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871B1 - 멜론 농축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멜론 농축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871B1
KR101182871B1 KR1020110009642A KR20110009642A KR101182871B1 KR 101182871 B1 KR101182871 B1 KR 101182871B1 KR 1020110009642 A KR1020110009642 A KR 1020110009642A KR 20110009642 A KR20110009642 A KR 20110009642A KR 101182871 B1 KR101182871 B1 KR 101182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n
weight
composition
beverage compositio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351A (ko
Inventor
김정훈
유광우
이주미
정지현
Original Assignee
웅진식품주식회사
부여군
권기대
부여군지역농협조합공동사업법인
생물자원산업화센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식품주식회사, 부여군, 권기대, 부여군지역농협조합공동사업법인, 생물자원산업화센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식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871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8Colou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2Clouding agents; Agents to improve the cloud-st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airy Product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멜론 농축액 0.05~10중량%; 유단백 함유 분체 0.001~5중량%; 자당이 100%인 당 0.5~20중량%; 산미제 0.005~1.0중량%; 및 물 잔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론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멜론 농축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Drink composition containing a Melon concentrat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멜론 농축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멜론의 학명은 Cucumis melo L.var reticulates Naud이고, 박 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멜론에는 수분이 많아 이뇨 효과가 있고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 멜론의 과육 중에서 황색은 카로티노이드로서 비타민 A의 모체가 되는 성분이며, 쿠쿨비타신은 항암 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멜론은 캔털루프(cantaloupe)계, 겨울 멜론(winter melon)계, 그물 멜론(netted melon)계의 3계통이 있다. 이 중에서 그물 멜론계와 캔털루프계의 멜론은 향기가 뛰어나 사향(麝香: musk)에 비유하여 머스크 멜론이라고 한다.
머스크 멜론의 영양성분 함량은 가식부 100g 당 에너지(kcal) 38, 수분(%) 88.2, 단백질(g) 1.4, 지질(g) 0.1, 탄수화물(g) 9.5, 섬유소(g) 0.4, 칼슘(mg) 7, 인(mg) 43, 철(mg) 0.5, 나트륨(mg) 13, 칼륨(mg) 374, 비타민 A, B1, B2, C, 나이아신 등이 함유되어 있다. 머스크 멜론을 수박과 비교해 볼 때 단백질 및 지질은 2 내지 3배, 당질 2배, 섬유질 9배, 비타민 2배 등의 많은 량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멜론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특히 멜론과 유단백 함유 분체를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 및 저장 중 발생하는 갈변 반응과 침전 현상을 개선하는 멜론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관능을 지니며 안정성이 우수한 멜론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멜론 농축액 0.05~10중량%; 유단백 함유 분체 0.001~5중량%; 자당이 100%인 당 0.5~20중량%; 산미제 0.005~1.0중량%; 및 물 잔량을 포함하는 멜론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단백 함유 분체 0.001~5.0중량%, 자당이 100%인 당 0.5~20.0중량% 및 40~50℃로 가온한 물을 5~40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과 멜론 농축액 0.05~10.0중량%을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산미제 0.005~1.0중량% 및 물을 상온에서 10~30분간 용해시켜 제3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과 제3 혼합물을 혼합하여 150~250bar로 균질하는 균질화 단계; 및 상기 균질물을 90~140℃에서 5초~10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단백 함유 분체, 자당이 100%인 당, 멜론 농축액, 산미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상기 물은 조성물 총 합이 100중량%가 되도록 나누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멜론의 영양적, 관능적 손실을 최소화한 멜론 농축액과 유단백 함유 분체를 최적의 비율로 조합함으로써, 멜론의 풍부한 맛을 가지면서도 안정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산성 과즙과 유단백 함유 분체를 주원료로 이용한 음료에서 쉽게 발생하는 갈변과 침전 현상에 대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안정성을 유지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멜론의 가공을 통해 음용의 편의성과 대중성이 향상된 음료로 개발함으로써 멜론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도 1은 실시예2의 멜론 음료 조성물이 함유된 용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1의 멜론 음료 조성물이 함유된 용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8의 멜론 음료 조성물이 함유된 용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2의 멜론 음료 조성물이 함유된 용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Ⅰ. 음료 조성물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멜론 농축액, 유단백 함유 분체, 자당이 100%인 당, 산미제 및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멜론 농축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멜론 농축액 0.05~10중량%로 포함되고, 0.1~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멜론 농축액 내에 포함된 음전하의 고분자 화합물이 유단백 함유 분체와 응집반응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멜론 농축액 내에 포함된 음전하의 고분자 화합물이 유단백 함유 분체와 응집반응이 발생하게 되어 안정성에 문제가 생긴다. 상술한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면, 멜론 농축액에 의한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음전하의 고분자 화합물은 멜론 천연의 과즙에 함유된 펙틴분자를 의미한다. 펙틴 분자는 수용액 내에서 음전하를 띄고, 이러한 음전하 특성으로 인해 유단백 함유 분체와 산미제의 응집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멜론 농축액은 당도가 13~20Bx인 머스크 멜론을 선별하여 껍질과 씨를 제거한 후, 파쇄, 추출, 여과, 농축, 살균 및 여과 공정 등을 거친 농축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단백 함유 분체는 원유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분말형으로 제조한 것으로서, 적은 용적에도 불구하고 영양가가 높고, 취급이 편리하다.
