기 만곡부(120b) 부분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내측에 도장을 하기가 매우 난해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만곡부(120b) 내부로 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부식이 일어나게 될 위험성이 매우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이프형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티프너(140c)가 프론트 엔드 모듈을 구성하는 범퍼 빔(160)의 브라켓(165)에 결합되되, 상기 스티프너(140c)가 둥근 형태이므로 상기 브라켓(165)과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상기 브라켓(165)에 더 구비된 별도 부재(141c)에 의하여 상기 스티프너(140c)가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역시 상기 스티프너(140c)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다는 문제점과, 상기 스티프너(140c) 내부 부식 방지에 대한 대책은 전혀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조립이 용이하고 내부 부식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은, 전면 중앙부에 후드 래치(170)가 구비되는 상측 수평지지부(121)와,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21)의 아래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하측 수평지지부(122), 및 상기 상ㆍ하측 수평지지부(121, 122)를 연결하는 좌ㆍ우측 수직지지부(123, 124)로 이루어져 중앙부에 쿨링모듈 장착부(125)가 구비된 사각 형태의 전면 패널(120); 상기 전면 패널(120)의 좌우측에 연장 형성되어 헤드램프 장착부(131)가 구비된 서포트 패널(130); 상기 전면 패널(120)의 전면 측에 장착되는 범퍼 빔(160) 및 범퍼(165); 상기 범퍼 빔(160)의 하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브라켓(165)에 양단이 결합되는 스티프너(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티프너(1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범퍼 빔(160)의 전방에 대하여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티프너(10)의 양측 단부(11)가 평면을 이루도록 축소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165)에 상기 평면 부분이 면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스티프너(10)는 상기 단부(11) 일측에 통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65) 일측에 결합공(165a)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11a) 및 상기 결합공(165a)이 볼트 결합됨으로써 상기 브라켓(165)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165)은 일측에 걸림턱(165b)이 형성되며, 상기 스티프너(10)의 단부(11)가 상기 걸림턱(165b)에 삽입 지지되어 결합되되, 상기 걸림턱(165b)은 상기 단부(11)의 끝단부(P)가 막히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단부(11)는 끝단부(P)가 용접에 의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165)은 상기 스티프너(10) 단부가 상기 브라켓(165)에 완전히 안착 삽입되도록 상기 브라켓(165) 상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단부(11)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65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단부(11)는 상기 가이드부(165c)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티프너(10)는 스틸(steel)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프너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스티프너의 제조가 간편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금속 재질과 같은 강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써 충돌 시 차량 내부 부품 보호 효과 및 보행자의 안전 도모 효과가 더욱 높아지는 장점 또한 있다. 더불어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프너의 양측 끝단부가 축소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스티프너와 캐리어 간 결합이 종래에 비해 훨씬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 형상의 스티프너 양측 끝단부가 축소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티프너의 내부가 외부 공간과 차단이 이루어지게 되어, 도장 작업 후 스티프너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스티프너의 내부 부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한 형태의 스티프너.
도 2는 종래의 다른 형태의 스티프너.
도 3은 종래의 또다른 형태의 스티프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는 파이프형 스티프너.
도 5는 본 발명의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도 6은 본 발명의 스티프너 끝단부의 상세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티프너 및 캐리어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티프너(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FEM)을 구성하는 범퍼 빔(160)의 브라켓(165)에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일반적인 프론트 엔드 모듈과 같이, 전면 중앙부에 후드 래치(170)가 구비되는 상측 수평지지부(121)와,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21)의 아래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하측 수평지지부(122), 및 상기 상ㆍ하측 수평지지부(121, 122)를 연결하는 좌ㆍ우측 수직지지부(123, 124)로 이루어져 중앙부에 쿨링모듈 장착부(125)가 구비된 사각 형태의 전면 패널(120); 상기 전면 패널(120)의 좌우측에 연장 형성되어 헤드램프 장착부(131)가 구비된 서포트 패널(130); 상기 전면 패널(120)의 전면 측에 장착되는 범퍼 빔(160) 및 범퍼(16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상기 범퍼 빔(160)의 하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브라켓(165)에 양단이 결합되는 스티프너(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티프너(1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범퍼 빔(160)의 전방에 대하여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티프너(10)의 양측 단부(11)가 평면을 이루도록 축소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165)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프너(10)의 끝단부가 납작하게 눌려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로 본 발명의 특징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프너(10)는, 파이프 형상의 재질을 절곡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 스티프너(10)의 절곡된 형상 자체가 매우 단순하므로, 이와 같이 파이프를 절곡하는 것은 매우 간단한 작업이기 때문에 제조 상의 편리함이 커진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티프너(10)의 단부(11)를 평면 형태가 되도록 납작하게 축소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단지 상기 스티프너(10)의 단부(11)를 프레스 등의 방법으로 강하게 눌러 주면 되는 것으로, 역시 매우 단순한 작업인 바, 생산 공정 상의 어려움은 전혀 없다.
