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603A - 고정식 레일-궤도 구성을 사용하는 철도차량 전환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정식 레일-궤도 구성을 사용하는 철도차량 전환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603A
KR20200083603A KR1020207017067A KR20207017067A KR20200083603A KR 20200083603 A KR20200083603 A KR 20200083603A KR 1020207017067 A KR1020207017067 A KR 1020207017067A KR 20207017067 A KR20207017067 A KR 20207017067A KR 20200083603 A KR20200083603 A KR 20200083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transition
vehicle
switching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힛 싱할
라비 샤르마
Original Assignee
로힛 싱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힛 싱할 filed Critical 로힛 싱할
Publication of KR20200083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3/02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7/00Rail vehicles equipped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1/00Operation of points from the vehicle or by the passage of the vehicle
    • B61L11/02Operation of points from the vehicle or by the passage of the vehicle using mechanic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차량을 한 개의 궤도로부터 다른 궤도로 전환하기 위한 차내 궤도 전환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현재 가용한 차내 철도차량 전환 구조는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 및 복잡한 제어 시스템 사이에서의 복잡한 조합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철도차량이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자동차량을 지지하는 주행 궤도, 한 세트의 고정식 구성부를 포함하는 전환 궤도 및 상기 자동차량에 설치된 전환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기구는 상기 자동차량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환기구는, 작동되었을 때, 상기 전환기구가 상기 자동차에 대한 궤도 전환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를 상기 전환 궤도에 걸어맞추기 용이하게 구성되도록,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정식 레일-궤도 구성을 사용하는 철도차량 전환용 시스템 및 방법
본 명세서에 개시된 청구범위들은 "고정식 레일-궤도 구성을 사용하는 철도차량 전환용 시스템 및 방법"을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2017년 11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제62/588,124호에 관한 우선권을 향유하는 것으로서,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결합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철도차량의 궤도를 전환하는 구조를 개시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특히 고정식 레일 전환 구조를 사용하여 철도차량들이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도 객차들은 1세기 이상 대중적인 수송 수단이었다. 전 세계의 대부분의 국가들은 그들의 국토를 종횡하는 철도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철도차량의 궤도를 전환하는 구조는 철도여행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양상 중의 하나인데, 그것이 원하는 방향으로 철도차량의 여행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사항이기 때문이다.
종래의 레일 전환 시스템들은 철도차량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이동식 레일을 사용하였다. 이들 구조는 레일 스위치 (rail switch)로 알려져 있는데,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재구성하는 것이 느렸다. 낮은 전환 속도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이한 목적지로 향하는 다수의 철도차량들 사이에서 큰 간격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분리에 기인하는 수율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철도차량들은 긴 열차들로 조직되었다. 철도차량들은 긴 열차들을 견인할 수 있는 힘을 가지기 위하여 강인하고 무거워야 했다. 그들의 육중한 중량 때문에, 철도는 궤도상에 과도한 마모를 입게 되고 이는 비싼 건설 및 유지 비용을 야기하게 되었다. 더우기, 대부분의 마모 및 그로 인한 보수 유지비용은 이동식 스위치에 소비된다. 적절한 보수유지가 없으면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경감하기 위하여는, 철도차량들이 차내 장치 및 기구를 가져서 수동적인 레일 궤도들을 전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현재 가용한 차내 전환기구들은 고가의 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장치의 복잡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매우 복잡한 설계를 채택하고 있다. 이는, 전체 시스템을 느리고 사고나기 쉽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철도차량이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잡하지 않은 차내 기구에 대한 요구가 있다.