상기 유단백 함유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중량%로 포함되고, 0.3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의 침전 현상을 개선시키고, 우수한 관능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유단백 함유 분체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신선하고 이미, 이취가 없는 탈지분유, 탈지유, 가당탈지연유, 전지분유, 강화분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자당이 100%인 당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20중량%로 포함되고, 5~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멜론과 유단백 함유 분체를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에서 비효소적 갈변 반응인 마일라드(Mailliard) 반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이 우수한 관능을 나타나게 한다.
상기 자당이 100%인 당은 당업계에서 이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예컨대, 백설탕, 그라뉴당, 슈가파우터, 빙당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환원당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이성화당은 유단백 함유 분체와 마일라드 반응을 일으켜 가열 혹은 보존 중에 갈변을 촉진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산미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음료가 미생물에 안전한 pH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산미제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예컨대, 구연산, 젖산, 푸마르산, 말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은 음료 조성물 총 중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잔량 포함된다. 상기 물은 정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자당이 100%가 아닌 당은 포함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자당이 100%가 아닌 당이 음료 조성물에 포함되면, 보존 중에 갈변 현상이 일어나므로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안정제, 비타민, 색소 및 탄산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면, 멜론 농축액과 유단백 함유 분체가 반응하여 음료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전체적인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안정제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예컨대, 대두다당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를 들 수 있다.
상기 산성 조건하에서 우유가 함유된 산성 유성 음료인 경우는, 입자 지름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점성이 적은 대두다당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깔끔하게 마실 수 있고, 관능적으로 우수한 바디감을 주어 전체적인 관능을 향상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산성 유성 음료는 유성음료이면서 pH가 3.0~5.0인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비타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0.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유단백 함유 분체에서 발생되는 갈변 현상을 개선하므로,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의 안정성이 유지된다.
상기 비타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예컨대 비타민 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0.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시각적인 효과를 주어 음료의 관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색소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예컨대, 치차청색소, 홍화황색소, 치자그린색소를 들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유성 탄산 음료 특유의 청량감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상기 탄산가스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예컨대, 이산화탄소, 액체 탄산, 고체 탄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착향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론 및/또는 요구르트향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로 포함하면 음료의 관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상기에서 기술한 성분 외에 음료 조성물 제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예컨대, 유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Ⅱ.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기재된 함량은 최종 생산품인 멜론 음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구성요소 중의 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나뉘어 포함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유단백 함유 분체 0.001~5.0중량%, 자당이 100%인 당 0.5~20.0중량% 및 40~50℃로 가온한 물을 5~40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온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시간 동안 교반하면, 각 성분들의 고유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인 혼합물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물의 온도를 만족하면, 유단백 함유 분체의 성분 변성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단시간 내, 완벽히 용해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유단백 함유 분체가 변성을 일으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안정제 0.001~3중량%, 비타민 0.001~0.5중량% 및 색소 0.001~0.5중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단백 함유 분체, 자당이 100%인 당, 안정제, 비타민, 색소 등의 함량 한정 이유는 음료 조성물에 기재된 함량 