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661B1 - 선로 분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로 분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661B1
KR101192661B1 KR1020100121145A KR20100121145A KR101192661B1 KR 101192661 B1 KR101192661 B1 KR 101192661B1 KR 1020100121145 A KR1020100121145 A KR 1020100121145A KR 20100121145 A KR20100121145 A KR 20100121145A KR 101192661 B1 KR101192661 B1 KR 10119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ail
endpoint
switch rail
rai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266A (ko
Inventor
백인우
이안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신공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신공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6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2Nature of the movement
    • E01B2202/021Turning or tilting or elastically bending
    • E01B2202/022Turning or tilting or elastically bending about horizontal axis

Abstract

본 발명은 본선과 지선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차량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선로 분기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 레일, 제1 내지 제3 스위치 레일과 작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레일은 일부분이 단절되어 제1 스위치 기점, 제1 스위치 종점, 제1 스위치 기점과 제1 스위치 종점 사이의 제1 스위치 레일 구간을 갖는다. 제2 레일은 제1 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일부분이 단절되어 제2 스위치 기점, 제2 스위치 종점, 제2 스위치 기점과 제2 스위치 종점 사이의 제2 스위치 레일 구간을 갖는다. 제3 레일은 제2 스위치 종점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스위치 종점과 인접되어 있는 제3 스위치 종점을 가지고, 제1 스위치 종점과 제3 스위치 종점 사이의 제3 스위치 레일 구간을 갖는다. 제4 레일은 제3 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2 스위치 레일 구간에 인접되어 있는 제4 스위치 종점을 가지며, 제2 스위치 기점과 제4 스위치 종점 사이의 제4 스위치 레일 구간을 갖는다. 제1 스위치 레일은 제1 스위치 시점에 제1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1 스위치 레일 구간과 제2 스위치 레일 구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제2 스위치 레일은 제2 스위치 시점에 제2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스위치 레일 구간과 제4 스위치 레일 구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제3 스위치 레일은 제2 스위치 레일 구간과 제3 스위치 레일 구간 사이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2 스위치 레일 구간과 제3 스위치 레일 구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작동장치는 제1 스위치 레일과 제2 스위치 레일을 회전시키고, 제3 스위치 레일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선과 지선의 단절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 레일 구간이 제1 내지 제3 스위치 레일의 작동에 의하여 연결되는 단순한 구조에 의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로 분기 시스템{RAILWAY TURNOUT SYSTEM}
본 발명은 선로 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선(Main line)과 지선(Branch line)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차량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선로 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철도, 지하철, 경전철 등의 다양한 선로에서 본선과 지선이 교차되는 지점에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선로 분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선로 분기기는 선로에서 가장 취약한 시설로 선로 분기기의 불량은 차량의 탈선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안정성이 요구되고 있다.
선로 분기기는 한국특허 제10-0268159호, 제10-0681909호 등 많은 특허문헌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특허문헌들의 선로 분기기는 기본적으로 포인트(Point), 크로싱(Crossing), 리드(Lead)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선로 분기기가 무겁고 길게 구성되어 변경, 증설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분기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선과 지선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의하여 충격과 소음과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선과 지선의 단절되어 있는 스위치 레일 구간들이 스위치 레일들의 작동에 의하여 연결되는 단순한 구조에 의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는 선로 분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치 레일들이 연동되는 구조에 의하여 분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선로 분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기 구간이 짧고, 구성이 단순하여 시설비와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선로 분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일부분이 단절되어 제1 스위치 기점, 제1 스위치 종점, 제1 스위치 기점과 제1 스위치 종점 사이의 제1 스위치 레일 구간을 갖는 제1 레일과; 제1 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일부분이 단절되어 