상술한 단점, 결점 및 문제점들은 본 명세서 내에서 언급되며, 이는 이하의 명세서를 읽고 연구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의 실시예들의 일차적인 목적은 철도차량의 궤도 전환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내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레일 또는 궤도 상에서 이동하는 구성부를 사용하지 않고 철도차량으로 하여금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내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레일 또는 궤도 상에 어떠한 능동적인 구성부를 사용하지 않고 철도차량으로 하여금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내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궤도의 전환이 특별히 설계된 전환 궤도를 통하여 가능한 철도차량용 궤도 전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내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전환 구조가 철도차량 내의 내부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되는 철도차량용 궤도 전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내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전환 구조가 궤도 전환을 가능케 하는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들을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궤도 전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들의 기타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철도차량의 궤도 전환용 구조로서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또한 레일 내에 고정식 구성부만을 사용하여 철도차량으로 하여금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송 시스템용 궤도 전환 구조가 제공된다. 궤도 전환 구조는, 자동차량을 지지하는 주행 궤도, 한 세트의 고정식 구성부를 포함하는 전환 궤도, 및 상기 자동차량 중의 적어도 한 차량 내에 설치된 전환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차내 전환기구는, 작동되었을 때, 상기 전환기구가 상기 자동차량에 대한 궤도 전환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환 바퀴들을 상기 전환 궤도에 걸어맞출수 있도록 구성되도록,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철도차량으로 하여금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한 세트의 고정식 구성부 및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철도 열차내에 설치된 전환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기구는, 작동되었을 때, 상기 철도차량에 대한 궤도 전환운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를 상기 전환 궤도에 걸어맞출수 있게 구성되도록,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철도차량으로 하여금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한 세트의 고정식 구성부를 포함하는 전환 궤도를 마련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를 적어도 한 개의 레일 차량과 걸어맞추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들은 상기 전환 궤도를 따라서 주행하도록 배치되는 단계, 철도차량의 각 레일 차량 내에 전환기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기구는, 전환 바퀴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선택적으로 철도차량을 제1 주행 궤도로부터 해제하고 그 철도차량을 제2 주행 궤도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철도차량에 대한 궤도 전환 운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전환 바퀴를 상기 전환 궤도에 걸어맞춤할 수 있도록 전환기구를 작동시킨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의 이러한 또한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보다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다. 하지만, 이하의 기술 내용들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그의 다양한 특정한 세부사항들을 포함하며,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의 요지 내에서 많은 변화 및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그러한 변형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기술 내용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에 대한 궤도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이한 궤간(軌間)을 가지는 주행 크랙 및 전환 궤도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궤간을 사용하는 철도차량용 궤도 전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궤도로 부터 다른 궤도로의 철도차량의 전환을 위한 교차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 바퀴와 전환 바퀴를 가질 수 있는 철도차량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4b 및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 바퀴와 전환 바퀴를 가질 수 있는 철도차량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궤도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주행 궤도 및 전환 궤도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하여 실현되는 철도차량용 궤도 전환을 도시한다.