한정이유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유단백 함유 분체, 자당이 100%인 당, 안정제, 비타민, 색소의 함량은 최종 생산품인 음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함량을 한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혼합물과 멜론 농축액 0.05~10.0중량%을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온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멜론 농축액의 함량 한정 이유는 음료 조성물에 기재된 함량 한정이유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멜론 농축물의 함량은 최종 생산품인 음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함량을 한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산미제 0.005~1.0중량% 및 물을 상온에서 10~30분간 용해시켜 제3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산미제는 상기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들과는 별도로 물에 용해시켜야만, 유단백 함유 분체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산미제의 함량 한정 이유는 음료 조성물에 기재된 함량 한정이유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산미제의 함량은 최종 생산품인 음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함량을 한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제2 혼합물과 제3 혼합물을 혼합한 후, 150~250bar로 균질하는 균질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단계를 수행하면, 상기 유단백 함유 분체를 미세화하여, 안정화된다. 또한, 멜론 음료 조성물의 침전 현상을 개선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갈변 현상을 지연시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균질물을 90~140℃에서 5초~10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온도 및 시간에서 살균하게 되면, 구성요소들의 물성을 파괴시키지 않으면서 미생물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살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살균된 균질물을 여과하고, 상기 여과된 균질물과 탄산가스 0.01~1.0중량%를 혼합하고 85~100℃에서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된 균질물은 0~1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가스의 함량 한정 이유는 음료 조성물에 기재된 함량 한정이유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탄산가스의 함량은 최종 생산품인 음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함량을 한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멜론의 영양적, 관능적 손실을 최소화한 멜론 농축액과 유단백 함유 분체를 최적의 비율로 조합함으로써, 멜론의 풍부한 맛을 가지면서도 안정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산성 과즙과 유단백 함유 분체를 주원료로 이용한 음료에서 쉽게 발생하는 갈변과 침전 현상에 대한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안정성을 유지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멜론의 가공을 통해 음용의 편의성과 대중성이 향상된 음료로 개발함으로써 멜론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조예1: 멜론 농축액의 제조
머스크 멜론 중 병충과 및 부패과를 선별하고 당도가 13Bx인 것을 세척한 후 별도의 용기에 담고, 껍질과 씨를 제거하였다. 파쇄기를 이용하여 멜론을 파쇄하고 200배(w/w)의 정제수를 가하여 100℃에서 2.5시간 추출하였다. 추출 후 규조토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을 Brix: 65%까지 진공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90℃이상에서 10분간 살균한 후 200메쉬 여과망을 통과한 후 멜론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9, 비교예1 및 비교예2: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제조
탈지분유, 백설탕, 과당, 대두다당류 및 45℃로 가온한 정제수를 15분간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혼합물과 멜론 농축액을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한편, 구연산을 정제수에 넣고 상온에서 15동안 용해시켜 제3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2 혼합물과 제3 혼합물을 혼합 교반한 후, 균질압력을 200bar로 균질화하였다. 상기 균질물을 120℃로 가온하여 5분간 살균하여, 멜론 음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여기서, 각 구성요소들의 함량은 하기 표 1과 동일하다. 그리고, 비교예 2의 경우, 균질화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들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였다.
제조예 1의
멜론 농축액
탈지분유 백설탕 대두다당류 구연산 과당 정제수
실시예1 0.1 0.6 10 - 0.3 - 잔량
실시예2 0.3 0.6 10 - 0.3 - 잔량
실시예3 0.5 0.6 10 - 0.3 - 잔량
실시예4 0.3 0.3 10 - 0.3 - 잔량
실시예5 0.3 0.7 10 - 0.3 - 잔량
실시예6 0.3 1.0 10 - 0.3 - 잔량
실시예7 0.3 0.5 10 0.05 0.3 - 잔량
실시예8 0.3 0.5 10 0.07 0.3 - 잔량
실시예9 0.3 0.5 10 1.0 0.3 - 잔량
비교예1 0.3 0.6 - - 0.3 10 잔량
비교예2 0.3 0.5 10 0.07 0.3 - 잔량
비교예3 0.3 0.6 5.0 - 0.3 5.0 잔량
시험예: 실시예1 내지 실시예9, 비교예1의 멜론 음료 조성물의 평가
실시예1 내지 실시예9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멜론 농축물과 탈지분유가 반응하지 않으므로, 응집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멜론의 풍미가 느껴지므로, 관능상에서도 모두 우수하였다. 특히, 실시예2의 경우 가장 이상적인 맛을 나타내고, 실시예3의 경우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5의 경우, 관능성과 안정성이 가장 조화를 이루었다.
하지만, 비교예1의 경우, 맛이 밋밋하여 관능이 우수하지 않았다. 비교예2의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침전이 생기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3의 경우, 비교예1보다는 관능과 안정성에서 우수하지만,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맛이 밋밋하고, 과당을 포함하고 있어 보존 중에 갈변 현상이 일어났다.