제2 스위치 기점, 제2 스위치 종점, 제2 스위치 기점과 제2 스위치 종점 사이의 제2 스위치 레일 구간을 갖는 제2 레일과; 제2 스위치 종점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스위치 종점과 인접되어 있는 제3 스위치 종점을 가지고, 제1 스위치 종점과 제3 스위치 종점 사이의 제3 스위치 레일 구간을 갖는 제3 레일과; 제3 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2 스위치 레일 구간에 인접되어 있는 제4 스위치 종점을 가지며, 제2 스위치 기점과 제4 스위치 종점 사이의 제4 스위치 레일 구간을 갖는 제4 레일과; 제1 스위치 시점에 제1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1 스위치 레일 구간과 제2 스위치 레일 구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스위치 레일과; 제2 스위치 시점에 제2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스위치 레일 구간과 제4 스위치 레일 구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 레일과; 제2 스위치 레일 구간과 제3 스위치 레일 구간 사이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2 스위치 레일 구간과 제3 스위치 레일 구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3 스위치 레일과; 제1 스위치 레일과 제2 스위치 레일을 회전시키고, 제3 스위치 레일을 이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선로 분기 시스템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로 분기 시스템은 본선과 지선의 단절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 레일 구간이 제1 내지 제3 스위치 레일의 작동에 의하여 연결되는 단순한 구조에 의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스위치 레일이 작동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연동되면서 본선으로부터 지선으로 차량의 진행 방향을 분기하는 구조에 의하여 분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선과 지선의 제1 내지 제4 스위치 레일 구간이 제1 내지 제3 스위치 레일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에 의하여 분기 구간이 짧고, 구성이 단순하여 시설비와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 분기 시스템에 의하여 본선이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선로 분기 시스템에 의하여 지선이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로 분기 시스템에서 제1 내지 제3 스위치 레일이 분리되어 있는 본선과 지선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 분기 시스템에서 작동장치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 분기 시스템에 의하여 본선으로부터 지선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로 분기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로 분기 시스템은 본선(10)과 지선(20)이 교차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있다. 본선(10)은 지면에 평행하게 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1 레일(12)과 제2 레일(14)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레일(12)은 그 일부분이 단절되어 제1 스위치 기점(Switch start point: 12a), 제1 스위치 종점(Stitch end point: 12b), 제1 스위치 기점(12a)과 제1 스위치 종점(12b) 사이의 제1 스위치 레일 구간(Switch rail section: 30)을 갖는다. 제2 레일(14)은 그 일부분이 단절되어 제2 스위치 기점(14a), 제2 스위치 종점(14b), 제2 스위치 기점(14a)과 제2 스위치 종점(14b) 사이의 제2 스위치 레일 구간(32)을 갖는다. 제2 스위치 종점(14b)은 복수의 제1 톱니(14c)들로 형성되어 있다.
지선(20)은 지면에 평행하게 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3 레일(22)과 제4 레일(24)로 구성되어 있다. 제3 레일(22)과 제4 레일(24) 각각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레일(22)은 제2 스위치 종점(14b)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2 스위치 종점(14b)과 인접되어 있는 제3 스위치 종점(22a)을 갖는다. 제3 레일(22)은 제1 스위치 종점(14b)과 제3 스위치 종점(22a) 사이의 제3 스위치 레일 구간(34)을 갖는다. 제3 스위치 종점(22a)은 제2 스위치 종점(14b)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레일(14)과 제3 레일(22)이 교차되는 부분, 즉 제2 스위치 종점(14b)과 제3 스위치 종점(22a)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로그 레일(Frog rail: 26) 또는 고정 크로싱 레일(Rigid crossing rail)로 이루어져 있다. 제4 레일(24)은 제4 스위치 종점(24a)을 갖는다. 제4 스위치 종점(24a)은 제2 스위치 레일 구간(32)의 대략 중간 지점에 인접되어 있다. 제4 레일(24)은 제2 스위치 기점(14a)과 제4 스위치 종점(24a) 사이의 제4 스위치 레일 구간(36)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선로 분기 시스템은 본선(10)으로부터 지선(20)으로 차량의 진행을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제1 스위치 레일(40), 제2 스위치 레일(42)과 제3 스위치 레일(44)을 구비한다. 제1 스위치 레일(40)은 제1 말단(40a)과 제2 말단(40b)을 갖는다. 제1 말단(40a)은 제1 스위치 기점(12a)에 제1 피봇(4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스위치 레일(40)은 제1 피봇(46)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 스위치 레일 구간(30)과 제2 스위치 레일 구간(3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제2 스위치 레일(42)은 제1 말단(42a)과 제2 말단(42b)을 갖는다. 제1 말단(42a)은 제2 스위치 기점(14a)에 제2 피봇(4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스위치 레일(42)은 제2 피봇(48)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2 스위치 레일 구간(32)과 제4 스위치 레일 구간(36)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제3 스위치 레일(44)은 제1 말단(44a)과 제2 말단(44b)을 갖는다.