비록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특정한 특징들은 몇몇 도면들에 개시되어 있지만 다른 도면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는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각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특징들의 어느 것 또는 모든 것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는,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특정한 실시예들은 도시를 위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들 실시예들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그 실시예들을 실시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상세하고, 그 실시예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논리적인, 기계적인 또한 기타의 변화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기술내용들은 따라서 제한적인 관점에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철도차량의 궤도를 전환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한다. 이 다양한 실시예들은 또한, 선로내에서 고정적인 구성부만을 사용하여 철도차량들로 하여금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철도차량이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2중 유도로(誘導路) 시스템을 포함한다. 양 유도로들은 물리적으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자기적으로 고정식이며 수동적이다. 주행 궤도인 제1 유도 시스템은, 통상의 평행-레일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주행 궤도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한다. 전환 궤도인 제2 유도 시스템은 궤도 네트워크 상의 전환점의 근처에만 위치되는 배치로서, 말하자면, 궤도 네트워크 내의 끝단점이나 2개의 궤도가 교차되는 점에 있게 된다. 전환 궤도는 별도의 모노-레일 또는 평행-레일 시스템을 포함한다. 철도차량 상의 차내 장치는 차량의 의도된 목적지에 따라서 전환 궤도와 걸어맞추어질 수도 있고 혹은 걸어맞추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일단 걸어맞추어지면, 전환 궤도는 철도차량을 하나의 주행 궤도로부터 원활하게 분리시키고 다른 주행 궤도 상에 놓음으로써 철도차량에 대한 궤도 전환기구를 시동하게 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철도차량으로 하여금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가 마련된다. 현재의 구조에 따르면, 전환 궤도는 주행 궤도의 위쪽에 높이 위치하고 있고 그 위에서 궤도 위로 차량이 주행한다. 철도차량이 전환점으로 접근하고 궤도를 전환하고자 할 때, 철도차량의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들이 전환 궤도와 걸어맞추어지도록 작동된다. 전환 궤도와 전환 바퀴들이 걸어맞추어지면, 철도차량은 전환 궤도에 수직방향으로 매달리게 된다. 전환 궤도는 철도차량을 제2 주행 궤도로 유도하고 그 철도차량을 제2 주행 궤도에 위치시키도록 설계된다. 철도차량이 전환점으로 근접하고 궤도를 전환할 의도가 없을 때에는, 전환 바퀴가 작동하지 않고 철도차량은 동일한 주행 궤도 상에서 이동을 계속하게 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철도차량으로 하여금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구조가 마련된다. 본 구조에 따르면, 전환 궤도는 주행 궤도와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된다. 전환 궤도와 주행 궤도의 궤간은 상이하다. 전환 궤도는 주행 궤도보다 더 좁거나 또는 더 넓다. 분기 전환점에서, 전환 궤도와 주행궤도는 전환점 전의 어느 정도 거리에서 평행하게 주행하고 전환점을 넘어서는 분기된다. 합쳐지는 전환점에서는, 전환 궤도와 주행 궤도가 전환점을 지나서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게 나아간다. 철도차량이 전환점으로 접근하고 궤도를 전환하고자 하면,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를 포함하는 차내 장치가 철도차량 내에서 작동된다. 작동되었을 때, 전환 바퀴들은 전환 궤도와 걸어맞추어지도록 설계된다. 전환 궤도와 전환 바퀴가 걸어맞추어질 때, 철도차량은 주행 궤도로부터 1차 주행 바퀴들이 해제되도록 설계된다. 전환 궤도는 철도차량을 제 2의 주행 궤도로 유도하고 철도차량을 제 2 주행 궤도에 위치시킨다. 철도차량이 전환점에 접근하고 궤도를 전환할 의도가 없을 때에는, 전환 바퀴들은 작동하지 않고 철도차량은 동일한 주행 궤도에서 계속 주행하게 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철도차량으로 하여금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구조가 마련된다. 본 구조에 따르면, 전환 궤도는 주행 궤도와 동일한 높이에서 시작하고, 주행 궤도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이 전환 궤도의 아래를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천천히 상승하게 된다. 전환 궤도의 궤간은 주행 궤도보다 넓다. 분기 전환점에서, 전환 궤도와 주행 궤도는 전환점 앞의 어느 정도 거리를 평행하게 주행하고 전환점을 지나서 분기한다. 합쳐지는 전환점에서는, 전환 궤도가 주행 궤도가 전환점을 지나서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게 주행한다. 철도차량이 전환점으로 접근하고 궤도를 전환하고자 할 때,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를 포함하는 차내 장치가 철도차량 내에서 작동된다. 작동되었을 때, 전환 바퀴들은 전환 궤도와 걸어맞추어지도록 설계된다. 전환 궤도와 전환 바퀴가 걸어맞추어질 때, 철도차량은 주행 궤도로부터 1차 주행 바퀴들이 해제되도록 설계된다. 전환 궤도는 철도차량을 제 2의 주행 궤도로 유도하고 철도차량을 제2 주행 궤도에 위치시킨다. 철도차량이 전환점에 접근하고 궤도를 전환할 의도가 없을 때에는, 전환 바퀴들은 작동하지 않고 철도차량은 동일한 주행 궤도에서 계속 주행하게 된다.
도 1은 철도차량에 대해서 궤도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이한 궤간을 가지는 주행 궤도 및 전환 궤도의 배치를 도시한다. 이 시스템은 2중 유도 시스템을 가지는 고정식 스위치를 포함한다. 양쪽 궤도들은 기계적으로 고정되며 전기자기적으로 수동적이다. 주행 궤도(101)인 제1 유도 시스템은, 전통적인 평행-궤도 시스템을 포함한다. 철도차량은 통상 주행 궤도 상에서 주행한다. 전환 궤도(102)인 제2 유도 시스템은, 궤도 네트워크 상의 전환점의 부근에만 위치한다. 전환 궤도(102)는 주행 궤도와는 상이한 궤간의 평행-궤도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2는 상이한 궤간의 궤도를 사용하는 철도차량용 궤도 전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환 궤도(102)는 철도차량을 하나의 주행 궤도(101)로부터 다른 주행 궤도(103)로 원활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철도차량에 대한 궤도 전환기구로서 기능한다.
도 3은 하나의 궤도로부터 다른 궤도로 철도차량을 전환하기 위한 교차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철도 네트워크에 대한 구성요소로서 기능한다.