이와 같이 상기 단부(11)가 납작하게 눌려져 평면 상태를 이루게 되면, 상기 단부(11)에 의하여 상기 스티프너(10)의 내부 공간은 자연히 외부와 차단되게 된다. 여기에, 상기 단부(11)를 용접해 주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스티프너(10)의 내부는 완전히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조립 후 부식 방지를 위하여 도장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스티프너의 경우, 몸체(즉 종래의 스티프너의 만곡부)가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끝단부가 열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도장 공정을 수행할 경우 끝단부 내부 일부까지밖에는 도장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몸체의 깊숙한 내부까지는 도장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즉 스티프너의 내부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게 되므로, 물 등의 이물질이 몸체 내부로 유입될 경우 스티프너 내부로부터 부식이 일어나게 될 위험성이 매우 크다.
반면 본 발명의 스티프너의 경우, 도 2와 같은 종래의 스티프너와 유사하게 몸체가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절곡을 통한 형상 제조 공정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부(11)가 프레스 등에 의하여 납작하게 눌려 축소됨으로써 내부 공간이 외부와 차단되기 때문에, 형상 자체에 의하여 이러한 이물질 유입 위험성이 비약적으로 감소된다. 특히 상기 단부(11)의 끝단부(P)가 용접에 의하여 밀폐될 경우 이러한 위험성은 더욱 최소화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티프너(10)의 단부(11) 형상에 의하여 내부 공간의 밀폐가 이루어진 이후 도장 작업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티프너(10)의 부식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스티프너(10)는 스틸(steel)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 형상의 금속 재질은 수급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절곡 등의 공정이 용이한 바 생산 공정 상의 어려움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도 1과 같은 종래의 스티프너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로 되어 있었던 것과는 달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강성이 강화되어 충돌 시 차량 내부 부품 보호 효과 및 보행자의 안전 도모 효과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스티프너 끝단부의 상세도로서, 상기 스티프너(10)의 단부(11)와 상기 범퍼 빔(160)의 브라켓(165) 간의 결합 형태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티프너(10)는 상기 브라켓(165)에 볼트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단부(11) 일측에 통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65) 일측에 결합공(165a)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11a) 및 상기 결합공(165a)이 볼트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티프너(10) 및 상기 브라켓(165)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납작한 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단부(11)에 상기 통공(11a)을 형성하는 공정은 매우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통공(11a) 및 상기 결합공(165a)을 통과하는 볼트를 사용하여 볼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그 형상적 구조에 의하여 높은 결합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볼트 결합에 의하여 상기 단부(11)의 끝단부(P)가 벌어지지 않고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바, 상기 끝단부(P)를 용접하지 않아도 부식 방지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는,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걸림턱(165b)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브라켓(165)의 일측에 걸림턱(165b)이 형성되며, 상기 스티프너(10)의 단부(11)가 상기 걸림턱(165b)에 삽입 지지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걸림턱(165b)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끝단부(P)를 막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턱(165b)에 상기 스티프너(10)의 단부(11)가 삽입되며 상기 걸림턱(165b)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끝단부(P)가 막히도록 하는 구조를 취할 경우, 역시 충분한 부식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부품(도 6(A)의 실시예의 경우 볼트 및 너트)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부품 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에서, 상기 끝단부(P)가 용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부(11)의 밀폐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는, 도 6(C)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브라켓(165)에는 상기 스티프너(10) 단부가 상기 브라켓(165)에 완전히 안착 삽입되도록 상기 브라켓(165) 상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단부(11)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65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165c)가 형성됨으로써 공정 시 오류로 인하여 상기 스티프너(10)가 정위치에서 이탈한 채 결합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이드부(165c)에 상기 단부(11)가 삽입됨으로써 끝단부(P)가 자연히 막히게 되므로, 역시 충분한 부식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때,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단부(11)는 상기 브라켓(165)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부(11)는 납작한 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용접 결합되는 부분이 충분히 넓어 상기 브라켓(165)과의 용접 결합 시 충분히 높은 결합력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부(11)의 끝단부(P)는, 상기 단부(11)가 상기 가이드부(165c)와 용접되는 과정에서 자연히 함께 용접됨으로써 더욱 밀폐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부(11)가 상기 브라켓(165)에 직접 용접 결합되는 경우, 별도의 부품(도 6(A)의 실시예의 경우 볼트 및 너트)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별도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도 6(B)의 실시예의 경우 걸림턱(165b)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바, 부품 수 및 공정 수를 모두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본 발명의) 스티프너 P: 끝단부
11: 단부 11a: 통공
160: 범퍼 빔 165: 브라켓