제3 스위치 레일(44)은 제2 스위치 레일 구간(32)과 제3 스위치 레일 구간(34) 사이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3 스위치 레일(44)은 제2 스위치 레일 구간(32)과 제3 스위치 레일 구간(34)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제3 스위치 레일(44)의 제2 말단(44b)은 제1 톱니(14c)들에 맞물림되는 복수의 제2 톱니(44c)들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톱니(14c)들과 제2 톱니(44c)들은 제2 스위치 종점(14b)과 제3 스위치 레일(44)의 제2 말단(44b)이 서로 맞물리게 하는 요철의 일례로서 요철의 맞물림에 의하여 제3 스위치 레일(44)의 위치가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톱니(14c)들과 제2 톱니(44c)들은 삼각형 돌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요철은 파형 돌기, 다각형 돌기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로 분기 시스템은 본선(10)으로부터 지선(20)으로 차량을 유도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치 레일(40)과 제2 스위치 레일(42)을 회전시키고 제3 스위치 레일(44)을 이동시키는 작동장치(60)를 구비한다. 작동장치(60)는 제1 홀딩 브래킷(Holding bracket: 62), 제2 홀딩 브래킷(64), 제1 레버(66), 모터(70), 제2 레버(72), 커넥팅핀(Connecting pin: 74)과 스프링(76)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홀딩 브래킷(62)은 제1 스위치 레일(40)의 내측면에 제2 말단(40b)과 근접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홀딩 브래킷(62)은 일측에 개방단부(62a)를 갖는 제1 가이드 슬롯(Guide slot: 62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홀딩 브래킷(64)은 제2 스위치 레일(42)의 내측면에 제2 말단(42b)과 근접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2 홀딩 브래킷(64)은 일측에 개방단부(64a)를 갖는 제2 가이드 슬롯(64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62b, 64b)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레버(66)는 제1 말단(66a)과 제2 말단(66b)을 갖는다. 제1 레버(66)의 제1 말단(66a)은 제1 레일(12)과 제2 레일(14) 사이의 지면에 제1 피봇(68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레버(66)는 제2 말단(66b)에 개방단부(66c)가 형성되어 있는 제3 가이드 슬롯(66d)을 갖는다. 제2 말단(66b)과 근접하는 제1 레버(66)의 상면은 제2 피봇(68b)에 의하여 제3 스위치 레일(44)과 연결되어 있다.
모터(70)는 제1 레일(12)과 제2 레일(14) 사이의 지면에 설치되어 있다. 모터(70)는 제1 내지 제3 스위치 레일(40, 42, 44)의 연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2 레버(72)는 제1 말단(72a)과 제2 말단(72b)을 갖는다. 제2 레버(72)의 제1 말단(72a)은 모터(70)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모터(70)에 연결되어 있다. 커넥팅핀(74)은 제1 홀딩 브래킷(62), 제2 홀딩 브래킷(64)과 제1 레버(66) 중 어느 하나를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레버(72)의 제2 말단(72b)에 장착되어 있다. 제1 가이드 슬롯(62b), 제2 가이드 슬롯(64b)과 제3 가이드 슬롯(66d)은 커넥팅핀(74)의 회전 반경에 배치되어 있다. 커넥팅핀(74)은 제2 레버(72)의 회전에 따라 제1 가이드 슬롯(62b), 제2 가이드 슬롯(64b)과 제3 가이드 슬롯(66d)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진다.