도 4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바퀴 및 전환 바퀴를 사용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철도차량의 각 차량은 주행 바퀴(401) 및 전환 바퀴(402)의 세트가 장착되어 있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바퀴 및 전환 바퀴를 사용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주행 바퀴들은 철도차량에 대하여 고정된 높이를 가진다. 전환 바퀴들은, 철도차량이 궤도 전환을 할지 또는 안할지를 의도함에 따라 나오거나 들어가게 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을 위하여 궤도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주행 궤도 및 전환 궤도의 배치를 나타낸다. 이 시스템은 2중 유도 시스템을 가진 고정식 스위치를 포함한다. 양쪽 유도 시스템들은 기계적인, 물리적인 또는 수동적인 전자기 결합을 통하여 고정된다. 주행 궤도(501)인 제1 유도 시스템은, 전통적인 평행-레일 시스템을 포함한다. 철도차량은 주행 궤도 상에서 주행한다. 전환 궤도(502)인 제2 유도 시스템은, 주행 궤도 상의 전환점 근방에만 배치된다. 전환 궤도(502)는 모노-레일 또는 평행-레일 시스템을 포함하며, 전환 궤도는 주행 궤도(501)와 비교할 때 높게 위치한다. 전환 궤도(502)는, 철도차량을 하나의 주행 궤도(501)로부터 다른 주행 궤도로 원활하게 이동함으로써, 철도차량에 대한 궤도 전환기구로서 기능한다. 전환기구는 전환이 필요할 때 철도차량 내의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하여 실시가능한 철도차량용 궤도 전환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은 주행 궤도(501), 전환 궤도(502) 및 철도차량(601)을 포함한다. 철도차량(601)에는 주행 바퀴(603a)(603b) 및 전환 바퀴(604a)(604b)가 장비되어 있다. 본 구조에 따르면, 전환 궤도(502)는 주행 궤도(501)의 위쪽에 위치하고, 철도차량(601)은 그 위에서 주행하고 있다. 철도차량(601)이 전환점에 접근하고 궤도를 전환하려고 하면, 철도차량 내의 사용자는 철도차량(601) 내의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604a)(604b)를 작동할 수 있다. 전환 바퀴(604a)(604b)들은 이 전환바퀴(604a)(604b)들이 작동할 때 전환 궤도(502)와 걸어맞춤하도록 설계된다. 전환 궤도(502)와 전환 바퀴(604a)(604b)들이 걸어맞춤하면, 철도차량(601)은 전환 궤도(502)로부터 수직으로 매달리게 된다. 전환 궤도(502)는 철도차량(601)을 제2 주행 궤도로 유도하고 철도차량을 제2 주행 궤도상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철도차량(601)이 전환점에 접근하고 궤도를 전환할 의도가 없으면, 전환 바퀴(604a)(604b)들은 작동하지 않고 철도차량(601)은 동일한 주행 궤도 상에서 주행을 계속하게 된다.
본 명세서 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철도차량이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한 세트의 고정식 구성부를 포함하는 전환 궤도를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를 적어도 한 개의 철도차량과 결합하고, 전환 바퀴들의 세트는 전환 궤도를 따라서 주행하도록 배치되는 단계, 철도차량의 각 레일 차량에 전환기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환 구조는 전환 바퀴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철도차량을 제1 주행 궤도로부터 해제하고 철도차량을 제2 주행 궤도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철도차량에 대한 궤도 전환 운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환 바퀴와 전환 궤도의 걸어맞춤을 행하도록 전환기구를 작동한다.
이상의 특정한 실시예의 기술 내용은 본 명세서 내의 실시예들의 일반적인 성격을 완전히 드러냄으로써, 현재의 지식을 적용하여, 제3자가 일반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서 특정한 실시예와 같은 다양한 적용분야에 대해서 용이하게 변경 및/또는 채택할 수 있고, 따라서 그러한 변경 및 채택은 개시된 실시예의 등가적인 범위 및 의미 내에서 이해될 수 있도록 의도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채택된 용어 또는 어법은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 한정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님은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실시예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관점에서 기술된 것이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 내의 실시예들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변형들은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취급된다.