165a: 결합공 165b: 걸림턱
165c: 가이드부
110: 캐리어 120: 전면 패널
121: 상측 수평지지부 122: 하측 수평지지부
123: 좌측 수직지지부 124: 우측 수직지지부
125: 쿨링 모듈 장착부
130: 서포트 패널 131: 헤드 램프 장착부
150: 헤드 램프 161: 범퍼
162: 범퍼 빔 스테이 165: 브라켓
170: 후드 래치 171: 후드 래치 커버
200: 쿨링 모듈
210: 라디에이터 220: 컨덴서

Claims (7)

  1. 전면 중앙부에 후드 래치(170)가 구비되는 상측 수평지지부(121)와,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21)의 아래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하측 수평지지부(122), 및 상기 상ㆍ하측 수평지지부(121, 122)를 연결하는 좌ㆍ우측 수직지지부(123, 124)로 이루어져 중앙부에 쿨링모듈 장착부(125)가 구비된 사각 형태의 전면 패널(120);
    상기 전면 패널(120)의 좌우측에 연장 형성되어 헤드램프 장착부(131)가 구비된 서포트 패널(130);
    상기 전면 패널(120)의 전면 측에 장착되는 범퍼 빔(160) 및 범퍼(165);
    상기 범퍼 빔(160)의 하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브라켓(165)에 양단이 결합되는 스티프너(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티프너(1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범퍼 빔(160)의 전방에 대하여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티프너(10)의 양측 단부(11)가 평면을 이루도록 축소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165)에 상기 평면 부분이 면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10)는
    상기 단부(11) 일측에 통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65) 일측에 결합공(165a)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11a) 및 상기 결합공(165a)이 볼트 결합됨으로써 상기 브라켓(165)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65)은
    일측에 걸림턱(165b)이 형성되며, 상기 스티프너(10)의 단부(11)가 상기 걸림턱(165b)에 삽입 지지되어 결합되되, 상기 걸림턱(165b)은 상기 단부(11)의 끝단부(P)가 막히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11)는
    끝단부(P)가 용접에 의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65)은
    상기 스티프너(10) 단부가 상기 브라켓(165)에 완전히 안착 삽입되도록 상기 브라켓(165) 상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단부(11)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65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11)는
    상기 가이드부(165c)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10)는
    스틸(steel)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KR20100054427A 2010-06-09 2010-06-09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192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4427A KR101192735B1 (ko) 2010-06-09 2010-06-09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4427A KR101192735B1 (ko) 2010-06-09 2010-06-09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702A KR20110134702A (ko) 2011-12-15
KR101192735B1 true KR101192735B1 (ko) 2012-10-18

Family

ID=4550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4427A KR101192735B1 (ko) 2010-06-09 2010-06-09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7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067B1 (ko) 2011-11-23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워스티프너 브라켓
US11352061B2 (en) 2019-07-24 2022-06-07 Hyundai Motor Company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539B1 (ko) * 2015-12-18 2017-03-2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KR20220067330A (ko) * 2020-11-17 2022-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라디에이터 사이드 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방 차체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303B1 (ko) 2005-11-01 2007-10-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캐리어의 스티프너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303B1 (ko) 2005-11-01 2007-10-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캐리어의 스티프너 장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067B1 (ko) 2011-11-23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워스티프너 브라켓
US11352061B2 (en) 2019-07-24 2022-06-07 Hyundai Motor Company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702A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9610B (zh) 车辆的机罩装置
JP4762444B2 (ja)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US7438348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8152224B2 (en) Vehicle front-end upper load path assembly
WO2014069113A1 (ja) フェンダ支持部構造
JP4580350B2 (ja) 車体前部構造
KR101192735B1 (ko) 파이프형 스티프너를 구비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CN108349546B (zh) 车辆的侧部车身结构
JP6693928B2 (ja) 歩行者の安全のためのコラプシブルラジエータサポートブラケット
CN100396532C (zh) 汽车的前部车身结构
KR100837980B1 (ko) 차량의 프론트 앤드 모듈구조
WO2024028099A1 (en) Side extension for crash management system
KR101318637B1 (ko) 보행자 안전을 위한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JP2009248738A (ja) 車体前部構造
KR100901928B1 (ko) 자동차의 프론트엔드 모듈용 범퍼백빔의 조립구조
JP2005161888A (ja) 車体前部構造
KR101160355B1 (ko) 자동차용 충격흡수 프로텍터
US9302712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2010195228A (ja) 車両用衝撃低減バンパー装置
JP2002274299A (ja) フレーム先端部構造
KR100890934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JPH03208780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885500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KR100911086B1 (ko) 차량의 프론트범퍼
CN116812013A (zh) 一种汽车前端模块平台结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