스프링(76)은 제3 스위치 레일(44)이 제2 스위치 종점(14b)을 향하여 탄성편향되도록 제2 스위치 종점(14b)과 제3 스위치 레일(44)의 제2 말단(44b)을 연결하고 있다. 스프링(76)의 양단은 제1 핀(76a)과 제2 핀(76b)에 의하여 제2 레일(14)과 제3 스위치 레일(44)에 걸림유지되어 있다. 스프링(76)은 코일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스토퍼(Stopper: 80)가 제1 레일(12)의 제1 스위치 종점(12b)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스토퍼(80)는 제1 스위치 레일(40)의 제2 말단(40b)을 지지하여 제1 스위치 레일(40)의 회전을 구속한다. 제2 스토퍼(82)가 제4 레일(24)의 제4 스위치 종점(24a)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스토퍼(82)는 제2 스위치 레일(42)의 제2 말단(42b)을 지지하여 제2 스위치 레일(42)의 회전을 구속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 분기 시스템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 레일(40)이 제1 스위치 레일 구간(30)에 배치되고, 제2 및 제3 스위치 레일(42, 44)이 제2 스위치 레일 구간(32)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면, 본선(10)을 따라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제4 및 제4 스위치 레일 구간(36, 38)은 단절되어 본선(10)으로부터 지선(20)으로 차량을 운행할 수 없다. 제1 내지 제3 스위치 레일(40, 42, 44)이 본선(10)을 따라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본선 운행 위치(P1)에서 커넥팅핀(74)은 제2 홀딩 브래킷(64)의 제2 가이드 슬롯(64b)에 수용되어 있게 된다.
도 2와 도 9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스위치 레일(40, 42, 44)은 작동장치(60)의 작동에 의하여 본선(10)으로부터 지선(20)으로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지선 운행 위치(P2)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선 운행 위치(P1)에서 모터(70)의 구동에 의하여 제2 레버(72)가 도 6에 화살표 "A"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커넥팅핀(74)이 제2 가이드 슬롯(64b)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2 홀딩 브래킷(64)을 밀게 된다. 제2 홀딩 브래킷(64)이 밀려나는 것에 의하여 제2 스위치 레일(42)이 제2 피봇(52)을 중심으로 제2 스위치 레일 구간(32)에서 제4 스위치 레일 구간(36)으로 회전된다. 제2 스위치 레일(42)의 제2 말단(42b)이 제2 스토퍼(82)에 걸리면, 제2 스위치 레일(32)의 회전이 정지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70)의 구동에 의하여 제2 레버(72)가 회전되면, 커넥팅핀(74)은 개방단부(64a)를 통하여 제2 가이드 슬롯(64b)을 빠져나오게 된다. 커넥팅핀(74)은 제2 가이드 슬롯(64b)을 빠져나온 후 개방단부(66c)를 통하여 제3 가이드 슬롯(66d)에 수용된다.
커넥팅핀(74)이 제3 가이드 슬롯(66d)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레버(66)를 반시계 방향으로 밀면, 제2 피봇(78)에 의하여 제1 레버(66)와 연결되어 있는 제3 스위치 레일(44)이 제2 스위치 레일 구간(32)으로부터 제3 스위치 레일 구간(34)으로 이동된다. 제2 톱니(44c)들은 제1 톱니(14c)들로부터 분리되어 제3 스위치 레일(44)의 이동을 허용한다. 스프링(76)은 제3 스위치 레일(44)의 이동에 따라 신장되어 탄성복원력을 보유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넥팅핀(74)이 개방단부(66c)를 통하여 제3 가이드 슬롯(66d)을 빠져나오면, 스프링(7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3 스위치 레일(44)이 제2 레일(14)을 향하여 이동된다. 제1 톱니(14c)들과 제2 톱니(44c)들이 맞물리고, 제1 말단(44a)이 제1 스위치 종점(12b)에 인접되어 제3 스위치 레일(34)이 제3 스위치 레일 구간(34)에 배치된다.