한편, 도 1은 실시예2의 멜론 음료 조성물이 함유된 용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1의 멜론 음료 조성물이 함유된 용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2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갈변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비교예 1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갈변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자당이 100%인 당을 이용한 멜론 음료 조성물은 환원기를 갖지 않으므로 마일라드 반응이 억제되어 갈변 현상도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은 실시예8의 멜론 음료 조성물이 함유된 용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2의 멜론 음료 조성물이 함유된 용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8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침전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비교예2의 멜론 음료 조성물은 침전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균질 공정을 거친 멜론 음료 조성물이 층 분리 및 침전 개선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멜론 농축액 0.05~10중량%;
    유단백 함유 분체 0.001~5중량%;
    자당이 100%인 당 0.5~20중량%;
    산미제 0.005~1.0중량%; 및
    물 잔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론 음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안정제 0.001~3.0중량%;
    비타민 0.001~0.5중량%;
    색소 0.001~0.5중량%; 및
    탄산가스 0.01~1.0중량%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론 음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멜론 농축액은 당도가 13~20Bx인 머스크 멜론을 선별하여 껍질과 씨를 제거한 후, 파쇄, 추출, 여과, 농축, 살균 및 여과 공정을 거친 농축액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4. 유단백 함유 분체 0.001~5.0중량%, 자당이 100%인 당 0.5~20.0중량% 및 40~50℃로 가온한 물을 5~40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과 멜론 농축액 0.05~10.0중량%을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산미제 0.005~1.0중량% 및 물을 상온에서 10~30분간 용해시켜 제3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과 제3 혼합물을 혼합하여 150~250bar로 균질하는 균질화 단계; 및
    상기 균질물을 90~140℃에서 5초~10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단백 함유 분체, 자당이 100%인 당, 멜론 농축액, 산미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상기 물은 조성물 총 합이 100중량%가 되도록 나누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안정제 0.001~3중량%, 비타민 0.001~0.5중량% 및 색소 0.001~0.5중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살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살균된 균질물을 여과하고,
    상기 여과된 균질물과 탄산가스 0.01~1.0중량%를 혼합하고 85~100℃에서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론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009642A 2011-01-31 2011-01-31 멜론 농축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82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642A KR101182871B1 (ko) 2011-01-31 2011-01-31 멜론 농축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642A KR101182871B1 (ko) 2011-01-31 2011-01-31 멜론 농축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351A KR20120088351A (ko) 2012-08-08
KR101182871B1 true KR101182871B1 (ko) 2012-09-13

Family

ID=4687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642A KR101182871B1 (ko) 2011-01-31 2011-01-31 멜론 농축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8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626B1 (ko) 2005-11-07 2007-02-15 황철원 무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626B1 (ko) 2005-11-07 2007-02-15 황철원 무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351A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495B1 (ko) 분산성 및 침전안정성이 우수한 커큐민 함유 울금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30309388A1 (en) Carbonate-retaining agent for carbonated drink
JP5053239B2 (ja) 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16722B1 (ko) 식물성 단백질을 함유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AU2008311541B2 (en) Atopy cure baby dry milk with green tea and lactobacillus
US20080193601A1 (en) Protein-containing bever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656570B1 (ko) 우유 단백질이 강화된 유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17778A (ko) 과실분과 유기산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과실 식초음료
CN101433348A (zh) 果蔬汁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70117530A (ko) 음료
KR101252386B1 (ko) 무화과를 함유하는 과채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54044B1 (ko) 발효홍삼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82871B1 (ko) 멜론 농축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02146A1 (en) Water beverage containing fibres
KR101257489B1 (ko) 오디 추출물 함유 음료의 제조 방법
CN102296019B (zh) 一种草莓果肉浊酒及其制备方法
JP4516810B2 (ja) 梅と穀物の醗酵飲料の製造方法
CN103932331B (zh) 一种以树莓为主要成分的功能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430727B1 (ko) 오이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조성물
JPS60256372A (ja) 酸性蛋白飲料の製造法
CN114568558A (zh) 果汁茶乳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819131A (zh) 无防腐剂、色素、胆固醇和甜味剂的黑豆奶及其制备方法
KR101240106B1 (ko) 발효홍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580318B2 (ja) 加温販売用果汁入り容器詰め飲料
CN104031811A (zh) 一种柑橘罗汉果酒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8