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387B1 - 닭 가슴살 육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닭 가슴살 육포 - Google Patents
닭 가슴살 육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닭 가슴살 육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6387B1 KR101186387B1 KR1020100057028A KR20100057028A KR101186387B1 KR 101186387 B1 KR101186387 B1 KR 101186387B1 KR 1020100057028 A KR1020100057028 A KR 1020100057028A KR 20100057028 A KR20100057028 A KR 20100057028A KR 101186387 B1 KR101186387 B1 KR 1011863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chicken breast
- jerky
- hot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구분 |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 죽엽 열수 추출액의 첨가량 |
실시예 1 | 80 중량부(800g) |
실시예 2 | 90 중량부(900g) |
실시예 3 | 100 중량부(1,000g) |
실시예 4 | 110 중량부(1,100g) |
실시예 5 | 120 중량부(1,200g) |
구분 | 침지액 100 중량부 기준 올리고당의 첨가량 |
실시예 6 | 5 중량부(90g) |
실시예 7 | 10 중량부(180g) |
실시예 8 | 15 중량부(270g) |
실시예 9 | 20 중량부(360g) |
구분 | DPPH 라디칼 소거능 |
실시예 1 | 14.27±0.72 |
실시예 2 | 15.89±0.83 |
실시예 3 | 16.35±0.38 |
실시예 4 | 16.79±0.67 |
실시예 5 | 16.92±0.53 |
비교예 | 12.48±1.05 |
구분 | 향 | 맛(기호도) | 질감(조직감) |
실시예 1 | 3.92±0.27** | 4.01±0.19** | 4.12±0.21** |
실시예 2 | 4.46±0.19** | 4.35±0.25** | 4.47±0.24** |
실시예 3 | 4.57±0.38** | 4.74±0.17** | 4.58±0.17** |
실시예 4 | 4.63±0.27** | 4.36±0.27** | 4.42±0.35** |
실시예 5 | 4.78±0.15** | 4.19±0.32** | 4.04±0.26** |
비교예 | 3.45±0.32 | 3.66±0.22 | 3.72±0.36 |
- *P<0.05, *P<0.01 - 통계처리: 실험은 3회 반복 실험하여 실험 결과를 MEAN±SD로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 분석은 Ducan의 다중범위 시험법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구분 | 향 | 맛(기호도) | 질감(조직감) |
실시예 6 | 4.54±0.24 | 4.66±0.12** | 4.56±0.32** |
실시예 7 | 4.59±0.31* | 4.57±0.25** | 4.44±0.28** |
실시예 8 | 4.53±0.24 | 4.54±0.18** | 4.53±0.17** |
실시예 9 | 4.52±0.33 | 4.18±0.31* | 4.12±0.25 |
비교예 | 4.49±0.25 | 3.92±0.14 | 4.03±0.24 |
- *P<0.05, *P<0.01 - 통계처리: 실험은 3회 반복 실험하여 실험 결과를 MEAN±SD로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 분석은 Ducan의 다중범위 시험법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Claims (7)
- (a) 올리고당, 설탕, 간장, 캡사이신 분말, 후추 분말 및 죽엽의 열수 추출액을 포함하는 침지액을 제조하되, 올리고당, 설탕, 간장 및 캡사이신 분말의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 죽엽의 열수 추출액을 80 내지 120 중량부로 혼합한 침지액을 제조하는 단계;
(b) 그 침지액에 닭 가슴살 슬라이스를 침지시키는 단계; 및
(c) 침지액에 침지시킨 닭 가슴살 슬라이스를 건져내어 60℃ 드라잉 오븐(drying oven)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죽엽의 열수 추출액은 물에 죽엽 분말 1%(w/v)을 넣고 90℃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가슴살 육포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죽엽의 열수 추출액은 상기 올리고당, 설탕, 간장 및 캡사이신 분말의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 90 내지 1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가슴살 육포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당은, 설탕, 간장, 캡사이신 분말, 후추 분말 및 죽엽의 열수 추출액의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 5 내지 1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가슴살 육포의 제조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침지액은 올리고당 19~21 중량%, 설탕 9~11 중량%, 간장 66~68 중량%, 캡사이신 분말 1~3 중량% 및 후추 1~2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죽엽 열수 추출액을 그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 90 내지 110 중량부로 첨가하여 얻어진 침지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가슴살 육포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침지액은 죽엽 열수 추출액 55~56 중량%, 설탕 5~6 중량%, 간장 37~38 중량%, 캡사이신 분말 1~2 중량% 및 후추 분말 0.5~0.6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그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 올리고당 5 내지 15 중량부로 첨가하여 얻어진 침지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가슴살 육포의 제조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닭 가슴살 육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7028A KR101186387B1 (ko) | 2010-06-16 | 2010-06-16 | 닭 가슴살 육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닭 가슴살 육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7028A KR101186387B1 (ko) | 2010-06-16 | 2010-06-16 | 닭 가슴살 육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닭 가슴살 육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7044A KR20110137044A (ko) | 2011-12-22 |