도 2와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커넥팅핀(74)은 제3 가이드 슬롯(66d)을 빠져나온 후 개방단부(62a)를 통하여 제1 가이드 슬롯(62b)에 수용된다. 커넥팅핀(74)이 제1 가이드 슬롯(62b)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홀딩 브래킷(62)을 밀면, 제1 스위치 레일(40)이 제1 피봇(50)을 중심으로 제1 스위치 레일 구간(30)에서 제3 스위치 레일 구간(34)으로 회전된다. 제1 스위치 레일(40)의 제2 말단(40b)과 제3 스위치 레일(44)의 제1 말단(40c)에 맞대어지면, 모터(70)의 구동이 정지된다. 제1 내지 제3 스위치 레일(40, 42, 44)이 지선 운행 위치(P2)에 배치되면, 커넥팅핀(74)은 제1 홀딩 브래킷(62)의 제1 가이드 슬롯(62b)에 수용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스위치 레일(40)과 제3 스위치 레일(44)이 제1 스위치 기점(12a)과 제3 스위치 종점(22a)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레일(12)과 제3 레일(22)을 연결하고, 제2 스위치 레일(42)이 제2 스위치 기점(14a)과 제4 스위치 종점(24a)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레일(14)과 제4 레일(24)을 연결하면, 본선(10)으로부터 지선(20)으로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본선 12: 제1 레일
14: 제2 레일 20: 지선
22: 제3 레일 24: 제4 레일
30: 제1 스위치 레일 구간 32: 제2 스위치 레일 구간
34: 제3 스위치 레일 구간 36: 제4 스위치 레일 구간
40: 제1 스위치 레일 42: 제2 스위치 레일
44: 제3 스위치 레일 50: 제1 피봇
52: 제2 피봇 60: 작동장치
62: 제1 홀딩 브래킷 64: 제2 홀딩 브래킷
66: 제1 레버 70: 모터
72: 제2 레버 74: 커넥팅핀
76: 스프링 80: 제1 스토퍼
82: 제2 스토퍼

Claims (8)

  1. 일부분이 단절되어 제1 스위치 기점, 제1 스위치 종점, 상기 제1 스위치 기점과 상기 제1 스위치 종점 사이의 제1 스위치 레일 구간을 갖는 제1 레일과;
    상기 제1 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일부분이 단절되어 제2 스위치 기점, 제2 스위치 종점, 상기 제2 스위치 기점과 상기 제2 스위치 종점 사이의 제2 스위치 레일 구간을 갖는 제2 레일과;
    상기 제2 스위치 종점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위치 종점과 인접되어 있는 제3 스위치 종점을 가지고, 상기 제1 스위치 종점과 상기 제3 스위치 종점 사이의 제3 스위치 레일 구간을 갖는 제3 레일과;
    상기 제3 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스위치 레일 구간에 인접되어 있는 제4 스위치 종점을 가지며, 상기 제2 스위치 기점과 상기 제4 스위치 종점 사이의 제4 스위치 레일 구간을 갖는 제4 레일과;
    상기 제1 스위치 시점에 제1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스위치 레일 구간과 상기 제2 스위치 레일 구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스위치 레일과;
    상기 제2 스위치 시점에 제2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위치 레일 구간과 상기 제4 스위치 레일 구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 레일과;
    상기 제2 스위치 레일 구간과 상기 제3 스위치 레일 구간 사이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스위치 레일 구간과 상기 제3 스위치 레일 구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3 스위치 레일과;
    상기 제1 스위치 레일과 상기 제2 스위치 레일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3 스위치 레일을 이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선로 분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종점과 상기 제3 스위치 레일은 요철에 의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선로 분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제3 스위치 종점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톱니들과, 상기 복수의 제1 톱니들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3 스위치 레일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톱니들로 이루어지는 선로 분기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 종점은 상기 제3 스위치 종점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선로 분기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제1 스위치 레일에 장착되어 있는 제1 홀딩 브래킷과;
    상기 제2 스위치 레일에 장착되어 있는 제2 홀딩 브래킷과;
    상기 제1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사이의 지면에 제1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3 스위치 레일과 제2 피봇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홀딩 브래킷, 상기 제2 홀딩 브래킷과 상기 제1 레버 중 어느 하나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레버에 장착되어 있는 커넥팅핀과;
    상기 제3 스위치 레일을 상기 제2 스위치 종점으로 탄성편향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선로 분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딩 브래킷에 상기 커넥팅핀이 끼워질 수 있는 제1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홀딩 브래킷에 상기 커넥팅핀이 끼워질 수 있는 제2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레버에 상기 커넥팅핀이 끼워질 수 있는 제3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가이드슬롯, 상기 제2 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3 가이드 슬롯은 상기 커넥팅핀의 회전 반경에 배치되어 있는 선로 분기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레일이 상기 제2 스위치 레일 구간에 배치될 때 상기 커넥팅핀은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에 끼워져 있고, 상기 제1 스위치 레일이 상기 제2 스위치 레일 구간에 배치될 때 상기 커넥팅핀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에 끼워져 있는 선로 분기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종점에 상기 제1 스위치 레일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1 스토퍼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4 스위치 종점에 상기 제2 스위치 레일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2 스토퍼가 장착되어 있는 선로 분기 시스템.