비록 본 실시예들은 몇가지 특정한 실시예로 기술되었으나, 동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17)

  1. 수송 시스템용 궤도 전환 구조로서, 상기 궤도 전환 구조는,
    자동차량을 지지하는 주행 궤도;
    한 세트의 고정식 구성부를 포함하는 전환 궤도; 및
    상기 자동차량에 설치된 전환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기구는, 작동되었을 때, 상기 전환기구가 상기 자동차량에 대한 궤도 전환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를 상기 전환 궤도에 걸어맞추도록,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궤도 전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량은 철도차량인, 수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구는, 철도차량의 임의의 목적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되는, 수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궤도는 상기 주행 궤도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전환 궤도의 궤간은 상기 주행 궤도의 궤간과 동일한, 수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궤도는 상기 주행 궤도의 높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전환 궤도의 궤간은 상기 주행 궤도의 궤간과 동일한, 수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궤도는 상기 주행 궤도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전환 궤도의 궤간은 상기 주행 궤도의 궤간과 상이한, 수송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궤도는 상기 주행 궤도의 높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전환 궤도의 궤간은 상기 주행 궤도의 궤간과 상이한, 수송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궤도는 상기 주행 궤도의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환 궤도의 궤간은 상기 주행 궤도의 궤간과 상이한, 수송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궤도는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 주행 궤도의 높이에 위치하고, 전환 궤도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상승함으로써 상기 주행 궤도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상기 전환 궤도의 아래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로 되는, 수송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궤도의 궤간은 상기 주행 궤도의 궤간보다 넓은, 수송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궤도는 모노-레일 및 평행-레일 시스템 중의 하나로 구성되는, 수송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량은, 상기 주행 궤도와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된 한 세트의 주행 바퀴를 더 포함하는, 수송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구는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가 전환 궤도와 걸어맞추어진 후 상기 주행 바퀴들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수송 시스템.
  14. 철도차량이 궤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철도차량을 지지하는 주행 궤도를 마련하는 단계;
    한 세트의 고정식 구성부를 포함하는 전환 궤도를 마련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를 적어도 한 개의 레일 차량과 결합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들은 상기 전환 궤도를 따라서 주행하도록 배치되는 단계;
    철도차량의 적어도 한 개의 레일 차량에 전환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전환기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철도차량을 제1 주행 궤도로부터 해제하고 철도차량을 제2 주행 궤도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철도차량에 대한 궤도 전환 운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를 전환 궤도와 걸어맞춤하도록 작동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의 각 레일 차량은 상기 주행 궤도와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는 한 세트의 주행 바퀴들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구를 작동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환 바퀴를 전환 궤도와 걸어맞춘 후에 상기 주행 바퀴들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궤도는 모노-레일 및 평행-레일 시스템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17067A 2017-11-17 2018-11-19 고정식 레일-궤도 구성을 사용하는 철도차량 전환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36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88124P 2017-11-17 2017-11-17
US62/588,124 2017-11-17
PCT/US2018/061775 WO2019099984A1 (en) 2017-11-17 2018-11-19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railcars using a static rail-track configu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603A true KR20200083603A (ko) 2020-07-08

Family

ID=6653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067A KR20200083603A (ko) 2017-11-17 2018-11-19 고정식 레일-궤도 구성을 사용하는 철도차량 전환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00339169A1 (ko)
EP (1) EP3710332A4 (ko)
JP (1) JP7444457B2 (ko)
KR (1) KR20200083603A (ko)
CN (1) CN111433105A (ko)
AU (2) AU2018368752A1 (ko)
BR (1) BR112020009557A2 (ko)
CA (1) CA3082600A1 (ko)
MX (1) MX2020005479A (ko)
RU (1) RU2763412C2 (ko)
WO (1) WO2019099984A1 (ko)
ZA (1) ZA2020036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6481A1 (de) * 2022-02-17 2023-08-24 Nt Innovation Ohg Schienenfahrzeug, insbesondere zweiwegefahrzeug eingerichtet zum spurwechsel sowie entsprechendes system und verfahren
CN114872736A (zh) * 2022-05-24 2022-08-09 乔昕 一种车辆及交通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395A (en) * 1907-01-24 1907-08-06 John William Reid Car-switching mechanism.