KR101186387B1 true KR101186387B1 (ko) | 2012-09-26 |
Family
ID=4550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7028A Active KR101186387B1 (ko) | 2010-06-16 | 2010-06-16 | 닭 가슴살 육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닭 가슴살 육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638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4257B1 (ko) * | 2019-07-05 | 2021-07-06 | 강호문 | 닭 가슴살 육포제조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 가슴살 육포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87719B1 (ko) | 1997-05-10 | 1999-06-01 | 박순용 | 대나무 추출액을 이용하여 육류제품을 가공하는 방법 |
KR100889804B1 (ko) | 2009-01-08 | 2009-03-20 | (주)다사랑 | 닭고기 숙성 방법 |
-
2010
- 2010-06-16 KR KR1020100057028A patent/KR10118638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87719B1 (ko) | 1997-05-10 | 1999-06-01 | 박순용 | 대나무 추출액을 이용하여 육류제품을 가공하는 방법 |
KR100889804B1 (ko) | 2009-01-08 | 2009-03-20 | (주)다사랑 | 닭고기 숙성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7044A (ko) | 2011-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9246B1 (ko) | 식이섬유가 포함된 대체 다짐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이섬유가 포함된 대체 다짐육 | |
JP7550423B2 (ja) | 食肉様食品を含有する液状調味料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肉質感が向上している食肉様食品とその製造方法 | |
KR101323339B1 (ko) | 소세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소세지 | |
KR101380352B1 (ko) |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닭 육포 제조방법 | |
KR101298790B1 (ko) | 홍차를 이용한 돼지 국밥의 제조 방법 | |
KR101856449B1 (ko) | 아피오스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86387B1 (ko) | 닭 가슴살 육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닭 가슴살 육포 | |
KR101819794B1 (ko) | 천연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육포 제조방법 | |
KR20190142494A (ko) |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 |
KR102533478B1 (ko) | 만능 양념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005796B1 (ko) | 녹차와 국내산 곡물을 이용한 녹차 크리스피롤의 제조방법 | |
KR20140025818A (ko) | 천연성분 함유 원소병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원소병 | |
KR102469749B1 (ko) | 오디육포의 제조 방법 | |
KR101715837B1 (ko) | 버섯 및 닭가슴살을 포함하는 조림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093604B1 (ko) | 댓잎을 이용한 죽순 김치의 제조 방법 | |
KR101471469B1 (ko) | 오리로스용 살코기의 제조방법 | |
KR101475783B1 (ko) | 기호성과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여주 피클의 제조 방법 | |
KR102030700B1 (ko) | 황칠성분으로 코팅하여 장기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 |
KR100644298B1 (ko) | 도토리를 이용한 인조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14392B1 (ko) | 고춧잎 분말을 첨가한 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춧잎 분말 첨가 면 | |
KR101559169B1 (ko) |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 | |
KR100728523B1 (ko) | 만두피의 냄새 제거용 조성물, 그 조성물로 제조된 만두피및 만두 | |
KR102614563B1 (ko) | 잡내와 식감이 개선된 소불고기용 양념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소불고기의 제조방법 | |
KR102092310B1 (ko) | 매생이 스낵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제조된 매생이 스낵 | |
KR101805793B1 (ko) | 산야초를 포함한 항암 및 항산화 기능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