KR1020100121145A 2010-12-01 2010-12-01 선로 분기 시스템 KR10119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145A KR101192661B1 (ko) 2010-12-01 2010-12-01 선로 분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145A KR101192661B1 (ko) 2010-12-01 2010-12-01 선로 분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266A KR20120060266A (ko) 2012-06-12
KR101192661B1 true KR101192661B1 (ko) 2012-10-19

Family

ID=4661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145A KR101192661B1 (ko) 2010-12-01 2010-12-01 선로 분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3794B (zh) * 2021-06-04 2022-06-24 中交二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可水平弯折的无缝连接轨道
CN117661389B (zh) * 2024-01-31 2024-04-09 原平恒信液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移动列车用转弯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0003A (ja) 1998-03-31 1999-10-12 Mine Seisakusho:Kk クロッシングレール構造
JP2006307452A (ja) 2005-04-26 2006-11-09 Mitsubishi Heavy Ind Ltd 鉄道線路の分岐装置
KR100776266B1 (ko) 2006-11-29 2007-11-1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분기기용 크로싱 결선부 제거구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0003A (ja) 1998-03-31 1999-10-12 Mine Seisakusho:Kk クロッシングレール構造
JP2006307452A (ja) 2005-04-26 2006-11-09 Mitsubishi Heavy Ind Ltd 鉄道線路の分岐装置
KR100776266B1 (ko) 2006-11-29 2007-11-1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분기기용 크로싱 결선부 제거구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266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4775A1 (en) Junction for Guideways of Vehicles, in Particular of Magnetic Levitation Railways
JP6483672B2 (ja) 第2のレールがある案内レールと交差するように設計されたレールクロッシング
WO2013031630A1 (ja) 車両受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軌道系交通システム
US8398031B2 (en) Rail system, particularly for an electric pallet track
JP2017504738A5 (ko)
KR20160101156A (ko) 철로 전환기, 철로 전환기 작동 기구 및 철로 트랙 크로싱
CN107642008B (zh) 一种高过岔速度柔性单轨道岔
KR101192661B1 (ko) 선로 분기 시스템
US6324991B1 (en) Cross-over for track-gripping, track-bound vehicles
US8573132B2 (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switch and cable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such a switch
KR101151307B1 (ko) 모노레일용 가이드 레일블록의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노레일 분기 장치
KR101062917B1 (ko) 레일바이크용 분기장치
JP2006176982A (ja) 軌道構造
US20160144874A1 (en) Passive Switch For A Railway Track
KR20200083603A (ko) 고정식 레일-궤도 구성을 사용하는 철도차량 전환용 시스템 및 방법
CN107620231B (zh) 一种共用走行线的道岔组合
KR101246565B1 (ko) 선로전환기의 밀착쇄정장치
KR102231715B1 (ko) 콘크리트 매립형 궤도의 선로전환기 블록 쇄정장치
KR100426522B1 (ko) 철도 선로 분기 장치
JP3564678B2 (ja) クロッシングレール構造
RU221662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мены колеи для путей движения дороги на магнитной подвеске
JP2006151351A (ja) タイヤの車両用の軌道変更装置
JP3453355B2 (ja) 軌道分岐装置の接続装置
KR101519461B1 (ko) 동력 케이블 견인방식 철도시스템의 레일-동력 케이블 교차점에서의 레일 전환장치
CN210793153U (zh) 一种用于悬挂式轨道交通运输系统的道岔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