US3254608A (en) * 1965-03-29 1966-06-07 Alden Self Transit Syst Vehicles and transportation systems
US3508496A (en) * 1967-02-06 1970-04-28 Univ Northwestern Transportation system
US3590743A (en) * 1969-03-26 1971-07-06 Roy J Larson Mass transit system
US3797401A (en) * 1970-06-12 1974-03-19 M Alimanestianu Automatic switching system for propelled carriers
US3712239A (en) * 1971-10-04 1973-01-23 Ford Motor Co Steering mechanism
US3858518A (en) * 1972-03-27 1975-01-07 Alexander Nyman Elevated transport system
US3847085A (en) * 1973-07-16 1974-11-12 Duo Mode Electric Trans Syst Dual-mode transportation system
US3926126A (en) * 1975-02-12 1975-12-16 Karl Heinz Voss Vehicle diverting apparatus
US4030422A (en) * 1975-12-08 1977-06-21 Pasquan Raymond F Switching system for guided vehicles
US4791871A (en) * 1986-06-20 1988-12-20 Mowll Jack U Dual-mode transportation system
US5289778A (en) * 1992-07-06 1994-03-01 Romine Richard A Automated electric transportation system
JP2876096B2 (ja) * 1992-11-06 1999-03-3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台車のゲージ変更方法および可変ゲージ台車ならびにゲージ変更設備
HUP0303273A3 (en) * 2001-03-01 2007-10-29 Cascade Engineering Individual transportation system
AU2002320745A1 (en) * 2001-07-12 2003-01-29 Ivo Van Ginderachter Transportation system for passengers and goods or containers
EP2244921B1 (en) * 2008-02-13 2016-05-25 ALSTOM Schienenfahrzeuge AG Bogie for variable rail gauge and changing station of the rail gauge
CA2790120A1 (en) * 2010-02-18 2011-09-15 Lennart Hoeglund Transport system
US8677906B2 (en) * 2011-06-05 2014-03-25 Yuriy Vysochan Automatic address transportation system
US8950337B1 (en) 2014-05-02 2015-02-10 William D. Davis Personal transportation rail system
CN104015731A (zh) * 2014-05-30 2014-09-03 赵毅 大运能直达轨交系统
US9809933B2 (en) * 2014-06-12 2017-11-07 Ctrain Corporation Multiple tier elevated light train
US10655278B2 (en) * 2014-06-12 2020-05-19 Ctrain Corporation Multiple tier elevated light train
US20180065433A1 (en) * 2016-09-03 2018-03-08 Joey H. Sun Dual-mode, adjustable-span vehicles (dmasv) and a rail freeway system
CN106864464B (zh) * 2017-02-23 2018-07-06 万普华 个人悬挂式双轨道双动力自动控制轻型轨道交通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0332A1 (en) 2020-09-23
JP7444457B2 (ja) 2024-03-06
RU2020119424A (ru) 2021-12-20
EP3710332A4 (en) 2021-12-22
WO2019099984A1 (en) 2019-05-23
CN111433105A (zh) 2020-07-17
MX2020005479A (es) 2020-08-27
BR112020009557A2 (pt) 2020-11-03
AU2023203588A1 (en) 2023-07-06
AU2018368752A1 (en) 2020-07-02
JP2021503412A (ja) 2021-02-12
RU2020119424A3 (ko) 2021-12-20
ZA202003647B (en) 2022-07-27
RU2763412C2 (ru) 2021-12-29
US20200339169A1 (en) 2020-10-29
CA3082600A1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9389B2 (ja) 大運送力直通軌道交通システム
CN204821608U (zh) 跨座式单轨道岔锁定装置
WO1986004569A1 (en) A traversing elevator
US20110220445A1 (en) Fully automatic traffic system
KR20200083603A (ko) 고정식 레일-궤도 구성을 사용하는 철도차량 전환용 시스템 및 방법
US3759187A (en) Rail vehicle steering system
US3783793A (en) Track system having non-load bearing track switch
US1352969A (en) Carrier
CN210826954U (zh) 高速磁浮交通道岔系统
US2977892A (en) Transportation systems
US5582108A (en) Rail junction
KR20110134477A (ko) 단일 통행 레인을 따라 안내되는 차량을 갖는 수송 장비
US6393993B1 (en) Transit switching system for monorail vehicles
KR101314856B1 (ko) 자기부상열차의 일반 철도 운행용 결합 차량
Cheptsov et al. Project near²-network of european/asian rail research capacities (signalling systems)
DE102014009978A1 (de) Magnetbahn-Spurverzweigung ohne bewegliche Weiche
CN105329256A (zh) 一种不停车快速上落客系统
JP7288362B2 (ja) 充電線区の設備システムおよび電源車の入換え方法
US577268A (en) Iohris peters co
US430179A (en) Cable suburban railway
JPH01229761A (ja) 超高速鉄道用分岐システム
US1798581A (en) Switch crane
CN112239977A (zh) 高速磁浮交通道岔系统
US534818A (en) Combined switch
Krevet et al. Autoshuttle electric express high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